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825A -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825A
KR20020006825A KR1020000040269A KR20000040269A KR20020006825A KR 20020006825 A KR20020006825 A KR 20020006825A KR 1020000040269 A KR1020000040269 A KR 1020000040269A KR 20000040269 A KR20000040269 A KR 20000040269A KR 20020006825 A KR20020006825 A KR 2002000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ssage
length
decod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미선
맹승주
조성권
고채석
이준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825A/en
Publication of KR2002000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82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8Wal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multi length fra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a frame error rate by detecting a frame with an inserted length in case of receiving the multi length frame and replacing an interval of the detected frame length with a setting value. CONSTITUTION: The first frame processor has the first deinterleaver(419) for deinterleaving a received message frame by the first frame length unit, the first decoder(421) for decoding the message frame deinterleaved in the first deinterleaver(419), and the first error detector(423) for detecting an error of the message frame decoded in the first decoder(421). A frame replacer includes a controller(425) for being driven when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nd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t an interval in which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nd a replacer(427) for being driven at a corresponding interval whe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ler(425) is received and replacing a frame interval of the detected first frame length with certain data. The second frame processor has the second deinterleaver(431) for 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by the second frame length unit, the second decoder(433) for decoding the message frame deinterleaved in the second deinterleaver(431), and the second error detector(435) for detecting an error of the message frame decoded in the second decoder(433).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중길이 프레임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length fr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길이의 프레임이 인터믹스 모드로 전송되었을 때 수신단에서의 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t a receiving end when a multi-length frame is transmitted in an intermix mode.

상기 인터믹스 모드(intermix mode)란 상위 계층(layer)에서 5ms 프레임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 5ms 프레임을 따로 전송하지 않고 20ms 프레임내에 5ms 프레임의 길이만큼을 천공하여 그 자리에 5ms 프레임을 대신 실어서 전송하는 방법이다.In the intermix mod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5ms frame in a higher layer, a 5ms frame is punctured in a 20ms frame instead of a 5ms frame, and a 5ms frame is loaded instead. How to send.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다중 길이 프레임 수신 장치 및 방법은 5ms 프레임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검출기를 통과하여 검출되었을 때 5ms 프레임은 따로 복호하고, 20ms 프레임은 내부에 5ms 프레임의 데이터가 실린채로 복호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은 20ms 프레임내의 5ms 프레임이 오류로 인식되어 20ms 프레임의 프레임오류율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Currently,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multi-length frame in an intermix mode decode a 5 ms frame separately when a 5 ms frame is detected through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error detector, and a 5 ms frame has 5 ms frame data therein. It is decrypted with it.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frame error rate of the 20ms frame is too high because 5ms frame in the 20ms frame is recognized as an error.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순방향과 역방향의 송신기 및 수신기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the intermix m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순방향 송신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orward transmitt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CRC 발생기(111) 및 (112)는 수신측에서 프레임의 품질(오류 여부)을 판단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20ms 및 5ms 정보비트 후단에 CRC를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CRC 발생기(111) 및 (112)는 라디오 구성(Radio Configuration : RC) 및 데이터율(data rate)에 따라 각기 다른 비트의 CRC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테일비트발생기(tail bit encoder)(113) 및 (114)는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종결(terminate)하는데 필요한 테일비트를 생성하며, 8비트의 테일비트를 생성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기 CRC 발생기(111) 및 (112)의 출력에 부가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RC generators 111 and 112 perform a function of adding a CRC to a rear end of the 20ms and 5ms information bits that are input so that the receiver can determine the quality (error) of the frame. In this case, the CRC generators 111 and 112 generate and add CRCs of different bits according to a radio configuration (RC) and a data rate. Tail bit encoders 113 and 114 generate tail bits necessary for terminating an error correction code, and generate 8-bit tail bits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RCs. In addition to the output of the generators 111 and 112, it outputs.

부호기(encoder)(115) 및 (116)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테일 비트 발생기(113) 및 (114)의 출력을 입력하여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이때 부호화율(encoding rate)은 RC 및 데이터율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부호기로는 길쌈부호기(convolutional coder), 터보부호기(turbo coder) 등이있다.The encoders 115 and 116 input and encode the outputs of the corresponding tail bit generators 113 and 114,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encoding rate use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RC and the data rate. Examples of the coder include a convolutional coder and a turbo coder.

반복기(symbol repetition)(117) 및 (118)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부호기(115) 및 (116)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주어진 규칙에 의해 소정횟수 반복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반복기(117) 및 (118)는 RC 및 데이터율에 따라 각기 다른 횟수로 반복하여 출력한다. 천공기(symbol puncture)(119) 및 (120)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반복기(117) 및 (118)의 출력을 입력하여 주어진 패턴에 의해 천공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천공기(119) 및 (120)는 5ms의 프레임인 경우 천공하지 않으며, 20ms의 프레임인 경우 RC 및 데이터율에 따가 각기 다른 패턴으로 천공된다.The symbol repetition 117 and 118 take output coded data of the corresponding encoders 115 and 116 as inputs, respectively, and repeatedly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a given rule. At this time, the repeaters 117 and 118 repeatedly output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RC and data rate. Symbol punctures 119 and 120 input the outputs of the corresponding repeaters 117 and 118, respectively, and puncture the output according to a given pattern. In this case, the puncturers 119 and 120 do not puncture when the frame is 5ms, and when punctured by 20ms, the puncturers 119 and 120 are punctured in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RC and data rate.

