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578A -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578A
KR20020015578A KR1020000048719A KR20000048719A KR20020015578A KR 20020015578 A KR20020015578 A KR 20020015578A KR 1020000048719 A KR1020000048719 A KR 1020000048719A KR 20000048719 A KR20000048719 A KR 20000048719A KR 20020015578 A KR20020015578 A KR 2002001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udio
digital audio
music file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3401B1 (en
Inventor
허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01B1/en
Publication of KR2002001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Abstract

PURPOSE: An equalizing device of sound volume in an MP3(Moving Picture Expert Group Audio Layer-3) player is provided to change the playing audio output into the desired proper volume for a user by calculating the average sound volume of an MP3 music file. CONSTITUTION: A sound volume equalizer in an MP3 player consists of a buffer(11) delaying and outputting an MP3 music file by temporarily saving the music file read out of a flash memory; a CODEC(Coder-Decoder,12) decoding the MP3 music file into playing audio data; a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3) converting the decoded playing audio data into analog audio signals; a sound volume level detector(14) detecting the sound volume level of the temporarily-saved MP3 music file in the buffer; and a sound volume level control unit(15) equalizing the sound volume of the playing audio data by controlling the decoding of the CODEC. The sound volume equalizer checks scale factor data included in the MP3 music file read out of the flash memory and calculates the average sound volume of the playing audio data. Thereby, the playing data are equalized into the desired proper sound volume of a user.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엠피쓰리(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여, 재생 오디오 출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적정 음량으로 가변시키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leveling device and a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of a digital audio music file such as MP3 (MP3), and selecting a desired amount of playback audio output. A volume leveling device and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자동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오디오 테이프(1)에 기록 저장된 신호를 독출하는 오디오 헤드(2); 상기 오디오 헤드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재생 오디오신호로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3); 상기 신호 처리된 재생 오디오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오디오 증폭부(4);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재생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오디오 증폭부(4)의 이득을 가변 조절하는 레벨 검출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레벨 검출부(5)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음량 자동조절 키의 온/오프(On/Off)에 따라, 상기 오디오 증폭부(4)의 이득을 가변 조절하는 음량 자동조절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된다.First, 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in a general analog audio device, comprising: an audio head 2 for reading out a signal stored in an audio tape 1; An audio signal processor (3) which processes the signal read out from the audio head into a reproduced audio signal; An audio amplifier 4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ignal-processed reproduction audio signal; And a level detector (5)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signal-processed reproduction audio signal and variably adjusting the gain of the audio amplifier (4), wherein the level detector (5) i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input volume automatic adjustment key, the volume automatic adjustment operation for variably adjusting the gain of the audio amplifier 4 is selectively performed.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테이프(1)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들이, 서로 다른 크기의 음량으로 각각 기록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레벨 검출부(5)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3)에 의해 신호 처리된 재생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디오 레벨(Ref. Audio Level)의 범위를 벗어나는 지를 비교 판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audio tunes recorded and stored on the audio tape 1 are recorded and stored at different volumes, respectively, the level detection section 5 processes the signal by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3. The level of the reproduced audio signal is detected, and a comparison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a range of a preset reference audio level.

상기 판별결과, 검출된 재생 오디오신호의 레벨이, 기준 오디오 레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증폭부(4)의 이득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재생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적정 크기의 음량으로 자동 조절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detected level of the reproduced audio signal is out of the range of the reference audio level, the gain of the audio amplifier 4 is variably adjust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the reproduced output audio signal to a proper volume. Will be adjus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자동조절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3)에 의해 신호 처리된 재생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디오 레벨과의 비교 판별을 통해, 오디오 증폭부의 이득을 가변 조절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재생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량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음량 크기로 가변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디오 레벨을 재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in the above-described general analog audio device detects the level of the reproduced audio signal signaled by the audio signal processor 3 and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audio level. Since the gain of the audio amplifier is variably adjusted, in order to variably adjust the volume level of the finally reproduced and output audio signal to an arbitrary volume level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a preset reference audio level must be reset. do.

