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523A -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 Google Patents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523A
KR20020005523A KR1020010061893A KR20010061893A KR20020005523A KR 20020005523 A KR20020005523 A KR 20020005523A KR 1020010061893 A KR1020010061893 A KR 1020010061893A KR 20010061893 A KR20010061893 A KR 20010061893A KR 20020005523 A KR20020005523 A KR 20020005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information
subtitle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영훈
Original Assignee
노영훈
주식회사 이지소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훈, 주식회사 이지소프텍 filed Critical 노영훈
Priority to KR102001006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5523A/en
Publication of KR2002000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52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PURPOSE: An audio player having a subtitle outputting function is provided to reproduce audio data that was not compressed and data that was compressed and, simultaneously, outputs subtitle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data. CONSTITUTION: An audio player having a subtitle outputting function includes a driver(22) for rotating an audio CD and a compression audio CD at a predetermined speed, an optical system(25) for obtaining an optical signal from the audio CD and compression audio CD and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into an analog electric signal, and a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system as a digital signal and separating subtitle data and audio data from each other. The audio player further has a memory(44) for storing the output signal of a controller(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r, optical system and signal system and selecting the output signal to be stored in the memory, a decoder(50) for decoding compressed audio data output from the memory, an audio outputting unit(54) for outputting the audio data, and a subtitle outputting unit(52) for outputting the subtitle data being synchronized with the audio data.

Description

자막 출력 기능을 갖는 오디오 플레이어 장치{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output function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장치 또는 오디오 플레이어(audio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자막 출력 기능을 가지며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와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or an audio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ubtitle output function and capable of reproducing both uncompressed audio data and compressed audio data.

압축되지 않은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기기로서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이하, 'CD'라 함) 플레이어(player)가 1983년 처음 소개된 이래, CD 기술은 가전 산업과 컴퓨터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CD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많은 개인들에게 매우 우수한 품질로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오늘날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게임 및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멀티미디어 프로그램들이 CD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를 음질의 저하 없이 압축하는 오디오 파일 포맷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가운데 엠피(MP) 3 기술이 등장하면서 오디오 CD와 엠피3 데이터를 함께 재생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엠피(MP) 3 CD (compact disc) 플레이어(이하, 'MP3 CDP'라 함)가 등장하였다.Since the introduction of compact disc players as audio devices capable of playing uncompressed audio data in 1983, CD technology has been enormous in the consumer electronics and computer industries. Will be affected. In particular, CD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very high quality to many individuals. Most computer software programs, game and audio data, video data, and multimedia programs are supplied in the form of CD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number of audio file formats that compress audio data without degrading sound quality. Among them, MP3 technology is introduced, and MP3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play audio CD and MP3 data together. CD (compact disc) p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P3 CDP') has appeared.