인터리버(interleaver)(121) 및 (122)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천공기(119) 및 (12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인터리버(121) 및 (122)는 메시지의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버스트 에러(burst error)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The interleavers 121 and 122 interleave and output the output data from the corresponding punchers 119 and 120, respectively. That is, the interleavers 121 and 122 change the bit arrangement in the frame on a frame-by-frame basis of the message, thereby improving immunity to burst errors.

인터믹서(intermixer)(123)는 상기 인터리버(121) 및 (122)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5ms, 20ms 프레임을 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병합하는 방법은 20ms의 프레임이 전송되고 있을 때 5ms 프레임이 발생하면, 20ms 프레임에서 5ms 만큼을 천공하여 그 자리에 5ms 프레임을 대신 실어서 전송한다.An intermixer 123 merges the 5 ms and 20 ms frames output from the interleaver 121 and 122. In the merging method, when a 5ms frame is generated while a 20ms frame is being transmitted, a 5ms frame is punctured in a 20ms frame and a 5ms frame is loaded instead.

신호변환기(signal mapping block)(125)는 전송신호의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신호변환기(125)는 송신신호가 1의 논리를 가지면 -1로, 0의 논리를 가지면 +1로 변환시킨다. 직교부호발생기(orthogonal codegenerator)(129)는 순방향 채널 구분에 사용하기 위한 직교부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직교부호는 월시부호(walsh code) 또는 의사 직교부호(Quasi-orthogonal c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곱셈기(127) 및 (131)은 상기 직교 부호 발생기(129)에서 출력되는 직교부호와 각각 대응되는 I채널 및 Q채널의 신호를 혼합하여 순방향 링크의 확산신호를 출력한다. 변조기(133)는 상기 곱셈기(127) 및 (1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QPSK 변조하여 출력한다.The signal mapping block 125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 signal of a transmission signal. That is, the signal converter 125 converts the transmission signal into -1 if the transmission signal has a logic of 1, and +1 if the transmission signal has a logic of 0. An orthogonal codegenerator 129 generates an orthogonal code for use in forward channel division. The orthogonal code may be a Walsh code or a quasi-orthogonal code. The multipliers 127 and 131 mix the signals of the I channel and the Q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orthogonal codes output from the orthogonal code generator 129 and output spread signals of the forward link. The modulator 133 receives QPSK-modulated signals output from the multipliers 127 and 131 and outputs them.

도 2는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송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송신기의 구성은 순방향 송신기의 구성과 유사하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verse transmitt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reverse transmitter is similar to that of the forward transmitter.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CRC 발생기(211) 및 (212)는 수신측에서 프레임의 품질(오류 여부)을 판단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20ms 및 5ms 정보비트 후단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CRC 발생기(211) 및 (212)는 RC 및 데이터율(data rate)에 따라 각기 다른 비트의 CRC를 생성하여 부가한다. 테일비트발생기(tail bit encoder)(213) 및 (214)는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종결(terminate)하는데 필요한 테일 비트를 생성하며, 8비트의 테일 비트를 생성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기 CRC발생기(211) 및 (212)의 출력에 부가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RC generators 211 and 212 add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to the back end of the 20ms and 5ms information bits inputted to determine the quality (error) of the frame at the receiver. Perform the function. At this time, the CRC generators 211 and 212 generate and add CRCs of different bits according to RC and data rate. Tail bit encoders 213 and 214 generate tail bits necessary for terminating an error correction code, and generate tail bits of 8 bits to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RCs. In addition to the outputs of the generators 211 and 212, it is output.

부호기(encoder)(215) 및 (216)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테일 비트 발생기(213) 및 (214)의 출력을 입력하여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이때 부호화율(encoding rate)은 RC 및 데이터율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부호기로는 길쌈부호기, 터보부호기 등이 있다.The encoders 215 and 216 input, encode,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outputs of the tail bit generators 213 and 214,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encoding rate uses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RC and the data rate, and the encoders used include a convolutional encoder and a turbo encoder.

반복기(symbol repetition)(217) 및 (218)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부호기(215) 및 (216)의 출력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주어진 규칙에 의해 소정횟수 반복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반복기(217) 및 (218)은 RC 및 데이터율에 따라 각기 다른 횟수로 반복하여 출력한다. 천공기(symbol puncture)(219) 및 (220)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반복기(217) 및(218)의 출력을 입력하여 주어진 패턴에 의해 천공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천공기(219) 및 (220)은 5ms의 프레임인 경우 천공하지 않으며, 20ms의 프레임인 경우 RC 및 데이터율에 따가 각기 다른 패턴으로 천공된다.The symbol repetition 217 and 218 take as input the output encoded data of the corresponding encoders 215 and 216, respectively, and repeatedly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a given rule. In this case, the repeaters 217 and 218 are repeatedly output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RC and data rate. Symbol punctures 219 and 220 input the outputs of the corresponding repeaters 217 and 218, respectively, and puncture the output according to a given pattern. In this case, the puncturers 219 and 220 do not puncture when the frame is 5ms, and when the frame is 20ms, the puncturers 219 and 220 are punctured in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RC and data rate.