한편,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앰피 쓰리(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하거나, 또는 독출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는, 고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개인용 컴퓨터(PC) 등과 같은 연결기기를 통해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아 기록 저장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 저장되는 다수의 음악 파일들은, 해당 음악 파일을 제작하는 과정, 또는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과정에서 서로다른 크기의 음량을 갖는 음악 파일로 각각 기록 저장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로 음량 크기로 평준화시켜 재생 출력시킬 수 있는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digital audio apparatuses that record or store digital audio music files such as MP3 (MP3), which have been widely spread in recent years,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flash memory, or read and play back, high quality digital audio music files can be stored in a personal computer ( It is possible to easily download and record through a connected device such as a PC), wherein a plurality of music files recorded in the flash memor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orresponding music file or storing the data in the memory. Since each can be recorded and stored as a music file having a volume of the siz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olution that can be reproduced and output to the user's desired volume level arbitrari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앰피 쓰리(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하거나, 또는 독출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여, 재생 오디오 출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적정 음량으로 가변시키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ircumstances, and has been found in a digital audio device that records, stores, or reads and reproduces digital audio music files such as MP3 (MP3)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leveling device and a method in a digital audio apparatus for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of a digital audio music file and varying the playback audio output to any appropriate volume desired by the user.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in a general analog audio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volume leveling device in a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앰피 쓰리(MP3)의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3 shows a data format for an audio frame of an ampi three (MP3),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4A and 4B illustrate an operation flowchart of a volume leveling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평균값이 부가정보로 기록 저장되는 기록영역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5 and 6 show recording areas in which the volum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and stored as additional information,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오디오 테이프 2 : 오디오 헤드1: audio tape 2: audio head

3 : 오디오 신호처리부 4 : 오디오 증폭부3: audio signal processor 4: audio amplifier

5 : 레벨 검출부 11 : 버퍼5 level detection unit 11 buffer

12 : 코덱(Codec) 13 : D/A 변환기12: Codec 13: D / A Converter

14 : 음량 레벨 검출부 15 : 음량 레벨 제어부14: volume level detector 15: volume level control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는,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임시 저장하여 지연 출력시키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지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복원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임시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 및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원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크기를 가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lume leveling apparatus of a digital audio device,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and delaying digital audio music files read from a recording medium; Restoring means for decoding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delayed output from the storage means and restoring the original audio data;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restoring means based on the calculated volume mean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포함 기록된 음량 레벨 정보를 검출하는 1단계; 상기 검출된 음량 레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2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오디오 재생 출력의 세기를 가변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volume leveling method in the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volume leve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based on the detected volume level information; And three steps of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based on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은, 디코딩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1단계; 상기 출력되는 음악에 대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출력 세기를 검출하는 2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세기의 비(比)에 근거하여, 이후 출력되는 오디오 음악의 평균값에 따라, 그 출력 세시를 가변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volume leveling method in the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to be decoded and output; Detecting an output strength arbitrarily set by a user with respect to the output music; And three steps of varying the output time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audio music to be subsequently output based on the ratio of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and the output intensity set by the us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입력수단을 통해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되는 음악 데이터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2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을 부가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ume leveling method in the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digital audio music file through the input means;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of the received music data; And recording and storing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as additiona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olume leveling device and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앰피 쓰리(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하거나, 또는 독출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는, 플래시(Flash)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임시 저장하여 지연 출력시키는 버퍼(11); 상기 버퍼(11)로부터 지연 출력되는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재생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코덱(Codec: Coder-Decoder)(12); 상기 디코딩된 재생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D/A 변환기(13); 상기 버퍼(11)에 임시 저장된 오디오 음악 파일의 음량 레벨을 검출하는 음량 레벨 검출부(14); 및 상기 검출된 음량 레벨과 사용자가 지정한 음량 조절 값에 따라, 상기 코덱(12)의 디코딩 동작을 제어하여, 재생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크기를 평준화시키는 음량 레벨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volume leveling device in a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recording and storing a digital audio music file such as an MP3 (MP3)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A volume leveling device in a digital audio device for reading or reproducing includes: a buffer 11 for temporarily storing and delaying audio music files read from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A codec (Codec-Decoder) 12 for decoding the audio music file delayed output from the buffer 11 into reproduction audio data; A D / A converter 13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decoded reproduction audio data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 volume level detector (14) for detecting a volume level of the audio music fil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11); And a volume level control unit 15 for controlling the decoding operation of the codec 12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volume level and a volume control value designated by the user to equalize the volume level of the reproduced audio data.