MP3 CDP에서 사용하는 엠피3 파일은 MPEG (Motion Picture Expert Group) 레이어 3 포맷을 가진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엠피3 파일은 일반적으로 AAU (오디오 복호 단위)의 기록 포맷을 갖는다. 즉, 헤더(header), 에러 체크 코드(CRC),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로 구성된다. 따라서, 엠피3 파일을 재생하는 엠피3 플레이어는 압축된 오디오 파일을 전송받아 이를 오디오 정보로 재생하는 오디오 전용 기기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인데, MP3 CDP에서 엠피3 파일은 보통 CD-ROM에 저장되어 있고 한장의 CD-ROM에는 약 150개에서 170개의 엠피3 파일이 저장된다.The MP3 file used in the MP3 CDP refers to data having an MPEG (Motion Picture Expert Group) layer 3 format. Such MP3 files generally have a recording format of AAU (audio decoding unit). That is, it consists of a header, an error check code (CRC),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Therefore, MP3 players that play MP3 files are typically used as audio-only devices that receive compressed audio files and play them as audio information. MP3 CDPs are usually stored on CD-ROMs. One CD-ROM stores about 150 to 170 MP3 files.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 MP3 CDP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물론, 노래의 가수, 제목, 장르, 디렉토리를 문자로 출력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노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FIF (Field In Filename) 방법을 사용하여 좀 더 쉽고 빠르게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품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종래 MP3 CDP는 간단한 문자 정보를 표시할 뿐이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자 즉, 자막 정보를 재생되는 오디오 정보에 동기된 상태로 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MP3 CDP developed so far provides not only the reproduction of audio data but also a function of outputting a song's singer, title, genre, and directory as text, and selecting a song based on this. In addition, a product has appeared that makes it easier and faster to select a song by using a field in file name (FIF) method. However, until now, the conventional MP3 CDP only displays simple character information and has a problem in that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that is, subtitle information cannot be displayed in a state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ed audio in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와 압축된 데이터 예컨대,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이 데이터에 동기된 상태로 자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uncompressed audio data and compressed data such as MP3 data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caption inform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at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막 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좀 더 용이하게 동기시켜 출력하고 동기화 실패율이 줄어든 자막 출력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재생 장치 예컨대, MP3 CDP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an MP3 CDP apparatus, which has a subtitle output function in which the subtitle data is more easily synchronized with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and the synchronization failure rate is re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 출력되는 자막 데이터를 다양한 형식과 언어로 출력하고, 이것의 선택 및 검색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 예컨대, MP3 CDP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an MP3 CDP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subtitle data synchronized with audio data in various formats and languages, and facilitating selection and retriev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CDP(Compact Disc Player)의 외형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MP3 CDP (Compact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CDP의 내부 회로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2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system of the MP3 C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자막 엠피3 파일의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structure of a subtitle MP3 f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자막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ption data out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자막 엠피3 파일의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structure of a caption MP3 f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막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ption data output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MP3 CDP 12: 본체10: MP3 CDP 12: main body

14: 제어 패널 16: 자막 표시부14: Control Panel 16: Subtitle Display

18: 오디오 표현부 20: CD18: audio expression unit 20: CD

22: 모터 구동계 25: 광학계22: motor drive system 25: optical system

30: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μ) processor)30: micro (μ) processor

32: RF 증폭 및 파형 처리부 34: EFM 복조부32: RF amplification and waveform processing section 34: EFM demodulation section

36: 프레임 동기 회로부 38: PLL36: 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38: PLL

