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753A -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753A
KR20020015753A KR1020000048835A KR20000048835A KR20020015753A KR 20020015753 A KR20020015753 A KR 20020015753A KR 1020000048835 A KR1020000048835 A KR 1020000048835A KR 20000048835 A KR20000048835 A KR 20000048835A KR 20020015753 A KR20020015753 A KR 2002001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frequency
user
database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8453B1 (en
Inventor
김화조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4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453B1/en
Publication of KR2002001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7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4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posing a menu of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o recompose the sequence of a set menu tree according to a menu use frequency of a user to be easily accessed to a menu frequently used by the user. CONSTITUTION: The number of use frequency to a menu is calculated when a user uses a specific menu(32). The number of counted use frequency of the specific menu is stored again in a database(33). If the number of use frequency is recorded in the database, the menu is rearrang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use frequency(34).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and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메인 메뉴, 서브 메뉴, 터미널 메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기기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a menu of a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frequently used by a user, among menus of a device mainly composed of a main menu, a submenu, and a terminal menu. It's about how to automatically reconfigure the menu to make it accessible.

종래에 있어서, 휴대폰 또는 간이 교환 장치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는 사용자 메뉴를 정해진 방식에 따라 미리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고, 사용자는 메뉴 진입 키를 누른 후, 상기 정해진 메뉴 트리를 통해 원하는 메뉴를몇번의 키 입력을 통해 진입할 수 있었다.In the related art, a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imple switching device, stores a user menu in a memor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in advance, and a user presses a menu entry key and then selects a desired menu through the determined menu tree. You could enter it via a few keystrokes.

간이 교환 장치의 예를 들어,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는 시스템의 지원 성격별로 크게 나눈 메뉴인 메인 메뉴, 상기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로서 메인 메뉴를 기능별로 나눈 메뉴인 서브 메뉴, 상기 서브 메뉴의 하위 메뉴로서 서브 메뉴의 각 특성들의 세부 항목에 해당하는 터미널 메뉴로 나누어진다.As an example of a simple switching device, a menu of a device providing a conventional user interface includes a main menu, which is a menu divided largely by the support characteristics of a system, a sub-menu, which is a menu divided by a main menu, as a sub-menu of the main menu, As a sub menu of the sub menu, the sub menu is divided into terminal menu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of each characteristic of the sub menu.

도 1은 종래의 간이 교환 장치의 메뉴의 구성도와 이동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moving method of a menu of a conventional simplified exchange device.

간이 교환 장치의 경우 상위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키와 메뉴의 상하단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키,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이동키로 메뉴를 이동하는 수단이 이루어져 있다.In the case of a simple switching device, a moving key for moving to an upper menu, a moving key for moving up and down a menu, and a moving key for selecting a specific menu are provid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특정한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하단 이동키를 이용하여 메인 메뉴상의 특정 메뉴로 이동하여야 하고, 메인 메뉴에서 서브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특정 메뉴 선택키(일반적으로 번호키가 된다)를 이용하여 이동하여야 하고 서브 메뉴에서 다시 메인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위 메뉴 이동키를 이용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서브 메뉴에서 터미널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도 전술한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사이의 이동과 같은 방법을 취하여야 하고, 메인 메뉴와 터미널 메뉴사이의 이동시에는 반드시 서브 메뉴를 경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move from a main menu to a specific menu, the user must move to a specific menu on the main menu by using the up and down navigation keys, and in order to move from the main menu to a sub menu, a specific menu selection key (usually a number key). ), And to move from the sub menu to the main menu again, use the upper menu navigation key.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from the sub menu to the terminal menu, the same method as the above-described movement between the main menu and the sub menu is required, and when moving between the main menu and the terminal menu, it is inconvenient to pass through the sub menu.