한편,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 즉 시간적 연속성을 갖고 독출 재생되는 오디오 곡(曲)을 구성하는 각각의 오디오 프레임(Frame)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Header)정보가 기록되는 필드, 에러체크(CRC: Cyclic Redundancy Checking)정보가 선택적으로 기록되는 필드, 그리고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가 기록되는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 기록필드에는, 비트할당(Bit Allot)정보, 스케일 팩터(Scale Factor)정보 및 샘플 오디오 데이터가 구분 기록되는 것으로, 상기 스케일 팩터 정보는, 엔코딩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원래대로 복원시키기 위한 음량 레벨 정보로서 기록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in each audio frame constituting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i.e., an audio song read and reproduced with temporal continuity, as shown in FIG. 3, a field in which header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field in which error checking (CRC: Cyclic Redundancy Checking) information is selectively recorded, and a field in which real-time audio data (Audio Data) is recorded, wherein the real-time audio data recording field includes a bit allocation (Bit Allot). ) Information, scale factor information, and sample audio data are separately recorded, and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is used to restore the volume of audio data to its original value when decoding encoded audio data into original audio data. Is recorded and stored as volume level information.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를 검출 확인하여, 재생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한 후, 오디오 재생 출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적정 음량으로 평준화시키는 음량 평준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음량 평준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volume leveling device in the digital audio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and confirms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read out from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and determines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reproduced audio song. After the calculation, a volume leveling operation for leveling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to an arbitrary appropriate volume desired by the user is performed. The volume level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S10), 상기 버퍼(11)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첫 번째 오디오 파일 즉, 첫 번째 오디오 곡을 지연 출력시키기 위하여, 임시 저장하는 버퍼링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S11), 상기 음량 레벨 검출부(14)에서는, 상기 버퍼(11)에 임시 저장되는 첫 번째 오디오 곡 데이터를 독출하여, 각각의 오디오 프레임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를 검출 확인하게 되는 데, 상기 스케일 팩터 정보는,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디오 프레임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원래의 음량으로 복원하기 위해 기록된 음량 레벨 정보이므로, 상기 음량 레벨 검출부(14)에서는, 이를 누적 합산하여 오디오 곡에 대한 각 채널별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S12).First, FIGS. 4A and 4B illustrate an operation flowchart of a volume leveling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mode for a digital audio music file is set at the user's request, FIG. In operation S10, the buffer 11 starts a buffering opera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first audio file, that is, the first audio song, that is read from the flash memory (S11). The volume level detector 14 ) Reads out the first audio song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11, and detects and confirms scale factor information recorded in each audio frame. For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refer to FIG. As described above, the recorded volume for restoring the volume of the audio data recorded in each audio frame to the original volume As the level information, the volume level detector 14 accumulates and accumulates the volume average value of each channel for the audio song (S12).

한편, 상기 음량 레벨 제어부(15)에서는, 각 채널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오디오 곡 전체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고(S13), 이후 상기 버퍼(11)에서의버퍼링 종료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코덱(12)에서의 디코딩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 level control unit 15 calculates the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entire audio song by summing the average values for each channel (S13), and then outputs the audio data as the buffering ends in the buffer 11. The decoding operation in the codec 12 which restores the original audio data is controlled.

즉, 상기 오디오 곡 전체에 대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코덱(12)에서 디코딩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는 음량 레벨 평준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4).That is, the volume level leveling opera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data decoded and output by the codec 12 is changed based on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entire audio song (S14).

이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독출 재생되는 첫 번째 오디오 곡은, 소정시간 동안 지연 출력됨과 아울러, 재생 오디오 출력이 소정 크기의 음량으로 평준화되는 데, 이때 상기 버퍼(11)에서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독출 재생되는 두 번째 오디오 곡을 지연 출력시키기 위하여, 임시 저장하는 버퍼링 동작을 다시 시작하게 되고(S15), 상기 음량 레벨 검출부(14)에서는, 상기 버퍼(11)에 임시 저장되는 두 번째 오디오 곡 데이터를 독출하여, 각각의 오디오 프레임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를 검출 확인한 후, 이를 누적 합산하여 오디오 곡에 대한 각 채널별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S16).Accordingly, the first audio song read out from the flash memory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reproduced audio output is leveled to a predetermined volume level. In this case, the buffer 11 reads from the flash memory. In order to delay the output of the second audio song to be reproduced, the buffering opera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s restarted (S15), and the volume level detector 14 receives the second audio song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11. After reading and detecting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recorded in each audio frame, the cumulative sum is calculated to calculate a volume average value of each channel for the audio song (S16).