인터리버(interleaver)(221) 및 (222)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천공기(219) 및 (22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인터리버(221) 및 (222)는 메시지의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버스트 에러(burst error)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The interleavers 221 and 222 interleave and output the output data from the corresponding punchers 219 and 220, respectively. That is, the interleavers 221 and 222 change the bit arrangement in the frame on a frame-by-frame basis of the message to improve resistance to burst errors.

인터믹서(intermixer)(223)는 상기 인터리버(221) 및 (222)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5ms, 20ms 프레임을 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병합하는 방법은 20ms의 프레임이 전송되고 있을 때 5ms 프레임이 발생하면, 20ms 프레임에서 5ms 만큼을 천공하여 그 자리에 5ms 프레임을 대신 실어서 전송한다.An intermixer 223 merges the 5 ms and 20 ms frames output from the interleaver 221 and 222. In the merging method, when a 5ms frame is generated while a 20ms frame is being transmitted, a 5ms frame is punctured in a 20ms frame and a 5ms frame is loaded instead.

신호변환기(signal mapping block)(225)는 전송신호의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신호변환기(225)는 송신신호가 1의 논리를 가지면 -1로, 0의 논리를 가지면 +1로 변환시킨다. 직교확산기(227)는 월시 부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229)는 상기 직교 확산기(227)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월시 부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변환기(225)에서 출력되는 변환된 전송신호를 확산하여 출력한다. 복소곱셈기(231)는 도시하지 않은 확산시퀀스 발생기(PN sequence generator)에서 출력되는 PN부호(Pseudo Random Noise sequence) PNi 및 PNq를 입력하여 각각 대응되는 I채널 및 Q채널의 확산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The signal mapping block 225 converts a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at is, the signal converter 225 converts the transmission signal into -1 if the transmission signal has a logic of 1, and +1 if the transmission signal has a logic of 0. Quadrature spreader 227 generates and outputs a Walsh code. The multiplier 229 receives a Walsh code generated by the quadrature spreader 227 and outputs the converted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er 225. The complex multiplier 231 inputs a PN code (Pseudo Random Noise sequence) PNi and PNq output from a PN sequence generator (not shown) to generate and output spread signals of corresponding I and Q channels, respectively. .

도 3은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PN 역확산기(311)는 수신 신호를 PN 역확산하여 출력한다. 월시(walsh) 역확산기(315)는 상기 PN 역확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해당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역확산시킨다. 채널추정기(313)는 상기 PN 역확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파일롯신호를 추출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추출된 파일롯신호를 가지고 채널보상용 공액신호를 만들어 출력한다. 곱셈기(317)는 상기 월시 역확산기(315)의 출력과 채널추정기(313)의 상기 공액신호를 곱하여 채널보상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디인터리버(deinterleaver)(319)는 송신단에서 5ms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전송한 신호를 원래의 배열대로 바꾸어 출력한다. 복호기(321)는 상기 제1 디인터리버(319)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복호하여 출력한다. 복호된 수신신호를 입력받은 제1 에러검출기(323)는 상기 5ms 프레임 복호기(321)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CRC 에러체크를 하여 프레임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제1 에러검출기(323)에서 출력되는 결과 신호는 참신호(True, 1)와 거짓 신호(False, 0)로 출력된다. 상기 제1 C에러검출기(323)의 값이 참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복호기(321)의 출력값이 5ms 프레임의 최종 출력값이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N despreader 311 outputs the received signal by despreading the PN. The Walsh despreader 315 despreads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N despreader. The channel estimator 313 extracts a pilot signal from a signal output from the PN despreader, estimates a channe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njugated signal for channel compensation with the extracted pilot signal. The multiplier 317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Walsh despreader 315 by the conjugate signal of the channel estimator 313 and outputs a channel compensated signal. The first deinterleaver 319 changes the bit array in the frame in units of 5ms at the transmitter and converts the transmitted signal into the original array. The decoder 321 decod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first deinterleaver 319 as an input. The first error detector 323 receiving the decoded received signal receives the output of the 5ms frame decoder 321 as an input and performs a CRC error check to check whether a frame error has occurred. At this time, the resul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error detector 323 is output as a true signal (True, 1) and a false signal (False, 0). When the value of the first C error detector 323 is determined to be true, the output value of the decoder 321 becomes the final output value of a 5 ms frame.

