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098A -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 Google Patents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098A
KR20020018098A KR1020010052425A KR20010052425A KR20020018098A KR 20020018098 A KR20020018098 A KR 20020018098A KR 1020010052425 A KR1020010052425 A KR 1020010052425A KR 20010052425 A KR20010052425 A KR 20010052425A KR 20020018098 A KR20020018098 A KR 2002001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witch
keyboard
computer
foot
auxiliar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청길
Original Assignee
하청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청길 filed Critical 하청길
Publication of KR2002001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09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secondary input device using foot switche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input the selected keys of a keyboard by feet or legs.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 a few foot switches(12), an adhesive board(14) fixing the foot switches in place, and a mainframe(16) of the device consisting of circuit devices and all kinds of jacks and being connected to the foot switch(12), a computer mainframe(18), a keyboard(20) and a few foot switching connector. The mainframe(16) is connected to the mainframe of computer by using a computer connection cable. A keyboard connection terminal being equipped in the mainframe is connected to the keyboard connection cable. Each foot switch connection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able extended from a plurality of foot switches. A circuit device of the mainframe working as the control unit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equipped with a memory unit and the microprocessor driving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Description

풋 스위치를 이용한 보조입력장치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Auxiliary input device using foot switch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본 발명은 컴퓨터 보조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auxiliary input device.

현재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으로 모두 손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손이 불편한 장애인, 손이 작은 어린아이, 컴퓨터를 장시간 이용하는 작업자에게 Shift 키, Ctrl 키, Alt 키, 한/영 전환키, Back Space 키 등과 같이 2개를 동시에 혹은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키를 이용하는 경우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또한, 최근 다양한 컴퓨터 게임이 늘고 있다.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빠르게 데이터를 입력해야 더욱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보통 손만으로 데이터를 입력한다. 따라서, 손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부위를 이용해 입력하면서 게임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Currently, the input device mainly used in a computer is a keyboard, a mouse, a joystick, and the like. However, for handicapped people with disabilities, small children, and workers who use the computer for a long time, use keys such as Shift key, Ctrl key, Alt key, Korean / English switch key, and Back Space key simultaneously or repeatedly. If you use, you will feel a lot of inconvenience. In addition, various computer game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Gamers need to enter data quickly to enjoy a more realistic game. You usually enter data by hand on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y the game while inputting not only by hand but also by using other body parts.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입력장치인 키보드 상의 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키를 발 또는 다리로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보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input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input one or more keys selected from the keys on a keyboard, which is a computer input device, by foot or leg.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장치의 사시도로서 컴퓨터에 연결된 것을 함께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a computer.

도2는 도1의 보조입력장치의 풋 스위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 switch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FIG.

도3은 도2의 풋 스위치의 측면도 및 저면도3 is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oot switch of FIG.

도4는 도1의 보조입력장치의 부착판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ment plate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FIG.

도5는 도1의 보조입력장치의 본체의 사시도 및 정면도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FIG.

도6은 도5의 본체 회로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6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body circuit arrangement of FIG.

도7은 도6의 본체를 구현하는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embodying the main body of FIG.

도8은 도1의 보조입력장치의 키 설정 과정 순서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setting process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FIG.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장치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 장치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보조입력장치 12 : 풋 스위치10: auxiliary input device 12: foot switch

14 : 부착판 16 : 본체14: mounting plate 16: body

18 : 컴퓨터 본체 20 : 키보드18: computer body 20: keyboard

22 : 베이스 24 : 발판22: base 24: scaffold

26 : 연결선 34 : 스위치 고정 구멍26: connecting line 34: switch fixing hole

36 : 컴퓨터 연결 케이블 38 : 키보드 연결 커넥터36: computer connection cable 38: keyboard connection connector

40 : 풋 스위치 연결 커넥터40: foot switch connection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보조입력장치는 하나 이상의 풋 스위치, 고정부재, 본체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회로장치, 컴퓨터 연결 케이블, 키보드 연결 커넥터, 그리고 다수의 풋 스위치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다. 각각의 풋 스위치의 연결선은 본체의 풋 스위치 연결 커넥터에 끼워진다. 본체의 컴퓨터 연결 케이블은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 포트나 USB 포트 혹은 여분의 컴퓨터 슬롯에 끼워진 I/O보드에 연결된다. 키보드 연결 커넥터에는 키보드의 연결 케이블이 끼워진다. 풋 스위치는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고정된다.The computer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foot switches, a fixing member, and a main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ircuit device, a computer connection cable, a keyboard connection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foot switch connection connectors. The connection wire of each foot switch is fitted to the foot switch connector of the main body. The console's computer connection cable connects to the keyboard port, USB port, or I / O board plugged into a spare computer slot. The keyboard connection cable fits the keyboard connection cable. The foot switch is fixed in engagement with the fixing member.

