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738A -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738A
KR20020008738A KR1020010006221A KR20010006221A KR20020008738A KR 20020008738 A KR20020008738 A KR 20020008738A KR 1020010006221 A KR1020010006221 A KR 1020010006221A KR 20010006221 A KR20010006221 A KR 20010006221A KR 20020008738 A KR20020008738 A KR 2002000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lephone
user
speed dialing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US09/956,649 priority Critical patent/US7190975B2/en
Priority to CNB011409967A priority patent/CN100403756C/zh
Publication of KR2002000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METHOD FOR SPEED DIALLING IN MOBILE WIRELESS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무선 전화기는 물론 보급이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도 스피드 다이얼링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도 지정된 어드레스에 하나의 전화번호가 지정되어 스피드 다이얼링 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모리에 자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들을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단축키(일반적으로 숫자버튼)를 누르면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스피드 다이얼링 되는 기능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기능은 어드레스 각각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다 할지라도 그들 중 지정된 하나의 전화번호만이 스피드 다이얼링이 된다. 따라서 지정되지 않은 전화번호들에 대하여 발신을 원할 때에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어드레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된 어드레스 각각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정된 어드레스 각각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시 전화번호 편집모드로의 자동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어드레스와 그에 대응되는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한 어드레스 테이블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스피드 다이얼링 입력 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된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에 있어서 전화번호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에 있어서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상세히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리스트의 정렬 저장모드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에 있어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키를 입력함으로써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저장된 전화번호들이 복수개 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복수개의 전화번호 존재 시 상기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전화번호를 스피드 다이얼링 함으로써 자동으로 통화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과,
통화서비스 종료 후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따라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리스트에 정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번호 편집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편집모드 수행 후 상기 편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입력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를 판단하고 메모리에 지정된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해주며 전화번호의 선택 및 발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의거하여 통화 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정렬 및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스피드 다이얼링을 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동일한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의 편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메모리(14)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14)에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을 가진다.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각각의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렬 모드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정렬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편집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정/변경한 전화번호들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키 입력부(12)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숫자버튼들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 표시부(1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시켜 준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부(16)에는 무선통신신호 수신 및 발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발광 표시등인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부(18)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수신 무선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음성 처리부(2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디지털화하고 무선부(18)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10)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리스트의 정렬 저장모드 설정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에 있어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을 도 1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지정된 어드레스들 각각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4)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부(14)에는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따라 저장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도 10의 8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 설정 요구를 판단하고 도 10의 80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802단계에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 모드로 진입하고, 을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한다.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 모드의 구체모드들로는 통화서비스 빈도순 정렬 저장 모드, 최근 통화 순 정렬 저장 모드, 가나다 순 정렬 저장모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모드의 상기 3가지의 저장모드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형 또는 변경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 진다. 예를 들어 이동전화 번호순 또는 유선전화의 지역번호순으로 정렬 저장하거나 유사한 전화번호순으로 정렬시키는 등 여러 가지 정렬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802단계에서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 모드들 중 한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80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의설정 완료를 판단하고 8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80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렬 저장 모드로 기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정렬 하고 저장한다. 상술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 설정은 본 발명의 목적인 향상된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더욱 극대화된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메모리부(14)에 지정된 각각의 어드레스들에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하기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메모리(14)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10)는 10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키 입력이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것이면 제어부(10)는 10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가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 방법의 일례로서는 사용자가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숫자키를 길게 누르는 방법, 사용자가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숫자키와 특정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는 방법 등이 있다. 만일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이 아닐 시에는 제어부(10)는 10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는 도 2의 104단계에서 스피드 다이얼링을 위해 입력된 키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106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104단계의 판단에서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없으면 100단계로 되돌아간다. 106단계에서 제어부(10)는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가 복수개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복수개이면 108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108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따른 정렬 및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한다. 일 예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전화를 걸고자 할 때 숫자키"1"을 상기의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 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면 도 3의 지정 어드레스"1"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의 어드레스들과 그 어드레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들에 대한 어드레스 테이블을 가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어드레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표시부(16)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도 4의 일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가 설정 및 적용되게 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자신이 스피드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키입력부(12)를 이용해 선택할 것이다. 도 4에 보인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자신이 스피드 다이얼링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상하 이동키 또는/및 번호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도 2의 1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선택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선택입력이 있으면 112단계로 진행한다. 112단계에서 제어부(10)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스피드 다이얼링하고 그에 따라 116단계에서와 같은 통화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0)는 106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호번호 개수가 2개 이상이 아니면 즉, 단일 전화번호만이 저장되어 있으면 11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114단계에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되어 저장된 단일 전화번호를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11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에 있어서, 제어부(10)에 의하여 116단계에서 통화 서비스 된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정렬하는 과정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어부(10)는 118단계에서 통화서비스 종료를 판단하고 1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120단계에서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를 판단하고 124단계 내지 128단계들 중 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정렬한다. 제어부(10)는 상기 124단계 내지 128단계 중 한 단계를 수행하고 130단계로 진행한다. 1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정렬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저장한다.