그리고, 상기 음량 레벨 제어부(15)에서는, 각 채널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두 번째 오디오 곡 전체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는 데(S17), 이때 재생 출력되고 있는 첫 번째 오디오 곡의 음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가변 조절하였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S18).In addition, the volume level control unit 15 calculates a volume average value of the entire second audio song by summing the average values for each channel (S17). In this case, the user controls the volume of the first audio song that is being reproduced and output. It is confirmed whether the variable is arbitrarily adjusted (S18).

즉, 사용자가 첫 번째 오디오 곡이 재생 출력되는 동안 오디오 볼륨(Volume) 키를 가변 조절하였는 지를 확인하게 되는 데, 상기 오디오 볼륨 키가 가변 조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량 레벨 제어부(15)에서는, 이후 상기 버퍼(11)에서의 버퍼링 종료에 따라 출력되는 두 번째 오디오 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코덱(12)에서의 디코딩 동작을, 상기 두 번째 오디오 곡 전체에 대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제어하게 된다(S19).That is, the user may check whether the audio volume key is variably adjusted while the first audio song is reproduced and output. If the audio volume key is not variably adjusted, the volume level control unit 15 then determines that: The decoding operation in the codec 12 which restores the audio data of the second audio song output as the end of the buffering in the buffer 11 to the original audio data is based on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entire second audio song. The control is performed (S19).

한편, 상기 확인결과,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볼륨 키가 가변 조절된 경우, 상기 음량 레벨 제어부(15)에서는, 사용자가 가변 조절한 음량 조절값과, 첫 번째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비교 연산하여, 그 비율을 산출한 후(S20), 산출된 비율을 두 번째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에 승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 크기에 상응하는 상대적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게 된다(S21).On the other hand, when the audio volume key is variably adjus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volume level control unit 15 compares the volume control value variably adjusted by the user with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first audio song, and After calculating the ratio (S20), the calculated ratio is multiplied by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second audio song to calculate a relative volume aver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level desired by the user (S21).

이후, 상기 버퍼(11)에서의 버퍼링 종료에 따라 출력되는 두 번째 오디오 곡을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코덱(12)에서의 디코딩 동작을, 상대적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제어하게 된다(S22).Subsequently, the decoding operation in the codec 12 which restores the second audio song output as the end of the buffering in the buffer 11 to the original audio data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lative volume average value (S22).

즉, 두 번째 오디오 곡에 대해서는, 첫 번째 오디오 곡을 청취하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가변 조절한 음량 조절값이 반영 산출된 상대적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크기가 가변되도록 조절하게 되는 음량 레벨 평준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 이후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23).That is, for the second audio song, the volume level level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volume of the audio data is changed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volume average value reflecting the volume control value arbitrarily variable adjusted by the user while listening to the first audio song. Th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nd when the volume level leveling adjustment mode is released, the operation is terminated (S23).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로부터 독출 재생되는 오디오 곡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적정 음량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udio songs read out and reproduced from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are outputted by varying to an appropriate volume desired by the user.

참고로, 상기 버퍼(11)에서의 버퍼링 동작에 의해 지연 출력되는 첫 번째 오디오 곡의 재생 출력시점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첫 번째 오디오 곡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샘플링 과정을 통해 산출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order to shorten the playback output time of the first audio song delayed by the buffering operation in the buffer 11,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first audio song may be calculated through a sampling proces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재생동작 수행시 또는 기록동작 수행시 사전에 미리 산출하여 오디오 곡에 대한 부가정보로서 기록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이를 독출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audio song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alculated in advance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reproducing operation or the recording operation, and recorded and stored as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audio song, and the volume level is level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hen the adjustment mode is set, by using the readout, it is possible to make a faster volume level leveling adjustment operation, for example, as follows.

먼저, 재생동작 수행시 또는 기록동작 수행시 산출되는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오디오 곡을 구성하는 다수의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AAU: Audio Access Unit)의 후단,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실제 기록량이 비교적 적은 첫 번째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의 후단에 부가정보로서 기록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해당 오디오 곡의 첫 번째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를 탐색하여 그 후단에 부가정보로서 기록 저장된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독출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audio access units (AAU: Audio Access Units) constituting audio songs recorded and stored in a flash memory are used to calculate average volume values of audio songs calculated when a playback operation is performed or a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recording is stored a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audio access unit, for example, where the actual recording amount of audio data is relatively low. By searching for the audio access unit and reading out and using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recorded and recorded audio tunes as additional information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volume level leveling adjustment operation faster.

