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99A -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599A
KR20020007599A KR1020000040981A KR20000040981A KR20020007599A KR 20020007599 A KR20020007599 A KR 20020007599A KR 1020000040981 A KR1020000040981 A KR 1020000040981A KR 20000040981 A KR20000040981 A KR 20000040981A KR 20020007599 A KR20020007599 A KR 2002000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der
data
receiver
communic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9662B1 (en
Inventor
최건영
전종구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662B1/en
Publication of KR2002000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6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transmitter and a method for confirming the transmitt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transmitter using multimedia data when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NSTITUTI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102) det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ransmitter for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memory(108) stores transmitter confirming data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A control unit(104) controls the output of the transmitter confirming data stored in the memory(108)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102) so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informed in a receiver. A data processing unit(10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104), reads the transmitter confirming data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108), and processes the read data so that the read data are outputted as a format capable of being recognized by the receiver. An output unit(110) outputs the transmitter confirming data outpu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106) so that it is possible for the receiver to confirm the transmitter confirming data. An information input unit(116) inputs information for which the receiver wishes.

Description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sender and method for confirming sender using sam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et al}

본 발명은 유무선 단말기와 같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접속 요구 시 수신자가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ired and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sender capable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sender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made, and a sender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ame.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유무선 통신 단말 이용자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무선 통신 사업자를 비롯한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여념이 없다. 통신 접속 요구 시, 수신자가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상술한 추세의 일환이다.A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user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equesting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ly, worker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wired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providers, are eager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The ability for the receiver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sender when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lso part of the trend described above.

현재 제공되는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로는 유무선 통신 단말에 특정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송신자로부터 송신이 요구된 경우에 수신 차단 또는 수신자에게 접속 요구를 통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수신자가 수신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송신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복수의 사람에게 적용할 경우에 수신자가 지정한 송신자에 대한 수신 차단이나 접속 요구로 수신자의 응답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송신자의 신원을 정확하게 파악한다고 할 수는 없다. 뿐만 아니라 멀티 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상술한 통신 서비스는 단조로운 경향이 있다.As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verify the identity of the currently provided sender, a specific telephone number is stored i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transmission is requested from the sender having the same number as the stored telephone number, the reception block or the receiver is notified of the connection request In order to allow the receiver to identify the sender before he or she decides to receive it. However, this method can facilitate the receiver's response decision by blocking reception or access request for the sender specified by the receiver when applied to a plurality of people, but cannot identify the sender's identity accurately.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service tends to be monotonous in an environment where multimedia communic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신 접속 요구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가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sender so that a receiver can identify a sender's identity using multimedia data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made, and an object thereof.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의 기능 블록 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s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tter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 송출된 정보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자 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upda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with information sent from the sender in the sender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수신자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원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when the receiver wants to store the data for the sender confirmation in the sender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특정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이용하고자 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data existing in a specific server is to be used as sender identification data in the sender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통신 접속부 104:제어부102: communication connection 104: control unit

106:데이타 처리부 108:메모리106: data processing unit 108: memory

110:출력부 112:접속요구 통보부110: output unit 112: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4:수신 응답부 116:정보 입력부114: reception response unit 116: information input unit

118:데이타 입력부118: data input uni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 요구가 수신되면,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통신 접속부; 적어도 한 송신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 접속부를 통해 전송된 식별정보와 통신 접속 요구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면서 수신자에게 통신 접속 요구가 통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로부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읽고, 수신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 수신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so as to notify the receiver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A data process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read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and to process the data to be output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receive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so that the receiver can confirm the data; Preferably, the receiver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desired information.

상술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텍스트 데이터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졌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저장되는 데이터가 영상인 경우에 이미지 캐릭터나 비디오 클릭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오디오인 경우에 특정한 문구의 음성 또는 특정한 오디오 클립 또는 뮤직클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ta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memory may consist of multimedia data consisting of any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or mixed two or more thereof. In particular, when the stored data is an image, it may be in the form of an image character or a video click, and in the case of audio, it may be in the form of voice of a specific phrase or a specific audio clip or music clip.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통신망과 접속이 가능한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 수신자가 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a)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단말로 통신 접속이 요구되면,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송신자에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b) (a)단계 수행결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읽어 수신자가 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a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receiver can identify the sender, (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nder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 step (a)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i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s stor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read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receiver can confirm the sender.