도 5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들로써, 선택된 전화번호가 스피드 다이얼링 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특정하는 실시예들이다. 도 5 내지 도 9의 과정에서, 도 5의 500, 502, 504단계, 도 6의 600단계, 도 7의 700단계, 도 8의 900, 902, 904, 990단계 이외에는 도 2의 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하기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 2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은 생략한다. 또한 도 9는 도 8의 990단계인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므로 도 9의 '전화번호 편집모드' 과정 설명 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전송에 대응된 키 입력 및 일정시간대기 단계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이고, 도 6은 전송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며, 도 7은 일정시간대기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이고, 도 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에 대응된 키 입력 및 일정시간대기 단계에서 도 9에 일 예로써 도시된 전화번호 편집모드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먼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5의 108단계에서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따른 정렬 및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들 중 발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에 전송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한 시 제어부(10)는 도 5의 1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선택이 있으면, 도 5의 500단계에서 상기의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상기의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이 있는 시에는 바로 도 5의 1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하며, 500단계에서의 판단에서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이 없으면 도 5의 50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502단계에서 사용자가 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로 변경하거나 또는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의 확인을 하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기 위한 일정시간의 대기를 수행한다. 상기 일정시간은 1~2초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어부(10)는 502단계에서 일정시간의 대기를 수행한 후 도 5의 504단계로 진행하여 기 선택 전화번호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504단계의 판단에서 전화번호 변경선택이 있으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재 수행한다. 만일 504단계의 판단에서 전화번호 변경선택이 없으면 제어부(10)는 11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도 6의 1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선택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110단계에서 상기의 선택된 전화번호가 있다고 판단하면 도 6의 600단계로 진행한다. 60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600단계에서 전송에 사용되는 키의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면 도 6의 11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1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선택이 있으면 도 7의 70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700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한 일정시간대기(1~2초 정도)를 수행한 후 11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8의 108단계에서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에 따른 정렬 및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들 중 발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에 전송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한 시 제어부(10)는 도 8의 1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선택이 있으면, 도 8의 900단계에서 상기의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상기의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이 있는 시에는 바로 도 8의 1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하며, 900단계에서의 판단에서 전송에 대응되는 키의 입력이 없으나, 902단계의 판단에서 3초간 임의의 키 입력이 없으면 다시 도 8의 11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902단계의 판단에서기 설정된 일정시간(예로써 3초)내에 임의의 키 입력이 있으면 904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임의의 키 입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키입력부(12)의 숫자 키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상기 숫자 키는 사용자가 선택된 전화번호가 저장된 어드레스에 다른 전화번호를 추가하거나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들을 수정/변경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904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상하 이동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이용하여 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110단계로 반환한다. 한편 제어부(10)는 904단계에서 좌우 이동키나 숫자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기 선택된 전화번호가 저장된 어드레스에서 전화번호들을 편집할 수 있도록 99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990단계의 전화번호 편집모드 수행 후 108단계로 반환하여 사용자가 새로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상기 도 8의 990단계인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의 904단계에서 좌우 이동키나 숫자 키들의 입력에 따른 전화번호 편집모드로의 진행에 따라 제어부(10)는 도 9의 906단계에서 선택된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런 후 도 9의 908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수정/변경 입력을 위한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수정 및/또는 변경 입력 후 제어부(10)는 도 9의 910단계에서 수정/변경 완료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도 9의 912단계로 진행한다.912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상기 수정/변경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도 8의 108단계로 반환하여 사용자가 새로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드레스에 대응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스피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복수개의 전화번호를 다양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정렬 및 저장하여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한 전화번호를 다양하면서도 간편한 방법으로 편집하여 스피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신속함과 편의성이 있다.

