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065A -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065A
KR20020016065A KR1020000049184A KR20000049184A KR20020016065A KR 20020016065 A KR20020016065 A KR 20020016065A KR 1020000049184 A KR1020000049184 A KR 1020000049184A KR 20000049184 A KR20000049184 A KR 20000049184A KR 20020016065 A KR20020016065 A KR 2002001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ed
education
information
learning
intern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호
이수영
Original Assignee
박인호
이수영
엔에이씨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이수영, 엔에이씨정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102000004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6065A/en
Publication of KR2002001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65A/en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the internet network are provided to offer the science genius education contents to induce the creative thought, to understand a phenomenon and focus on a concept on the basis of the world wide web through the Internet. CONSTITUTION: The system comprises at least on or more educatees(100A-100N) connecting to the Internet network(200) by using of an exclusive line or a modem, and a genius education system(300) providing the contents for the genius education to the connected educatees and executing the operation about the user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genius education system. The genius education system consists of a server(310) executing a general operation performing the genius education in a cyber spac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a database(320)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 and the test contents or step of each educatee, the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user and an average records of the total user, the information using as the education data of characters, pictures, animations, moving pictures and sounds, the reports and questions transmitted from the users, the information constructing by the participation of users, and the information for a genius education course.

Description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network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은 원격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시키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재교육의 수혜대상을 전국 내지 전세계의 모든 학생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도록 하고, 교육의 수혜자가 영재인지의 여부를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nce lear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extend and apply a beneficiary of gifted education to all students nationwide or all over the world by using the Internet that overcome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whether the beneficiary of education is gifted or n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a test to provide differentiated education.

일반적으로 미국의 국방성에서 군사 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아파넷에서 기인한 인터넷(Internet)은 현재 세계 각지의 수 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되어 전자메일, 뉴스, 파일 전송, 정보 전달 및 검색 등을 수행하여 주는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 및 제공 매체가 되고 있으며,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가상 공간에서 동화상 및 음성 데이터 전송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하였다.In general, the Internet, which originated in the Anetnet for sharing information about military research at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is now linked to numerous computer networks around the world, providing access to e-mail, news, file transfers, information delivery and retrieval. It has become a huge and efficient medium for st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 Internet based on the world wide web has developed into a stage capable of transmitting moving picture and voice data in a virtual spac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인터넷의 발전은 20세기 초반의 산업혁명에 비교할 만큼 경제, 사회문화의 전반에 걸처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현대의 산업과 경제는 디지털과 네트워크의 경제라고 할 만큼 인터넷과 정보과학의 지식기반 산업형태로 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있어, 이러한 흐름에 따라 우수한 인적자원의 발굴과 양성이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인적자원의 발굴과 양성측면에서 교육은 새롭고 근본적인 페레다임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한다.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the overall economic and social culture, compare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e modern industry and economy are the knowledge-based industry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science. As the industrial structure is being reorganized in the form, the discovery and cultivation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the most urgent issue, and education should seek new and fundamental changes of the peredima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지식 및 정보통신 기반의 산업구조와 이를 위한 인적자원의 확보방안으로 현재 초,중,고 교육과 대학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중 한국교육개발원의 통계로 추정되는 대략 1∼3% 정도의 영재 대상 교육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함께 인터넷과 정보과학, 컴퓨터의 활용은 이미 의사소통기술로서의 국어, 세계화의 수단으로서 영어, 수리-논리적 개념의 수학과 마찬가지로 사회활동의 주요한 도구이자 무기로 인식되면서 영재교육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전은 학습자와 교육자가 하나의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 및 데이터의 전송을 통해 학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About 1 ~ 3% of gifted education, estimat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mong the students currently receiving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as a way to sec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industrial 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The Internet, information science, and the use of computers are already recognized as the main tools and weapons of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Korean a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nglish as a means of globalization and mathematics of mathematical and logical concepts. It is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gifte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s developing into a distance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and educators to learn by transmitting images and data without being located in a single space.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원격교육방법은 공중파의 송출이나 케이블을 통한 교육방송과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한 교육방법을 예로 들수 있는데, 이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학과목의 강의를 진행하는 것을 TV 등의 방송 매체를 통해 시청하면서 학습하는 것으로, 학습자과 교육자 간의 공간상 제약은 극복할 수 있으나, 시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없는 단점과 학습이 교육자의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학습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며, 컨텐츠 역시 교육자의 획일적인 자료에 의존적인 성격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The remote education methods currently in use in Korea include,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of airwaves, the education broadcasting through cable, and the video conference system. Through watching and learning through, students can overcome the space constraints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but the disadvantages that cannot overcome the time constraints and learning are mainly focused on educators, and do not provide various learning effects. There is a problem that depends on the data.

