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715A -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 Google Patents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715A
KR20020011715A KR1020000045179A KR20000045179A KR20020011715A KR 20020011715 A KR20020011715 A KR 20020011715A KR 1020000045179 A KR1020000045179 A KR 1020000045179A KR 20000045179 A KR20000045179 A KR 20000045179A KR 20020011715 A KR20020011715 A KR 2002001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ver
side panel
tangent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167B1 (ko
Inventor
에이치. 김 리차드
데브라와이 김
수지와이 김
바비 김
Original Assignee
에이치. 김 리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김 리차드 filed Critical 에이치. 김 리차드
Priority to KR10-2000-004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1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item)을 적재하거나 선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에 관한 것이다. 단일 시이트 상자는 상자의 단부를 닫기 위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접거나 절단할 수 있는 단부 덮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다양한 형상으로 상자의 길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세로 접선, 다수의 측면패널도 구비되어 있다. 측면패널의 양쪽 경계는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측면패널의 위-아래 경계는 상부 가로 접선과 하부 가로 접선에 의해서 나누어진다. 상부 가로 접선은 측면패널로부터 다수의 상부 덮개를 나누어 주며, 하부 가로 접선은 측면패널로부터 다수의 하부 덮개를 나누어 준다.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이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상자의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상자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는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며, 이 X자형 대각 접선을 접음으로써,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가 상자의 안쪽으로 접히게 되어 상자를 닫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MULTIPURPOSE ADJUSTABLE SINGLE SHEET CONTAINER}
본 발명은 다목적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에 관한 것이다. 단일 시이트는 세로 접선을 구비한 다수의 측면패널과 상자를 닫기 위하여 접히거나 절취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접선은 다양한 물품을 적재하고 선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상자를 접을 수 있게 해 준다.
호프만의 미국 특허 1,125,535호, 영거의 미국 특허 3,032,253호, 안데르스코우 등의 미국 특허 3,313,467호, 폴쯔의 미국 특허 3,598,303호, 스티스의 미국 특허 3,727,827호에서, 다른 형태로의 확장과 크기 변형이 가능한 상자와 봉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몽타지 등의 영국 특허 371,751호, 호킨슨의 영국 특허 1,029,562호에서는 두개의 다른 형태의 카톤 블랭크(carton blank)를 이용하여 그 홈(slot)과 절취가능한 접선을 따라 접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상자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특허는, 상자의 길이와 폭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측면패널과 상자를 원하는 크기로 만든 후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때자르거나 접을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거나 암시하고 있지 않다.
전술한 관점대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자의 측면패널을 세로 접선을 따라 빠르게 접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다른 크기를 갖는 상자를 만들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저장할 수 있도록 다른 길이와 폭을 갖는 상자를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때 덮개를 상자의 내부를 향하여 접을 수 있도록, 절취가 가능한 세로 절취선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X자 형태의 대각선 방향으로 접는선(이하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상부와 하부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각 접선을 따라 접으면 덮개가 내부로 접혀질 수 있어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는 방법 중의 한가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때, 덮개의 대각 접선을 접거나 또는 덮개의 절취선을 절취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덮개의 세로 절취선에 절취가 계속 진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역T자 형태의 절개부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T자형의 절개는 상자의 말단부를 닫을 때, 덮개를 내부로 접을 수 있도록 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시 측면패널의 세로 접선까지 잘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자는 다수의 측면패널을 포함하며, 측면패널의 양쪽 말단은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진다. 측면패널의 양쪽(위-아래) 말단은 상부와 하부에 있는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진다. 상부 가로 접선은 다수의 상부 덮개로부터 측면패널을 나누어 주며, 하부 가로 접선은 다수의 하부 덮개로부터 측면패널을 나누어 준다. 또한 상부와 하부 덮개의 양쪽 단부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진다.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면, 덮개는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을 수 있도록 내부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와 하부 덮개는 X자 형태의 대각 접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대각 접선을 접으면 덮개가 내부로 접혀질 수 있어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는 방법 중의 한가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언급될 발명의 구성부분에서 보여주는 새로운 구성, 조합, 발명의 구성 부분에서 보여주는 요소들과 좀더 특별하게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요소들을 통찰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다른 형태의 다목적 상자, 상자용 블랭크 및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들과 유사한 형태들이 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하나, 그것은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을 제외한 것으로 정의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과정을 기본 원리에 입각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선(이하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는 여덟개의 측면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의 전면도이다. 측면패널의 양쪽 말단부인 상부와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접는선(이하 가로 접선)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 덮개로부터 측면패널이 나누어진다.
