KR20020019890A -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 - Google Patents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890A
KR20020019890A KR1020017009614A KR20017009614A KR20020019890A KR 20020019890 A KR20020019890 A KR 20020019890A KR 1020017009614 A KR1020017009614 A KR 1020017009614A KR 20017009614 A KR20017009614 A KR 20017009614A KR 20020019890 A KR20020019890 A KR 2002001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ain chamber
blow
channel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트릭커쿠르트페터
비테위르겐
알트란트라이너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만네스만뢰렌-베르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만네스만뢰렌-베르케 아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0/00021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46410A1/de
Publication of KR2002001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6Arrangements of tuy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ast Furna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및 외측 케이싱을 갖는 원뿔형 중공체 및 상기 케이싱들을 연결하는 전면부로 구성되고, 고로에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 케이싱을 관통하고, 구동시 상기 내측 및 외측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냉각재 흐름이 관류하며, 상기 중공부는 각각 전면부 영역에 위치하는 전실 및 상기 전실에 연결되는 주실로 구분되고, 상기 전실 및 상기 주실은 수압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분리되고 각각 자체의 연결부를 지닌 별도의 냉각재 순환로를 구비하는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측 케이싱(2)은 길이 방향의 종축에 대하여 대칭인 일체형 기저체(1)로 형성되고, 상기 기저체는 전면에서 중단 없이 전면부(5)로 이어지며, 상기 내측 케이싱(3)은 원뿔형 용접부(4)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5)에 냉각재를 유입 및 유출하는 채널(11,13)은 블로 폼의 12시 위치 영역에, 그것도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블로 폼 주실(10)의 횡단면 외부에 배열되며, 상기 용접부(4)는 상기 주실(10)의 파상형 냉각채널(15)의 내부 덮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BLOW FORM FOR SHAFT FURNACES, ESPECIALLY BLAST FURNACES OR HOT-BLAST CUPOLA FURNACES}
DE-OS 35 05 968에는 고로용 블로 폼이 기재되어 있다. 이 구조의 바닥 부분에는 내측, 외측 케이싱 및 이 케이싱과 결합되는 전면부로 구성되는 2중벽 중공체(hollow body)가 고정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 케이싱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cavity)는 전면부 영역에 배열된 중간벽에 의해 전실(pre-chamber) 및 이에 연결되는 주실(main chamber)로 구분된다. 바닥 부분에 배열되는 냉각재용 공급관은 파이프로서 주실 및 중간벽을 통해 전실까지 연장된다. 중간벽이 개구부를 다수 구비하고 있어서, 냉각재는 전실로부터 주실로 되흐를 수 있다. 그곳으로부터 냉각재가 바닥 부분에 배열된 개구부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환형실(toroidal chamber)은 역진 연결 장치(backward connection)를 하나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블로 폼이 단 하나의 냉각 순환 시스템으로만 냉각되고, 냉각이 중지되거나 블로 폼에서 누출(leakage)이 나타남으로써 대체로 냉각수량의 교축(throttling)이 불가피할 때 부하가 매우 커지므로, 이로부터 생기는 모든 방해 및 위험 때문에 구조가 단시간 내에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곳에서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아 혼란이 생기고 증기(vapour) 형성이 조장되며, 그럼으로써 이러한 곳들에서의 열 전달이 심하게 줄어든다는 단점도 있다. 이것은 극단적인 경우 국부적인 용해 및 이와 함께 블로 폼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로 폼의 또 다른 형태는 US 2,735,409에 기재되어 있다. 