도 2는 종래의 간이 교환 장치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메뉴 이동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키를 입력하게 되면 그러한 키 입력이 메뉴상에서 어떠한 이동을 지시하는 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21). 분석이 끝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뉴상의 특정 메뉴(22)로 이동하거나, 상위 메뉴(23) 또는 각 메뉴상의 상위 또는 하위에 존재하는 메뉴(23)로 이동한다.FIG. 2 is a flowchart of menu movement of a user's key input in a conventional simple switching device. As shown in FIG. 2,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key in a menu mode, the key input is changed on the menu. An analysis is made as to whether to instruct movement (21). After the analysi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2, the user moves to a specific menu 22 on each menu, or moves to a higher menu 23 or a menu 23 existing above or below each menu.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메뉴 구성방식은 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메뉴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메뉴 트리를 작성하고 사용자가 이를 익혀서 사용하게 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뉴인 경우에도 정해진 메뉴 트리에 의해 키를 눌러서 선택하도록 함으로서 많은 시간이 들게 되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메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그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The conventional menu configur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consider a menu frequently used by a user, but unilaterally creates a menu tree and allows the user to learn and use it. Even if the user uses the menu most frequently, it takes a lot of time by selecting the key by pressing the menu tree. In general,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menu even though there are many commonly used menus. Didn't exist.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대해서는 그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해진 메뉴 트리의 순서를 사용자의 메뉴 사용 회수에 따라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or a menu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the order of the predetermined tree tree so that the menu can be easily acces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menu I would like to propose.

도 1은 종래의 간이 교환 장치의 메뉴의 구성도와 이동방법을 도시한 것,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moving method of a menu of a conventional simplified exchange device;

도 2는 종래의 간이 교환 장치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메뉴 이동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menu movement for a user's key input in a conventional simplified exchange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menu re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모듈별로 도시한 것.Figure 4 show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dule by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사용할 때 마다 각 메뉴별로 사용 빈도수를 카운팅하는 단계(a); 상기 카운팅한 빈도수를 각 메뉴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메뉴별 빈도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를 재정렬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nu reconfiguration method of the devic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nts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menu whenever a user using the devic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uses a particular menu. Step (a); (B) storing the counted frequency in a database for each menu; And (c) rearranging menus of the devic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based on frequency data for each menu stored in the databas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nu reconfiguration method of the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re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가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 기기의 키를 입력하게 되면, 키 입력에 대해 메뉴를 어떻게 이동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31). 이는 사용자가 특정한 키를 입력하였을 때, 그 키가 상위 메뉴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키인지 메뉴 상단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키인지 등을 인식하는 것이다. 메뉴 이동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해당되는 곳으로 메뉴 이동이 있게 된다.First, when a user inputs a key of a device to use a menu, an analysis is performed on how to move the menu with respect to the key input (31).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key, the user recognizes whether the key is a key for moving to the upper menu or a key for moving to the upper menu. After the analysis of the menu moves, the menu moves to the corresponding place.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사용할 때 마다 그 메뉴에 대해서 사용 빈도수를 계산한다(3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의 빈도수를 체크하기 위하여 각 메뉴별로 사용 빈도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도록 한다. 빈도 수를 계산하는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메뉴의 빈도수를 알아내고, 상기 알아낸 빈도수에 하나를 더 카운팅하는 방식으로 빈도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빈도수가 카운팅 되는 메뉴는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메뉴이다. 간이 교환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터미널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를 거치게 되나, 터미널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 거치게 되는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는 단지 경유하기 위한 메뉴에 불과하므로 카운팅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카운팅된 특정 메뉴의 빈도수는 다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33).Each time a user uses a particular menu, the frequency of use is calculated for that menu (3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eck the frequency of the menu, a database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menu is configured. In one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frequency, when the user uses a specific menu,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found from the database, and the frequency is counted by counting one more to the found freque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counting menu is a menu that the user finally uses. As an example of a simple switching device, a user goes through a main menu and a sub menu to use a terminal menu, but the main menu and a sub menu that are passed through to use a terminal menu are merely menus for passing through. It is not a target. The frequency of the counted particular menu is again stored in the database (33).