도1a는 2개의 상부덮개의 전면도로써,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절취선(이하 세로 절취선)이 두개의 덮개 사이를 따라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2는 두개의 측면패널이 상자의 각 측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정사각형태로 접힌 단면을 갖는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2a는 도2의 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여덟개의 측면패널이 정사각형태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2b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상부덮개 사이의 세로 절취선을 자르고 덮개 부분을 상자의 안쪽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2c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2b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2d는 덮개 영역을 접기 위하여 상부 덮개의 X자 형태로 접는선(이하 대각 접선)이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접혀진 덮개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을 수 있도록 쉽게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를 접어서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2e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2d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3은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의 사시도로, 두개의 측면패널과 1/2개의 측면패널(즉 2.5개의 측면패널)이 상자의 한쪽 면과 그 마주보는 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자의 나머지 두면은 한개의 측면패널과 1/2개의 측면패널(즉 1.5개의 측면패널)로 구성된다.
도3a는 도3의 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여덟개의 측면패널이 직사각형태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3b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상부덮개 사이의 세로 절취선을 자르고 덮개 부분을 상자의 안쪽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3c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3b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4는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또다른 상자의 사시도로, 세개의 측면패널이 상자의 한쪽 면과 그 마주보는 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자의 나머지 두면은 한개의 측면패널로 구성된다.
도4a는 도4의 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여덟개의 측면패널이 직사각형태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4b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상부덮개 사이의 세로 절취선을 자르고 덮개 부분을 상자의 안쪽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4c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4b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4d는 덮개 영역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X자 형태(대각선 방향)로 접는선(이하 대각 접선)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안쪽으로 접어서 상자를 닫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를 접어서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4e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4d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5는 또다른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의 사시도로, 두개의 측면패널이 상자의 마주보는 두면을 구성하고, 두개의 측면패널이 인접한 한개의 측면패널위에 겹쳐짐으로써, 보다 작은 직사각형태의 상자로 접혀진다.
도5a는 도5의 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여섯개의 측면패널이 직사각형태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5b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상부덮개 사이의 세로 절취선을 자르고 덮개 부분을 상자의 안쪽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5c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5b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5d는 덮개 영역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X자 형태(대각선 방향)로 접는선(이하 대각 접선)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안쪽으로 접어서 상자를 닫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를 접어서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5e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5d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보다 작은 정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의 사시도로, 두쌍의 측면패널이 인접한 한개의 측면패널위에 겹쳐져있다.