20ms버퍼(325)는 상기 곱셈기(317)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하여 20ms 프레임의 길이가 될 때까지 5ms 길이의 매 프레임을 저장한다. 제2 디인터리버(327)는 송신단에서 20ms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전송한 신호를 원래의 배열대로 바꾸어 출력한다. 복호기(329)는 상기 제2 디인터리버(327)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복호하여 출력한다. 제2 에러검출기(331)는 상기 20ms 프레임 복호기(329)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CRC 에러체크를 하여 프레임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제2 에러검출기(331)에서 출력되는 결과 신호는 참신호(True, 1)와 거짓 신호(False, 0)로 출력된다. 상기 제2 에러검출기(331)의 값이 참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복호기(329)의 출력값이 20ms 프레임의 최종 출력값이 된다.The 20 ms buffer 325 stores an input value of the multiplier 317 as an input and stores every frame of 5 ms in length until the 20 ms frame is in length. The second deinterleaver 327 changes the bit array in the frame in units of 20 ms frame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original array. The decoder 329 decod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second deinterleaver 327 as an input. The second error detector 331 receives the output of the 20ms frame decoder 329 as an input and performs a CRC error check to check whether a frame error has occurred. At this time, the resul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error detector 331 is output as a true signal (True, 1) and a false signal (False, 0). When the value of the second error detector 331 is determined to be true, the output value of the decoder 329 becomes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20 ms frame.

도 4a는 상기 도 3과 같은 상기 복호 방식을 이용하였을 때의 프레임 오류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a는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 20ms 프레임을 복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가로축은 5ms프레임이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프레임에러율(%)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RC4와 RC5의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오류율이 각각 98%, 24~45%이다. 잡음이 없는 상태를 가정한 실험결과임에도 불구하고 RC4와 RC5는 프레임오류율이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 RC3에 있어서도 5ms 프레임이 20ms 프레임의 맨 앞쪽에 천공될 경우 다른 부분에 천공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프레임오류율이 월등히 높음을 볼 수 있다. 상기 RC3에 대한 결과를 더자세히 보기 위해 도 4b에 6dB의 잡음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16~17dB에 이르러서야 1%의 프레임오류율을 얻게 됨을 볼 수 있다. 이는 만족할만한 결과치라 볼 수 없으며, 후술될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6~7dB의 성능차를 보임을 알 수 있다.FIG. 4A shows a frame error rate when the decoding method as shown in FIG. 3 is used. 4A illustrates a result of decoding a 20 ms frame in an environment without noise. Her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where the 5 ms frame is inserted,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frame error rate (%). As shown, in the case of RC4 and RC5, the frame error rates are 98% and 24 to 45%, respectively. Despite experimental results assuming no noise, RC4 and RC5 show very high frame error rates. In the case of RC3, when the 5ms frame is punctured at the front of the 20ms frame, the frame error rate is much higher than when the other parts are punctured. In order to look at the results for the RC3 in more detai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he noise environment of 6dB i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error rate of 1% is obtained only when -16 ~ 17dB is reached. This is not a satisfactory result, it can be seen that whe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6 ~ 7dB.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길이의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삽입된 길이의 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프레임 길이의 구간을 설정값으로 치환하여 프레임 오류율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rame having an inserted length when receiving a frame having multiple lengths, and improving a frame error rate by replacing the detected frame length with a setting valu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길이의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서로 다른 길이의 프레임을 각각 효율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decoding frames having different lengths when receiving frames having multiple length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제1프레임 처리기와,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프레임치환기와, 상기 프레임 치환기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제2프레임 처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rame receiv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 message of a multi-frame in which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wherein the received multi-frame message is received in the first frame section. A first frame processor which decodes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rame, and is driven by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and predetermines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n the received message frame; And a second frame processor for receiving a message frame output from the frame replacer and a second frame processor for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s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정수배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이 소정 데이터로 치환된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receiving a fr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and the second frame has an integer multiple of the first frame.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message frame,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the first frame period, generating a presence / absenc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rame, and receiving the received message when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Receiving a message frame in which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s replaced with predetermined data in a frame, and a message frame in which the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s replaced with predetermined data, and receiving the second frame And a process of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a section.

도 1은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순방향 송신단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orward transmitt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송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verse transmitt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end of a gener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4a는 다중길이 프레임 전송시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 기존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하였을 때의 실험 결과에 대한 도면.Figure 4a is a diagram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noise-free environment for multi-length frame transmission.

도 4b는 다중길이 프레임 전송시 6dB의 잡음 환경에서의 RC3에 대한 기존 방법을 사용하여 복호하였을 때와 본 발명을 적용하여 복호하였을 때의 실험 결과에 대한 도면.Figure 4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hen decoding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3 in a noise environment of 6dB in multi-length frame transmission and whe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end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0ms 프레임의 복호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coding process of a 20ms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3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existing method for RC3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4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4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5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5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인터믹스 모드에서 수신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end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먼저, 상기 수신단의 프레임 수신장치는 제1 및 제2 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복호하여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제1프레임 처리기와,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로 치환하는 프레임 치환기와, 상기 프레임 치환기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복호하는 제2프레임 처리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 처리기는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1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1디인터리버(419)와, 상기 제1디인터리버(419)에서 디인터리빙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1복호기(421)와, 상기 제1복호기(421)에서 복호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1에러검출기(4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치환기는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되면 구동시작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된 구간에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425)와, 상기 제어기(425)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구간에서 구동하여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 길이의 프레임 구간을 소정 데이터로 치환하는 치환기(42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 처리기는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2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2디인터리버(431)와, 상기 디인터리버(431)에서 디인터리빙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2복호기(433)와, 상기 제2복호기(433)에서 복호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2에러검출기(435)로 구성된다.First, the frame receiving apparatus of the receiving end receives a multi-frame message in which first and second frame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and decodes the received message in the first frame section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of a first frame. A first frame processor configured to be driven by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a frame replacer for replacing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n the received message frame with predetermined data, and an output from the frame replacer And a second frame processor which receives the message frame and decodes in the second frame period. Here, the first frame processor may include a first deinterleaver 419 for 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first frame length, and a decoded message frame deinterleaved by the first deinterleaver 419. A first decoder 421 and a first error detector 423 which performs error detection of the message frame decoded by the first decoder 421. The frame replacer starts driving when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nd receives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425 and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425 when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ccordingly, it consists of a substituent 427 for driving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to replace the detected frame section of the first frame length with predetermined data. The second fram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interleaver 431 for 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second frame length, and a second decoder for decoding the message frame deinterleaved by the deinterleaver 431. 433 and a second error detector 435 which performs error detection of the message frame decoded by the second decoder 433.