또한, 저장매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멀티미디어 교육용 컨텐츠의 제작 및 보급이 비디오에서 데이터의 방대한 저장량과 다양한 이미지 및 영상의 저장 및 화면의 선명도 등을 갖는 CD-타이틀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웹 기반의 교육용 컨텐츠 제공은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한 가상대학 구축 솔류션의 방향으로 일원화되어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torage media technology,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multimedia educational contents is shifting to the center of CD-titles, which have a huge amount of data in video, storage of various images and images, and sharpness of screens. The provision of web-based educational contents is unified in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university construction solution mainly centered on universities.

상기한 바와 같은 CD-타이틀과 웹 기반의 교육용 컨텐츠의 제공은 종이를 대신해 단순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매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나, 면대면 교육과는 다른 차원의 교육 방향으로 접근방법과 내용 구성의 전문성과 보다 구체화된 구성상의 완성도가 절실히 요구되며 피교육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켜주는 방향으로의 컨텐츠 구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vision of CD-titles and web-based educational contents was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of simply using the media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instead of paper, but the expertise of approach and contents composition was different from the face-to-fac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ore detailed structural perfection, and a more urgent need for content organization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trainees.

즉, 멀티미디어 교육용 컨텐츠의 활용공간이 강제된 시간과 공간이 아닌 개방적인 환경으로 개인의 학습 동기유발과 이해 및 학습욕구 충족의 필수요건이 충분히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cessity of individual learning motivation,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needs cannot be solved satisfactorily in an open environment instead of the forced time and space of multimedia educational contents.

또한, 학습적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수(敎授)와 학습 자료의 보강이나 온라인 형의 교수 주도 그룹 토의형 방식 등이 필요하나 현재까지 웹 기반의 솔루션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학습자 이력관리 혹은 교사 주도적 학습자 관리를 지원하는 솔루션이 있으나, 이는 아주 미약하여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continuous learning and reinforcement of learning materials and online discussion-led group discussion methods are required for learning effects, but until now, web-based solutions do not provide such services. There is a solution that supports management or teacher-led learner management, but it is so weak that it can not escape the elementary stag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터넷 상에서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보편적이고 내용 주입 중심의 과학 교재를 탈피한 창의적인 사고유도와 현상이해 및 개념중심의 과학영재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creative thinking, understanding and concept-orien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ontents that escapes from the universal and content injection-oriented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World Wide Web on the Internet. To provide a and to provide a system for operating it.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의 이용으로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영재교육 수혜대상의 선발기회를 전국의 모든 학생으로 확대하도록 하고, 영재교육 컨텐츠를 자녀교육과 학생지도를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교육자료와 방향성을 갖도록 하며, 인터넷 망을 통해 연계되는 전체 영재교육기관의 공동 활용 프로그램으로 활용범위를 확대하고, 교육결과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영재교육 대상 학생들의 관찰 및 추적관리를 과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현실화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spatiotemporal limitations by using the Internet to expand the selection opportunities for the gifted education recipients to all students in the country, and to expand the gifted education contents to scientific and objective educational materials and directions for children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t is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to the joint utilization programs of al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link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to realize the observation and tracking management of students who are gifted by educa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rough the database of education results. .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에게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영재아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영재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적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st problem to the user connected via the Internet network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gifted child,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 gifted child to provide an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base in 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영재교육수행 절차에 대한 흐름도.Figure 3 is a flow chart for a gifted education performance procedure in 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선택메뉴의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selection menu in the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영재아 판별에 대한 흐름도.Figure 5 is a flow char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in 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일 예시도.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a web page provided to the learner in the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학습관련 웹 페이지의 일 예시도.7a to 7c is an exemplary view of a learning-related web page provided to learners in the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A-100N : 피교육자 200 : 인터넷 망100A-100N: Trainee 200: Internet Network