도6a는 도6의 상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네개의 측면패널이 정사각형태를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6b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상부덮개 사이의 세로 절취선을 자르고 덮개 부분을 상자의 안쪽으로 접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자의 바닥부분은 이미 하부덮개의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6c는 상부덮개를 모두 접어 상자의 윗부분을 닫아 놓은, 도6b에 따른 방법으로 접은 상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item)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사각 및 직사각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며 같은 크기를 갖고, 양쪽 경계가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상부 경계로 상부 가로 접선을 갖고, 하부 경계로 하부 가로 접선을 갖는 다수의 측면패널;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전술한 측면패널로부터 상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부 덮개; 및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전술한 측면패널로부터 하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부 덮개를 포함하되,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세로 절취선이 절취됨으로써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대각 접선이 접혀짐으로써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자택일적인 방법으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
도1은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의 전면도로 참조 번호10으로 표기되어 있다.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10)는 크거나 작은 물품을 저장하고 선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자(10)는 카드보드지, 다른 등급의 저장용 종이, 상자 및 기타 포장용 상자 재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상자(10)는 첫번째 측면패널(12), 두번째 측면패널(14), 세번째 측면패널(16), 네번째 측면패널(18), 다섯번째 측면패널(20), 여섯번째 측면패널(22 ), 일곱번째 측면패널(24) 및 여덟번째 측면패널(26)을 포함하고 있다. 측면패널은 모두 동일한 크기이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다수의 세로 접선(28)에 의해 구분되어 진다. 또한 네번째와 여덟번째 측면패널(18, 26)은 추가적인 접선(30)을 포함하며, 추가적인 접선(30)은 각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두개로 구분해 준다. 또한 두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14, 22)도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인 접선(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접선에 의한 특성은 도 3에서 볼 수 있다. 각각의 측면패널은 높이(H)와 폭(W)을 갖고 있다.
각 측면패널의 상부 단부에는 상부 가로 접선(32)이 있으며, 하부 단부에는 하부 가로 접선(34)이 있다. 상부 가로 접선(32)은 측면패널들(12, 14, 16, 18, 20, 22, 24, 26)의 상부 영역을 첫번째 상부 덮개(36), 두번째 상부 덮개(38), 세번째 상부 덮개(40), 네번째 상부 덮개(42), 다섯번째 상부 덮개(44), 여섯번째 상부 덮개(46), 일곱번째 상부 덮개(48)과 여덟번째 상부 덮개(50)로 구분지어 준다. 상부 덮개들은 모두 같은 크기이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하부 가로 접선(34)은 측면패널들(12, 14, 16, 18, 20, 22, 24, 26)의 하부영역을 첫번째 하부 덮개(52), 두번째 하부 덮개(54), 세번째 하부 덮개(56), 네번째 하부 덮개(58), 다섯번째 하부 덮개(60), 여섯번째 하부 덮개(62), 일곱번째 하부 덮개(64)과 여덟번째 하부 덮개(66)로 구분지어 준다. 하부 덮개들은 모두 같은 크기이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상부와 하부 덮개들은 각각 세로 절취선(68)에 의해서 구분되어 진다. 절취선(68)은 덮개를 접거나 절취하여 상자(10)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때 사용된다. 또한 부가적인 절취선(68)은 다른 형태의 상자를 만들기 위하여 추가적인 접선(30)이 사용될 때 그 추가적인 접선(30)에 연장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덮개는 X자 형태의 대각 접선(70)을 포함하며, 그 대각 접선은 덮개의 각 영역을 접을 때 사용된다. 첫번째 측면패널(12)은 접착패널(72)과 세로 접선(28)에 의해 구분된다. 이 접착패널(72)을 접어 화살표(74)에 의해 지시되는 여덟번째 측면패널(26)의 뒷면의 한 부분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여덟개의 측면패널과 상부 및 하부 덮개를 구비한 상자를 개시하였으나,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10)는 정사각형태의 상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네개의 측면패널과 상부 및 하부 덮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다른 직사각형태의 상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섯개의 측면패널과 상부 및 하부 덮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측면패널에 부가적인 세로 접선(30)과 절취선(68)을 추가하여 다른 크기의 물품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상자(10)로 접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a를 보면 상부 덮개(36, 38)를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자세하게 보여주는 두개의 상부 덮개 사이에 존재하는 세로 절취선(68)은 다양한 절단 도구나 손을 사용하여 절취될 수 있다. 절취선(68)의 밑부분에는 역T자 형태의 절개부(78)가 있고, 이것은 세로 접선(28)이 나이프 등에 의하여 잘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정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예에서 상자의 한쪽면은 첫번째와 두번째 측면패널(12, 14)로 이루어지며, 마주보는 면은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20, 22)로 이루어진다. 네번째와 다섯번째 측면패널(16, 18)은 반대편에 배치된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측면패널(24, 26)과 마주보게 된다. 즉 상자(10)는 각 측면패널의 폭인 W의 두배에 해당하는 2W를 길이로 갖게 된다. 또한 각 측면패널 폭의 두배인 2W에 해당하는 폭을 갖게 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보여준 높이H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 도면에서 상자(10)의 길이와 폭을 조절하여 적재와 선적에 적합하면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을 저장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2a는 상자(1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이 도면에서 상자의 길이와 폭이 정사각형태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b는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네개의 세로 절취선(68)이 이미 절취되었으며, 절취에 의해 서로 분리된 상부 덮개가 접혀진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두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38, 40) 사이의 절취선(68), 네번째와 다섯번째 상부 덮개(42, 44)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네번째와 다섯번째 상부 덮개(42, 44)가 상자(10)의 윗부분 일부영역을 덮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상부 덮개(46, 48) 사이의 절취선(68), 여덟번째와 첫번째 상부 덮개(50, 36)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선택된 세로 절취선(68)을 자르고 하부 덮개를 안으로 접음으로써 이미 닫혀진 상태이다.
