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419A -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419A
KR20020012419A KR1020000045700A KR20000045700A KR20020012419A KR 20020012419 A KR20020012419 A KR 20020012419A KR 1020000045700 A KR1020000045700 A KR 1020000045700A KR 20000045700 A KR20000045700 A KR 20000045700A KR 20020012419 A KR20020012419 A KR 2002001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image
fetus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영
문성철
김남국
Original Assignee
정대영
문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영, 문성철 filed Critical 정대영
Priority to KR102000004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2419A/ko
Publication of KR2002001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및 기타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종교, 인종, 직업, 나이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사항과 최종적으로 얻어질 태아의 형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구체적으로 돕기 위해 조건별로 제작되어 미리 구축된 샘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a); 인체에 침습하지 않는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b); 상기 획득한 3차원 볼륨 데이터를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로 전송하고 화질을 보상하는 전처리 단계(c); 상기 전처리 단계(c)를 거친 데이터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변환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d); 상기 단계(a)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요구 사항을 고려해 태아의 영상 데이터를 미적으로 처리하는 단계(e); 상기 단계(e)에서 처리한 영상 정보 데이터를 여러 종류로 출력하는 단계(f);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물을 배송하거나 전송하는 단계(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하면 실제의 태아 영상을 바탕으로 기존의 거부감을 줄 수 있는 태아의 영상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파악하여 제작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의 제공이 가능하며, 산모의 태교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태아 모습의 촬영, 데이터 변환, 배송에 이르는 보다 전문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태아의 영상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Making and Providing Decorated Image and Form of Fetus}
본 발명은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상기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다양한 배경화면, 색채, 질감 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생활 수준의 향상 및 태아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태아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요즘에는 태아의 모습을 촬영하는 초음파 진단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태아용 청진기 또는 태아의 응답을 듣고 태아에게 신호를 보내는 장치 등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한 태교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전문 교육기관과사이트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태아에 대한 일반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태아의 실제 모습을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초음파를 이용한 영상 진단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러한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는 태아의 2차원 단면 영상을 보여주어, 현실감 있는 태아의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고, 최근에는 3차원으로 태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는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가 개발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진단 장비는 3차원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3차원 영상을 얻는 방법과, 기존의 2차원 프로브를 이용하여 얻은 연속된 단면영상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층(積層)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3차원 영상 진단 장비는 표면 렌더링(surface rendering) 또는 볼륨 렌더링(volume rendering) 기법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부여한 영상으로 재구성하는데, 일반적으로 흑백 영상에서 명암의 차이를 부여하거나, 방향성을 갖는 빛을 비추는 시각효과를 통하여 입체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3차원 영상물은 대개 노이즈 제거와 불규칙한 면의 평활화 작업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 및 장치로 얻어진 3차원적인 태아의 영상은 의학적인 진단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산모나 그 가족들에게 영상의 수준이 해부학적 절단면으로 보여 정확한 위치나 모양을 분별할 수 없고 그리고 마치 미이라의 사진을 보는 것과 같은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비를 통한 태아 모습의 촬영은 병원에서 의사들이 이용하는 진단과정의 일부로 시행되고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태아의 모습을 초음파로 촬영하는 것이 의학적인 진단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산모와 가족들이 일반적으로 갖는 태아의 모습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고자 할 때는 기존의 초음파 영상 진단 방법에서 얻을 수 있는 영상과는 다르게 좀 더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영상이 필요하며, 산모의 태교를 위한 정신적 안정과 태아와의 정서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도 현실감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미적(美的) 처리를 한 영상물과 조형물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보다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 및 기타 장소에서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3차원 