잘 알려져 있는 이 실시예에서 중공체는 전면부 영역에 위치하는 전실 및 이에 연결되는 주실로 구분된다. 전실 및 주실은 수압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고, 각각 자체의 연결 장치를 갖춘 별도의 냉각재 순환로(seperated coolant circuit)를 구비한다. 주실의 냉각재 순환로는 외측 케이싱을 형성하고 나사 형태로 좁게 감겨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반면 전실의 냉각재 순환로를 구성하는 평행의 직선 파이프 두 개는 전면부의 U자형 환형 채널(ring channel)로 통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내측 케이싱은 매끄러운 원뿔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전실의 두 개의 직선 파이프는 내측 및 외측 케이싱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내측 케이싱은 마찬가지로 나사 형태로 좁게 감겨진 파이프로 형성된다. 전면부는 별도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벨트(belt)를 통해 역진 연결 장치와 연결되거나 직접 전면의 용접을 통해 내측 및 외측 케이싱과 연결된다. 잘 알려져 있는 이런 구조의 경우, 불리한 횡적 형태(직사각형)로 실행되는 구성 조건상 대단히 작은 냉각 채널이 주실 영역에 있고, 구성 조건상 대단히 작은 횡단면들이 전실로의 공급관에 있다는 단점이 있다. 횡단면 감소와 관련하여 그리고 둥근 횡단면 형태로부터 점점 벗어나는 것과 관련하여 냉각재 볼륨의 흐름이 전실뿐만 아니라 주실에서도 불균형적으로 감소한 결과, 냉각 효과도 그에 상응하게 보다 분명히 약해진다. 또한 앞서 언급된 것에 상응하게 전실 냉각 채널의 횡단면이 주실 냉각 채널의 횡단면과 비슷하게 작아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 횡단면 형태로부터, 대단히 불리한 측면 비율 및 이로부터 야기되는 약한 냉각 효과를 지닌 직사각형의 전실 냉각 채널이 생겨난다. 전실 냉각 채널로 통하는 유입 채널의 입구 역시 불리하다. 전실에서 이로부터 생기는 대체로 미미한 냉각재 볼륨 흐름 또는 대체로 미미한 냉각재 속도로 인해 냉각 순환에 수압 저항이 높고, 이로부터 야기되는 냉각 효과도 대체로 약하기 때문이다. 전체 구조를 제조하는 데에는 비용이 대단히 많이 들며, 때때로 제거되지 않는 위험 밀폐 부위를 다수 갖게 된다. 또한 잘 알려져 있는 블로 폼의 주실 외부가 용광로에서 방울져 떨어지는 용해물에 의해 침식당하는 문제도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로, 특히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동 또는 동합금으로 주조되는 부품들을 제조하는 수냉식(water-cooled) 블로 폼이 열풍(hot air)을 공급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됨으로써, 고로의 효과적인 구동은 확실히 보장된다. 용광로의 경우 압력이 2.5바(bar) 내지 5.5바 사이일 때 혼합 열풍의 온도는 약 700℃에서부터 1300℃가 넘기도 한다. 이 경우 블로 폼의 내측 케이싱(inner casing)에만, 특히 전면(frontal part)에만 과중한 부하가 실리는 것은 아니다. 고로의 내화벽(fireproof brick lining) 마멸이 계속 진행되고 블로 폼의 전면 영역이 노출됨으로써, 케이싱 영역에도 예를 들어 선철(pig iron), 슬래그(slag), 부분적으로 감소한 광석(ore) 물질 및 아연처럼 용해물(melting phase)에 의해서, 그리고 코크스(coke) 및/또는 송풍(blast)으로 인한 마멸에 의해서 점점 더 부하가 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부하가 대단히 큰데도 노출 시간을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블로 폼을 관통하는 냉각재(coolant), 대부분 냉각수(cooling water)를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블로 폼을 상당한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해물 및 마멸의 부식 작용 결과 생기는 블로폼의 표면 마멸을 적절한 조치를 취해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블로 폼을 도 2의 A-A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종류의 블로 폼을 열 부하가 대단히 큰 전면부 영역에서 매우 효과적인 냉각을 통해 제조할 때 보통의 비용으로 노출 시간을 대단히 길게 하고, 이와 함께 저렴한 구동 비용 및 블로 폼을 갖춘 고로의 바람직한 구동 행태를 보장하면서, 또한 처리 가능한 냉각수량 및 차동 압력(differential pressure)을 결정적으로 바꾸지 않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블로 폼을 기하학적으로 유리하게 형성함으로써 고로의 방울져 떨어지는 용해물로부터 블로 폼을 가능한 한 계속 보호하고, 대개 열 부하가 그다지 크지 않은 주(후)실이 마찬가지로 대단히 효과적인 냉각 장치를 구비하면서, 처리 가능한 냉각수량 및 차동 압력, 또 이것과 직접 연관되는 냉각수용 구동 비용을 결정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는 목적도 지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들은 각각 종속항들의 대상이 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횡단면에서 볼 때 수직축에 대하여 대칭(symmetric with regard to the vertical axis)인 일체형 기저체(base body)로 외측 케이싱을 형성하는 것이다. 