또한, 상술한 송신자 확인 방법은, (c) (a)단계 수행결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통신 접속요구를 수신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d) (c)단계를 통한 통보에 대해 수신자가 응답을 하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e) (d)단계 수행결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수신자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f) 수신자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원하는 경우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g) (f)단계 수행 후, 수신자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원할 경우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ender confirm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 notifying the receiver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s not stored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a); (d) when the receiver responds to the notification in step (c), confirming whether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sender identification data; (e) confirming whether the receiver receives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s included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d); and (f) the receiver wants to receive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this case, output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a form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receiver; (g) after performing step (f), stor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when the receiver wants to store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의 기능 블록 도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통신 접속부(102), 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4),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전송처리를 하는 데이터 처리부(106),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08),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10), 수신자 또는 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송신자의 접속요구를 통보하는 접속 요구 통보부(112), 수신자 또는 통신 단말 사용자가 접속요구에 대한 수신 응답을 할 수 있는 수신 응답부(114), 수신자 또는 통신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부(116),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부(118)로 구성된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s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connected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104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nder. Sender's connection to a data processing unit 106 for transmitting data for confirmation data, a memory 108 for storing sender confirmation data, an output unit 110 for outputting sender confirmation data, and a receiver 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er.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for notifying a request, a reception response unit 114 for allowing a receiver 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o respond to a connection request,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receiver or communication terminal user. 116, a data input unit 118 capable of inputting sender confirmation dat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의 동작 흐름 도로서, 메모리(108)에 현재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에 대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에 따른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of a sender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of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sender confirmation data for a sender who has requested a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in the memory 108. Referring to Figure 1 as follows.

먼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임의의 송신자로부터 통신 접속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201에서 통신 접속부(102)는 수신된 통신 접속 요구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술한 임의의 송신자의 식별정보(caller ID)를 검출한다.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송신자를 나타내는 특정 번호나 DID(Direct Inward Dial)와 같은 전화번호를 이용한다.First,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n arbitrary send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201,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ler ID) of any of the aforementioned senders included in the received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Det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s, for example, a specific number representing the sender or a telephone number such as a direct inward dial (DID).

이 때, 통신 접속부(102)는 CDMA 모뎀 모듈, GSM 모뎀 모듈, PSTN 모뎀 모듈, ISDN 모뎀 모듈, ADSL 모뎀 모듈 및 그 밖의 RF 통신 모듈 중 통신망의 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모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통신 접속부(10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외부 기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오디오, 영상, 텍스트 정보로 구성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may be configured as a modem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CDMA modem module, GSM modem module, PSTN modem module, ISDN modem module, ADSL modem module and other RF communication module.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provided as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multimedia data consisting of audio, video, text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202에서 통신 접속부(102)는 검출된 식별정보와 통신 접속 요구신호를 제어부(104)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4)는 단계 203에서 통신 접속부(102)로부터 수신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06)로 전송한다. 단계 204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수신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08)를 검색한다.In step 202,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ransmits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4.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4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in step 203. In step 204,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searches the memory 108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nder.

메모리(108)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되는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그 정보는 현재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의 확인용 데이터가 된다. 메모리(108)에 저장될 수 있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로 이루어졌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과 오디오를 혼합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이거나 오디오와 텍스트 데이터를 혼합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이거나 영상과 텍스트 데이터를 혼합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이거나 영상, 오디오 및 텍스트 데이터를 모두 혼합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의 경우에는 이미지 캐릭터(image character)나 비디오 클립(video clip) 등으로 이루어진 정지영상이거나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디오의 경우에도 특정한 문구나 음성 또는 특정한 오디오 클립 또는 뮤직 클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mory 108 stores at least one sender identification d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fore, i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the information becomes data for confirmation of the sender who has requested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that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8 may include multimedia data including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or mixed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it can be multimedia data mixed with video and audio, multimedia data mixed with audio and text data, multimedia data mixed with video and text data, or multimedia data mixed with both video, audio and text data. have. In the case of an image, the image may be a still image composed of an image character, a video clip, or the like. Audio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specific phrase or voice or a specific audio clip or music clip.