40: 에러 보정기 42: 신호 분리부40: error compensator 42: signal separation

44: 메모리 50: 디코더44: memory 50: decoder

52: 자막 출력부 54: 음성 출력부52: subtitle output unit 54: audio output unit

55: D/A 변환기 57: 저역 여파기(LPF)55: D / A converter 57: low pass filter (LPF)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 CD와 압축 오디오 데이터 예컨대, 엠피3 데이터 CD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로서, 오디오 CD와 엠피3 데이터 CD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와, 상기 구동계에 의해 구동되는 오디오 CD와 엠피3 데이터 CD로부터 광 신호를 얻고 이것을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바꾸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며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신호계와, 상기 제어계의 출력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구동계, 광학계, 신호계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계와,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엠피3 데이터를 해독하는 디코더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자막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막 출력부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both an audio CD and compressed audio data, for example, an MP3 data CD, comprising: a drive system for rotating an audio CD and an MP3 data CD at a constant speed; A signal system including an optical system which obtains an optical signal from the driven audio CD and the MP3 data CD and converts the analog 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signal separation unit which processes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system into a digital signal and separates subtitle data and audio data; A memory for sto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system,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system, the optical system, the signal system and selecting an output signal to be stored in the memory, a decoder for decoding MP3 data output from the memory; A subtit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subtitle data separated by a signal separator; And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udio data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에 사용되는 압축 데이터는 MP3 포맷 뿐만 아니라, AAC MP4 포맷, WMA(Windows Media Audio) 포맷, VQF, A2b 포맷을 포함한다. AAC MP4 포맷은 MP3에 비해 압축률이 30% 정도 더 높으며, MP3와 동일하게 압축한 경우에도 음질이 훨씬 더 뛰어나다. WMA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으로 음악 데이터만 압축한 포맷이며 스트리밍(streaming)과 파일 형식에서도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으며, MP3와 동일한 음질로 데이터 크기를 1/2로 줄일 수 있다. VQF 파일 포맷은 일본 NTT(전신 전화국)에서 개발한 TwinVQ Transform-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라는 오디오 압축 기술로 만들어진 것인데 이것은 MP3 수준의 음질을 인터넷에서 스트리밍 형식으로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포맷은 각각의 음악 데이터를 직접 인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정리, 일정한 패턴으로 만든 다음 미리 준비한 표준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표준 패턴을 골라내고 그 표준 패턴의 번호를 압축 부호로 전송한다. 한편, A2b 포맷은 AT&T 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음질의 손상 없이 데이터 압축이 가능하며 압축률이 1/20에 달한다. 설명의 목적상 이하에서는 압축 데이터 포맷으로서 MP3 데이터 포맷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MP3 포맷 이외의 다양한 방식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조나 방법의 변경과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않고 충분히 가능하다.Compressed data used in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MP3 format but also the AAC MP4 format, the WMA (Windows Media Audio) format, the VQF, and the A2b format. The AAC MP4 format has about 30% more compression than MP3, and the sound quality is even better when compressed with MP3. WMA is a format that compresses only music data using Microsoft's multimedia compression method. It can support data in streaming and file formats, and it can reduce data size by 1/2 with the same sound quality as MP3. The VQF file format was created by an audio compression technology called TwinVQ Transform-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 (NTT) developed by Japan's NTT (Telephone), which was developed to reduce the MP3 level of sound quality to the streaming format on the Internet. Instead of directly encoding each piece of music data, this format organizes several data into a regular pattern, compares it with a standard pattern prepared in advance, selects the most similar standard pattern, and transmits the number of the standard pattern as a compressed code. On the other hand, the A2b format was developed by AT & T and can compress data without compromising sound quality and has a compression ratio of 1/20. For purposes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the MP3 data format as a compressed data format.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compressed audio data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MP3 format to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fully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엠피3 데이터는 헤더,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 엠피3 파일 구조를 갖는 오디오 정보와,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 정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막 정보에는 자막 정보의 위치 데이터 및/또는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이 위치 데이터 및/또는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정보가 재생될 때 이 재생 오디오 정보에 동기된 자막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P3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udio information having a standard MP3 file structure consisting of a header,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and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Location data and / or time data of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and when the audio information is reproduced, the cap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ed audio information is outputted using the position data and / or time data. .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엠피3 데이터는 헤더,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 엠피3 파일 구조를 갖는 오디오 정보와,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 정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자막 엠피3 파일에서 오디오 정보는 자막 정보 앞에 위치하고, 상기 자막 정보는 자막 정보가 재생될 때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될 시간을 나타내는 자막 표시 시간 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P3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udio information having a standard MP3 file structure consisting of a header,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and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In the MP3 file, audio information is located before the caption information, and the caption information has caption display time data indicating a tim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when the caption information is repro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CD에 수록된 자막 데이터를 재생할 때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자막 데이터만 메모리로 읽어들여 CD 상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 동기시켜 메모리상의 자막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CD에 수록되어 있는 파일을 메모리로 선택적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다음 광학계 등에 의한 CD 디스크의 구동없이 메모리 상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성과 자막이 동기된 파일을 재생할 때 한번에 출력되는 자막 데이터 단위별로 자막 데이터만 별도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조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회하고 있는 자막 데이터에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laying caption data recorded on a CD, only the caption data except audio data can be read into the memory, and the caption on the memory can b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ime when the audio is output on the C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py and store a file stored in a CD into a memory, and then reproduce and output desired data on the memory without driving the CD disk by an optical system or the like. In addition, only the subtitle data can be viewed separately by user selection for each subtitle data unit outputted at the time of playing a file in which audio and subtitles are synchronized, and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title data being queried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You can also output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그 구체적인 구현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도면에 나타낸 것은 실물을 정확한 축적으로 표시한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recalled that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not an accurate sca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CDP의 외형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MP3 C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P3 CDP(10)는 본체(12)와 제어 패널(14), 자막 표시부(16), 오디오 표현부 (18)를 포함한다. 본체(12)에는 MP3 CDP(10)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회로소자들이 내장되며 오디오 CD 또는 엠피3 데이터 CD가 장착된다. 제어 패널(14)은 MP3 CDP(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CD의 재생, 정지, 원하는 데이터의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된다. 자막 표시부(16)에는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상태로 자막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자막 표시부(16)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이다. 오디오 표현부(18)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날로그 음향 데이터로 출력되는 장치로서, 예컨대 헤드폰이나 이어폰 또는 스피커이다.The MP3 CDP 10 includes a main body 12, a control panel 14, a caption display unit 16, and an audio expression unit 18. The main body 12 includes internal circuit elem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P3 CDP 10 and is equipped with an audio CD or an MP3 data CD. The control panel 14 is a user interface of the MP3 CDP 10, in which user's instructions such as playing, stopping, and selecting desired data are input. The caption display unit 16 outputs caption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ed audio data. The caption display unit 16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audio expression unit 18 is a device for outputting audio data as analog sound data, for example, headphones, earphones, or speakers.