300 : 영재교육시스템300: Gifted Education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용선이나 모뎀을 통해 인터넷 망을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에게 영재 교육을 위한 제반적인 컨텐츠의 제공과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는 영재교육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general contents for gifted educa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trainees accessing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 dedicated line or a modem, and at least one or more trainee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ifted education system for performing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인 피교육자의 접속이 검출되면 사용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여 등록된 정상회원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정상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재교육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으로 등록을 유도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정상회원으로 판단되거나 회원등록을 수용하는 경우 학습자에게 학습을 선택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과, 임의의 학습과정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학습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교육용 웹 페이지를 통해 학습되는 결과를 분석하여 업 데이트하는 과정과, 일정기간의 학습이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일정기간의 학습이 진행되었으면 학습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 및, 평가되는 학습결과를 저장함과 동시에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earner's connection to the learner is detected by requesting the input of the user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normal memb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member is not the normal member by providing gifted education information to register as a member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 web pag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the learning when the judge is determined to be a normal member or accepts the membership registration, and the educational learning so that the selected learning can be provided if any learning process is selected. Provide web pages, analyze and update the results learned through educational web pages,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has been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f the learning has been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web for evaluating the learning results. Provide the learner with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page and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상기에서 학습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에서 영재아 판별을 선택하는 경우 판별신청과 판별기준 및 판별 예제의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과, 문제은행을 통해 멀티미디어 및 HTML 파일로 영재아 판별문제를 제공하는 과정과, 제공되는 판별문제의 해로부터 테스트되는 학습자의 지능 및 제반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영재아의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설정된 영재아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재아로 판단하여 해당 지능지수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earner selects a gifted child from the menu provided through the web page, the process of providing a web p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for discrimination and the criteria of discrimination and examples of discrimination, and identifying the gifted child through multimedia and HTML files through the question bank. The process of providing a problem,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ntelligence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sted from the solution of the discriminating problem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criteria for the set gifted child is satisfied, and if the criteria for the gifted child are satisfied, the gifted child is judg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providing an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telligence index.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 시스템은, 전용선이나 모뎀을 통해 인터넷 망(200)을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100A-100N)와, 인터넷 망(200)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100A-100N)에게 영재 교육을 위한 제반적인 컨텐츠의 제공과 사용자 관리 및 영재교육시스템의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영재교육시스템(300)으로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trainees (100A-100N) to connect the Internet network 200 through a dedicated line or modem, and the Internet network 200 It is composed of a gifted education system 300 that performs the overall operation for the provision of the overall content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the use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gifted education system to at least one or more trainees (100A-100N) connected through.

상기에서 영재교육시스템(300)는 인터넷 망을 통한 가상공간을 통해 영재교육을 수행하는 제반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서버(310)와,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학습자별 테스트 내용 및 단계에 대한 정보, 개별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전체 사용자에 대한 평균 성적, 문자, 그림, 애니메니션, 동영상, 음성 등의 교육자로 사용될 정보, 사용자로부터 송수신되는 보고서 및 질의 내용, 사용자 참여로 구성된 정보,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20)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is a server 310 that executes the overall operation to perform the gifted education through a virtual spac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test content and steps for each learner,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average grades for all users, information to be used as an educator such as text, picture, animation, video, and voice, reports and queries sent and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on user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It is made of a database 320 for registration management.

상기의 데이터베이스(320)는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재교육에 필요한 실험자료, 웹 기반의 코스웨어 등을 등록하여 해당하는 자료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실험자료 DB(321)와,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재판별 문제들을 등록하여 해당하는 자료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영재판별문제 DB(322)와,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재교육에 필요한 학습정보와 성적정보, 접속이력, 게시판 정보, 자료실 정보, 토론방 정보, 보고서, 관련 사이트 정보 등의 부가정보 등을 등록하여 해당하는 자료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영재학습정보 및 부가정보 DB(323)와, 영재학습대상의 학생과 영재판별대상 학생 및 서비스 운영 관리자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진도나 관리정보, 운영정보, 학습상태의 통계 정보등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운영정보 및 통계 DB(324)로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the accompanying FIG. 2, the database 320 is a gifted education research center, a gifted education specialist group, a variety of experimental data, web-based courses required for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the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School District, etc. DB (321), which provides students with gifted education and students with giftedness identification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registers the wear, etc., Gifted Education Research Center, Gifted Education Specialist Group,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The gifted discrimination problem DB (322), which registers the various gifted discrimination problems provided by the DOE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materials to students of the gifted education subjects and students targeted for the gifted persons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gifted education research center, gifted education Study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ccess history, and posting necessary for various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expert group,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school office Gifted learn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by register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edition information, library information, discussion room information, reports, related site information, etc. DB (323)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istics DB (324) which registers and manages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learning status provided from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ifted students and the service operation managers. Is done.

상기에서 영재교육을 위한 DB는 다양하고 원리 이해 중심의 멀티미디어 DB로 구축되고, 단계별 결과 및 관련 자료 보관을 위한 DB 및 출력 시스템으로 구축되며, 학습발달 및 특성변화를 추적 관리하기 위한 학생들의 DB로 구축된다.The DB for gifted education is constructed with diverse and principle-based multimedia DB, DB and output system for storing results and related data for each step, and for students DB for tracking and managing learning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change. Is built.