단계 204에서 검색한 결과, 메모리(108)에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 처리부(106)는 이를 읽어 제어부(106)로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읽혀졌음을 보고하면서 단계 207에서 읽혀진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복원처리를 한다. 복원처리는 메모리(108)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압축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이의 역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영상인 경우에 GIF, JPEG, H.263, MPEG 1, MPEG 4등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캐릭터나 비디오 클립형태로 저장된 경우에는 이에 적합하게 복원처리를 한다.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204, if sender confi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emory 108 exists,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reads it and reports that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has been read to the control unit 106 in step 207. The restoration process for the read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performed. The restor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reverse manner when the compression method is used when stor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the memory 108. When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an image, it can be compressed by a compression method such as GIF, JPEG, H.263, MPEG 1, MPEG 4, or the like. However, if it is stored in the form of an image character or a video clip as described above without compression, the restoration process is appropriately performed.

복원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는 단계 208에서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부(104)는 접속요구 통보부(112)를 통해 수신자에게 접속요구를 통보한다. 접속요구 통보부(112)는 벨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속요구 통보부(112)를 통한 통보를 인지한 수신자가 수신 응답부(114)를 통해 수신에 응하면, 단계 209에서 단계 210으로 진행되어 통신 단말은 정상적인 통신처리 루틴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은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통화를 진행한다. 수신 응답부(114)는 수화기와 후크 스위치로 구성된 것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The restored sender confirmation data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10 in step 208 and the controller 104 notifies the receiver of the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The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a bell. If the receiver who acknowledges the notification through the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responds to the reception through the reception response unit 114,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209 to step 21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eds to a normal communication processing routin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eds with the call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The reception response section 114 may be the same as that composed of the handset and the hook switch.

그러나, 단계 209에서 수신자가 수신에 응하지 않으면, 단계 211에서 통신 단말은 통화 거부 루틴으로 진행된다.However, if the receiver does not respond in step 209,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eds to a call rejection routine in step 211.

한편, 단계 205에서 메모리(108)를 검색한 결과,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212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제어부(104)로 이러한 상태를 보고하고, 제어부(104)는 단계 213에서 접속요구 통보부(112)를 통해 접속요구를 통보한다. 이에 대해 수신자가 응하지 않으면, 단계 211로 진행되어 통신 단말은 통화 거부 루틴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mory 108 is searched in step 205 and there is no corresponding sender identification data,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reports this state to the control unit 104 in step 212, and the control unit 104 In step 213, the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notifies the connection request. If the receiver does not respo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11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eds to a call rejection routine.

그러나, 단계 214에서 수신자가 수신 응답부(114)를 통해 수신에 응하면, 단계 215에서 제어부(104)는 통신 접속부(10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216에서 단계 217로 진행된다. 단계 217에서 제어부(104)는 통신 접속부(102)를 제어하여 수신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부(106)로 전송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통신 접속부(102)로부터 전송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여 단계 218에서 출력부(110)로 출력한다.However, if the receiver responds to the reception through the reception response unit 114 in step 214, the control unit 104 confirms whether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include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n step 215. If the check result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he flow proceeds from step 216 to step 217. In step 217, the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so that the received sender confirm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processe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in a form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receiver, and outputs the data to the output unit 110 in step 218.

이와 같이 출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확인한 수신자가 단계 219에서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저장할 것을 지정하면, 제어부(104)는 데이터 처리부(106)로 현재 출력되었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저장 처리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06)는 단계 220에서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해당되는 식별 정보와 연계시켜 메모리(108)에 저장시킨 뒤, 단계 221에서 정상적인 통화 처리 루틴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단계 219에서 체크한 결과, 수신자가 출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할 것을 지정하지 않으면, 바로 단계 221로 진행되어 정상적인 통화 처리 루틴으로 진행된다.If the receiver confirming the output o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thus output is designated to be stor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in step 219, the control unit 104 performs the storing process for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currently outpu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Require. Accordingly,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associate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with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220 and stores the same in the memory 108, and then proceeds to the normal call processing routine in step 221. However,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219, if the receiver does not specify to store the output sender confirmation data, the flow proceeds directly to step 221 and proceeds to the normal call processing routi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 송출된 정보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자 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1을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upda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with information sent from the sender in the sender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more detail as follows.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부(102)로 수신된 신호에 식별 정보와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송신을 알리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301에서 통신 접속부(102)는 제어부(104)로 이를 전송한다. 제어부(104)는 단계 302에서 수신된 정보 중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계 303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해당되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08)를 검색한다. 단계 304에서 검색결과를 체크한 결과, 메모리(108)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술한 도 2의 단계 212로 진행된다. 그러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면, 단계 305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제어부(104)로 이를 통보하고, 메모리(108)에 존재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읽어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복원처리를 한다.If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signal indic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4 in step 301. The control unit 104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302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Accordingly, in step 303, the data processor 106 searches the memory 108 us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earch result in step 304, if there is no sender confirmation data in the memory 108, the flow proceeds to step 212 of FIG. However, i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s present,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notifies the control unit 104 o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step 305, and restores the data to the receiver by read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present in the memory 108. Do