통신 포트(15)는 외부 기기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자막 데이터를 수신하여 MP3 CDP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port 15 receives audio data or audio / subtitl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omputer system, and stores the data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MP3 CDP.

도 1에서는 자막이 표시되는 자막 표시부(16)가 본체(12)에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구조 즉, 본체와 자막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구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MP3 CDP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예컨대, 리모콘, remote controller)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부착하고 이러한 분리형 액정 디스플레이에 자막 표시부(16)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1, a subtitle display unit 16 displaying subtitles is output through a liquid crystal display attached to the main body 12,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subtitle disp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a liquid crystal display to a remote controller (eg, a remote controller) that remotely controls the MP3 CDP and to allow the caption display unit 16 to be implemented on such a separate liquid crystal displa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CDP의 내부 회로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2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system of the MP3 C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P3 CDP는 크게 모터 구동계(22), 광학계(25), 신호계, 제어계, 데이터 메모리, 자막 데이터 처리계로 나눌 수 있다. 모터 구동계(22)는 MP3 CDP(10)에 장착되는 오디오 CD 또는 엠피3 데이터 CD를 일정한 속도로 고속 회전시키는 디스크 모터와 광 픽업(pick-up)을 이동하는 광학계 송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CD를 수평으로 로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트레이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로딩 모터가 추가될 수 있으며, 디스크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 서보 회로는 디스크를 CLV (선속도 일정방식)로 구동하기 위하여 CD에서 읽은 동기 신호, 트레이 위치에 대한 어드레스 신호, 클록 신호 등을 사용한다.The MP3 CDP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motor drive system 22, an optical system 25, a signal system, a control system, a data memory, and a caption data processing system. The motor drive system 22 may include a disc motor for rotating the audio CD or the MP3 data CD mounted on the MP3 CDP 10 at a high speed and an optical system transmitting motor for moving an optical pick-up. When the CD is loaded horizontally, a loading motor for sliding the disc tray may be added, and a motor driving servo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isc motor may read a sync signal read from the CD to drive the disc in a CLV (linear speed constant method). The address signal for the tray position, the clock signal, and the like are used.

