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10A - Photomask - Google Patents

Photo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510A
KR20020007510A KR1020000040600A KR20000040600A KR20020007510A KR 20020007510 A KR20020007510 A KR 20020007510A KR 1020000040600 A KR1020000040600 A KR 1020000040600A KR 20000040600 A KR20000040600 A KR 20000040600A KR 20020007510 A KR20020007510 A KR 2002000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pace
line
photomas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동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510A/en
Publication of KR2002000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1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6Masks having proximity correction features; Preparation thereof, e.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esign processes

Abstract

PURPOSE: A photomask is provided to prevent the intensity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a space region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the profile of a photoresist layer pattern confining a fine contact hole and the space region is optimiz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by forming a mask region in the space region of the photomask having a line/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CONSTITUTION: A mask material pattern(3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30), composed of the line/space pattern(35) and the contact pattern(36). The line/space pattern has at least one mask region cover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pace region(32) of the line/space pattern.

Description

포토마스크{PHOTOMASK}Photomask {PHOTOMASK}

본 발명은 포토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인/스페이스 패턴 및 콘택 패턴을 함께 형성하는 포토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mask for forming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together.

반도체 장치의 각종 패턴은 리소그라피(Lithography) 기술에 의해 형성된다. 리소그라피 기술은 빛을 이용한 광 리소그라피, 전자빔(E-Beam)을 이용한 전자빔 리소그라피, X선을 이용한 X선 리소그라피로 분류된다.Various pattern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 formed by lithography technology. Lithography techniques are classified into light lithography using light, electron beam lithography using electron beam (E-Beam), and X-ray lithography using X-ray.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 리소그라피 기술에 의한 패턴의 형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체기판 상에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절연막이나 도전막 등을 형성한다. 둘째 자외선 등과 같은 광선의 조사에 의해 용해도(Solubility)가 변화하는 감광막을 형성한다. 셋째 감광막의 소정 부분을 광선에 노출시킨 후 현상 공정을 통해 용해도가 큰 부분을 제거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넷째 감광막 패턴을 식각 저지막으로 사용하여 감광막 패턴에 의해 노출된 절연막이나 도전막 등을 식각한다. 다섯째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배선이나 전극 등 각종 패턴을 형성한다.The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by the optical lithography technique most commonly used is as follows. First, an insulating film or a conductive film to form a patter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econd, a photosensitive film whose solubility is changed by irradiation with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is formed. Third, afte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hotoresist film is exposed to light, a portion having high solubility is removed through a developing process to form a photoresist pattern. Fourth, an insulating film, a conductive film or the like exposed by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is etched using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as an etch stop film. Fifth,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is removed to form various patterns such as wiring and electrodes.

상기 셋째 단계의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이 광 리소그라피 기술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보다 다양하고 미세한 패턴이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광막의 소정 부분에만 광선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포토마스크 패턴이 요구된다. 포토마스크는 Cr 등의 차광 재료로 구성된 포토마스크 패턴을 투명 석영 기판 상에 형성시켜 제조한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photoresist pattern of the third step must be the key element in the optical lithography technology. The rapid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requires more diverse and fine patterns. In order to form such a pattern, a photomask pattern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rays only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film is required. The photomask is produced by forming a photomask pattern made of a light blocking material such as Cr on a transparent quartz substrate.

일반적인 포토마스크 패턴은 라인/스페이스(Line/Space) 패턴 과 콘택(Contact) 패턴이 있다. 라인/스페이스 패턴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한쪽 변이 수직한 다른 변에 비해 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막 상에 포토마스크의 라인/스페이스 패턴에 의한 패터닝을 하면 감광막이 남아있는 부분은 감광막 라인 패턴이 되고, 감광막 라인 패턴 사이의 공간은 감광막 스페이스 패턴이 된다. 라인/스페이스 패턴은 반도체기판 상에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콘택 패턴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의 적층구조 예컨대, 배선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Common photomask patterns include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The line / space pattern is rectangular in shape and longer in length than the other in which one side is vertical. When patterning is performed on the photoresist by the line / space pattern of the photomask,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hotoresist becomes a photoresist line pattern, and the space between the photoresist line patterns becomes a photoresist space pattern. The line / space pattern is used when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The contact pattern is used to connect a stack structure, for example, wiring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formed by the line / space pattern in a shape close to a square.