또한, 개념 중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용 DB로 구축하고, 학부모 및 현직교사의 효율적인 영재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구축한다.In addition, it builds educational DB for concept-based creativity and establishes online counseling service for effective gifted education of parents and in-service teachers.

또한, 영재학습정보 및 부가정보 DB(321)에서 부가기능으로 웹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 양식에 따라 온라인 접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신청기능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통제 기능인 개인별 보안기능과, 수신/발신/첨부 및 사용자 프로필 등을 관리하는 전자우편기능, 문제풀기 또는 실험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사용자의 성적을 관리하는 개인별 성적관리기능, 사용자가 테스트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과 사용자들의 필요에 의해 운용되는 자료실 기능, 사용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리스트를 보관하였다가 추후 다시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오답관리기능,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사이트를 링크시키는 하이퍼텍스트 기능, 문자, 그림 소리, 애니메이션, 동영상,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다양한 형태의 판별 도구기능인 멀티미디어 지원기능, 학습치에 대한 통계기능, 의문사항에 대한 질의 응답과 보고서의 송수신을 제공하는 상호작용 기능, 영재교육 담당자, 현직교사,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상담실 기능, 사용자들간에 토론을 위한 대화방과 교사 주도의 토론을 위한 대화방기능, 학습자 그룹별 신청결과의 검토 및 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토론실의 기능, 다양한 구조의 실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현하도록 하는 사고 촉진 기능, 개인정보 관리기능과 신상정보 관리기능, 판별 테스트정보, 화상 및 문자채팅 기능 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ifted learn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DB (321) as an add-on on-line applica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accept online on the web according to the input form, and the user security and personal security functions that control access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e-mail function to manage incoming / outgoing / attachment and user profile, personal grade management function to manage user's grades obtained through problem solving or experiment, and user to get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test process , A library function that is driven by the needs of users, an error management function that keeps a list of wrong problems for users to try again, a hypertext function that links related sites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ext, Various types of boards with picture sound, animation, video, and simulation Multi-media tool function, statistical function for learning value, interactive function for providing Q & A for questions and sending and receiving of report, online counseling room for gifted education personnel, in-service teachers, parents, and discussion among users Chat room for teachers and teacher-led discussions, real-time discussion room for review and discussion of application results by group of learners, thought facilitation function to implement experimental information of various structures through database, and personal information It provides management functi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discrimination test information, image and text chat func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서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원격 영재 교육을 수행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operation of performing remote gifted education in the Internet virtual space is as follows.

임의의 피교육자(100A-100N)가 자신의 단말기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킨 다음 영재교육 시스템(300)을 접속하고자 하는 URL을 입력하면, 인터넷 망(200)을 통해 피교육자 단말기와 영재교육 시스템(300)의 서버(310)가 연결된다(S101).If a trainee 100A-100N executes a web browser on his terminal and inputs a URL for accessing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The server 310 is connected (S101).

이때, 영재교육 시스템(300)의 서버(310)는 인터넷 망(200)을 통해 접속된 피교육자와 자료를 주고 받으면서 원격교육이 가능한 교육내용 및 평가를 위한 검색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프로그램, 바람직하게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가상공간을 영재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페이지를 피교육자 단말기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102), 피교육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즉, 회원등록 ID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320)의 회원등록 리스트를 통해 분석하여 영재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 등록된 정상적인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3)(S104).At this time, the server 310 of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is a data program, which enables the search for the education content and evaluation that can be remotely education while send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rainee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preferably Provides a home page for a trainee terminal to perform a gifted education in a virtual space by driving a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program, and requests input of user information (102), namely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trainee terminal. In addition, the member ID and password are analyzed through the member registration list of the database 320 to determine whether the member is a normal member who is already registered to receive the gifted education service (S103) (S104).

상기에서 정상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피교육자의 접속인 것으로 판단되면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등록 안내와 공개된 각종 자료들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회원으로 등록할 것을 권유하며(S105), 회원등록을 수용하는 경우 현재 입력되는 제반적인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0)의 회원등록 리스트에 등록시켜 정상적인 영재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S106)(S107).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ss of the trainee who is not registered as a normal member in the above, it is recommended to register as a member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a member registration guide and various open materials through a web page (S105), and accepting member registration In this case, the general member information currently input is registered in the member registration list of the database 320 so that the normal gifted edu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S106) (S107).

상기 S104에서 피교육자의 정보가 기 등록된 정상회원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현재 정상회원으로 등록하는 경우 영재교육 시스템(300)의 서버(310)는 제공되고 있는 제반적인 서비스 메뉴의 웹 페이지를 피교육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준다(S105).If it is determined in S104 that the information of the trainee is a registered normal member or currently registered as a normal member, the server 310 of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provides the web page of the general service menu being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S105).