단계 306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복원 처리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출력부(1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4)는 접속요구 통보부(112)를 통해 접속요구를 통보한다. 이에 따라 단계 307에서 수신자가 수신 응답부(114)를 이용하여 수신에 응하면, 단계 308에서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송신자가 송신하기를 원함을 알린다. 알리는 방식은 수신 응답부(11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데이터 처리부(106)와 출력부(110)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step 306,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outputs the restored sender confirmation data to the output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04 notifies the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connection request notification unit 112. Accordingly, when the receiver responds to the reception by using the reception response unit 114 in step 307, the receiver notifies that the sender wants to transmit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he notif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eception response unit 114 but may also use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and the output unit 110.

그 다음 단계 309에서 수신자가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기를 원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단계 310에서 단계 311로 진행되어 제어부(104)는 통신접속부(102)를 통해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은 통신 접속부(102)가 통신망을 통해 해당되는 송신자(미 도시됨)의 단말로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송출을 요구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신 접속부(102)는 데이터 처리부(106)로 이를 전송한다.Then in step 309 it is checked if the receiver wants to update with new sender identification data. As a result of the check, if it is desired to update with the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he flow proceeds from step 310 to step 311 where the control unit 104 receives the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he reception i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sending a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sender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new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such a reques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transmits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데이터 처리부(106)는 단계 312에서 인가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확인한 수신자가 단계 313에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지정하면, 제어부(104)는 지정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메모리(108)에 저장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부(106)를 제어한다. 이 때, 단계 312에서 출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는 다수개일 수 있다. 만약 단계 312에서 출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다수개인 경우에 수신자는 단계 313에서 출력되는 다수개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중 하나를 지정하여야 하고, 지정된 하나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메모리(108)에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 314에서 정상적인 통화처리 루틴으로 진행된다. 상술한 단계 310에서 체크한 결과, 수신자가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14로 진행되어 바로 정상적인 통화처리 루틴으로 진행된다.The data processor 106 output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applied in step 312 through the output unit 110. If the receiver confirming the output sender confirmation data designates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step 313, the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so that the specified sender confirmation data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08. In this case,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output in step 312 may be a plurality. If there is a large number of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 in step 312, the receiver should designate one of the plurality of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 in step 313, and one specified sender confi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108. . The process then proceeds to a normal call processing routine in step 314.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310 described above, if the receiver does not want to upd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4 and immediately proceeds to the normal call processing routin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수신자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원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when the receiver wants to store the data for the sender confirmation in the sender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detail as follows.

정보 입력부(116)로부터 임의의 송신자에 대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입력이요구되면, 단계 401에서 제어부(104)는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해당되는 송신자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입력부(118)를 통해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식별정보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면, 단계 402에서 입력된 송신자 식별정보와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06)로 각각 전송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06)는 단계 403에서 인가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08)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메모리(108)에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면, 단계 404를 통해 단계 405로 진행되어 수신자에게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한다. 업데이트 여부 확인은 데이터 처리부(106)와 출력부(110)를 통해 이루어진다.When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put for any sender is request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the control unit 104 in step 401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ata input unit 118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input.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are input, the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put in step 402 ar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data processor 106 searches the memory 108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pplied in step 403. As a result of the search, if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emory 108 exists, the flow proceeds to step 405 through step 404 to confirm whether the receiver updates. The update check is performed through the data processor 106 and the output unit 110.

확인 결과, 수신자가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업데이트를 원하는 명령을 인가하면, 단계 406에서 단계 407로 진행되어 현재 입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해당되는 송신자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메모리(108)에 업데이트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 406의 체크결과,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바로 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단계 404에서 체크한 결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408로 진행되어 현재 입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메모리(108)에 저장시킨 후, 작업을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receiver approves the command to update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406 to step 407 and the currently input sender confi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108 as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f the corresponding sender. Update and end your work. Howev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406 is not desired, the operation ends immediately. I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04, the flow advances to step 408 to store the currently input sender confirmation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108, and then ends the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확인 방법에 있어서 특정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이용하고자 할 때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data existing in a specific server is to be used as sender identification data in the sender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detail as follows.