일반적으로 라인/스페이스 패턴과 콘택 패턴은 동시에 형성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광 리소그라피 공정에서 포토마스크 패턴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는 라인/스페이스와 콘택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감광막 상에 포토마스크의 라인/스페이스 패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의 세기와 포토마스크의 콘택 패턴을 통한 빛의 세기를 동시에 조절하기 곤란하여 정확한 감광막 패턴 형성이 어렵고 또한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다양한 구조가 요구되어지면서 라인/스페이스 패턴과 콘택 패턴을 함께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Generally, the line / space pattern and the contact pattern are not formed at the same time. The reason is that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hotomask patter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ne / space and contac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intensity of light incident on the photoresist through the line / space pattern of the photomask and the intensity of light through the contact pattern of the photomask, and thus it is difficult to form an accurate photoresist pattern and secure a process margin. to be. However, as various structures are required in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need to be formed together.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라인/스페이스 패턴과 콘택 패턴을 함께 형성하는 경우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at occur when the line / space pattern and the contact pattern are formed togeth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포토마스크(20)는 투명 석영 기판(1)과 그 한쪽면 상에 형성된 차광물질 패턴(3)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물질 패턴(3)은 크롬(Cr)과 같은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고, 기판(1)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포토마스크(20)의 차광물질 패턴(3)은 라인/스페이스 패턴(10) 및 콘택 패턴(11)을 함께 포함한다.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10)은 서로 평행한 스페이스 영역(7)들과 이들 스페이스 영역(7)들 사이의 라인 영역들(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hotomask 20 includes a transparent quartz substrate 1 and a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3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he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3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uch as chromium (Cr), and includes patterns that expose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ubstrate 1. The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3 of the photomask 20 includes a line / space pattern 10 and a contact pattern 11 together. The line / space pattern 10 consists of space regions 7 parallel to each other and line regions 9 between these space regions 7.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3) 상에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10) 및 콘택 패턴(11)을 함께 형성하고자 하는 소정의 막(15)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소정의 막(15) 전면에 감광막, 예컨대 포지티브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상기 감광막을 도 1의 포토마스크(20)를 사용하여 노광시킨 후에, 상기 노광된 감광막을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17)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포토마스크(20)의 라인 영역(9), 스페이스 영역(7) 및 콘택 패턴(11)에 각각 해당하는 라인부(9a), 스페이스부(7a) 및 콘택부(11a)를 한정하는 감광막 패턴(17)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a predetermined film 15 for forming the line / space pattern 10 and the contact pattern 11 together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3. Subsequently, a photoresist, for example, a positive photoresist,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film 15, and then the photoresist is exposed using the photomask 20 of FIG. 1, and then the exposed photoresist is developed to develop a photoresist pattern 17. ). Accordingly, the line portion 9a, the space portion 7a, and the contact portion 11a corresponding to the line region 9, the space region 7 and the contact pattern 11 of the photomask 20 are defined.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17 is formed.

여기서, 빛의 세기와 감광막과의 관계를 알아보면, 감광막 상의 소정 부분에 빛의 세기가 약하게 조사되면 하부 감광막까지 빛이 충분히 침투하지 못하며, 따라서 감광막과 반응을 일으켜 용해도를 변화시키지 못한다. 이는 후속의 현상 공정에서 감광막이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게 만든다. 또한, 빛의 세기가 과도하게 감광막 상에 조사되면 감광막 상의 소정 부분을 벗어난 영역까지 빛이 침투하여 감광막의 용해도를 변화시키고 따라서 정확한 감광막 패턴을 구현하기 어렵다.Her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intensity and the photoresist film is detected, when light intensity is irradia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photoresist film, light does not sufficiently penetrate to the lower photoresist film, and thus does not react with the photoresist film to change its solubility. This leaves the photoresist film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process without being removed. In addition, when the light intensity is excessively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film, light penetrates to a region beyond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photoresist film to change the solubility of the photoresist film,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n accurate photoresist pattern.