위와 같이 컴퓨터 본체와 키보드 사이에 연결된 보조입력장치의 풋 스위치는 키보드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키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된다. 키보드 상에서 원하는 키를 대응하는 풋 스위치로 설정하는 방법은 셋업키(예 : F11키)를 누른 후 키보드의 원하는 키와 원하는 풋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면 설정이 완료된다. 그 후부터 풋 스위치를 밟으면 대응하는 키보드의 키를 누른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oot switch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keyboard plays a role of a key previously set by the user in the keyboard. To set the desired key on the keyboard with the corresponding foot switch, press the Setup key (eg F11) and then press the desired key on the keyboard and the desired foot switch at the same time. Subsequently, pressing the foot switch will have the same effect as pressing a key on the corresponding keyboar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키보드가 구비된 컴퓨터에 사용하는 보조입력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풋 스위치와, 상기 풋 스위치가 연결되며, 키보드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풋 스위치를 상기 키보드의 특정키로 설정하고 상기 풋 스위치 동작시 상기 특정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보조입력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input device for a computer equipped with a keyboard includes at least one foot switch, the foot switch is connected, the keyboard may be connecte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put device configured to set the foot switch to a specific key of the keyboard and to transmit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 to the computer when the foot switch is oper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장치의 사시도로서 컴퓨터 본체 및 키보드와의 연결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보조입력장치(10)는 본체(16)와, 다수의 풋 스위치(12)와, 부착판(14)을 구비한다. 풋 스위치(12)는 부착판(1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체(16)에는 후술하는 회로장치와, 각종 잭이 구비된다. 본체(16)는 다수의 풋 스위치(12), 컴퓨터 본체(18), 키보드(20)와 연결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connection of a computer body and a keyboard. Referring to FIG. 1, the auxiliary input device 10 includes a main body 16, a plurality of foot switches 12, and an attachment plate 14. The foot switch 12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attachment plate 14. The main body 16 is provided with the circuit apparatus mentioned later and various jacks. The main body 16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oot switches 12, the computer main body 18, and the keyboard 20.