상기 영재교육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메뉴는 첨부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재아의 판별을 수행하는 서비스(A)와, 제1,제2 부가기능 서비스(B)(C), 영재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D), 교육관련 쇼핑몰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E), 학생대상의 여가 활동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F), 학생들이 제공하는 각종 아이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G) 등으로 구축된다.The menu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gifted education system 300, as can be seen in the accompanying Figure 3, the service for performing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A), and the first and second additional function services (B) (C ), Content for providing gifted education (D), service providing information on education-related shopping malls (E), service providing leisure activity information for students (F), and providing various idea information provided by students It is constructed as a service (G)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메뉴 중에서 피교육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임의의 학습을 선택하게 되면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선택된 학습에 대한 정보를 엑세스한 다음 일예를들어 첨부된 도 6과 같이 선택된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피교육자 단말기에 제공하며(S108), 피교육자가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과정을 선택하게 되면(S109) 서버(310)는 선택된 학습과정에 대한 제반적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엑세스하여 교육용 웹 페이지로 가공한 다음 일 예를들어 첨부된 도 7a 내지 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화적인 요소가 가미된 캐릭터와 학습을 위한 컨텐츠 및 다양한 부가정보가 마련되어 있는 웹 페이지로 피교육자의 단말기에 제공하여 준다(S110).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arner selects any learning to be provided from the menu of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web page, the server 310 access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learning from the database 320 and then attaches an example to the attached drawing. As shown in FIG. 6, a web page for performing the selected learning is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S108), and when the learner selects a suitable learning course from the provided web page (S109), the server 310 selects the selected learning process. The general data is accessed from the database 320 and processed into educational web pag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A to 7C, the characters with cartoon elements, contents for learning, and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re provided.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trainee as a web page is provided (S110).

이때, 피교육자는 서버(310)로부터 웹 페이지로 제공되는 교육용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게 되면 피교육자의 학습진행에 대한 정보는 서버(310)에 전송되어 데이터의 검색 분석이 수행되어지고, 분석된 결과의 데이터 정보를 해당 회원의 등록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학습진행에 대한 결과가 업데이트된다(S111).At this time, when the trainee proceeds to stud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gram provided as a web page from the server 310, information about the trainee's learning progres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10 to perform a search and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analyzed result. The data information of the member is stored in the database 320 together with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ember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progress is updated (S111).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이 진행되면 서버(310)는 진행되는 학습과정이 설정된 일정과정의 학습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하며(S112), 설정된 일정과정의 학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해당 학습의 교습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용 데이터를 엑세스한 다음 피교육자 단말기에 평가용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S113), 제공되는 평가용 웹 페이지를 통해 학습자인 피교육자의 테스트 결과를 분석 및 검토하여 회원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며(S114), 분석된 테스트 결과를 피교육자에게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도록 하여 준다(S115).When the learning progresses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310 determines whether the learning process in progress is completed in the predetermined schedule process (S11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of the set schedule process is completed, the server 310 Accessing the evaluation data for confirming the teaching status of the learning from the database 320 and then providing a web page for the evaluation to the trainee terminal (S113), the test result of the trainee, the learner through the provided evaluation web page Analysis and review is stored in the database 320 with the member information (S114), and provides the analyzed test results to the traine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S115).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학습의 성취도가 설정된 일정 레벨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상급 코스의 학습 과정을 엑세스하여 해당 학습자인 피교육자에게 제공하여 준다.When the achievement of the learning progressed as described above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server 310 accesses the learning process of the upper course from the database 320 and provides the learner as the learner.

상기 S108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메뉴에서 피교육자가 제1부가기능(B) 또는 제2부가기능(C)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선택된 부가기능에 대한 정보를 엑세스하여 피교육자 단말기에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피교육자가 선택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trainee selects the first additional function B or the second additional function C from the web page menu provided in S108, the server 310 accesses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dditional function from the database 320 to access the trainee. By providing the terminal through a web page, the trainee can be provided with the selected service.