광학계(25)의 중심에는 광 픽업이 위치하는데, 이 광 픽업은 디스크의 지정된 위치에 예컨대, 레이저(laser)를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픽업한다. 크기가 예컨대, 1.6㎛로 작은 피치(pitch)의 트랙을 비접촉 방식으로 추적하기 위하여 디스크가 진동을 할 경우에도 항상 그 반사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포커스 서보(focus servo), 지정된 트랙을 추적하기 위한 트래킹 서보(tracking servo), 광 픽업 전체를 방사상으로 움직이는 광학계 송출 서보, 레이저의 발진 출력과 레이저의 반사량을 일정하게 확보하기 위한 APC (Automatic Power Control) 등의 서보 회로가 포함된다.An optical pickup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25. The optical pickup picks up the reflected light by irradiating a laser to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disk, for example. A focus servo to keep track of a specified distance to the reflective surface at all times, even when the disk vibrates, in order to track non-contact tracks of small pitches, e.g. 1.6 μm in size. And a servo circuit such as a tracking servo, an optical transmission servo which moves the entire optical pickup radially, and an APC (Automatic Power Control) to ensure a constant amount of laser oscillation output and laser reflection.

신호계는 광학계(25)의 광 픽업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이것을 처리하여 자막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하는 회로계를 말한다. 광 픽업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CD 표면의 피트(pit)의 유무에 따라 진폭이 변하는 고주파의 아날로그 신호이다. RF 증폭 및 파형 처리부(32)는 이러한 광 픽업의 출력 신호를 일정한 수준으로 증폭하고 DC 성분과 잡음 신호를 제거하며 위상 보정 등과 같은 파형 등화 처리, 비교기 처리를 통해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로 만든다. 처리부(32)의 디지털 출력 신호는 EFM 복조부(34)로 입력되는데, EFM 복조부(34)는 예컨대, 피트의 최소 단위 길이가 너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4비트 + 14비트 형태로 기록된 신호를 8비트 + 8비트의 16비트로 바꾼다.The signal system refers to a circuit system that receives an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pickup of the optical system 25 and processes the analog signal into a caption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pickup is a high frequency analog signal whose amplitude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it on the CD surface. The RF amplification and waveform processing unit 32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pickup to a certain level, removes DC components and noise signals, and makes a digital signal composed of 0s and 1s through waveform equalization processing and comparator processing such as phase correction. . The digital output signal of the processor 32 is input to the EFM demodulator 34, which is recorded in 14-bit + 14-bit form, for example, to prevent the minimum unit length of the pit from becoming too short. Change the signal to 16 bits of 8 bits + 8 bits.

프레임 동기 회로부(36)는 디지털 신호 중 프레임(frame)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프레임 각각의 선두 위치를 확인한다. 선두 위치가 확인되면 서브코드 (subcode), 정보 비트, 에러정정 비트의 판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디오 정보가 들어 있는 정보 비트를 읽을 수 있다. 정보 비트는 PCM 신호가 차례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리브(interleave) 처리를 하여 소정의 패턴에 따라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분산 배열되어 있다. 그 이유는 디스크를 재생할 때 디스크 표면의 긁힘이나 오염, 핀홀(pinhole) 등에 의해 재생 데이터의 에러가 발생하여 어떤 군(群)의 정보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P3 CDP도 이와 같은 인터리브 원리를 이용한 에러 보정기(40)에 의해 정확한 에러 보정을 한다. 보정된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44)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별도의 IC 칩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IC 칩 형태로 구현된 일종의 CPU인 것이 특징이다.The frame synchronizing circuit section 36 detects a frame synchronizing signal among the digital signals and confirms the head position of each frame. When the head position is confirmed, the subcode, information bits, and error correction bits can be discriminated. Thus, information bits containing audio information can be read. The information bits are not arranged in sequence, but are arranged in a manner of being interleaved and distributed data intention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an error in the reproduction data caused by scratches, dirt, pinholes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disc when the disc is reproduced so that any group of information is lost. The MP3 C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rrects the error by the error corrector 40 using this interleaving principle. The corrected data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44. The microprocessor 30 used in the audio play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CPU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IC chip without using a separate IC chip such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메모리(44)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어계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시스템 클록에 따라 규칙적으로 출력되어 신호 분리부(42)로 입력되거나(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디코더(50)를 통해 신호 분리부(42)로 입력된다(자막 엠피3 데이터 또는 엠피3 데이터인 경우). 한편,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이것을 메모리(44)에 저장하지 않고 에러 보정기(40)에서 곧바로 신호 분리부(42)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반 CD의 오디오 데이터 대한 메모리(44) 저장은 선택 사항이다.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44 is regularly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that is, the system clock of the microprocessor 30 and input to the signal separator 42 (when it is audio data), or the signal separator through the decoder 50. Inputted to 42 (in the case of subtitle MP3 data or MP3 dat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dio data,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it directly from the error corrector 40 to the signal separator 42 without storing it in the memory 44. That is, storage of memory 44 for audio data of a regular CD is optional.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44)는 개별 IC 칩 형태로 구현되는 RAM 소자, 메모리 모듈과 같은 내장형 메모리와 MMC (Multi-Media Card)와 같은 착탈식 카드형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memory 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M devic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IC chip, a built-in memory such as a memory module, and a removable card-type memory such as a multi-media card (MMC).