즉,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통신 단말 사용자 또는 수신자가 특정 서버(미도시됨)로부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수신을 요구하면, 제어부(104)는 단계 501에서 통신 접속부(102)와 통신망을 통해 상술한 특정 서버와 접속한다. 접속방식은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서버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이다.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or the receiver requests the reception of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from a specific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the control unit 104 is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in step 501. Connect to a specific server. The connection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 specific server is a system that can provide sender identification data and is accessib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502에서 제어부(104)는 통신망을 통해 특정 서버로부터 원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도록 통신 접속부(102)를 제어한다. 그 다음 단계 503에서 제어부(104)는 수신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데이터 처리부(106)로 전송되어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확인한 후, 수신자가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특정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자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단계 504에서 단계 505로 진행되어 제어부(104)는 데이터 처리부(106)를 제어하여 현재 수신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정보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특정 송신자의 식별정보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서 저장시키고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 504에서 현재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저장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작업을 종료한다.In step 502, the controller 104 control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02 so that desired sender identification data can be received from a specific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ext, in step 503, the controller 104 controls the received sender identif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10. After check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er input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f the sender having the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504 to step 505 and the controller ( 104 controls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to store the currently received sender confirmation data as sender confirmation data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ender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16 and terminate the operation. However,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data currently received in step 504 is not input, the job ends without performing the storing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을 통해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영상, 오디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로 수신자가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통신 접속요구에 응하기 전에 송신자의 신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다양한 시청각적으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단조로운 서비스 환경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자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자가 송출한 데이터 뿐 아니라 수신자가 입력한 데이터와 특정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까지 수신자가 활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a function that the receiver can identify the sender's identity with multimedia data using video, audio, and text data, Not only can the identity of the sender be accurately identified before 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needs, but also the limitations of the monotonous service environment can be overcome by using various audio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eiver can utilize not only the data sent by the sender, but also the data input by the receiver and data existing in a specific server.