즉,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 보안기능과 학습자인 피교육자의 의문사항에 대하여 질의응답이 제공되도록 하고 학습된 내용의 보고서를 송수신하는 상호작용 서비스기능, 학습과정이 문자나 그림, 소리, 애니메이션, 동영상,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학습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련 사이트가 링크될 수 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능, 영재교육 담당자, 현직교사, 학부모가 직접 연결되어 학습자에 대한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담 기능, 문제풀기와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사용자의 성적 관리기능, 사용자가 테스트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과 사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운영되는 자료실 기능, 사용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리스트를 보관하였다가 추후 다시 시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답리스트 기능, 사용자들간에 토론을 위한 대화방과 교사 주도의 토론을 위한 대화방 기능과 지정시간대 참여 대상자 접속기능 및 학습자 그룹별 신청결과 검토 및 토의를 수행하는 실시간 토론실 기능, 화상 및 문자채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security function that controls user authentication and access to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interactive service function that provides Q & A for the questions of the trainee, the learner, and sends and receives the report of the learned content, the learning process is a text or picture. , Multimedia function to provide services in various forms by applying sound, animation, video, and simulation, hypertext function to link related sites that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learning, gifted education officer, in-service teacher, and parents directly Online counseling function to connect and conduct counseling for learners, user's grade management through problem solving and experimentation, user's ability to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during the test process, and a library Function, lease for user wrong problem Incorrect error list function to store and retry later, chat room for discussion between users and chat room for teacher-led discussion, access to participants for designated time zones, and review and discussion of application results for each learner group. It provides real-time discussion room function, video and text chat service.

또한, 상기 S108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메뉴에서 피교육자가 영재교육 컨텐츠(D)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단계별, 학년별, 과목별, 성취도별 과학학습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웹 페이지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제공하여 주며, 교육관련 쇼핑몰(E)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영재교육에 필요한 서적과 소품 기자재, 프로그램(CD-타이틀) 등을 취급하는 쇼핑몰의 정보를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하이퍼텍스트 링크로 관련 사이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학생대상의 여가정보(F)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예를들어 우리학교의 특별활동정보, 온라인 게임 정보, 게시판에 대한 정보, 채팅정보 등을 제공하여 주며, 아이디어뱅크(G)를 선택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학습방법에 대한 아이디어, 발명에 대한 아이디어, 생활에 필여한 정보의 아이디어 및 창의적 사고력의 증진을 위한 온라인 자료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In addition, when the trainee selects the gifted education content (D) from the web page menu provided in S108, the server 310 accesses the science learning data for each step, grade, subject, and achievement from the database 320 to the web page. If you select the education-related shopping mall (E)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through the server 310 from the database 320 of the shopping mall that handles books and props equipment, programs (CD-title) necessary for the gifted education from the database 320 It provides information and zooms in and links to related sites by hypertext link. When selecting leisure information (F) for the student, the server 310 can use the special activities of our school, for example, from the database 320. Provides information, online game information, bulletin board information, chat information, and the like, learning from the database 320 when selecting an idea bank (G) It provides information on ideas of methods, ideas of inventions, idea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life, and online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또한, 상기 S108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메뉴에서 피교육자가 영재아의 판별을 선택하는 경우 첨부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영재아 판별 신청에 대한 제반적인 정보를 웹 페이지를 통해 피교육자 단말기에 제공하고(S501)(S502), 이후 판별기준에 대한 정보와 판별예제를 안내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준 다음 멀티미디어 및 HTML을 통해 영재아 판별을 위한 문제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여 준다(S503)(S504).In addition, when the trainee selects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in the web page menu provided in S108, as can be seen in the accompanying FIG. 5, the server 310 receives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gifted child identification application from the database 320.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through the web page (S501) (S502), and the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scrimination criteria and guidance for discrimination examples, and then provides probl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through multimedia and HTML through the web page. (S503) (S504).

이후,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통해 평가받는 피교육자의 테스트 정보는 서버(310)에 검출 분석된 다음 현재의 학습정도가 데이터베이스(320)에 설정되어 영재아 판별에 대한 기준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505)(S506).Subsequently, the test information of the trainee evaluated through the provided web page is detected and analyzed by the server 310, and then the current learning degree is set in the database 320 to determine whether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the gifted child is satisfied (S505). (S506).

상기에서 영재아 판별을 위한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이면 서버(310)는 영재아로 판단하여 해당 등급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영재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0)에 등록한 후 해당 등급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S507)(S508).In the above state, if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the gifted child is satisfied, the server 310 determines the gifted child and registers the information about the gifted child in the database 320 in order to provide the edu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grade, and then the education suitable for the grade. Provide a service (S507) (S50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가상공간을 통해 특수분야에 전문성이 확보된 멀티미이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영재 교육에 강한 학습동기를 제공하고, 영재아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영재교육 대상자와 비대상자 가의 위화감 조성을 배제하며, 표준화검사를 통해 판별할 수 없는 영재아의 발굴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교육을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ong motivation for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by providing multi-content contents secured in a special field through the Internet virtual space, and enables automatic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It is possible to induce more active education by excluding the creation of discomfort in the non-subject and by discovering gifted children who cannot be identified through standardized tests.