한편, 디스크(20)가 오디오 CD인 경우 이 데이터는 CD 데이터 표준에 따라 저장된다. CD 기술에 대한 표준은 CD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배열(layout)에 대한 것을 비롯하여 이 데이터의 논리적인 포맷과 구조에 대해서도 정해져 있다. 대부분의 CD 제조업체, CD 플레이어, 디스크 제작사들은 소니(Sony)와 필립스 (Philips)에서 만든 오렌지 북(Orange Book)이나 레드 북(IEC 908), 옐로우 북(ISO/IEC 10149)에 정의된 물리적 배열 표준을 준수하고 있다. 산업 표준으로 된 논리적인 파일 구조는 ISO 9660 표준이라 알려져 있다. 옐로우 북과 레드 북 표준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74분 디스크에 최대 650 메가바이트의 용량)를 한번에 CD에 기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발명되었다. 오렌지 북이 데이터 기록을 늘리기 위한 물리적 포맷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표준 내에서 동작할 수 있고 늘어난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 맞도록 하는 논리적 파일 구조가 필요하다. 현재 표준에 따르면, 기록이 가능한 CD는 일정한 갯수의 블록('섹터'라고도 함)으로 나누어져 있다. 디스크의 용량은 분, 초 또는 섹터로 표현되는데, 예를 들어서, 초당 75개의 섹터가 있는 74분 디스크는 333,000개의 섹터를 가진다. 하나의 섹터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실제 양은 디스크를 기록하는 데에 사용하는 물리적 포맷에 따라 달라진다. 옐로우 북 표준에 따른 물리적 포맷에서, 각각의 섹터는 2,000 바이트의 데이터를 가진다. 따라서, 앞에서 예로 든 74분 디스크의 데이터 용량은 650 메가바이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sk 20 is an audio CD, this data is stored according to the CD data standard. Standards for CD technology set the logical format and structure of this data, as well as the physical layout of the data recorded on the CD. Most CD manufacturers, CD players, and disc makers use the physical arrangement standards defined in the Orange Book, Red Book (IEC 908), and Yellow Book (ISO / IEC 10149) from Sony and Philips. To comply with. The logical file structure of the industry standard is known as the ISO 9660 standard. The Yellow Book and Red Book standards have been invented primarily for writing large amounts of data (up to 650 megabytes on a 74-minute disc) onto a CD at one time. Although the Orange Book provides a physical format for increasing data records, it requires a logical file structure that can operate within these physical standards and adapt the increased data to personal computer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ndard, recordable CDs are divided into a certain number of blocks (also called 'sectors'). The capacity of a disk is expressed in minutes, seconds, or sectors. For example, a 74 minute disk with 75 sectors per second has 333,000 sectors. The actual amount of user data that can be stored in one sector depends on the physical format used to write the disc. In the physical format according to the yellow book standard, each sector has 2,000 bytes of data. Therefore, the data capacity of the 74-minute disk mentioned earlier is 650 megabytes.