사용자가 기기를 여러번 사용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여러번 반복이 되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와 그렇지 않은 메뉴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이 되게 된다. 이러한 정도로 데이터 베이스에 메뉴 사용 빈도수가 기록이 되면, 상기 빈도수에 근거하여 메뉴를 재정렬한다(34). 메뉴를 재정렬하는 일 실시예는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메뉴를 메뉴 표시 화면의 최 상단에 위치 시키고 이하 사용 빈도수가 많은 메뉴별로 차례대로 메뉴 상단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메뉴를 재정렬하는 것이다. 사용 빈도수 별로 차례대로 메뉴를 위치시키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메뉴에 대해 소팅 작업을 하게 된다.If the user repeats the above process several times while using the device several times, data is recorded in the database to distinguish the menus frequently used and the menus that are not frequently used by the user. When the frequency of menu use is recorded in the database to this extent, the menu is rearranged based on the frequency (34). One embodiment of rearranging the menus is to rearrange the menus by placing the menu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t the top of the menu display screen and by placing the menus at the top of the menus in turn for each menu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order to position the menus in order by frequency of use, all menus stored in the database are sorted.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메뉴 이동 분석부(41), 메뉴 이동 빈도수 계산부(42), 메뉴 이동 빈도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43), 빈도수에 따른 메뉴 재정렬 연산부(4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nu movement analyzer 41, a menu movement frequency calculator 42, a database 43 for menu movement frequency, and a menu rearrangement operation unit 44 according to the frequency. Is done.

메뉴 이동 분석부(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이 메뉴상에서 어떠한 명령을 의미하는 지 분석하는 부이다. 기기의 기억장치에는 각 메뉴에 대한 키입력 사항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해당 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 정해진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enu movement analyzer 41 analyzes which command the user's key input means on the menu. In the memory of the device, key inputs for each menu are stored in advance, and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key input, the user moves to a predetermined menu.

메뉴 이동 빈도수 데이터 베이스(43)는 각 메뉴의 사용 빈도수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독립된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 빈도수의 증가를 일관성있게 저장하기 위해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nu movement frequency database 43 is a place for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and may use a memory built in the device, or may use an independent memory. It is desirable to use non-volatile memory to consistently store the increase in frequency.

메뉴 빈도수 계산부(42)는 일반적인 카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메뉴 사용시 사용한 메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불러와서 현재 저장되 있는 빈도수에 하나를 더하는 방식으로 카운팅을 한다. 카운터는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디지털 카운터를 써서 카운팅을 할 수도 있다. 카운팅된 데이터는 다시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다.The menu frequency calculator 42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counter.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menu used when using the user's menu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and counted by adding one to the currently stored frequency. The counter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by a program, or can be counted using a general digital counter. The counted data is again stored in the database 23.

메뉴 재정렬 연산부(44)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빈도수를 기준으로 메뉴를 재정렬하는 모듈이다. 빈도수가 높은 메뉴를 상위부터 위치시키기 위해 메뉴 재정렬 연산 모듈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메뉴를 빈도수에 따라 소팅을 한다. 소팅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menu rearrangement calculator 44 is a module for rearranging the menu based on the frequency stored in the database. The menu reordering module sorts the menu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 order to position the high frequency menus from the top. Sorting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based 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자주 사용하는 메뉴순으로 메뉴를 재정렬하는 방식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여러번의 키입력을 거치지 않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뉴가 사용의 빈도수에 따라 계속 재정렬이 되므로 현재 사용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메뉴 배치에 바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a menu of a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s that are frequently used are not subjected to multiple key inputs by rearranging the menus in order of frequently used men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without. In addition, since the menu is continuously rearr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nu most frequently used by the current user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menu layout.