영상을 채득하고, 이에 태아 형상에 대한 색조, 모양, 질감, 밝기, 크기에 대한 선호도와, 태아 형상의 배경과 영상물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대한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시각적 인지성을 증진하는 후처리를 통해 산모나 가족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새로운 가족구성원이 될 태아에 관련된 중요한 기념물로 작용할 수 있는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미적(美的)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종교, 인종,직업, 나이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사항과 최종적으로 얻어질 태아의 형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구체적으로 돕기 위해 조건별로 제작되어 미리 구축된 샘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a); 인체에 침습하지 않는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b); 상기 획득한 3차원 볼륨 데이터를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로 전송하고 화질을 보상하는 전처리 단계(c); 상기 전처리 단계(c)를 거친 데이터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변환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d); 상기 단계(a)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요구 사항을 고려해 태아의 영상 데이터를 미적으로 처리하는 단계(e); 상기 단계(e)에서 처리한 영상 정보 데이터를 여러 종류로 출력하는 단계(f);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물을 배송하거나 전송하는 단계(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을 제작·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시각적으로 친근하고 거부감이 없을 뿐 만 아니라, 산모와 가족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산모와 가족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우선 태아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한다(11). 이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태아의 영상이 어떤 방식으로 제작되기를 원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용자의선호도를 파악할 때는 먼저 사용자의 종교, 인종, 직업, 나이 등의 전체적 배경을 고려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형상의 색조, 모양, 질감, 밝기, 크기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고, 태아 형상의 배경과 영상물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종교적인 분위기, 환상적인 분위기, 사실적인 분위기, 사랑스러운 분위기 외에 여러 가지 배경과 분위기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한다. 그 다음, 최종적으로 얻어질 영상물의 출력 양태, 즉 다양한 크기를 가진 3차원 사진이나 2차원 사진을 원하는 지, 인화지 외에 섬유, 돌,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여러 가지 형상의 물체 위에 출력된 것을 원하는지, 정지영상이나 3차원 동영상을 웹(Web)에서 파일 형태로 받거나 비디오 테이프, 씨디롬, DV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받고, 이에 부가하여 상기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에 음향 (심장박동소리 등), 음악 (전체적인 분위기에 어울리는 배경음악), 음성(산모나 가족의 음성 등)을 부가하여 얻기를 원하는 지, 태아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수치제어절삭기(numerically controlled milling machine)에 전송하여 태아의 형상을 석고,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3차원 형상물로 얻기를 원하는 지 등을 조사한다.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미적 감각을 가지고 있다면 태아의 영상을 어떠한 방식으로 꾸밀 것인지 스스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나 그러한 제시가 곤란한 사용자가 더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도 별로 만든 여러 개의 샘플을 미리 구비하고 이를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를 고르게 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추가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태아의 영상을 꾸미고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호도의 파악을 태아의 영상을 촬영할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 하는 것이다. 태아의 모습의 촬영은 주로 병원에서 이루어지므로 제휴관계의 병원이나 의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며, 또는 전문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3차원 초음파 영상 장비를 구비한 태아 전용 포토샵, 제휴관계의 디지털 포토샵에서 본 발명에서 선호도 파악의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선호도의 파악을 인터넷상에서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구축한 웹서버(22)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태아를 촬영하기에 앞서 웹서버(22)를 통해 자신의 선호도와 영상을 꾸미는데 필요한 자신의 의견을 제안할 수 있다. 웹서버와 태아를 촬영하는 3차원 영상 그래픽 센터(23)는 연결이 되어 있다. 웹서버(2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사용자의 선호도 별로 분류한 샘플을 저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웹상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임의로 입력하게 하면 사용자의 의도 파악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미리 구축해놓은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종교, 인종, 직업, 나이와 같은 전체적인 사항과 영상물에서 태아의 색조, 모양, 질감, 밝기, 크기, 원하는 배경화면과 분위기, 원하는 최종 출력물의 양태 등을 미리 메뉴로 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웹상에서 사용자가 상기의 선호도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가태아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제휴관계의 병원, 의원, 태아전용 포토샵, 디지털 포토샵이 제시되고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가 3차원 영상을 촬영할 장소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후에는 상기 제휴관계의 병원, 의원, 태아전용 포토샵, 디지털 포토샵 등에서 3차원 초음파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모습을 촬영하고 태아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획득한다(12).