도 2c는 도 2b에 따라 접은 상자(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8, 50)가 내부로 접혀져 있고, 첫번째와 두번째 상부 덮개(36, 38)와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가 그 위를 덮으면서 접혀져서 상자(10)의 윗부분을 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2d는 세로 절취선(68)을 절취하는 대신 상부 및 하부 덮개의 X자 형태의 대각 접선(70)을 접어서 상자(10)를 닫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세번째와 네번째 상부 덮개(40, 42)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하나씩 접음으로써 상부 덮개(40,42)를 안쪽으로 접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8, 50)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하나씩 접어 상자(10)의 안쪽으로 상부 덮개(48, 50)를 접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하부 덮개를 같은 방법으로 접어 이미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 2e는 도 2d와 같은 방법으로 접은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8, 50)를 대각 접선을 따라 접고, 그 위에 첫번째와 두번째 상부 덮개(36, 38)와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가 접혀져서 상자(10)의 윗부분을 완벽하고 닫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상자의 한면이 첫번째와 두번째 측면패널(12, 14)과 여덟번째 측면패널(26)의 반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주보는 한 면도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20, 22)과 네번째 측면패널(18)의 반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자의 또다른 면은 세번째 측면패널(16)과 네번째 측면패널(18)의 반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한 면도 일곱번째 측면패널(24)과 여덟번째 측면패널(26)의 반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자(10)의 한 면은 각 측면패널 폭인 W의 두배 반인W만큼의 길이를 갖고, 또다른 한 면은 각 측면패널 폭인 W의 한배 반인W만큼의 폭을 갖게 된다. 전술했듯이 도 1에서 보여주는 높이 H는 그대로 유지된다.
도 3a는 도 3에서 보여준 상자(10)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상자의 길이와 폭이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3b는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네개의 세로 절취선(68)이 이미 절취되었으며, 절취에 의해 서로 분리된 상부 덮개가 접혀진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두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38, 40) 사이의 절취선(68)과 네번째 덮개(42)를 나누어 주는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세번째 상부 덮개(40)와 네번째 상부 덮개(42)의 반쪽이 상자(10)의 윗부분 일부를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상부 덮개(46, 48) 사이의 절취선(68), 여덟번째 상부 덮개(50)를 나누어 주는 절취선(68)을 절취하였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하부 덮개를 같은 방법으로 접어 이미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 3c는 도 3b의 방법으로 접은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일곱번째 상부 덮개(48)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50)의 반쪽이 내부로 접혀져 있고, 첫번째와 두번째 상부 덮개(36, 38)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50)의 반쪽,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와 네번째 상부 덮개(42)의 반쪽이 그 위에 접혀져서 상자(10)의 윗부분을 완벽하게 닫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상자(10)를 닫기 위하여, 세로 절취선(68)이 네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2, 50) 및 네번째와 여덟번째 하부 덮개(58, 66)를 두부분으로 나누어 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X자 형의 대각 접선(70)은 사용되지 않았다.