Claims (19)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 요구가 수신되면,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통신 접속부;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et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der reques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적어도 한 송신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통신 접속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식별정보와 통신 접속 요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면서 수신자에게 통신 접속 요구가 통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a receiver;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읽고, 상기 수신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A data process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read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and output the data to be recognized by the receiver;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so that the receiver can confirm; 상기 수신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영상, 오디오,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졌거너 둘 이상이 혼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composed of multimedia data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은 이미지 캐릭터 또는 비디오 클립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is in the form of an image character or a video cli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은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is a moving im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오디오는 특정한 문구의 음성 또는 특정한 오디오 클립 또는 뮤직 클립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audio stored in the memory is in the form of a voice of a specific phrase or a specific audio clip or music cli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요구가 상기 수신자에게 통보될 수 있도록 제어한 후, 상기 통신 접속부를 통해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transmitter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nnection request to be notified to the receiver when there is no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and then confirms the sen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receiving the data, the control unit may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해 상기 수신자가 저장을 원할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상기 송신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tor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in the memory when the receiver wants to store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 sen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접속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송신자의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 송신을 알리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수신자가 업데이트를 원할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새로운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memory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notifies the receiver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ata informing of the new sender confirmation data transmission of the sender ar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and the memory is received when the receiver wants to update. And the data stored in the controller is updated so as to be updated with the new sender identification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은 상기 수신자에 의해 소정의 송신자에 대응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he sender further comprises a data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nder by the recei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data input unit comprises an interface circuit which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a device provided outsi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ata process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소정의 송신자의 확인용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update the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when the predetermined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exists in the memory.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he send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통신 접속부 또는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거나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혀진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는 복원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transmitter of claim 1,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outputs or compresse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r the data input unit to the output unit and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and restore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read from the memory.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서버에 존재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서 수신이 요구되면, 상기 통신 접속부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정의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transmit predetermined data existing in a predetermined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as predetermined sender identification data.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with the predetermined server,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and controlling the received predetermined data to be stored in the memory as the predetermined sender identification data. 통신망과 접속이 가능한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 수신자가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he receiver to identify the sender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단말로 통신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통신 접속을 요구한 송신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자에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a)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ing whether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nder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b)상기 (a)단계 수행결과,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읽어 상기 수신자가 상기 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b) a result of performing the step (a), and if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stored, reading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receiver can identify the sender. Sender verification method u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은,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nd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 상기 (a)단계 수행결과,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통신 접속요구를 상기 수신자에게 통보하는 단계;(c) notify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the receiver if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not stored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a); (d)상기 (c)단계를 통한 통보에 대해 상기 수신자가 응답을 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d) when the receiver responds to the notification in step (c), confirming whether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sender identification data; (e)상기 (d)단계 수행결과,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가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e) confirming whether the receiver receives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when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s included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d); (f)상기 수신자가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원하는 경우에,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f) if the receiver wants to receive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outputting the sender confirmation data in a form that the receiver can confirm; (g)상기 (f)단계 수행 후, 상기 수신자가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원할 경우에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g) after performing step (f), if the receiver wants to store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storing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sender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확인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nder verification method, (c)상기 수신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자에 대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서 이용하기를 원할 경우에, 상기 소정의 송신자에 할당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c) when the receiver wants to use predetermined data as sender identific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sender, storing the predetermined data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sender. Send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소정의 송신자에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해당되는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로 업데이트되도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ep (c) comprises storing the corresponding sender confirmation data to be updated with the predetermined data when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ender is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end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nder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상기 수신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소정의 서버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자에 대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서 요구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소정의 서버를 접속시키는 단계;(c) when the receiver requests predetermined data included in a predetermined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sender confirmation data for a predetermined send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redetermined server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Making a connection; (d)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d)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e)상기 (d)단계에서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송신자에 대한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e) storing the predetermined data received in the step (d) as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for the predetermined send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확인용 데이터는 영상 또는 오디오 또는 텍스트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의 데이터가 혼합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신자 확인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nder identification data is formed of any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or multimedia data mixed with two or more data.
KR1020000040981A 2000-07-18 2000-07-18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KR100739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81A KR100739662B1 (en) 2000-07-18 2000-07-18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81A KR100739662B1 (en) 2000-07-18 2000-07-18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99A true KR20020007599A (en) 2002-01-29
KR100739662B1 KR100739662B1 (en) 2007-07-13

Family

ID=1967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81A KR100739662B1 (en) 2000-07-18 2000-07-18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6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8B1 (en) * 2003-12-31 2006-08-16 동남정공(주) Cable Tra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227A (en) * 1996-02-12 1997-09-12 구자홍 Method of transmitting video for identification of sender in cellular phone
JPH10233833A (en) * 1997-02-17 1998-09-02 Kenwood Corp Portable telephone set
JPH10327232A (en) * 1997-05-27 1998-12-08 Daiichi Kosho:Kk Portable telephone set
KR100459156B1 (en) * 1997-11-26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 originator message during a call setup,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ransmitting a message showing a caller's situations as well a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KR100396277B1 (en) * 1998-08-06 2003-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generate alarm soun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aller information
KR20000039397A (en) * 1998-12-12 2000-07-05 이계철 Video telephone capable of storing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caller's image
KR100344786B1 (en) * 1999-07-15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Call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Forward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058785A (en)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Method for displying caller identification in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2523B1 (en) * 1999-12-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caller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68B1 (en) * 2003-12-31 2006-08-16 동남정공(주) Cable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662B1 (en) 200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388B1 (en) Method for setting receiving tone in wireless terminal
KR200100247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voicemai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9034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lock in a mobile station
EP1231798B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64984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3966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firming transmitter used thereof
US6111942A (en) Communication transfer apparatus
KR20040034865A (en) Phone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d user information
JPH02222356A (e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5920610A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atabase of customers&#39; telephone numbers
KR100312316B1 (en) Short message service contr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JPH10173756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439219B1 (en) KEEP-PHONE having a caller detail information transfer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434647B1 (en) Method and apparauts for supply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network
JPH09247293A (en) Network terminal device
KR100464497B1 (en) telephone having an function for transferring a call message in abs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456114B1 (en) CID telephone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of SM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2002300264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637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ring service
KR0137700B1 (en) Polling method of video telephone
KR20060122102A (e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enable to receipt switching and its operating method
KR0162615B1 (en) Specifying inner line to read given-up call data in key-phone system
KR100631697B1 (en) How to use ID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20020049093A (en) Bidirectional CID data transfer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