상기 포토마스크(20)의 콘택 패턴(11)의 면적이 라인/스페이스 패턴(10)의 스페이스 영역(7)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즉, 콘택 패턴(11)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에 비하여 스페이스 영역(7)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월등히 강하다. 따라서, 빛의 세기를 감광막 패턴(17)의 콘택부(11a) 프로파일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조사하면, 스페이스 영역(7)을 투과하는 빛은 상대적으로 과도하게 감광막에 조사된다. 이러한 결과로 감광막 패턴(17)의 스페이스부(7a)가 과도하게 확장되고 감광막 패턴(17)의 라인부(9a)는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포토마스크(20)의 라인/스페이스 패턴(10)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빛을 조사하면, 감광막 패턴(17)의 콘택부(11a)가 완전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감광막의 일부가 잔존한다. 또한, 포토마스크(20)의 라인/스페이스 패턴(10)에서 스페이스 영역(7)을 작게 형성한 다음, 콘택 패턴(11)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빛의 세기로 노광을 하여 감광막 패턴(17)의 스페이스부(7a)가 확장되는 양을 보상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노광 공정 조건의 하나인 초점의 변화에 따라서 감광막 패턴(17)의 스페이스부(7a) 프로파일과 크기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소정의 막(15)이 단차가 있는 경우는 초점의 변화에 따른 감광막 패턴(17)의 프로파일과 크기가 극히 불안정하여 후속의 식각 공정에서 감광막 패턴(17)의 라인부(9a)가 소실되어 공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상술한 문제들로 인하여 라인/스페이스 패턴(10)과 콘택 패턴(11)은 동시에 함께 형성하지 못하고 라인/스페이스 패턴(10)과 콘택 패턴(11)을 독립적으로 2회의 사진공정을 거쳐 형성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반도체 제조공정의 증가로 생산성 악화를 초래한다.The area of the contact pattern 11 of the photomask 2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pace area 7 of the line / space pattern 10. That is,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region 7 i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attern 11. Therefore, when the light intensity is irradiated under conditions for optimizing the profile of the contact portion 11a of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17,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region 7 is irradiated to the photosensitive film relatively excessively. As a result, the space portion 7a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may be excessively expanded and the line portion 9a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may become relatively small. In addition, when light is irradiated under conditions for optimizing the line / space pattern 10 of the photomask 20, the contact portion 11a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may not be completely formed and a part of the photoresist film remains. In addition, the space region 7 is formed small in the line / space pattern 10 of the photomask 20, and then exposed to light intensity for optimizing the contact pattern 11 to expose the space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There is also a way to compensate for the amount by which the portion 7a is expanded.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rofile and the size of the space portion 7a of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17 are not formed uniform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cus, which is one of the exposure process conditions. In particular, when the predetermined film 15 to form the pattern has a step, the profile and the size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are extremely unstable due to the change in focus, so that the line portion of the photoresist pattern 17 is subjected to subsequent etching. (9a) is lost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process stable. 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line / space pattern 10 and the contact pattern 11 may not be formed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thus the line / space pattern 10 and the contact pattern 11 are formed independently through two photographic processes. Addition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increase productivity.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빛의 세기, 초점 등의 노광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공정마진을 확보하면서 콘택 패턴 및 라인/스페이스 패턴의 프로파일을 1회의 사진공정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는 포토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photomask that can optimize the profile of the contact pattern and the line / space pattern in one photo process while securing process margins without being concerned with exposure conditions such as light intensity and focus. To provide.

도 1은 종래의 라인/스페이스 패턴 및 콘택 패턴이 형성된 포토마스크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photomask in which a conventional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are formed.