태아의 촬영은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아를 촬영하는 것이므로 인체에 침습하지 않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체에 해가 없는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가 사용될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MRI(자기공명영상진단장비)나 CT(컴퓨터단면영상촬영장비)가 이용될 수도 있다. 태아 모습의 촬영은 주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초음파 장비를 사용하는데, 전술한대로 3차원 초음파 장비는 3차원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3차원 영상을 얻는 방법과, 기존의 2차원 프로브를 이용하여 얻은 연속된 단면영상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층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태아의 모습을 촬영할 경우에는 태아의 전체 모습을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으나 사용자가 특정 부분(예를 들어 얼굴, 손, 발)만을 영상물로 만들기를 원할 때에는 그 부분만을 촬영하도록 한다. 단, 어느 특정한 부분만을 촬영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전체 영상데이터에서 필요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삭제하고 편집하는 작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해 얻어진 3차원 볼륨 데이터의 화질은아주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받아들이지 않는 한 상당히 열악하다. 따라서 이러한 열악한 화질을 보상하기 위해 기존의 공지된 방법(William E. Lorensen, Harvey E. Cline, Marching cubes: A High Resolution 3D Surface Construction Algorithm, Computer Graphics. Vol 21, No 4, 1987 ) 을 이용하여 화질을 보상하는 전처리 단계를 수행한다(13).
전처리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실물에 가깝게 처리하는 후처리 작업(14)과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도록 미적 처리를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한 작업은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24)에서 이루어진다.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는 일반적인 컴퓨터는 물론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춘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는 3차원 영상 그래픽 센터에서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를 모두 갖추고 있어서 3차원 영상 진단 장비로부터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가 데이터를 직접 받아들여 상기한 바와 같은 후처리 작업과 전문적인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적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와 데이터 프로세스 장비가 다른 장소에 존재하여 웹서버를 통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타 저장수단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3차원 영상 그래픽 센터로 데이터를 배송하는 것이다. 저장 수단은 씨디롬, DVD나 집 드라이브, 기타 용량이 큰 3차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후자와 같은 실시 예는 태아의 3차원 영상을 제휴관계의 병원, 의원, 태아전용 포토샵, 디지털 포토샵과 같은 여러 곳에서 얻고 후처리와 미적처리 등의 데이터 처리는 한 군데서 하게 될 때 이용될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3차원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로부터 획득한 3차원 볼륨 데이터는 2차원 단면을 일정한 공간적 관계를 갖도록 적층한 상태이므로, 윤곽이 계단과 같이 각이 져있고 매끈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보상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24)는 동일 밀도 부분을 연속적으로 매끈한 윤곽으로 보이게 하는 3차원 모델링(14)(Gabriel Taubin, A Signal Processing Approach To Fair Surface Design, SIGGRAPH Proceedings, 95, 1995)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상기 불연속적인 원시 3차원 볼륨데이터가 연속적인 곡면을 이루도록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장치는 3차원 모델링한 데이터 중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작업을 한다(14).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실시예 중 하나는 다수의 점으로 한 평면을 이룬 경우에 해당 평면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점을 유지하고 나머지 다른 점들을 삭제하는 것이다. (Marthias Eck, Tnoy DeRose, et al. Multiresolution Analysis of Arbitrary Meshes, Computer Graphics (SIGGRAPH'95 Proceedings, 173-182, 1995)Mesh optimization.
H. Hoppe, T. DeRose, T. Duchamp, J. McDonald, and W. Stuetzle. Computer Graphics (SIGGRAPH 1993 Proceedings), pages 19-26.
3차원 모델링 및 데이터 삭제와 같은 후처리 작업을 거친 후에는 태아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아름답게 꾸미는 미적 처리 작업(15)을 수행한다. 미적 처리 작업은 사용자가 요구한 출력물이 어떠한 것이냐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출력물의 종류는 사진,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모든 매체와 조형물, 악세사리, 홀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태아의 사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물로 요구한 경우에는 태아 형상에 대한 색조, 모양, 질감, 밝기, 크기 및 배경화면과 영상물의 전체적인 분위기의 처리와 같은 미적 처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특히 태아는 신체 여러 부분에 많은 주름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그대로 반영하여 영상물을 제작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상반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주름을 제거하는 작업을 함께 수행한다(Gabriel Taubin, A Signal Processing Approach To Fair Surface Design, SIGGRAPH Proceedings, 95, 1995). 출력물이 사진, 정지영상일 경우에 기존의 후처리된 데이터에다 배경화면의 삽입 및 색채 부가 등의 작업을 하면 되므로 영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해 미적 처리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물이 동영상인 경우에 단위시간에 필요한 갯수의 화상(畵像)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여 배경화면, 배경음향, 음성, 배경음악 등의 효과를 부여하여 제작한다.