Claims (13)

  1.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 이전에 사용자에 의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에 대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 설정 요구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 설정 요구 판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 모드들 중 한 모드를 택일하여 설정할 수 있는 통화서비스 빈도순 정렬 저장 모드, 최근 통화 순 정렬 저장 모드, 가나다 순 정렬 저장모드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설정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들 중 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에 대한 전화번호 리스트를 정렬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스피드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서비스가 종료되면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리스트에 정렬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을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전송에 대응되는 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하기 이전에 일정시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 대기 동안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변경선택이 되면 변경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5.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하나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후 전송에 대응하는 키가 입력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응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스피드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서비스가 종료되면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리스트에 정렬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을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7.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하나이상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일정시간 대기 후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스피드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서비스가 종료되면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리스트에 정렬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9.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들이 복수개 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복수개의 전화번호 존재 시 상기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후 전송에 대응하는 키가 입력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에 대응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내에 전화번호 편집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편집모드 수행 후 상기 편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11.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들이 복수개 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복수개의 전화번호 존재 시 상기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일정시간 대기 후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내에 전화번호 편집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편집모드 수행 후 상기 편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12. 메모리의 지정 어드레스에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대응된 스피드 다이얼링 키 입력에 의하여 상기 지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들이 복수개 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복수개의 전화번호 존재 시 상기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후 전송에 대응하는 키의 입력 또는 일정시간 키 입력 대기 후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스피드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일정시간 내에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변경선택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번호 편집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 편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편집모드 수행 후 상기 편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반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스피드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서비스가 종료되면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리스트 정렬 저장 모드로 통화서비스 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리스트에 정렬 및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KR1020010006221A 2000-07-20 2001-02-08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KR20020008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56,649 US7190975B2 (en) 2001-02-08 2001-09-20 Speed dialing method in mobile phone
CNB011409967A CN100403756C (zh) 2001-02-08 2001-10-10 移动电话的快速拨号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1606 2000-07-20
KR1020000041606 2000-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738A true KR20020008738A (ko) 2002-01-31

Family

ID=1967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221A KR20020008738A (ko) 2000-07-20 2001-02-08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873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70A (ko) * 1993-12-28 1995-07-28 백중영 키폰시스템의 단축 다이얼 번호 그룹화 및 그 이용방법
KR980007300A (ko) * 1996-06-14 1998-03-30 김광호 전화단말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 확장방법
KR980007301A (ko) * 1996-06-27 1998-03-30 김광호 단일 착신자에 대해 저장된 다수의 가입자번호 다이알링 방법
KR19980073400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다기능 원터치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JPH11136338A (ja) * 1997-10-31 1999-05-21 Toshiba Corp 電子電話帳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KR19990069676A (ko) * 1998-02-11 1999-09-06 서평원 전화기의 단축다이얼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70A (ko) * 1993-12-28 1995-07-28 백중영 키폰시스템의 단축 다이얼 번호 그룹화 및 그 이용방법
KR980007300A (ko) * 1996-06-14 1998-03-30 김광호 전화단말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 확장방법
KR980007301A (ko) * 1996-06-27 1998-03-30 김광호 단일 착신자에 대해 저장된 다수의 가입자번호 다이알링 방법
KR19980073400A (ko) * 1997-03-14 1998-11-05 김광호 다기능 원터치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JPH11136338A (ja) * 1997-10-31 1999-05-21 Toshiba Corp 電子電話帳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KR19990069676A (ko) * 1998-02-11 1999-09-06 서평원 전화기의 단축다이얼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80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US7190975B2 (en) Speed dialing method in mobile phone
US20030011564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201942B1 (ko)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US710316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number display and program thereof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JPH09191491A (ja) セルラー/phs携帯電話装置
KR20020007852A (ko) 휴대폰의 문자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20020008738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피드 다이얼링 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241776B1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810202B1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30056557A (ko)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KR10059748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키맵을 이용한 사용자 정의 메뉴제공 방법
KR100594435B1 (ko) 다중작업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40058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처리방법
KR200300815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792451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폰북서비스 방법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KR20030032092A (ko) 예측 지능형 통화키가 부착된 통신 단말기
KR100533036B1 (ko) 휴대단말기의 매크로 키버튼 운용방법
KR20050091489A (ko) 자동 연속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