기저체는 전면에서 중단 없이 전면부로 이어진다. 내측 케이싱을형성하는 원뿔형 용접부(conical welded part)는 주실의 파상형 냉각 채널(undulated cooling channel)의 내부 덮개(inner covering)를 형성한다. 또 다른 중요한 특징으로는, 전면부에 냉각재를 공급하는 채널들이 블로 폼의 12시 위치(12 o'clock position)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것도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주실의 횡단면 외부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실의 냉각 채널은 원주 방향에서 볼 때 블로 폼의 상이한 부하를 고려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증명된 바와 같이 블로 폼은 측면 영역에 있을 때보다 12시 위치에 있을 때 부하를 심하게 받는다. 부하를 받는 이 영역을 집중적으로 냉각하면 블로 폼의 노출시간이 현저히 늘어난다. 주실의 냉각재 순환로는 파상형 2중 냉각 채널로 형성되거나, 파상형 냉각 채널 및 블로 폼의 6시 위치에 있는 직선 냉각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로 폼의 종축과 평행하게 놓여 있고 리브(rib) 없이 제공되는 직선 냉각 채널은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블로 폼 주실의 횡단면 외부에 배열된다. 전진 및 역진용 연결장치(forward and backward connections)는 전실의 연결 장치들과 인접하게 12시 위치 영역에 위치한다. 직선 냉각 채널을 블로 폼의 6시 위치에 배열할 때 원주 방향에서 블로 폼의 상이한 부하를 고려해야 한다. 블로 폼은 12시 위치일 때만 아니라, 6시 위치일 때도 측면 영역들에서보다 부하를 심하게 받는다. 이 영역 역시 집중적으로 냉각하면 블로 폼의 노출시간이 계속 늘어난다.
이미 언급했듯이, 본 발명은 전실용 유입 및 역진 채널과 주실의 역진 채널을 블로 폼 주실의 횡단면 영역에서 노출시킬 것을, 그것도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각각 반경 방향으로 주실 외부에 노출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로써 주실의 냉각 채널에서는 유입 및 역진 채널들에 의한 횡단면 제한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조건 때문에 주실에서는 가능한 최대의 냉각재 속도로 유체 조작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 마련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모든 채널들은 그 길이로 볼 때 대체로 일정한 횡단면을 갖고, 연결 영역에서 필요한 횡단면 변화 및 피니언(pinion) 방향 변화는 둥글게(rounded) 그리고 규칙적으로(regularly) 일어난다.
이러한 방안들에 의해 주실에서 달성되는 냉각재용 유동 속도(flow rate)는 잘 알려져 있는 실시예들에 비해 적어도 두 배 정도 높다. 이렇게 되는 것은 중립 구역(neutral zone), 와류형부(swirl place), 스로틀부(throttle place), 더스트부(dust part) 등을 피하고, 냉각 채널 횡단면 형태(원형, 사다리꼴형) 및 각 채널의 횡단면 크기를 최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실용 유입 및 역진 채널을 설치할 수 있는 최적의 가능성 때문에 차동 압력이 변함 없으면 전실에서도 유동 속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또한 펌프 용량(pumping capacity) 및 채널 횡단면의 비율이 균형을 이룸으로써 원하는 만큼 유동 속도를 높이면, 증기의 형성도 대폭 제한된다. 처리 가능한 차동 압력이 예를 들어 2바 정도로 낮을 때에도 부하가 심한 전실의 냉각을 위해서는 유동속도가 10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주실을 위해서는 6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로 폼의 실시형태는 단 하나의 환형 채널을 지닌 전실 뿐 아니라, 파상형 채널을 지닌 대체로 길이가 긴 전실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블로 폼은 순전히 열만이 아니라 추가로 제공되는 화학 물질 및 기계에 의해서도 부하를 받는다. 특히 고로 내화벽의 마멸이일정한 정도에 이르렀을 때 부하를 받는다. 이를 위해 블로 폼의 횡단면을 12시 위치 영역에서 지붕처럼 형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하면 블로 폼에 떨어지거나 방울져 떨어지는 물질이 대체로 쉽게 미끄러지거나 유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특히 유동성 아연, 선철 또는 슬래그가 동 내지 동합금으로 제조된 블로 폼과 바람직하지 않게 접촉하는 것을 줄여준다. 주지하다시피 아연은 구리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어, 구리 내벽을 화학적으로 헐어내면서 축소시킨다.