또한 정규교육에서 부족한 창의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다방면의 전문가자 제공하는 컨텐츠를 통해 영재교육에 질을 높여주며,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위화감을 제거하고, 별도의 평가나 장학에 따른 재정부담없이 영재아를 교육할 수 있어 아주 효율적이다.In addition, it helps solve creative problems that are lacking in formal education, improves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through contents provided by various experts, removes discomfort by providing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to all students, and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it can educate gifted children without financial burden.

Claims (8)

전용선이나 모뎀을 통해 인터넷 망을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와;At least one trainee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dedicated line or a modem;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교육자에게 영재 교육을 위한 제반적인 컨텐츠의 제공과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는 영재교육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A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gifted education system for providing general contents and user management for gifted education to at least one educator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영재교육시스템은 가상공간을 통해 영재교육을 수행하는 제반적인 동작을 실행하는 서버와;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cludes a server executing general operations for performing gifted education through a virtual space;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학습자별 테스트 내용 및 단계에 대한 정보, 개별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전체 사용자에 대한 평균 성적, 문자, 그림, 애니메니션, 동영상, 음성 등의 교육자로 사용될 정보, 사용자로부터 송수신되는 보고서 및 질의 내용, 사용자 참여로 구성된 정보,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Information abou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est contents and steps for each learner,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users, average grades for all users, information to be used as educators such as text, pictures, animations, videos, and voice, reports sent and received from users, and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atabase for registering the content of the query, the user's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재교육에 필요한 실험자료, 웹 기반의 코스웨어등을 등록하여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실험자료 DB와;The database registers experimental data, web-based courseware, etc. for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the Center for Gifted Education, Center for Gifted Education Specialists,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DB and experimental data provided to;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재판별 문제들을 등록하여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영재판별문제 DB와;A gifted discrimination problem DB for registering gifted education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with different types of giftedness registration problems provided by the Center for Gifted Education, Center for Gifted Education Specialists,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영재교육 연구센터, 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한국전산원, 대학, 교육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재교육에 필요한 학습정보와 성적정보, 접속이력, 게시판 정보, 자료실 정보, 토론방 정보, 보고서, 관련 사이트 정보 등의 부가정보 등을 등록하여 해당하는 자료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영재교육대상의 학생 및 영재 판별 대상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영재학습정보 및 부가정보 DB와;It includes the study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access history, bulletin board information, library information, discussion room information, reports, related site information, etc. for various gifted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the Center for Gifted Education, the Gifted Education Specialist Group, the Korea Computer Center, University, and the Office of Education. Gifted learn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DB that registers additi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corresponding materials to students of the gifted education target and students of the gifted discrimination targe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영재학습대상의 학생과 영재판별대상 학생 및 서비스 운영 관리자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진도나 관리정보, 운영정보, 학습상태의 통계 정보등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운영정보 및 통계 DB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시스템.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statistics DB to register and manage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learning status statistics information provided from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and service management administrators Remote gifted education system using. 학습자인 피교육자의 접속이 검출되면 사용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여 등록된 정상회원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registered normal member is requested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when a learner's connection is detected; 상기에서 정상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영재교육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으로 등록을 유도하는 과정과;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mber is not a normal member, providing a gifted education information and inducing a member to register; 상기에서 정상회원으로 판단되거나 회원등록을 수용하는 경우 학습자에게 학습을 선택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web pag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learning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member or accepts the membership registration; 임의의 학습과정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학습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교육용 웹 페이지를 통해 학습되는 결과를 분석하여 업 데이트하는 과정과;Providing an educational web page for providing the selected learning when any learning process is selected, and analyzing and updating the results learned through the educational web page; 일정기간의 학습이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learning of the predetermined period has progressed; 일정기간의 학습이 진행되었으면 학습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 및;Providing a web page for evaluating a learning result when learn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has progressed; 평가되는 학습결과를 저장함과 동시에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방법.Remote gifted education meth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storing the learning results to be evaluat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학습자에게 학습을 선택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는 영재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와;A web page for allowing the learner to select learning includes a menu for identifying a gifted child; 여러 부가 기능서비스를 선택하는 메뉴와;A menu for select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 services; 단계별, 학년별, 과목별, 성취도별 영재교육 컨텐츠를 선택하는 메뉴와;A menu for selecting gifted education contents for each stage, grade, subject, and achievement; 영재교육에 관련된 서적, 소품, 기자재, 프로그램 등 교육관련 쇼핑몰을 선택하는 메뉴;Menus for selecting education-related shopping malls such as books, props, equipment, and program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온라인 게임, 게시판, 특별활동, 채팅정보 등의 학생대상 여가를 선택하는 메뉴 및;A menu for selecting student leisure, such as online games, bulletin boards, special activities, and chat information; 학습에 관한 아이디어, 발명에 관한 아이디어, 생활에 대한 아이디어,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온라인 자료등을 선택하는 아이디어 메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방법.A remote gifted education method using an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n idea menu for selecting ideas about learning, ideas about invention, ideas about life, and online materials for improving creative thinking.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용 웹 페이지의 컨텐츠는 만화적인 요소가 가미된 캐릭터와 다양한 부가정보 및 서비스 기능이 포함되며,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관련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방법.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web page provided to the learner includes a character with cartoon elements and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nd service functions, and remotely gifted students using an Internet network, which can access a related site through a hypertext link. Training metho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에서 학습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에서 영재아 판별을 선택하는 경우 판별신청과 판별기준 및 판별 예제의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web page including information on discrimination application, discrimination criteria, and an example of discrimination when the learner selects a gifted child from a menu provided through a web page; 문제은행을 통해 멀티미디어 및 HTML 파일로 영재아 판별문제를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problem for identifying gifted children through multimedia and HTML files through the question bank; 제공되는 판별문제의 해로부터 테스트되는 학습자의 지능 및 제반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영재아의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Analyzing the intelligence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sted from the solution of the provided discrimination problem to determine whether the criteria for the gifted child are satisfied; 설정된 영재아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영재아로 판단하여 해당 지능지수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방법.The remote gifted education meth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intelligent index if judged as a gifted child when the criteria of the set gifted children are satisfie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에서 학습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에서 교육관련 쇼핑몰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를 링크하는 하이퍼텍스트를 같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원격 영재교육방법.When the learner selects the education-related shopping mall from the menu provided through the web page, the remote gifted education meth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hypertext link to the corresponding site.
KR1020000049184A 2000-08-24 2000-08-24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KR200200160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84A KR20020016065A (en) 2000-08-24 2000-08-24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84A KR20020016065A (en) 2000-08-24 2000-08-24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65A true KR20020016065A (en) 2002-03-04