한편, 재생할 디스크가 엠피3 데이터 CD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가 CD에 저장된다. 데이터 CD에 저장된 자막 엠피3 데이터를 광학계 (25)를 통해 읽어서 신호계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에러 보정기(40)에 의한 에러 보정이 끝나면, 그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된다. 이때, 자막 정보와 오디오 정보의 저장과 재생 방법은 이하의 구현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엠피3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디코더(50; decoder)에서 압축을 해제한 다음 예컨대, 웨이브(.wav) 파일로 복원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c to be reproduced is an MP3 data CD, data having a format as described later is stored on the CD. When the caption MP3 data stored in the data CD is read through the optical system 25 and processed into a signal system, and finally error correction by the error corrector 40 is completed, th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44. At this time, the method of storing and reproducing subtitl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s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ince the MP3 data is compressed data, the decoder 50 decompresses the data and decompresses it, for example, into a wave (.wav) file.

디코더(50)에서 출력된 자막 엠피3 데이터는 신호 분리부(42)에서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된다. 자막 데이터는 자막 출력부(52)에서 처리되어 최종적으로 LCD와 같은 자막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54)에서 처리되어 L 오디오 신호와 R 오디오 신호로 분리되고 각각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55a, 55b)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저역 여파기(57a, 57b; LPF)를 거쳐 샘플링 주파수와 같은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어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 표현부(18a, 18b)로 출력된다. 자막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되는 자막 데이터는 오디오 표현부(18a, 18b)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데이터이다.The caption mp3 data output from the decoder 50 is separated into caption data and audio data by the signal separator 42. The caption data is processed by the caption output unit 52 and finally displayed on the caption display unit 16 such as an LCD. The audio data is processed at the audio output section 54, separated into L audio signals and R audio signals, and converted into analog signals by digital-to-analog (D / A) converters 55a and 55b, respectively, and low-pass filters 57a and 57b. LPF) removes unnecessary high frequency components such as sampling frequency and outputs them to the audio representations 18a and 18b such as headphones. The caption data displayed on the caption display unit 16 is data synchronized with the audio data output to the audio expression units 18a and 18b.

디스크(20)에 수록되어 있는 엠피3 데이터(오디오 또는 오디오+자막)를 내부 메모리(44)에 선택적으로 복사하여 두고 광학계(25)의 동작없이 중대용량 메모리(44)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재생 데이터의 반복·전후진 등의 액세스가 빠르며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도 데이터 재생 오류가 생길 염려가 없고 여러 CD에서 데이터를 선별하여 메모리 복사할 수 있어 휴대용으로 적합하고 원하는 순서대로 데이터를 재생되도록 선택적 데이터 복사가 가능하다. 한편, 메모리(44)를 통한 데이터의 재생은 통신 포트(15)를 통한 외부 데이터 입력도 가능하다. 통신 포트(15)는 예컨대, 외부 컴퓨터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에 접속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copy the MP3 data (audio or audio + subtitle) contained in the disk 20 to the internal memory 44 and output the data only through the medium-large capacity memory 44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ystem 25. It is possible. This allows quick access to replay and rewind of playback data, and there is no fear of data replay errors caused by external vibrations or shocks. Optional data copying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reproduction of data through the memory 44 is also possible to input external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5. The communication port 15 may, for example, be connected directly to an external computer or may be connected to a remote computer via a computer network.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엠피3 데이터의 구조와 그 재생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caption MP3 data and its re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 구현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자막 엠피3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엠피3 정보는 오디오 정보(60)와 자막 정보(62)로 나누어져 있다. 오디오 정보(60)는 표준 엠피3 파일 구조인 헤더, CRC,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로 되어 있다. 헤더는 32 비트의 고정된 필드에 위치하는데 여기에는 레이어와 샘플링 주파수, 남아 있는 프레임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CRC는 선택 사항으로 이것의 유무는 헤더에서 정의된다.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로서 그 길이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보조 데이터는 사용자 정의 구역으로 추가적인 정보가 들어가며 크기도 일정하지 않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title MP3 inform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btitle MP3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udio information 60 and subtitle information 62. The audio information 60 is composed of a header, CRC,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which are standard MP3 file structures. The header is located in a fixed field of 32 bits that contains information such as layer, sampling frequency, and remaining frame. CRC is optional and its presence is defined in the header. Audio data is compressed data whose length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ata. Auxiliary data contains additional information into user defined zones and is not constant in size.