도면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블로 폼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블로 폼은 외측 케이싱(2)을 형성하는 기저체(1) 및 내측 케이싱(3)을 형성하는 용접부(4)로 이루어진다. 외측 케이싱(2) 및 내측 케이싱(3)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체는 앞쪽에서 열에 의한 부하가 심한 전면부(5)에 의해 차단된다. 기저체가 입구 쪽에 구비하는 2중 원뿔형 유입면(6)에 송풍 연결 장치(blast connection)(도시되지 않음)의 노즐 끝부분이 삽입된다. 내측 케이싱(3) 상부에는 내측 케이싱(3) 상에 배열되는 내화층(7)이 형성된다.전면부(5)의 전면 영역에 피복(armouring; 8)을 구비하는 것은, 전면부(5)를 기계적 손상 및 마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주지하다시피 냉각재와 함께 작동되는 중공체는 전실(9) 및 주실(10)로 구분된다. 전실 및 주실(9,10)은 수압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분리되고, 별도의 냉각 순환로에 연결된다.
도 2의 A-A 단면에 맞는 도 1의 블로 폼 상부에서 전실(9)용 유입 채널(11)을 볼 수 있다. 유입면 상의 유입 채널(1)이 구비하는 나사형 연결부(12)에는 유입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유입 채널(11)은 전실(9)로 이어지고, 전실은 유입 채널(11)에 대해 횡으로 놓여 있는 환형 채널(22)로 형성된다. 환형 채널 대신에 다수의 회전부를 구비하는 파상형 채널을 배열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블로 폼의 12시 위치 영역에 전실(9)용 역진 채널(13)이 유입 채널(11)과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볼 수 있다. 역진 채널이 마찬가지로 구비하는 전면에 배열되는 나사형 연결부(14)에 유출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유입 채널 및 역진 채널(11,13)의 위치는 도 3에서 특히 잘 알아볼 수 있다.
냉각재를 주실(10)에서도 유체공학적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주실은 파상형 냉각 채널(15)을 구비한다. 내측 케이싱(4)은 냉각 채널(15)의 내부 덮개를 형성한다. 냉각재의 주실(10) 내로의 유입 및 유출은 11시 내지 12시 위치 영역에서, 즉 전실(9)용 연결부(12,14)와 인접하게 이루어진다. 시계 지침의 의미에서 볼 때 1시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유입 연결부(18) 뒤에서 냉각재는 2중 원뿔형유입면(6) 내에 있는 반원형 채널(20)(도 2에서 짧고 가는 선으로 표시되었다)을 통해 6시 위치로 하향 공급되고, 여기에서 파상형 냉각 채널(15) 내로 들어간다. 파상형 냉각 채널(15)을 통과한 후 냉각재는 전실(9) 바로 앞에서 마찬가지로 6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역진 채널(16) 내로 들어간다. 역진 채널은 파상형 냉각 채널(15) 아래 위치하고, 냉각재를 2중 원뿔형 유입면(6) 내로 되돌아가게 한다. 냉각재는 다시 2중 원뿔형 유입면(6) 내에 있는 반원형 채널(21)(도 2에서는 짧고 가는 선으로 표시되었다)을 통해 11시 위치로 유출 연결부(17)에 이르기까지 상향 공급된다. 주실(10)용 두 냉각 채널(15,16)이 전면에 마찬가지로 구비하는 나사 단면(17,18)에 유입 파이프 내지 유출 파이프가 나사로 고정된다. 전실용 및 주실용 유입 연결부 및 역진 연결부(12,14,17,18)를 교환해도, 집중적인 냉각 작용의 바람직한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실(9)용 냉각 채널(11,13) 내지 환형 채널(22)의 횡단면은 크기가 서로 동일하지만, 주실(10)용 냉각 채널(15,16)의 횡단면(F1,F2)보다는 작다. 즉
F4 = F5 < F1 = F2이다.
횡단면 변화 및 채널의 피니언 방향 변화가 심하게 둥글게 되므로, 소용돌이 부위나 중성 구역은 생겨날 수 없다.
이 외에도 추가로 나타나는 블로 폼의 화학적, 기계적 부하는 기하학적 형태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 중공체는 고로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끝이 가늘게 형성되고, 반쪽 원추각은 12° 내지 14° 영역에서 유리하다고 밝혀졌다. 본 발명에따르면, 블로 폼의 12시 위치 영역에 있는 지붕 형태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블로 폼 위에 떨어지거나 방울져 떨어지는 고로 내지 장입의 물질은 간단하게 측면의 고로 중앙 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유출될 수 있다.