사용자의 요구대로 미적 처리를 한 다음에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사진, 정지영상, 동영상, 조형물이나 악세사리와 같은 실체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작업을 한다(16). 사진의 경우에 이를 파일의 형태(soft copy)로 만들거나 고화질 출력장비로 사진을 출력(hard copy)한다.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경우는 색체와 질감 및 여러 가지 영상효과가 정확하게 표현되기 위해서는 고성능 프린터와 인화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동영상 파일로 제작하고 씨디롬, DVD,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동영상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이때, 태아의 심박동 또한 초음파 진단장비로 얻을 수 있으므로, 태아 심박동음을 배경음으로 같이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효과음향이나 음악을 배경음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산모와 가족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고, 기념이 될 수 있는 글을 삽입할 수 있다. 조형물이나 악세사리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3차원 데이터를 읽어들여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형 수단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수치제어절삭기(numerically controlled milling machine)가 있다. 상기 장치들을 이용하여 석고, 플라스틱, 금속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출력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출력물을 사용자(21)에게로 배송한다(17). 배송을 하는 실시예 중 하나는 웹서버를 통해 인터넷으로 사용자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는 출력물이 정지영상, 동영상이고 이를 파일로 저장(soft copy)한 경우가 해당될 것이다. 다른 예는, 사진의 형태로 인화지 외에 섬유, 돌,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여러 가지 형상의 물체 위에 인쇄되어 있거나, 씨디롬, DVD, 비디오 테이프 등의 여러 가지 저장매체에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3차원 형상의 조형물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런 경우에 우편이나 택배로 배송을 할 수 있다. 이것의 다른 실시예로는 여러 곳에 지역 센터를 두고 지역센터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물을 찾도록 하는 방법이다. 지역 센터와 3차원 영상 그래픽 센터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역센터가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지역 센터로 직접 출력물을 운송할 필요 없이 데이터만을 전송해 지역센터에서 직접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역센터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우편이나 택배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출력물을 배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거부감을 줄 수 있는 태아의 영상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충분히 반영하여 제작된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다양한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물과 조형물은 태아의 상태를 기록한 의학적 진단 자료의 의미를 넘어서, 산모와 태아의 정서적 유대감을 증대시켜 태교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태아의 모습을 담은 가족 구성원 탄생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중요한 기념물이 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에는 산모나 그 가족들이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심미적이지 못한 태아의 단면 영상을 병원의 진단과정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3차원 영상의 촬영, 데이터 변환, 배송에 이르는 보다 전문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태아의 3차원 영상물이나 조형물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종교, 인종, 직업, 나이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사항과 사용자의 구체적인 선호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미리 구축해놓은 샘플을 보여주는 단계(a);
    인체에 침습하지 않는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태아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b);
    상기 획득한 3차원 볼륨 데이터를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로 전송하고 화질을 보상하는 전처리 단계(c);
    상기 전처리 단계(c)를 거친 데이터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변환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d);
    상기 단계(a)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요구 사항을 고려해 태아의 영상 데이터를 미적으로 처리하는 단계(e);
    상기 단계(e)에서 처리한 영상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f);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물을 배송하는 단계(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사용자 선호도 파악 및 샘플의 제공은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진단 장비는 3차원 형상을 얻을 수 있는 초음파 장비 또는 2차원 형상을 얻을 수 있는 초음파 장비와 3차원 영상 재구성 프로그램 또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적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다양한 배경화면 처리 및 색조, 모양, 질감, 밝기, 크기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의 데이터 출력 방식은 정지영상, 동영상, 조형물, 악세사리, 홀로그램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과 동영상은 효과, 음향, 음성, 음악, 문자가 부가되며 씨디롬, , DVD, 비디오 테이프, 집드라이브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아의 3차원 데이터의 획득은 태아전용 포토샵 또는 제휴관계의 디지털 포토샵 또는 제휴관계의 병원이나 의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의 배송 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의 직접 전송, 또는 지역 센터로 출력물을 보내 사용자가 직접 찾아가는 방법 또는 직접 우송이나 우편, 택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에서 상기 지역 센터는 상기 데이터 프로세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방법.