PN 역확산기(411)는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PN 역확산하여 출력한다. 월시(Walsh) 역확산기(415)는 상기 PN 역확산기(41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해당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역확산시킨다. 채널추정기(413)는 상기 PN 역확산기(4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채널을 추정하여 출력한다. 곱셈기(417)는 상기 월시역확산기(415)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채널추정기(4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곱하여 출력한다. 제1 디인터리버(Deinterleaver)(419)는 송신단에서 5ms 프레임(Frame)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전송한 신호를 원래의 배열대로 디인터리빙하여 제1복호기(421)로 출력한다. 상기 제1복호기(421)는 상기 제1 디인터리버(419)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신호를 복호하여 제1에러검출기(423)로 출력한다. 상기 제1에러검출기(423)는 상기 제1복호기(421)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CRC 에러체크를 하여 프레임 에러(Frame error)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에러검출기(423)에서 출력되는 결과 신호는 참신호(True, 1)와 거짓 신호(False, 0)로 출력된다. 상기 제1에러검출기(423)의 출력 신호가 참신호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1복호기(421)의 출력값이 5ms 프레임의 최종 출력값이 된다. 제어기(425)는 5ms 프레임이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5ms 프레임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치환기(427)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425)가 5ms 프레임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검출기 이외에 리-인코디드 심볼오류율(re-encoded symbol error rate) 및 상기 리-인코디드 심볼오류율과 상기 CRC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N despreader 411 outputs the PN despreader by inputting the received signal. The Walsh despreader 415 despreads to output a signal of a corresponding channel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N despreader 411. The channel estimator 413 estimates and outputs a channel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N despreader 411. The multiplier 417 multipl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Walsh inverse spreader 415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channel estimator 413. The first deinterleaver 419 deinterleaves the transmitted signal by changing the bit arrangement in the frame in units of 5ms frame at the transmitter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first decoder 421. The first decoder 421 in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einterleaver 419, decod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decoded signal to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n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ecoder 421 and checks whether a frame error has occurred by performing a CRC error check on the input signal. Here, the resul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output as a true signal (True, 1) and a false signal (False, 0).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l,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decoder 421 becomes a final output value of a 5 ms frame. The controller 425 receives a test result of whether a 5 ms frame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substituent 427 to operate only when the 5 ms frame is dete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5 ms frame is detected, the controller 425 may use a re-encoded symbol error rate and the re-encoded in addition to the cyclic redundancy check (CRC) error detector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symbol error rate and the CRC.