Claims (12)

  1. 내측 및 외측 케이싱을 갖춘 원뿔형 중공체 및 상기 케이싱들을 연결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고로에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 케이싱을 관통하고, 구동시 상기 내측 및 외측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냉각재 흐름이 관류하며, 상기 중공부는 각각 전면부 영역에 위치하는 전실 및 상기 전실에 연결되는 주실로 구분되고, 상기 전실 및 상기 주실은 수압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분리되고 각각 자체의 연결부를 지닌 별도의 냉각재 순환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실의 냉각재 순환로는 블로 폼의 종축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전진 및 역진부를 형성하며 대체로 일정한 횡단면을 구비하는 두 개의 채널로 구성되고, 상기 채널들은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채널들에 대해 횡으로 배열되는 환형 채널로 통하고, 상기 주실(10)의 냉각재 순환로는 파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가 대체로 일정한 횡단면을 구비하는 냉각채널을 갖추고 있는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으로서,
    상기 외측 케이싱(2)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종축에 대해 대칭인 일체형 기저체(1)는 전면에서 중단 없이 전면부(5)로 이어지고,
    상기 내측 케이싱(3)은 원뿔형 용접부(4)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5)에 냉각재를 유입 및 유출하는 채널들(11,13)은 블로 폼의 12시 위치 영역에,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블로 폼 주실(10)의 횡단면 외부에 배열되고,
    상기 용접부(4)는 상기 주실(10)의 파상형 냉각 채널(15)의 내부 덮개를 형성하는 블로 폼.
  2. 제1항에서,
    상기 주실(10)의 파상형 냉각 채널은 2중이고, 파상형 냉각 채널 하나는 전진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역진부를 형성하며, 두 개의 파상형 냉각 채널이 180° 방향을 바꿈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블로 폼.
  3. 제1항에서,
    상기 주실(10)의 냉각재 순환로는 블로 폼의 6시 위치에서 직선 냉각 채널(16)을 구비하고, 블로 폼의 종축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리브 없이 제공되는 상기 직선 냉각 채널(16)은 블로 폼의 종축과 관련하여 상기 블로 폼 주실(10)의 횡단면 외부에 배열되며, 전진 및 역진용 연결부(17,18)는 상기 전실(9)의 연결부(12,14)와 인접해서 12시 위치 영역에 배열되는 블로 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종축에 위치하는 상기 전실(9)용 채널의 횡단면 형태는 원형이고, 상기 주실(10)용 파상형 채널(15)의 횡단면 형태는 대체로 둥근 모서리를 지닌 사다리꼴인 블로 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실(9) 및 상기 주실(10)의 모든 채널(11,13,15,16)에 필요한 연결부영역의 횡단면 변화 및 피니언 방향 변화는 둥글게 그리고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블로 폼.
  6. 제3항에서,
    상기 연결부(17,18)와 결합된 두 개의 반원형 채널(20,21)이 2중 원뿔형 유입면(6)에 배열되고, 상기 채널들은 6시 위치 영역에 이르기까지 하향 공급되고 12시 위치뿐 아니라 6시 위치에서도 수압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상기 주실(10)의 파상형 냉각 채널(15)과의 결합을 만들어내며, 상기 파상형 냉각 채널(15) 앞쪽 단부에서 상기 전실(9)에 대한 분리벽에 직접 연결되는 상기 직선 냉각 채널(16)은 상기 파상형 냉각 채널(15) 아래에서 6시 위치 영역에 위치하고 전면에서 다시 상기 2중 원뿔형 유입면(6)으로 통하는 블로 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실(9)용 유입 및 유출 채널(11,13)의 횡단면(F4) 및 상기 전실(9) 내의 환형 채널의 횡단면(F5)은 크기가 대체로 서로 동일하지만 상기 주실(10)용 냉각 채널(15,16)의 횡단면(F1,F2)보다는 작은 블로 폼.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주실(10)의 직선 냉각 채널(16)의 횡단면(F1)은 상기 주실(10)의 파상형 냉각 채널(15)과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블로 폼.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전실(9)용 냉각 채널(11,13)의 횡단면(F4,F5)은 상기 주실(10)용 냉각 채널(15,16)의 횡단면(F1,F2)의 35%까지 작은 블로 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실(9) 및 상기 주실(10)용 펌프 용량이 동일할 때 상기 주실(10)용 냉각 채널(15,16)의 유동 속도는 상기 전실(9)용 냉각 채널(11,13)의 유동 속도의 60% 이상인 블로 폼.