도 4는 또다른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 상자의 한 면은 첫번째와 두번째 측면패널(12, 14), 여덟번째 측면패널(26)로 이루어지고, 마주보는 한 면도 네번째,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18, 20, 22)로 이루어진다. 세번째 측면패널(16)과 일곱번째 측면패널(24)이 마주보면서 상자(10)의 또다른 면들을 이루고 있다. 즉 상자(10)는 각 측면패널의 폭 W의 3배인 3W의 길이와 W의 폭을 갖게 된다.
도 4a는 도 4의 상자(10)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직사각형태의 길이와 폭을 가진 상자로 성형됨을 알 수 있다.
도 4b는 상자(1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상자의 윗부분을 닫기 위하여 네개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으며, 그 결과로 상부 덮개가 접혀질 수 있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두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38, 40) 사이의 절취선(68)과 세번째와 네번째 상부 덮개(40, 42)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세번째 상부 덮개(40)는 상자(10)의 윗부분 일부를 닫기 위하여 내부로 접혀진다. 마찬가지로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상부 덮개(46, 48) 사이의 절취선(68)과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8, 50)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된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선택된 세로 절취선(68)을 절취하여 하부 덮개를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이미 닫혀진 상태이다.
도 4c는 도 4b와 같은 방법으로 접은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일곱번째 상부 덮개가 내부로 접혀지며, 첫번째, 두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36, 38, 50) 및 네번째,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2, 44, 46)가 그 위로 덮혀져서, 상자(10)의 윗부분을 완벽하게 닫혀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4d는 세로 절취선(68)을 절취하는 대신 상부 및 하부 덮개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접어서 상자(10)를 만드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두번째 상부 덮개(38)의 X자형 대각접선(70)을 접으면서 세번째 상부 덮개(40)의 X자형 대각접선(70)을 접어 두번째 상부 덮개(38) 위에 겹치게 한다. 마찬가지로 여덟번째 상부 덮개(50)의 X자형 대각접선(70)을 접으면서 일곱번째 상부 덮개(48)의 X자형 대각접선(70)을 접어 여덟번째 상부 덮개(50) 위에 겹치게 한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같은 방법에 의해 접혀져서 이미 닫혀진 상태이다.
도 4e는 도 4d와 같은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방법대로 접으면 첫번째, 두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36, 38, 50)가 안쪽으로 접히고, 그 위에 네번째,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2, 44, 46)가 접혀짐으로써, 상자(10)를 완벽하게 닫게 된다.
도 5는 보다 작은 크기의 직사각형태로 접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 상자의 한 면은 첫번째와 여덟번째 측면패널(12, 26)로 이루어지며, 마주보는 한 면은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20, 22)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상자(10)의 길이와 폭을 줄이기 위하여, 두번째 측면패널(14)위로 세번째 측면패널(16)을 포개어 접고, 다시 네번째 측면패널(18)을 그 위에 포개어 접는다. 즉 각 측면패널의 폭에 해당하는 W의 두배인 2W를 그 길이로 하며, W를 그 폭으로 하는 상자(10)가 만들어진다.
도 5a는 상자(10)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보다 작은 직사각형태의 길이와 폭을 갖는 상자가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5b는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네개의 세로 절취선(68)이 절취되었으며, 그 결과로 상부 덮개가 접혀질 수 있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첫번째와 두번째 상부 덮개(36, 38) 사이의 절취선(68)과 두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38, 40)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또한 네번째와 다섯번째 상부 덮개(42, 44)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 상부 덮개(38, 40, 42)는 함께 접어서 상자(10)의 윗부분 일부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상부 덮개(46, 48) 사이의 절취선(68)과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48, 50) 사이의 절취선(68)을 절취한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선택된 세로 절취선(68)을 절취하여 하부 덮개를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이미 닫혀진 상태이다.