도2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풋 스위치의 사시도이며, 도3의 (a)와 (b)는 각각 도2의 풋 스위치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풋 스위치(12)는 베이스(22), 발판(24), 힌지(25), 연결선(26)을 구비한다. 사각형태의 베이스(22) 상부에 발판(24)이 힌지(25)로 결합되어있고 연결선(26)이 베이스(22)의 정면으로부터 나와 있다. 발판(24)을 눌러 스위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내부 스위치 구조는 통상의 풋 스위치와 동일하므로 그 내부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switch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IGS. 3A and 3B are side and bottom views, respectively, of the foot switch of FIG. 1 to 3, the foot switch 12 includes a base 22, a footrest 24, a hinge 25, and a connecting line 26. The scaffold 24 is coupled to the hinge 25 on the base 22 of the square shape and the connecting line 26 comes out from the front of the base 22. Since the internal switch structure which presses the footrest 24 to function as a switch is the same as a normal foot switch, descrip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is abbreviate | omitted.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베이스(22)는 밑바닥에 위치하는 고무 받침(28), 스크루 체결용 보스(30), 레일 결합부(32)를 구비한다. 고무 받침(28)은 베이스(22)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서 바닥에 놓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해준다. 스크루 체결용 보스(30)는 베이스(22)로 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베이스(22)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위치한다. 스크루 체결용 보스(30)에는 스크루가 끼워지는 구멍(31)이 마련된다. 레일 결합부(32)는 베이스(2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베이스(22)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위치한다. 레일 결합부(32)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후술하는 레일이 끼워지는 구멍(33)이 마련된다.2 and 3, the base 22 is provided with a rubber base 28, a screw fastening boss 30, a rail coupling portion 32 located at the bottom. The rubber feet 28 are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22,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positioned in place without slipping when placed on the floor. Screw fastening boss 3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base 22, two ar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2. The screw fastening boss 30 is provided with a hole 31 into which the screw is fitted. Rail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22, two ar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2. The rail coupling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 hole 33 extending laterally and into which a rail to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도4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착판(14)의 사시도로서, 도4를 참조하면 부착판(14)은 부채꼴로 둥글게 휘어진 형상이다. 부착판(14)은 다수의 스위치 고정 구멍(34)과 두 개의 부착판 고정 구멍(37)을 구비한다. 스위치 고정 구멍(34)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가 한 쌍을 이룬다. 고정용 스크루(35)를 고정 구멍(34)을 통과시켜 위에서 설명한 풋 스위치(12)의 베이스(22)에 형성된 구멍(31)에 끼워 체결하면 풋 스위치(12)가 부착판(14)에 고정된다. 부착판(14)의 양끝에 위치한 부착판 고정 구멍(37)은 바닥에 부착판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루를 구멍(37)을 통과시켜 바닥에 고정하면 부착판(14)이 바닥에 고정된다. 부착판(37)의 고정은, 이와는 달리, 스크루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서도 가능하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plate 14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the attachment plate 14 is shaped like a fan. The attachment plate 14 has a plurality of switch fixing holes 34 and two attachment plate fixing holes 37. The switch fixing hole 34 is paired with two radially arranged. When the fixing screw 35 is passed through the fixing hole 34 and inserted into the hole 31 formed in the base 22 of the foot switch 12 described above, the foot switch 12 is fixed to the attachment plate 14. do. The attachment plate fixing holes 37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ttachment plate 14 are for fixing the attachment plate to the bottom. When the screw is fixed to the bottom through the hole 37, the attachment plate 14 is fixed to the bottom. Alternatively, fixing of the attachment plate 37 is possible not only by screws but also by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도5의 (a)와 (b)는 각각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본체(16)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체(16)는, 컴퓨터 연결 케이블(36), 키보드 연결 커넥터(38), 다수의 풋 스위치 연결 커넥터(40)를 구비한다. 본체(16)내에는 이들과 연결된 회로장치가 구비된다. 컴퓨터 연결 케이블(36)에 의해 본체(16)는 컴퓨터 본체에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컴퓨터 연결 케이블(36)이 PS/2 키보드 연결용 케이블과 단자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일 수도 있고, 다른 연결 방식일 수도 있다. 본체(16)에 구비된 키보드 연결 커넥터(38)에 입력장치인 키보드 연결 케이블이 연결된다. 각각의 풋 스위치 연결 커넥터(40)에는 다수의 풋 스위치에서 연장되는 연결선이 연결된다.5A and 5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16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the main body 16 includes a computer connection cable 36, a keyboard connection connector 38, and a plurality of foot switch connection connectors 40. The main body 16 is provided with a circuit device connected thereto. The main body 16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by the computer connection cable 36. In the figure, the computer connection cable 36 is shown as having a cable and a terminal for connecting a PS / 2 keyboard. However, it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standard or another connection method. The keyboard connection cable as an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keyboard connection connector 38 provided in the main body 16. Each foot switch connection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line extending from the plurality of foot switches.

도6을 참조하면,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본체(16)의 회로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저장부(62)가 구비된다. 저장부(6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흐름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6, the circuit arrangement of the main body 16, which functions as a control unit, includes a microprocessor 60. In the microprocessor, the storage unit 62 is provided. The storage 62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microprocessor 6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described below.