  11. 제10항에서,
    블로 폼의 냉각재 차동 압력이 2바일 때 냉각재의 유동 속도는 상기 전실(9)의 냉각 채널(11,13)에서는 10m/sec 이상이고, 상기 주실(10)의 냉각 채널(15,16)에서는 6m/sec 이상인 블로 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블로 폼의 횡단면은 12시 위치에서 지붕 형태이고 6시 위치에서는 불룩한 형태이며, 상기 전실(9)의 냉각 채널(11,13)은 지붕 형태의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주실(10)의 직선 냉각 채널(16)은 불룩한 형태의 영역에 배열되는 블로 폼.
KR1020017009614A 1999-02-05 2000-01-20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 KR200200198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6173 1999-02-05
DE19906173.4 1999-02-05
DE19963259.6 1999-12-17
DE19963259A DE19963259C2 (de) 1999-02-05 1999-12-17 Blasform für Schachtöfen, insbesondere Hochöfen oder Heißwindkupolöfen
PCT/DE2000/000216 WO2000046410A1 (de) 1999-02-05 2000-01-20 Blasform für schachtöfen, insbesondere hochöfen oder heisswindkupolöf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90A true KR20020019890A (ko) 2002-03-13

Family

ID=789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614A KR20020019890A (ko) 1999-02-05 2000-01-20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20019890A (ko)
AR (1) AR022491A1 (ko)
DE (2) DE19963259C2 (ko)
ZA (1) ZA200105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65B1 (ko) * 2011-01-24 2011-10-05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제철공업로용 풍구
LU502500B1 (en) * 2022-07-13 2024-01-18 Wurth Paul Sa Tuyer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409A (en) * 1956-02-21 Blast nozzles for melting furnaces
DE3505968A1 (de) * 1985-02-21 1986-08-21 Erich Dipl.-Ing. 5902 Netphen Hollweg Blasform fuer schachtoefen, insbesondere hochoe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63259C2 (de) 2001-06-07
AR022491A1 (es) 2002-09-04
ZA200105805B (en) 2002-10-14
DE50003178D1 (de) 2003-09-11
DE19963259A1 (de) 200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876B1 (ko) 용기에 가스를 주입하는 장치
CN100548501C (zh) 将固体颗粒材料喷射进容器中的设备
JP2895734B2 (ja) 製鋼用吹き込みアセンブリ
EA025696B1 (ru) Охлаждаемая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верхняя погружная фурма
JPS6045685B2 (ja) 底吹用二重管羽口
US4140302A (en) Jet impingement cooling device
KR20020019890A (ko) 고로, 특히 용광로 또는 용선로용 블로 폼
US6031861A (en) Electrode and cooling element for a metallurgical vessel
US6446565B2 (en) Blast tuyere for shaft furnaces, in particular blast furnaces or hot-blast cupola furnaces
US3826479A (en) Tuyere for a melting furnace
US5370309A (en) Liquid cooled nozzle
JPH0141917B2 (ko)
KR20030033088A (ko) 용광로용 냉각 요소
JP7040859B2 (ja) スラグ排出孔構造及びスラグ排出方法
KR20210006170A (ko) 랜스 및 온도 유지 방법
RU2155816C1 (ru) Клапан горячего дутья доменных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ей
US4157813A (en) Process for protecting a metallurgical tuyere against wear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liquid cooling agent supplied thereto
KR100797952B1 (ko) 대탕도에서 와류억제형 내화물 블럭장치
JP7418876B1 (ja) 独立した2つ以上の送風口を備える高炉用送風羽口
CN209991794U (zh) 风嘴和反应器
RU2054048C1 (ru) Кислородная фурма
US695886A (en) Blast-furnace.
JPH0463218A (ja) 冶金炉の耐火壁の冷却および撹拌ガスの加熱方法ならびに冶金炉
US20220228808A1 (en) Multiple-channel refrigerated panel for blast furnaces and other industrial furnaces
KR101199567B1 (ko) 취련용 랜스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