상기 치환기(427)는 상기 제어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제1에러검출기(423)의 출력신호가 참신호로 판정되었을 때에만, 즉 상기 5ms 프레임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동작하게 되며, 이때 상기 5ms 프레임 길이 만큼의 심볼값을 설정값, 예를 들어 '0'으로 치환하여 출력한다. 버퍼(429)는 상기 제1에러검출기(423)의 출력 신호가 참신호로 판정될 때 상기 치환기(427)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제1에러검출기(423)의 출력신호가 거짓신호로 판정될 때 상기 곱셈기(417)의 출력을 입력하여 저장한다. 제2디인터리버(431)는 송신단에서 20ms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내의 비트 배열을 바꾸어 전송한 신호를 원래의 배열대로 디인터리빙하여 제2복호기(433)로 출력한다. 상기 제2복호기(433)는 상기 제2디인터리버(43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신호를 복호하여 제2에러검출기(435)로 출력한다. 상기 제2에러검출기(435)는 상기 제2복호기(433)에서 출력한 복호된 수신신호를 입력하여 CRC 에러체크를 하여 프레임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The substituent 427 operates only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5, that is, only when the 5 ms frame is detected. The symbol value as much as 5ms frame length is replaced with a setting value, for example, '0' and output. The buffer 429 inputs the output of the substituent 427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a false signal. When input,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17 is input and stored. The second deinterleaver 431 deinterleaves the transmitted signal by changing the bit arrangement in the frame in units of 20ms frame at the transmitter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econd decoder 433. The second decoder 433 inputs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deinterleaver 431, decod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decoded signal to the second error detector 435. The second error detector 435 inputs the decoded received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ecoder 433 and performs a CRC error check to check whether a frame error has occurr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0ms 프레임의 복호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coding process of a 20ms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611단계에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버퍼(429)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상기 버퍼(429)에 저장되어 있는 5ms 프레임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변수 "5ms FRAME COUNT"는 0으로 그 초기값이 설정된다(5ms FRAME COUNT = 0). 그리고 613단계에서 상기 카운트 변수 "5ms FRAME COUNT"를 증가시키고 6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제1에러검출기(423)에서 5ms 프레임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617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5ms 프레임, 즉 복호하기 이전의 수신신호 그대로의 5ms 프레임을 버퍼(429)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제1에러검출기(423)의 출력 신호가 참신호일 경우, 즉 상기 제1복호기(421)의 복호된 수신신호를 5ms 프레임으로 검출하였을 경우 619단계에서 상기 복호된 5ms 프레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설정값, '0'으로 바꿔 상기 버퍼(429)에 저장한다. 621단계에서 상기 버퍼(429)에 저장되어 있는 5ms 프레임의 개수가 4개, 즉 20ms 프레임을 형성하였을 경우(5ms FRAME COUNT = 4) 상기 버퍼(429)에 저장되어 있는 20ms 프레임을 제2디인터리버(431)에서 인터리빙한 후 제2복호기(433)를 통해 복호하도록 한다.Firs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in step 611, there is no frame stored in the buffer 429, so the count variable "5ms FRAME COUNT" counting the number of 5ms frames stored in the buffer 429 is 0. Its initial value is set (5ms FRAME COUNT = 0). In step 613, the count variable “5ms FRAME COUNT” is increas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5. If a 5 ms frame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n step 615, the received 5 ms frame, that is, a 5 ms frame of the received signal before decoding, is stored in the buffer 429 in step 617. I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is a true signal, that is, if the decoded received signal of the first decoder 421 is detected as a 5 ms fram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coded 5 ms frame in step 619. Is changed to a set value '0' and stored in the buffer 429. If the number of 5ms frames stored in the buffer 429 is four, that is, 20ms frames are formed in step 621 (5ms FRAME COUNT = 4), the second deinterleaver stores the 20ms frames stored in the buffer 429. After interleaving at 431, the second decoder 433 is used to decode.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믹스 모드에서 5ms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복호되었을 경우 상기 20ms 프레임 내의 상기 5ms 프레임에 해당하는 길이를 '0'으로 바꿔서 다시 상기 20ms 프레임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임 에러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수신시 프레임 에러율을 도시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the 5ms frame is normally decoded in the intermix mode, the frame error rate is reduced by changing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5ms frame in the 20ms frame to '0' and inserting the frame again into the 20ms frame. Hereinafter, a frame error rate when receiv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7은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3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3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종래에는 인터믹스 모드에서 송신단에서 전송한 20ms 프레임을 5ms의 데이터가 실린 채로 복호 하였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터믹스 모드에서 수신된 5ms 프레임이 제1에러검출기(423)를 통해 참신호로 판정되어 검출되었을 때 송신단에서 전송한 20ms 프레임내의 5ms는 '0'으로 바뀌고 따라서 20ms 프레임 내의 5ms는 0으로 바뀌어서 복호가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오류율과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 오류율에 있어 프레임 오류율 1%를만족시키는 Ec/Io 값 간에는 2dB 정도 차이가 발생하며, 본 발명에 의한 복호 방법을 사용했을 경우, Ec/Io = -22dB 정도에서 1%의 프레임 오류율을 내며, 인터믹스 모드에서 삽입되는 5ms 프레임의 위치에 따른 성능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Conventionally, a 20ms frame transmitted by a transmitter in an intermix mode was decoded with 5ms of data. On the contrar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5ms frame received in the intermix mode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l by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5ms in the 20ms fram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are changed to '0' and thus 20ms. 5 ms in the frame is changed to 0 to be decoded. As shown, a difference of about 2 dB occurs between the frame error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c / Io value satisfying the frame error rate of 1% in the frame error r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a frame error rate of 1% is obtained when Ec / Io = -22 dB, and there is almost no perform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5 ms frame inserted in the intermix mode.

도 8은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4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4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은 인터믹스 모드에서 송신단에서 전송한 20ms 프레임을 복호할 때, 5ms 데이터가 실린채로 복호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수신된 5ms 프레임이 제1에러검출기(423)를 통해 참신호로 판정되어 검출되었을 때 인터믹스 모드에서 송신단에서 전송한 20ms 프레임 내의 5ms는 '0'으로 바뀌고, 따라서 20ms 프레임 내의 5ms는 0으로 바뀌어서 복호가 된다. 상기 도 8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신 프레임의 프레임 오류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프레임의 오류율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오류율 1%를 만족시키는 Ec/Io 값이 종래 기술과 본 발명간에 2dB 정도 차이가 발생하며, 종래의 인터믹스 모드에서 5ms 프레임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20ms 프레임 복호시 98%의 프레임 오류율을 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프레임 에러율 면에서 성능 강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Ec/Io = -21 dB 정도에서 1%의 프레임 오류율을 내며 5ms 프레임의 위치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in the prior art, when decoding a 20 ms frame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in an intermix mode, 5 ms data is deco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ceived 5ms frame is determined to be a true signal through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and detected, a 5ms in a 20ms frame transmitted by a transmitter in the intermix mode is changed to '0', and thus 20ms frame. The 5 ms in it is decoded by changing to zero. 8 illustrates a frame error rate of a received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rror rate of a received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an Ec / Io value satisfying the frame error rate of 1% is shown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difference of about 2dB between the inventions, and compared to the frame error rate of 98% for 20ms frame decoding that includes 5ms frame data in the conventional intermix mode,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rms of frame error rate is found. hav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5ms frame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with a frame error rate of 1% at Ec / Io = −21 dB.