도 2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a photosensitive film pattern along the II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스페이스 패턴 및 콘택 패턴이 형성된 포토마스크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photomask in which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a photosensitive film pattern along II-II in FIG. 3.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형성된 차광물질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물질 패턴은 라인/스페이스 패턴및 콘택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은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의 스페이스 영역의 소정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영역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중심부를 지나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페이스 영역을 양분한다. 상기 차광영역의 폭은 사진공정의 한계 해상도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shielding material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light-shielding material pattern is composed of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the line / space pattern is the line And having at least one light shielding area cover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pace area of the / space pattern. The light blocking area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 area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ace area, thereby dividing the space area. The width of the light shielding area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limit resolution of the photographic process.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지티브 감광막을 사용하기 위한 포토마스크의 경우에 대해서만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은 네가티브 감광막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e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ified only in the case of a photomask for using a positive photosensitive film,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using a negative photosensitive film.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토마스크(50)는 투명한 기판(30)과, 상기 기판(30)의 한쪽 표면 상에 형성된 차광물질 패턴(31)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물질 패턴(31)은 크롬(Cr)과 같은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고, 기판(30)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패턴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물질 패턴(31)은 라인/스페이스 패턴(35) 및 콘택 패턴(36)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35)은 서로 평행한 스페이스 영역들(32)과 이들 스페이스 영역들(32) 사이의 라인 영역들(3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hotomask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substrate 30 and a light shielding material pattern 3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30. The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31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uch as chromium (Cr) and includes patterns that expose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ubstrate 30. In detail, the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31 includes a line / space pattern 35 and a contact pattern 36. The line / space pattern 35 is composed of space regions 32 parallel to each other and line regions 34 between these space regions 32.

상기 콘택 패턴(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물질이 제거되어 기판(30)을 노출시킨다. 이에 반하여, 상기 스페이스 영역(32)은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직사각형 형태의 광투과 영역(38a)과 상기 광투과 영역(38a)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바(Bar) 형태의 차광영역(38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32)을통과하는 빛의 세기는 상기 차광영역(38b)에 의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미세한 콘택홀의 프로파일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콘택 패턴(36)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증가시킬지라도, 상기 스페이스 영역(32)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세한 콘택홀과 아울러 스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감광막 패턴의 프로파일을 1회의 사진공정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act pattern 36 may remove the light blocking material to expose the substrate 30. On the contrary,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space area 32 is a rectangular light transmission area 38a and at least one bar-shaped light blocking area 38b crossing the light transmission area 38a. It consists of. Therefore,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area 32 is reduced by the light blocking area 38b. Accordingly, even if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attern 36 is increased to optimize the profile of the fine contact hole, the phenomenon of excessivel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region 32 can be prevented. have. As a result, the profile of the photoresist pattern defining the space region as well as the fine contact hole can be optimized in one photographing process.

상기 차광영역(38b)은 상기 광투과 영역(38a)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광투과 영역(38a)을 양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차광영역(38b)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하고자 하는 사진공정의 조건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light blocking area 38b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38a, thereby dividing the light transmitting area 38a. However,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light blocking regions 38b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photo process to be performed.

도 4는 도 3의 포토마스크(50)를 사용하여 반도체기판 상에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a photoresist patter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ing the photomask 50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40) 상에 절연막, 반도체막 또는 도전막과 같은 물질막(42)을 형성한다. 상기 물질막(42) 상에 감광막, 예컨대 포지티브 감광막을 도포한다. 상기 감광막을 도 3의 포토마스크(50)를 사용하여 노광시킨 후에, 상기 노광된 감광막을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4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포토마스크(50)의 라인 영역(34), 스페이스 영역(32) 및 콘택 패턴(36)에 각각 해당하는 라인부(34a), 스페이스부(32a) 및 콘택부(36a)를 한정하는 감광막 패턴(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마스크(50)를 사용하여 감광막 패턴(44)을 형성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부(36a), 라인부(34a) 및 스페이스부(32a)의 프로파일을 모두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포토마스크(50)의콘택 패턴(36)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증가시킬지라도 상기 스페이스 영역(32)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는 상기 차광영역(38b)에 기인하여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차광영역(38b)은 입사되는 빛의 세기만을 감소시킬뿐, 빛의 회절현상에 의하여 감광막 패턴(17)에 차광에 의한 라인 패턴을 형성시키지 않을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갖는다. 즉, 상기 차광영역(38b)의 폭은 사진공정의 한계 해상도 보다 작다.Referring to FIG. 4, a material film 42 such as an insulating film, a semiconductor film, or a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40. A photoresist, for example, a positive photoresist, is applied onto the material layer 42. After exposing the photoresist using the photomask 50 of FIG. 3, the exposed photoresist is developed to form a photoresist pattern 44. Accordingly, the line portion 34a, the space portion 32a, and the contact portion 36a corresponding to the line region 34, the space region 32, and the contact pattern 36 of the photomask 50 may be defined.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44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hotoresist pattern 44 is formed using the photomask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file of the contact portion 36a, the line portion 34a, and the space portion 32a is formed. All can be optimized. This is because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region 32 decreases due to the light blocking region 38b even though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attern 36 of the photomask 50 is increased. . The light blocking region 38b reduces only the intensity of incident light and has a size small enough not to form a line pattern due to light blocking on the photoresist pattern 17 due to light diffraction. That is, the width of the light shielding area 38b is smaller than the limit resolution of the photographic process.