KR1020000045700A 2000-08-07 2000-08-07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KR20020012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700A KR20020012419A (ko) 2000-08-07 2000-08-07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700A KR20020012419A (ko) 2000-08-07 2000-08-07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419A true KR20020012419A (ko) 2002-02-16

Family

ID=1968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700A KR20020012419A (ko) 2000-08-07 2000-08-07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24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196A (ko) * 2000-12-08 2002-06-19 임영구 태아 초음파 이미지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07210A (ko) * 2014-07-11 2016-01-20 (주)쓰리디스토리 태아 조형물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474509B2 (en) 2012-09-12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ultrasonic im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457A (ja) * 1996-06-10 1997-12-22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KR980008177A (ko) * 1996-07-08 1998-04-30 이민화 3차원핵 초음파진단기에서의 입체영상 재현방법
KR0180057B1 (ko) * 1996-07-08 1999-04-01 이민화 초음파시스템의 3차원 영상 획득장치
KR20010038344A (ko) * 1999-10-25 2001-05-15 김남국 인체 내부의 형상물과 유사한 실물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5976A (ko) * 2000-05-19 2001-11-29 황병용 성장과정 영상물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7457A (ja) * 1996-06-10 1997-12-22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KR980008177A (ko) * 1996-07-08 1998-04-30 이민화 3차원핵 초음파진단기에서의 입체영상 재현방법
KR0180057B1 (ko) * 1996-07-08 1999-04-01 이민화 초음파시스템의 3차원 영상 획득장치
KR20010038344A (ko) * 1999-10-25 2001-05-15 김남국 인체 내부의 형상물과 유사한 실물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5976A (ko) * 2000-05-19 2001-11-29 황병용 성장과정 영상물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196A (ko) * 2000-12-08 2002-06-19 임영구 태아 초음파 이미지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9474509B2 (en) 2012-09-12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ultrasonic image
KR20160007210A (ko) * 2014-07-11 2016-01-20 (주)쓰리디스토리 태아 조형물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lson et al. The application of volume deformation to three-dimensional facial reconstruction: a comparison with previous techniques
US7536047B2 (en) Method for digitally rendering skin or like materials
EP0950988A3 (en)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ng apparatus
JP2001195567A (ja) 人体内部の形状物に似ている実物モデル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Artal-Isbrand et al. Evaluation of the relief line and the contour line on Greek red-figure vases using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Reichinger et al. Designing an interactive tactile relief of the meissen table fountain
Roughley et al. The affordances of 3D and 4D digital technologies for computerized facial depiction
Abate et al. FACES: 3D FAcial reConstruction from anciEnt Skulls using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Cingi et al. Teaching 3D sculpting to facial plastic surgeons
Hayes et al. Approximating the face of ‘Aunty’: A question of likeness
Palmer The placental body in 4D: Everyday practices of non-diagnostic sonography
KR20020012419A (ko) 미적 처리를 한 태아의 영상물과 조형물을 제작하고제공하는 방법
CN111861822B (zh) 病人模型构建方法、设备和医学教育系统
Oliver et al. Deep connection: Making virtual reality artworks with medical scan data
Wise Fetal positions: Fetal visualization, public art, and abortion politics
Kling-Petersen et al. Modeling and modification of medical 3D objects. The benefit of using a haptic modeling tool
JP54931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olba et al.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the tongue
JP2001312743A (ja) 自動人体コピーモデル作成装置
KR20190143528A (ko) 인생 기념물 제공 방법
Seiber Ideal positions: 3D sonography, medical visuality, popular culture
Wilson Use of 3D virtual models and physical replicas to enhance user experience within heritage applications
KR102591976B1 (ko) 구강에 대한 마진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rias et al. Aesthetic prosthesis based on a digital fabrication process, case study: microtia
Vincent Object lessons: Derek Mahon's material ekphr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