도7은 도6의 블록 다이어그램에 따라 구현한 실제 회로장치의 회로도이다. 도7의 구성으로부터 당업자라면 회로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7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tual circuit devic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arrangem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보조입력장치의 설정과정의 순서도이다. 먼저 보조입력장치(10)가 On되면 프로세서(60)는 셋업키(예를 들면, F11키)의 입력을 기다린다. F11키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키 입력 신호는 바로 컴퓨터로 전달된다. F11 키를 누르면 설정 상태에 들어간다. 설정 프로그램은 사용자로 하여금 키보드 상의 특정키와 특정키를 대신하고자 하는 풋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도록 요구한다. 특정키와 풋 스위치를 동시에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풋 스위치는 키보드 상의 특정키와 같게 설정된다. 만일, 동시에 누른 시간이 3초가 안되었다면,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특정키와 풋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도록 요구한다. 일단, 키보드 상의 특정키와 대응 풋 스위치 사이에 설정이 이루어지면, 추가 설정 여부를 묻게 되는데, 여기에서 추가 설정이 필요하면 다시 다른 특정키와 다른 풋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도록 요구한다. 추가 설정이 필요 없으면 설정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그 후부터는 설정된 풋 스위치를 누르면 풋 스위치와 대응하는 키보드 상의 키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며 결국 대응 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8 is a flowchart of a process for setting a computer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the auxiliary input device 10 is turned on, the processor 60 waits for an input of a setup key (for example, the F11 key). When the F11 key is not pressed, the keystroke signal is sent directly to the computer. Press the F11 key to enter the setting state. The setup program requires the user to simultaneously press a particular key on the keyboard and a foot switch to replace that particular key. If you press a key and a foot switch at the same time for more than a certain time (for example, 3 seconds), the foot switch is set to the same key on the keyboard. If the pressed time is less than 3 seconds, go back to the previous step and ask to press the specific key and the foot switch at the same time. Once a setting is made between a particular key on the keyboard and the corresponding footswitch, it asks if there is an additional setting, which again requires that another specific key and another footswitch be pressed simultaneously. If no further configuration is required, the configuration program is terminated. Subsequently, when the set foot switch is pressed, a data signal of a key on the keyboard corresponding to the foot switch is transmitted and eventually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장치의 사시도로서, 본체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보조입력장치(10a)는 다수의 풋 스위치(12a), 고정 레일(14a), 본체를 구비하는데, 본체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제외한다. 도3 및 도9를 참조하면, 다수의 풋 스위치(12a)는 고정 레일(14a)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풋 스위치(12a)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으로 도2와 도3의 풋 스위치와 동일하다. 고정 레일(14a)은 원형봉을 ㄷ자 형태로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고정 레일(14a)은 나란히 형성된 두 개의 풋 스위치 결합부(42), 두 개의 풋 스위치 결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4)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풋 스위치 결합부(42)에는 도3에서 보여지는 풋 스위치의 배면에 형성된 구멍(33)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a main body. The auxiliary input device 10a includes a plurality of foot switches 12a, a fixed rail 14a, and a main body. The main body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3 and 9, the plurality of foot switches 12a are coupled and fixed by the fixed rail 14a. The foot switch 12a is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s the same as the foot switch of Figs. The fixed rail 14a is formed by bending a circular bar in a U shape. The fixed rail 14a includes two foot switch coupling portions 42 formed side by side, and a connection portion 44 connecting the two foot switch coupling portions 42. The two foot switch coupling portions 42 are fitted with holes 33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oot switch shown in FIG.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입력장치로서, 무릎을 이용할 수 있도록 풋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풋 스위치(12)는 컴퓨터 본체(18), 키보드(20), 모니터(50)가 설치된 책상(52)의 양측지지 측벽 안쪽에 설치된다. 풋 스위치(12)는 책상(52) 안쪽의 적당한 높이(무릎 옆으로 작동하기 적절한 높이)에 볼트나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된다. 풋 스위치(12)의 고정 높이는 사용자의 무릎 높이로서, 앞의 실시예에서 풋 스위치(12)를 발로 누르는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는 무릎으로 풋 스위치(12)를 눌러 사용하게 된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of a foot switch to use a knee as an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switch 12 is installed inside both sidewalls of the desk 52 on which the computer body 18, the keyboard 20, and the monitor 50 are installed. The foot switch 12 is fixed to a suitable height inside the desk 52 (high enough to operate on the side of the knee) by bolts, adhesives, or double-sided tape. The fixed height of the foot switch 12 is the height of the knee of the user, unlike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user presses the foot switch 12 with the knee, unlike pressing the foot switch 12 with the foot.