Claims (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사용할 때 마다 각 메뉴별로 사용 빈도수를 카운팅하는 단계(a);Counting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menu whenever a user using a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es a particular menu; 상기 카운팅한 빈도수를 각 메뉴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B) storing the counted frequency in a database for each menu;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메뉴별 빈도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를 재정렬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And (c) rearranging menus of the devic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based on frequency data for each menu stored in the datab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c)의 메뉴를 재정렬하는 방식은 빈도수가 많은 메뉴순으로 상위부터 정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The method of rearranging the menu of the step (c) is to reorganize the menu of the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sorting from the top in the order of the frequency of the menu.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는 간이 교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is a simple switching device. 사용자의 키 입력이 메뉴상에서 어떠한 명령을 의미하는 지 분석하는 메뉴 이동 분석부;A menu movement analyzer for analyzing what command a user's key input refers to on a menu; 각 메뉴의 사용 빈도수를 저장하는 메뉴 이용 빈도수 데이터 베이스;A menu frequency database for storing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사용자가 메뉴를 이용할 때 마다 메뉴의 이용 횟수를 하나씩 더하는 메뉴 빈도수 계산부;A menu frequency calculator for adding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menu each time the user uses the menu; 상기 메뉴 이용 빈도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빈도수를 기준으로 메뉴를 재정렬하는 메뉴 재정렬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메뉴 재구성 장치.And a menu rearrangement calculator for rearranging the menus based on the frequencies stored in the menu frequency database.
KR10-2000-0048835A 2000-08-23 2000-08-23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KR100368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835A KR100368453B1 (en) 2000-08-23 2000-08-23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835A KR100368453B1 (en) 2000-08-23 2000-08-23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753A true KR20020015753A (en) 2002-03-02
KR100368453B1 KR100368453B1 (en) 2003-01-24

Family

ID=1968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835A KR100368453B1 (en) 2000-08-23 2000-08-23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453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99A (en) * 2002-03-08 2003-09-19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zed Menu in Wireless Internet
KR20030091381A (en) * 2002-05-27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option auto change
KR100437086B1 (en)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enu drivei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1208B1 (en) * 2002-10-08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pad ligh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55146B1 (en) * 2002-04-1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nu selection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70089410A (en)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Method for replacing menu in electronic apparatus
US9032330B2 (en) 2008-10-14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WO2018131782A1 (en) * 2017-01-13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741799A (en) * 2018-12-14 2019-05-10 平安万家医疗投资管理有限责任公司 Menu sequencing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he server for management system of holding a consultation
KR20210123991A (en) * 2020-04-05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A digital signage system for sch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79A (en) * 2006-02-03 2007-08-08 엘지엔시스(주) Banking transaction system displaying transaction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86B1 (en)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enu drivei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73199A (en) * 2002-03-08 2003-09-19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zed Menu in Wireless Internet
KR100455146B1 (en) * 2002-04-19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nu selection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30091381A (en) * 2002-05-27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option auto change
KR100451208B1 (en) * 2002-10-08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pad ligh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89410A (en)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Method for replacing menu in electronic apparatus
US9032330B2 (en) 2008-10-14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WO2018131782A1 (en) * 2017-01-13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45957B2 (en) 2017-01-13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69495B2 (en) 2017-01-13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741799A (en) * 2018-12-14 2019-05-10 平安万家医疗投资管理有限责任公司 Menu sequencing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he server for management system of holding a consultation
KR20210123991A (en) * 2020-04-05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A digital signage system for sch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453B1 (en)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34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daptive menu structrure in portable radio terminal
US5386460A (en) Feature configurable telephone terminal
KR100368453B1 (en) Method for Rearranging Menu for Device Which Provides User Interface
US6091416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and generating a multitool icon
CN106126019A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image target display packing and mobile terminal
WO20171288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stomizing keyboard layout
EP1770482A1 (en) Apparatus with multiple highlights
US200801072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peed dial
US5487104A (en) Arrangement for displaying menu screens on a telephone terminal
US7322012B2 (en) Display program,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8595072A (en) Multi-screen display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5830776A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parts based on shared storage cabinet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0115318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7050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ind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093234A (en) A selecting method and a device of additional service menu dynamic rearrange for mobile phone
KR100272009B1 (en) Wireless handset and its method for improved memory dialing
KR100617701B1 (en) Method for composing menu in mobile phone
KR100656630B1 (en) Mobile phone of menu moving algorithm
KR100620006B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displaying service menu for mobile phone
KR101034112B1 (en) Mobile terminal and data search and data alignment method
JPH10187669A (en) Tool bar display system
KR100681181B1 (en) Method for Searching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Phone Number Is Saved
JP2004145525A (en) Method for setting function or operation of electrical appliance
KR20070038765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ime based oper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its method
KR20030021776A (en)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