또한, 재생동작 수행시 또는 기록동작 수행시 산출되는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각각의 오디오 곡, 즉 각각의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부가정보로서 기록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해당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기록 저장된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독출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데, 이때 부가 기록되는 음량 평균값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통상적으로 부가 기록되는 또다른 부가정보, 예를 들어, 가수 이름, 또는 재생시간 등과 같은 부가정보들이 기록 저장되는 "TAG"라는 스트링(String)의 후단에 기록 저장된다.Also, as shown in FIG. 6,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audio song calculated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reproducing operation or performing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ovided a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rear end of each audio song recorded in the flash memory, that is, each audio music file. If the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reading out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recorded audio song at the rear end of the corresponding audio music fil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volume average value additionally recorded is " TAG " in which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singer's name or a playing time, is additionally recorded at the rear end of the audio music file. It is recorded and stored at the end of the string "."

따라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를 누적 합산하여, 해당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그 대신 해당 오디오 곡의 첫 번째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 후단 또는 해당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부가정보로서 추가 기록된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독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the step of accumulating and summing up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read out from the flash memory to calculate a volume averag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udio song is omitted. Instead, the volume average value of additionally recorded audio songs can be read out and used a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end of the first audio access unit of the corresponding audio song or at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audio music file, so that the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Will be.

한편, 음악파일을 기록하는 시점에서, 또는 플레이어가 동작하고 있지 않는 시간에 음량 평균값을 미리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플레이어의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한 후, 재생동작 수행시 이를 독출하여 참조함으로써,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이 보다 신속히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measuring the volume average value in advance at the time of recording the music file or at the time when the player is not operating, storing the measured value separately in the player's memory, and reading and referring to it when performing the playback operation, Volume level leveling adjustments can also be made more quickly.

그리고, 음악파일의 음량 평균값을 플레이어에서 구하지 않고, 다른 기기 예를들어, 음악파일 작성시에 미리 측정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보여준 방법으로 음악포맷에 넣어 플레이어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music file may not be obtained from the player, but may be measured in advance when the music file is created, for example, and provided to the player in the music format by the method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Replacement or addition would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 및 방법은, 앰피 쓰리(MP3)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하거나, 또는 독출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로부터 해당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여, 오디오 재생 출력을 적정 음량으로 평준화시키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임의로 가변 조절한 음량 조절값이 반영된 상대적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여, 오디오 재생 출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적정 음량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오디오 곡 재생동작 수행시 또는 기록동작 수행시, 오디오 곡의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여 해당 오디오 곡의 첫 번째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 후단 또는 해당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부가정보로서 추가 기록하고,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 수행시, 이를 독출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음량 레벨 평준화 조절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volume leveling device and method in the digital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n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 digital recording and storing or reading / playback of digital audio music files such as MP3 (MP3)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In the audio device,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udio song is calculated from the scale fact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and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is equalized to an appropriate volume, and the volume control valu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is reflect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volume average value, it is possible to vary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to any desired volume desired by the user. Also, when performing the audio song reproducing operation or recording operation, the volume average value of the audio song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corresponding audio song. After the first audio access unit in, or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a further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y additionally recording a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rear end of the corresponding audio music file and reading and using the volume level leveling control operation.