도 9는 인터믹스 모드에서의 RC5에 대한 기존방법과 본 발명을 적용한 방법의 프레임 오류율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e frame error rat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C5 in the intermix mode and the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은 인터믹스 모드에서 20ms 프레임을 복호할 때 5ms 데이터가 실린 채로 복호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수신된 5ms 프레임이 제1에러검출기(423)를 통해 참신호로 판정되어 검출되었을 때, 인터믹스 모드에서 송신단에서 전송한 20ms 프레임내의 5ms는 '0'으로 바뀌고 따라서 20ms 프레임 내의 5ms는 0으로 바뀌어서 복호가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오류율과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 오류율에 있어 프레임 오류율 1%를 만족시키는 Ec/Io 값 간에는 2dB 정도 차이가 발생하며, 5ms 프레임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20ms 프레임 복호시 프레임 오류율이 25~45% 이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프레임 에러율 면에서 성능 강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Ec/Io = -19.5dB 정도에서 1%의 프레임 오류율을 얻을 수 있으며 5ms 프레임의 위치에 따른 성능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ecodes 5ms of data when decoding a 20ms frame in an intermix mode.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eived 5ms frame is detected as a true signal through the first error detector 423, 5ms in the 20ms fram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in the intermix mode are changed to '0'. Therefore, 5ms in a 20ms frame is changed to 0 to be decoded. As shown, a difference of about 2 dB occurs between the frame error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c / Io value satisfying the frame error rate of 1% in the frame error r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cludes 20 ms including data of 5 ms frame. Compared with the frame error rate of 25 ~ 45% when decoding the frame,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ccurs in the frame error rate. In addition, a frame error rate of 1% can be obtained at Ec / Io = -19.5dB,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perform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5ms fram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믹스 모드에서 송신한 프레임을 수신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을 수신할 경우, 길이가 다른 프레임 각각을 별도로 복호하고, 상기 인터믹스 모드에서 삽입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이 삽입되었던 길이만큼을 '0'으로 바꿔 복호함으로써 프레임 에러율에 있어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receiving a frame having a different length when receiving a frame transmitted in an intermix mode, each frame having a different length is separately decoded and has a different length inserted in the intermix mode. Decoding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rame to '0'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rame error rate.