도 5c는 도 5b에 따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일곱번째 상부 덮개(48)를 안쪽으로 접고, 첫번째 및 여덟번째 상부 덮개(36, 50)와 다섯번째 및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가 그 위를 덮도록 접음으로써, 상자(10)의 윗부분을 완벽하게 닫고 있다.
도 5d는 세로 절취선(68)을 절취하는 대신 상부 및 하부 덮개의 대각 접선(70)을 접어 만들어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첫번째 상부 덮개(36)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접으면서 그 위에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 상부 덮개(38, 40, 42)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접어 포갠다. 마찬가지로 여덟번째 상부 덮개(50)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접으면서 그 위에 일곱번째 상부 덮개(48)의 X자형 대각 접선(70)을 접어 포갠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하부 덮개를 같은 방법으로 접어 미리 닫아 놓은 상태이다.
도 5e는 도 5d에 따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일곱번째 상부 덮개(48)는 대각 접선을 따라 여섯번째 상부 덮개(46) 밑으로 접혀졌으며, 첫번째 및 여덟번째 상부 덮개(36, 50)를 안쪽으로 접고, 그 위에 다섯번째 및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를 접어 덮음으로써, 상자(10)의 윗부분을 완벽하게 닫고 있다.
도 6은 보다 작은 정사각형태로 졉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 상자의 한 면은 첫번째 측면패널(12)로 이루어지며, 마주하는 한 면은 다섯번째 측면패널(20)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네번째 측면패널(18)은, 두번째 측면패널(14) 위로 맞대어 포개어진 세번째 측면패널(16) 위로 다시 포개어진다. 마찬가지로 여덟번째 측면패널(26)은, 여섯번째 측면패널(22) 위로 맞대어 포개어진 일곱번째 측면패널(24) 위로 다시 포개어진다. 이렇게 측면패널끼리 맞대어 포개어 접음으로써, 상자(10)의 길이와 폭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상자(10)는 W만큼의 폭과 길이를 갖게 된다.
도 6a는 상자(1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보다 작은 폭과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태의 상자가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6b는 상자(10)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네개의 세로 절취선(68)이 절취되었으며, 그 결과로 상부 덮개가 접혀질 수 있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첫번째와 두번째 상부 덮개(36, 38) 사이의 절취선(68)과 두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38, 40)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또한 네번째와 다섯번째 상부 덮개(42, 44) 사이의 절취선(68)이 절취되었다.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 상부 덮개(38, 40, 42)는 함께 접어서 상자(10)의 윗부분 일부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44, 46) 사이의 절취선(68)과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상부 덮개(46, 48) 사이의 절취선(68)을 절취한다. 또한 여덟번째 와 첫번째 상부 덮개(50, 36) 사이의 절취선(68)을 절취한다. 상자(10)의 바닥부분은 선택된 세로 절취선을 절취하여 하부 덮개를 접음으로써 이미 닫혀진 상태이다.