Claims (12)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포함 기록된 음량 레벨 정보를 검출하는 1단계;Detecting the volume leve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상기 검출된 음량 레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2단계; 및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based on the detected volume level information; And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오디오 재생 출력의 세기를 가변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nd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based on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단계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구성하는 각각의 오디오 프레임에 포함 기록된 스케일 팩터 정보를 검출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nd said step 1 detects scale factor information recorded in each audio frame constituting said digital audio music fi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3단계는,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해당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디코딩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재생 출력의 세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In step 3, the intensity of the audio reproduction output is varied by controlling a decoding operation of resto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to original audio data based on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Volume leveling method in digital audio equipment. 디코딩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1단계;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of the decoded digital audio music file; 상기 출력되는 음악에 대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출력 세기를 검출하는 2단계; 및Detecting an output strength arbitrarily set by a user with respect to the output music; And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세기의 비(比)에 근거하여, 이후 출력되는 오디오 음악의 평균값에 따라, 그 출력 세기를 가변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nd a three step of varying the output intensity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audio music to be subsequently output based on the ratio of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and the output intensity set by the user. Volume leveling method for audio equipment.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입력수단을 통해 수신하는 1단계;Receiving a digital audio music file through the input means; 상기 수신되는 음악 데이터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2단계; 및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of the received music data; And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을 부가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nd recording and storing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as additional information. 3.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록 저장된 부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오디오 재생출력의 세기를 가변시키는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nd varying intensities of audio reproduction outputs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based on the recorded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3단계는,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의 후단에 부가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In the step 3, the volume leveling method of the digital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of the volume as additional information at the rear end of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3단계는,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의 첫 번째 오디오 억세스 유니트의 후단에 부가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In the step 3, the volume leveling method of the digital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rding the additional volume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audio access unit of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as additional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3단계는,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저장부에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In the step 3, the volume leveling method of the digital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rding and storing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in the storage unit of the digital audio devic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디지털 오디오 음악파일의 제작시, 혹은 플레이어에서 수신전에 미리, 상기 2단계 및 3단계를 실행,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방법.A volume leveling method in a digital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s 2 and 3 are executed and recorded in advance in the production of a digital audio music file or before reception by a player.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임시 저장하여 지연 출력시키는 저장수단;Storage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and delaying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지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복원수단;Restoring means for decoding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delayed output from the storage means and restoring the original audio data; 상기 저장수단에 임시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음악 파일에 대한 음량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수단; 및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volume average value for the digital audio music fil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원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 크기를 가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restoring means based on the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산출된 음량 평균값과, 사용자가 임의로 가변 조절한 음량 조절값에 근거하여, 상기 복원수단에서의 디코딩 동작을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량 평준화 장치.And said control means variably controls the decoding operation in said restoring means on the basis of said calculated volume average value and a volume adjustment value arbitrarily adjusted by a user.
KR1020000048719A 2000-08-22 2000-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KR100713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19A KR100713401B1 (en) 2000-08-22 2000-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719A KR100713401B1 (en) 2000-08-22 2000-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578A true KR20020015578A (en) 2002-02-28
KR100713401B1 KR100713401B1 (en) 2007-05-03

Family

ID=1968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719A KR100713401B1 (en) 2000-08-22 2000-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40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37B1 (en) *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udio level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level in digital audio device
KR100724836B1 (en) *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level in digital audio device
WO2018132834A1 (en) * 2017-01-16 2018-07-19 Gibson Brands, Inc. Comparative balancing
KR20200075528A (en) * 2018-12-18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263Y1 (en) * 1995-12-26 1999-07-15 윤종용 Volume control device of auto-mik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37B1 (en) *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udio level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level in digital audio device
KR100724836B1 (en) * 2003-08-25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level in digital audio device
US7418304B2 (en) 2003-08-25 2008-08-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output level of audio data to be reproduced
US7496418B2 (en) 2003-08-25 2009-02-24 Lg Electronics Inc. Audio level information recording/management method and audio output level adjustment method
WO2018132834A1 (en) * 2017-01-16 2018-07-19 Gibson Brands, Inc. Comparative balancing
KR20200075528A (en) * 2018-12-18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sound level of audio content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401B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level in digital audio device
US7496418B2 (en) Audio level information recording/management method and audio output level adjustment method
JP2008076776A (en)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program
KR100924731B1 (en) Playback device,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readable playback program
KR1007134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aging an audio output level in a digital audio device
US6759585B2 (en) Musical-file-processing apparatus, musical-file-processing method and musical-file-processing method program
JP2003243952A (en) Digital audio system, auto volume control factor generating method, auto volume control method, auto volume control factor generating program, auto volume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auto volume control factor genera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auto volume control program
KR20060026557A (en) Auto volume controller of digital audio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2109824A (en) Method for recording digital audio signal and its device
US7801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rding levels
KR101085567B1 (en) Device for auto controll an gain of sound source
JP2008079047A (en) Data reproducing device, data reproduction method and data reproduction program
JP2008310852A (en) Audio reproducing device
US8185223B2 (en) Multimedia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100989A (en) Automatic control method for audio ouput level
KR20040026264A (en) System for controlling volume of music file and method thereof
JP2004014083A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musical sound characteristic in digital musical sound data reproducing device
KR100422702B1 (en) Method and apparatus controlling audio output auto in an optical disk writer/reader
KR20080016033A (en) Method for selectively reproducing digital audio
JP2002100120A (en) Intermusic control method of music data, information processor and intermusic control program of music data
JP2011209412A (en) Compressing device, compressing metho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JP2009020922A (en) Reproducing device,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KR20050018427A (en) volume stabilizing devices of digital audio players
JPH09237466A (en) Musical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JP2000250569A (en) Compressed audio signal correcting device and compressed audio signal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