Claims (34)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수신장치에 있어서,A frame receiv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 message of a multi-fram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상기 수신된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제1프레임 처리기와,A first frame processor for decoding the received multi-frame message in the first frame section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프레임치환기와,A frame replacer driven by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and replacing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with predetermined data in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프레임 치환기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제2프레임 처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econd frame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message frame output from the frame replacer and to decode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프레임 처리기는;The first frame processor;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1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1디인터리버와,A first deinterleaver for 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by a first frame length unit;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1복호기와,A first decoder to decode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1에러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first error detector configured to perform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에러검출기는 CRC에러검출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rst error det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치환기는;The frame substituent;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되면 구동시작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된 구간에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A controller which starts driving when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in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is detected; 상기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해당구간에서 구동되어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 길이의 프레임 구간을 소정 데이터로 치환하는 치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ubstituent configured to receive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drive the corresponding section to replace the detected frame section of the first frame length with predetermined dat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치환기는;The substituent; 상기 복호한 제1길이 프레임 및 상기 복호 이전의 제1길이 수신 프레임을 저장하는 버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buffer for storing the decoded first length frame and the first length received frame before the dec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 데이터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redetermined data is zer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프레임 처리기는;The second frame processor;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2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2디인터리버와,A second deinterleaver for 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by a second frame length unit;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2복호기와,A second decoder for 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2에러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econd error detector configured to perform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에러검출기는 CRC에러검출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econd error det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프레임은 5ms이며, 상기 제2프레임은 20ms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first frame is 5 ms, and the second frame is 20 ms.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정수배의 길이를 가지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수신장치에 있어서,Receive a multi-frame messag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wherein the second frame is an integer multiple of the first frame. In the receiving device, 상기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역확산하는 프레임 역확산기와,A frame despreader for receiving the message frame and desprea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제1프레임 처리기와,A first frame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espread message frame and to decode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the first frame section and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프레임치환기와,A frame replacer driven by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and replacing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n the received message frame with predetermined data; 상기 프레임 치환기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제2프레임처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econd frame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message frame output from the frame replacer and to decode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perio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프레임 역확산기는;The frame despreader;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PN 역확산하는 PN 역확산기와,A PN despreader for PN desprea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PN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월시 역확산하는 월시 역확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Walsh despreader for Walsh despreading the PN despreaded message fram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프레임 처리기는;The first frame processor; 상기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제1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1디인터리버와,A first deinterleaver for deinterleaving the desprea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first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1복호기와,A first decoder to decode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1에러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first error detector configured to perform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에러검출기는 CRC에러검출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rst error det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o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프레임 치환기는;The frame substituent;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되면 구동시작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검출된 구간에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A controller which starts driving when the first frame is detected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in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is detected; 상기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해당구간에서 구동되어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 길이의 프레임 구간을 소정 데이터로 치환하는 치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ubstituent configured to receive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drive the corresponding section to replace the detected frame section of the first frame length with predetermined dat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소정 데이터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redetermined data is zero.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2프레임 처리기는;The second frame processor; 상기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제2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제2디인터리버와,A second deinterleaver for deinterleaving the desprea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second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제2복호기와,A second decoder for 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제2에러검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econd error detector configured to perform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2에러검출기는 CRC에러검출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econd error det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o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프레임은 5ms이며, 상기 제2프레임은 20ms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first frame is 5 ms, and the second frame is 20 ms.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정수배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수신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ceiving a fr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and the second frame has an integer multiple of the first frame. In 상기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message frame,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the first frame section, and generating a detection presence signal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과정과,Replacing the data of the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with predetermined data when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이 소정 데이터로 치환된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eiving a message frame in which the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s replaced with predetermined data, and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section.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1프레임 검출 유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은;Generating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1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과정과,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first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과정과,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Performing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에러검출은 CRC에러검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rror det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ion.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소정 데이터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predetermined data is zero.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과정은;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period;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2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과정과,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second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과정과,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Performing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에러검출은 CRC 에러검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rror det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ion.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1프레임은 5ms이며, 상기 제2프레임은 20m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first frame is 5 ms, and the second frame is 20 ms.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프레임들이 인터믹스되어 전송되는 다중 프레임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수신방법에 있어서,A receiving method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 message of multiple frames in which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t least two frame lengths are intermixed and transmitted,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역확산하는 과정과,Desprea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검출유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despread message frame,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the first frame period,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과정과,Replacing the data of the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with predetermined data when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이 소정 데이터로 치환된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eiving a message frame in which the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is replaced with predetermined data, and 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section.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수신된 메시지 프레임을 역확산하는 과정은;Desprea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PN 역확산하는 과정과,Despread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by PN; 상기 PN 역확산된 메시지 프레임을 월시 역확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alsh despreading the PN despreaded message frame.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1프레임 검출 유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은;Generating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1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과정과,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first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과정과,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Performing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에러검출은 CRC에러검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rror det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ion.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소정 데이터는 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predetermined data is zero.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1프레임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상기 검출된 제1프레임이 위치된 구간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과정은;When the first fra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replacing data of a section in which the detected first frame is located with predetermined data in the recei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한 제1길이 프레임 및 상기 복호 이전의 제1길이 수신 프레임을 버퍼에 저장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And storing the decoded first length frame and the first length received frame before the decoding in a buffer.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2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호하는 과정은;Decoding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econd frame period; 상기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을 제2프레임 길이 단위로 디인터리빙하는 과정과,Deinterleaving the received message frame in units of a second frame length; 상기 디인터리빙된 메시지 프레임을 복호하는 과정과,Decoding the deinterleaved message frame; 상기 복호된 메시지 프레임의 에러검출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Performing error detection of the decoded message frame.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에러검출은 CRC 에러검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rror det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C error detection.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1프레임은 5ms이며, 상기 제2프레임은 20m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rein the first frame is 5 ms, and the second frame is 20 ms.
KR1020000040269A 2000-07-13 2000-07-13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068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69A KR20020006825A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69A KR20020006825A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25A true KR20020006825A (en) 2002-01-26

Family

ID=1967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69A KR20020006825A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82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80B1 (en) * 2001-12-28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high-speed frame decod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80B1 (en) * 2001-12-28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high-speed frame decod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2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verse rate matching in a cdma system
KR100334819B1 (en) Channel coding device and method for rate matching
KR10076337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using plurality of antennas, system for the same
US7995578B2 (en) Repet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ed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 using different puncturing patterns
US69343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based frame rate determination
US8214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arly decoding in communication systems
EP1172959A2 (en) 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system and method
US20060209749A1 (en) Dynamic space-time coding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2005102210A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speed packet data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5934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convolutional coded bits to symbols before modulation
KR100782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code symbo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8192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f data via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EP0981219A2 (e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77939B1 (en) Frame Composition Device and Method for Subframe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030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US20020056065A1 (en) Turb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6480503B1 (en) Turbo-coupled multi-code multiplex data transmission for CDMA
JP4008884B2 (en) Encoding /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US68888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sid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06825A (en) Apparatus for receiving frame with multi-length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108455A (en) Method for coding channels
US7145917B1 (en) Frame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382521B1 (en) optimal method for transmitting TFCI
KR100470010B1 (en) Soft Handoff Between Cellular Systems Employing Different Encoding Rates
KR100880630B1 (en) Transmission chain i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detecting physical channel format ug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