도 6c는 도 6b에 따른 방법으로 접혀진 상자(1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여섯번째, 일곱번째 및 여덟번째 상부 덮개(46, 48, 50)는 안쪽으로 접혀지고, 그 위에 첫번째와 다섯번째 상부 덮개(36, 44)가 차례로 덮혀져서 상자(10)을 완벽하게 닫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측면패널을 접는 다양한 방법과 상부 및 하부 덮개를 접거나 절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도면에서 개시된 상자(10)를 접을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관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세로 접선, 가로 접선, 세로 절취선, X자형 대각 접선 등을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형상의 상자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보여주고, 묘사하고 설명하고 응용하였으며, 당업자라면 누구나 동등한 범위 내에서 형태나 설계도를 본 발명이 청구한 관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는 다수의 세로 접선과 가로 접선, 상부 및 하부 덮개, X자형 대각 접선, 세로 절취선, 역T자 절개부 등을포함함으로써 빠르게 접을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상자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자 안에 저장될 물품(item)의 크기와 형태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에 적합한 상자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물품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상자의 형상과 크기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물품을 저장하고 남는 빈 공간을 채우는 충진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환경문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크기에 적합한 상자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선적 공간이나 적재 공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6)

  1.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item)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사각 및 직사각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서로 평행하며 같은 크기를 갖고, 양쪽 경계가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상부 경계로 상부 가로 접선을 갖고, 하부 경계로 하부 가로 접선을 갖는 다수의 측면패널;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상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부 덮개; 및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하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세로 절취선이 절취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대각 접선이 접혀짐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자택일적인 방법으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을 둘로 나누어주는 세로 접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며,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접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중에서 선택된 한 측면패널의 한쪽 경계를 다른 측면패널에 접착하는 수단을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하는 수단은 상기 측면패널의 한쪽 경계에 부착된 접착패널이며, 상기 접착패널은 다른 측면패널의 후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5.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item)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사각 및 직사각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서로 평행하며 같은 크기를 갖고, 양쪽 경계가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상부 경계로 상부 가로 접선을 갖고, 하부 경계로 하부 가로 접선을 갖는 다수의 측면패널로서, 상기 측면패널은 첫번째 측면패널, 두번째 측면패널, 세번째 측면패널 및 네번째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상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부 덮개로서, 상기 상부 덮개는 첫번째 상부 덮개, 두번째 상부 덮개, 세번째 상부 덮개 및 네번째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하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부 덮개로서, 상기 하부 덮개는 첫번째 하부 덮개, 두번째 하부 덮개, 세번째 하부 덮개 및 네번째 하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세로 절취선이 절취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대각 접선이 접혀짐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자택일적인 방법으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6. 제 5항에 있어서, 첫번째와 세번째 측면패널을 나누어주는 세로 접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접선은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의 상자를 접을 수 있도록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넓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와 세번째 상부 덮개 및 상기 첫번째와 세번째 하부 덮개를 나누어주는 세로 절취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절취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8. 제 5항에 있어서, 두번째와 네번째 측면패널을 나누어주는 세로 접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접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와 네번째 상부 덮개 및 상기 두번째와 네번째 하부 덮개를 나누어주는 세로 절취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절취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측면패널의 한쪽 경계에 접착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접착패널은 네번째 측면패널의 후면에 접착됨을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1.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품(item)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사각 및 직사각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이트 상자는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서로 평행하며 같은 크기를 갖고, 양쪽 경계가 세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상부 경계로 상부 가로 접선을 갖고, 하부 경계로 하부 가로 접선을 갖는 다수의 측면패널로서, 상기 측면패널은 첫번째 측면패널, 두번째 측면패널, 세번째 측면패널, 네번째 측면패널, 다섯번째 측면패널, 여섯번째 측면패널, 일곱번째 측면패널 및 여덟번째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상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부 덮개로서, 상기 상부 덮개는 첫번째 상부 덮개, 두번째 상부 덮개, 세번째 상부 덮개, 네번째 상부 덮개, 다섯번째 상부 덮개, 여섯번째 상부 덮개, 일곱번째 상부 덮개 및 일곱번째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서로 같은 크기를 갖고, 상기 측면패널로부터 하부 가로 접선에 의해 나누어지며, 양쪽 경계는 세로 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고, X자형 대각 접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하부 덮개로서, 상기 하부 덮개는 첫번째 하부 덮개, 두번째 하부 덮개, 세번째 하부 덮개, 네번째 하부 덮개, 다섯번째 하부 덮개, 여섯번째 하부 덮개, 일곱번째 하부 덮개 및 여덟번째 하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세로 절취선이 절취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의 대각 접선이 접혀짐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자의 양쪽 말단을 닫기 위하여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자택일적인 방법으로 상자의 양쪽 말단부를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네번째와 여덟번째 측면패널을 나누어주는 세로 접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접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번째와 여덟번째 상부 덮개 및 상기 네번째와 여덟번째 하부 덮개를 나누어주는 세로 절취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절취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4. 제 11항에 있어서, 두번째와 여섯번째 측면패널을 나누어주는 세로 접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접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와 여섯번째 상부 덮개 및 상기 두번째와 여섯번째 하부 덮개를 나누어주는 세로 절취선을 추가로 더 포함시키고, 상기 추가되는 세로 절취선은 상자를 다양한 정사각형태 및 직사각형태로 접을 때 접는 방식의 선택폭을 추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측면패널의 한쪽 경계에 접착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접착패널은 여덟번째 측면패널의 후면에 접착됨을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으로 조절가능한 단일 시이트 상자.