Family

ID=1968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184A KR20020016065A (en) 2000-08-24 2000-08-24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60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5B1 (en) * 2002-10-22 2004-01-07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Learning Method using Children's Creativity Program and record Media which record thereof
KR200453762Y1 (en) * 2010-12-17 2011-05-27 윤동웅 Button molds with slid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349A (en)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Electronic study management system used by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00023996A (en) * 2000-01-06 2000-05-06 이상현 Educating method using internet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000030680A (en) * 2000-03-11 2000-06-05 윤병원 a cyber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96A (en) * 2000-01-06 2000-05-06 이상현 Educating method using internet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000024349A (en)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Electronic study management system used by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00030680A (en) * 2000-03-11 2000-06-05 윤병원 a cyber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yber image reorientation opening of era"" the electronic newspaper" and 2000.6.20. / "사이버 영재교육 시대 개막", 전자신문, 2000.6.2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5B1 (en) * 2002-10-22 2004-01-07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Learning Method using Children's Creativity Program and record Media which record thereof
KR200453762Y1 (en) * 2010-12-17 2011-05-27 윤동웅 Button molds with sli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berry Increasing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fake news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s
CN104318817B (en) Interactive learning platform and method
Hentea et al. A perspective on fulfilling the expectations of distance education
US20190019428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tency-Based Learning
US200201926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teaching
Kabilan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A literature analysis of teacher competency
US20050277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Byrne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how novice instructors pivot to online assessments strategies
Alebrahim et al. Perceptions of student engagement in the flipped classroom: a case study
Economides et al. MOOC affordances model
KR100404432B1 (en) The cyber educa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man-to-man study over the internet
Xue et al.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eachers’ classroom technology integration: A multi-case study of teachers’ uses of mobile social media at universities in China
Lee et al. The application of Kano's model for improving web-based learning performance
KR20010103243A (en) Realtime system for providing live images related to on-line lecturings and method thereof
Beach et al. Canadian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KR20020016065A (en) Method and system of cyber education for talented academy using internet network
Marshall et al. Knowledge management for school-based educators
Qu et al. A study on blended learning assessment methods for laboratory intensive courses teaching
KR20010113250A (en) Method for custonized education service using a internet
KR20160111677A (en) Apparatus for providing pre-experience le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pre-experience lecture
Olowa et al. Maintaining Academic Standard and Utilizing Online Teaching in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The Nigerian Perspective
Bettin et al. Applying systems design principles to the design of web-based training systems
Manitsaris et al. Design & Development of a Dynamic Hypermedia Educational System
Armstrong et al. 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ulturally Diverse Audiences
Otten et al. Instructional Leadership, Policy, and Institutions/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