또한, 노광 공정의 조건은 초점, 빛의 조사시간, 감광막의 종류 및 감광막의 두께 등의 여러 변수에 의해 포토마스크(50)의 패턴을 감광막 패턴(44)으로 구현하게 된다. 상기 포토마스크(50)의 스페이스 영역(32) 내에 삽입된 차광영역(38b)에 의해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의 여러 노광 조건 변수들을 동시에 조절하는데 있어 노광 공정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itions of the exposure process may implement the pattern of the photomask 50 as the photoresist pattern 44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focus, light irradiation time, type of photoresist film, and thickness of the photoresist film.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 intensity by the light shielding area 38b inserted into the space area 32 of the photomask 50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the margin of the exposure process in controlling the various exposure condition variables at the same time.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라인/스페이스 패턴 및 콘택 패턴을 함께 형성한 포토마스크의 스페이스 영역 내에 차광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스 영역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미세한 콘택홀과 아울러 스페이스 영역을 한정하는 감광막 패턴의 프로파일을 1회의 사진공정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shielding area is formed in the space area of the photomask in which the line / space pattern and the contact pattern are formed together to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pace area.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file of the photoresist pattern defining the space region as well as the fine contact hole can be optimized in one photo process.

Claims (3)

투명한 기판; 및Transparent substrates; And 상기 투명한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형성된 차광물질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물질 패턴은 라인/스페이스 패턴 및 콘택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은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의 스페이스 영역의 소정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And a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light blocking material pattern includes a line / space pattern and a contact pattern, and the line / space pattern defines a predetermined area of a space area of the line / space pattern. A photomask having at least one light shielding area to c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광영역은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중심부를 지나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페이스 영역을 양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And the light blocking area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 area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pace area, thereby dividing the space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광영역의 폭은 사진공정의 한계 해상도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The width of the light shielding reg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limit resolution of the photo process.
KR1020000040600A 2000-07-14 2000-07-14 Photomask KR200200075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00A KR20020007510A (en) 2000-07-14 2000-07-14 Photo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00A KR20020007510A (en) 2000-07-14 2000-07-14 Photo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10A true KR20020007510A (en) 2002-01-29

Family

ID=1967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600A KR20020007510A (en) 2000-07-14 2000-07-14 Photo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51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7297B1 (en) Self-aligned method of making phase-shifting lithographic masks having three or more phase-shifts
KR100472412B1 (en) Method of forming patterns in semiconductor device and Photo mask utilized therefor
US5888678A (en) Mask and simplified method of forming a mask integrating attenuating phase shifting mask patterns and binary mask patterns on the same mask substrate
US66456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integrated circuit using polarization properties of light
KR100618811B1 (en) Phase shifting mask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939225B2 (en) Mask for controlling line end shortening and corner rounding arising from proximity effects
US8071264B2 (en) Pattern formation method using levenson-type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venson-type mask
US7419767B2 (en) Phase-shifting mask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the same
US20040256356A1 (en) Photolithographic mask
KR20030056499A (en) Mask for Forming Minute Pattern
KR100465067B1 (en) Photo mas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a photosensitive film pattern of using the same
JPH10123697A (en) Phase shift mask and its manufacture
KR20020007510A (en) Photomask
US5747196A (en) Method of fabricating a phase-shift photomask
KR10027891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mask of semiconductor device
KR19980065703A (en) Halftone phase invers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95049B1 (en) Lithography mask
KR100434707B1 (en) Exposure mask fo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e
KR100310419B1 (en) exposing method using phase shift mask
US630654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APSM-type masks used to produce integrated circuits
KR19980077753A (en) Pattern Form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by Photolithography Process
KR0151228B1 (en) Photomask for preparing resist pattern
KR100669559B1 (en) Phase shift mask for contact hole
KR20020089652A (en) Photomask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0138279B1 (en) Exposure method and therein used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