KR10-2000-0045179A 2000-08-04 2000-08-04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KR10050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79A KR100503167B1 (ko) 2000-08-04 2000-08-04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79A KR100503167B1 (ko) 2000-08-04 2000-08-04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715A true KR20020011715A (ko) 2002-02-09
KR100503167B1 KR100503167B1 (ko) 2005-07-25

Family

ID=3747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79A KR100503167B1 (ko) 2000-08-04 2000-08-04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57B2 (en) 2004-01-30 2008-07-29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including table with curved contour
US7409147B2 (en) 2004-01-30 2008-08-05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with arch-type support
KR102182587B1 (ko) * 2020-01-22 2020-11-24 주식회사 비오엑스 밀폐구조를 갖는 포장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89B1 (ko) 2010-06-07 2012-10-08 김종영 포장용 상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7827A (en) * 1970-05-25 1973-04-17 Hoerner Waldorf Corp Variable size container
JPS5841365U (ja) * 1981-09-14 1983-03-18 株式会社東芝 包装部材
JPH0381817A (ja) * 1989-08-25 1991-04-08 Hitachi Ltd 手書入力情報処理装置およびこの手書入力情報処理装置を用いた手書入力情報システム
JPH0381817U (ko) * 1989-12-11 1991-08-21
US6024279A (en) * 1997-10-30 2000-02-15 Georgia-Pacific Corp. Bulk container formed from blank having T-shaped slots separating closure flaps
US6138901A (en) * 1997-11-14 2000-10-31 Kim; Bobby Multipurpose adjustable single sheet container
US6279818B1 (en) * 1997-11-14 2001-08-28 Richard H. Kim Multipurpose adjustable single sheet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57B2 (en) 2004-01-30 2008-07-29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including table with curved contour
US7409147B2 (en) 2004-01-30 2008-08-05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with arch-type support
KR101012706B1 (ko) * 2004-01-30 2011-02-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외주가 곡선의 윤곽으로써 형성된 테이블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KR102182587B1 (ko) * 2020-01-22 2020-11-24 주식회사 비오엑스 밀폐구조를 갖는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167B1 (ko) 2005-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199B1 (en)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volumes
US6676009B1 (en)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volumes
US8479972B2 (en) Expandable food carton
US7051919B1 (en) Convertible pizza box
US6119929A (en)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volumes
US6227441B1 (en) Tubular container having an outer sleeve and an inner storage bag
US6279818B1 (en) Multipurpose adjustable single sheet container
US20080073416A1 (en) Convertible pizza box
MX2012000622A (es) Caja de carton con compartimientos de retencion de productos.
CA2834089C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EP1380512B1 (en) Box with pocket for leaflet and blank therefor
KR100503167B1 (ko)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US20030121961A1 (en) Resizable single piece food package
US4903892A (en) Fragile article carton
EP0940345A1 (en) Carton with product dividers
JP6092451B1 (ja) 包装箱
US5234158A (en) Two-piece container for pizza or the like
GB1603429A (en) Containers
JP2019018536A (ja) 薄型段ボール箱の箱形成素材、及び段ボール箱用シート
GB2227457A (en) Document wallet
GB2162818A (en) Variable sized carton
GB2266705A (en) Stacking tray
US7004628B2 (en) Bag topper device
JP4999545B2 (ja) 収納ケース
US20230391493A1 (en) Box with dispensing fl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