본 발명에 의한 보조입력장치를 사용하면 키보드의 특정키를 풋 스위치가 그 기능을 대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키보드의 특정키를 누르는 대신그 키에 대응되는 풋 스위치를 밟아 그 기능을 대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입력장치는 컴퓨터 게임에 유용하다. 축구 게임의 경우 이동은 손을 이용하고 슈팅이나 패스는 풋 스위치를 발로 밟아 할 수 있을 것이다. 운전 시뮬레이션에서는 액셀과 브레이크의 동작을 풋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슈팅게임의 경우에도 발로 스피드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키보드 조작이 미숙한 어린 아이, 노인, 손가락 장애자들에게는 키보드에서 두 개의 키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어 있는 Alt, Shift, Ctrl 등을 풋 스위치에 각각 설정하면 보다 쉽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Using the auxiliar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key of the keyboard can be set so that the foot switch replaces the function. In other words, instead of pressing a specific key on the keyboard, the user can press the foot switch corresponding to the key to replace the function. Such auxiliary input devices are useful for computer games. In a football game, you can use your hands to move and shoot or pass a foot switch. In driving simulation, you can use the foot switch to operate the accelerator and brake. In the case of other shooting games, you can adjust the speed and angle with your feet to enjoy a more realistic game. In addition, for young children,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who are inexperienced in keyboard operation, it is easier to use the computer by setting Alt, Shift, Ctrl, etc., which use two keys simultaneously on the keyboard.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lso fall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키보드가 구비된 컴퓨터에 사용하는 보조입력장치로서Auxiliary input device for computer with keyboard 하나 이상의 풋 스위치와,One or more footswitches, 상기 풋 스위치가 연결되며, 키보드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The foot switch is connected, the keyboard may be connected, includ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mpu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풋 스위치를 상기 키보드의 특정키로 설정하고 상기 풋 스위치 동작시 상기 특정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보조입력장치.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t the foot switch to a specific key of the keyboard and to transmit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 to the computer when the foot switch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풋 스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보조입력장치.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to which the one or more foot switches are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는 바닥부에 횡으로 연장되는 구멍이 뚫려있고,3. The foot switch of claim 2, wherein the foot switch has a hole extending laterally in a bottom portion thereof. 상기 고정부재로서 길다란 레일을 포함하되,Including a long rail as the fixing member, 상기 횡으로 뚫린 구멍에 상기 레일이 끼워져 다수의 풋 스위치가 고정되는 컴퓨터 보조입력장치.And a plurality of foot switches fixed to the rails by the rails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ho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풋 스위치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보조입력장치.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foot switch is disposed in a fan shape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는 무릎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컴퓨터 테이블의 측벽에 고정되는 보조입력장치.The auxiliary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oot switch is fixed to a side wall of a computer table to operate by a kne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저장장치를 구비하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ocessor and a storage device, 상기 저장장치에는 키보드로부터 셋업용으로 정해놓은 셋업키가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은 후, 풋 스위치와 동시에 입력되는 특정키를 풋 스위치에 할당하여 설정하고, 상기 풋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 상기 특정키의 데이터 신호가 상기 컴퓨터로 전달되도록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보조입력장치.The storage device receives a setup key set for setup from a keyboard, and assigns a specific key input simultaneously with the foot switch to the foot switch. When the foot switch is operated, An auxiliary input device for driving a processor to transmit a data signal to the computer.
KR1020010052425A 2000-08-30 2001-08-29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KR2002001809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884 2000-08-30
KR20000050884 2000-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098A true KR20020018098A (en) 2002-03-07

Family

ID=1968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425A KR20020018098A (en) 2000-08-30 2001-08-29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0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90B1 (en) * 2005-09-29 2007-11-02 하나로미디어(주) Method for the treatment of video on demand data capable of compatible performance of storage and buffering of the video on demand data in video on demand service through set top box and set top box for the same
KR100829442B1 (en) * 2006-10-31 2008-05-15 화남전자 주식회사 USB interface type foot switch and its control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90B1 (en) * 2005-09-29 2007-11-02 하나로미디어(주) Method for the treatment of video on demand data capable of compatible performance of storage and buffering of the video on demand data in video on demand service through set top box and set top box for the same
KR100829442B1 (en) * 2006-10-31 2008-05-15 화남전자 주식회사 USB interface type foot switch and its control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2009B1 (en) Input device for game machine
US20080129695A1 (en) Foot-operated electronic mouse
US20120315989A1 (en) Video game controller
US20080129683A1 (en) Foot-operated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JPH11506969A (en) Handheld control unit for a display screen oriented computer game, and a display screen oriented computer game having two or more such control units
KR20020018098A (en) Auxiliary input apparatus with foot switch
EP2772824A2 (en) Tablet computer with grip rail and game controller
US6171187B1 (en) Interface device for central processing unit or network terminal, keyboard, portable computer and accessory for games console
JP3409794B2 (en)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CN210109752U (en) Single-hand game keyboard
JP2000284902A (en) Signal inputting device
KR20200000291U (en) Foot pad
KR20000058445A (en) Game apparatus having multi-input key
CN216703320U (en) Barrier-free game touch system
KR100361649B1 (en) Table Button Pad of Computer
KR200323985Y1 (en) Interface for game control using key board chip of personal computer .
US20240123333A1 (en) Gaming control console system
KR200244368Y1 (en) Foot Plate Type Input Pad
KR20020067725A (en) Control apparatus integrating keyboard and mouse for video games console
KR200196747Y1 (en) Switch Panel Pad of computer DDR(Dance Dance Revolution)
KR200194518Y1 (en) Soundproofing for footing board of game
JP2509917B2 (en) Keyboard device
US20060164391A1 (en) Joystick structure for a computer USB keyboard and mouse
KR200234571Y1 (en) User interface device having back button
KR200281010Y1 (en) keybord of the personal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