자막 정보(62)는 복수의 자막 정보(62a, 62b, …, 62m)로 구성되며, 각각의 자막 정보는 시작 동기 코드(71), 재생 번호 데이터(72), 정보 데이터부(78)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반드시 도 3에 나타낸 순서대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낸 것은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The caption information 6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ption information 62a, 62b, ..., 62m, and each cap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start sync code 71, a reproduction number data 72, and an information data portion 78. have. However, this data is not necessarily arranged in the order shown in FIG. 3 is only one example for description.

자막 정보(62)의 시작 동기 코드(71)는 자막 정보의 시작을 나타낸다. 재생 번호 데이터(72)는 시작 동기 코드(71) 다음에 위치하며 자막 정보가 복수개의 오디오 정보(60) 가운데 몇번째 오디오 정보 프레임과 대응되는가를 나타내는 번호가 저장된다. 이 재생 번호는 자막 정보가 동기를 맞추어야 하는 오디오 정보의 위치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와 동기를 맞추어야 할 자막 정보의 위치 정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재생 번호 데이터(72)는 오디오 정보(60)와 자막 정보(62)가 재생될 때 참조되는 번호로서, 예컨대 4 비트로 구성된다.The start synchronization code 71 of the caption information 62 indicates the start of the caption information.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72 is located after the start sync code 71 and a number indicating which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audio information frame of the plurality of audio information 60 is stored. This reproduction number can be understood a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to which the subtitle information should synchronize o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ubtitle information to synchronize with the audio information.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72 is a number referred to when the audio information 60 and the subtitle information 62 are reproduced,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4 bits.

정보 데이터부(78)에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번지, 종류 등과 같은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예컨대, 재생 번지 데이터(73), 정보 식별 코드(74), 선택 코드(75)및 자막 데이터(76)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data unit 78 store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address and type of data to be stored. For example, the reproduction address data 73,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74, the selection code 75, and the subtitle data 76 are stored. Include.

재생 번지 데이터(73)는 복수의 자막 정보가 하나의 단어 또는 화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각 자막 정보가 서로 조합되도록 하는 재생 번지를 나타내는데, 예컨대 4 비트로 구성된다. 단어 또는 화상에 따른 대용량의 문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막 정보가 필요하다. 정보 식별 코드(74)는 저장된 정보의 파일 종류를 나타낸다. 파일은 화면 표시기에 맞게 예를 들면, 이미지 파일, 하이퍼텍스트 파일(HTML) 또는 텍스트 형식의 파일이 될 수 있다.The reproduction address data 73 indicates a reproduction address for allowing each subtitle information t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en a plurality of subtitle information is a single word or an image. For example, the reproduction address data 73 is composed of 4 bits. At least one subtitle information is required to form a large paragraph according to a word or an imag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74 indicates the file type of the stored information. The file may be, for example, an image file, a hypertext file (HTML), or a text format file to fit the screen indicator.

선택 코드(75)는 저장된 정보의 언어 종류, 동작 시간 및 화면 표시부(도 1, 도 2의 '16')의 표시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언어 종류는 예를 들면, 한국어(KOR), 일본어(JP), 영어(USA) 등과 같은 언어를 나타내고, 동작 시간은 자막 정보가 출력되어야 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 동작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를 오디오 정보에 동기시킨다. 또한, 표시 방식은 화면 표시부(16)에서 자막이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루어 출력될 때, 순차적으로 출력되는지 한꺼번에 출력되는지를 나타내며 어떤 형식(예컨대, 20칸 4줄 또는 24칸 2줄)으로 문자를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한다.The selection code 75 indicates at least one of a language type of the stored information, an operation time, and a display method of the screen display unit 16 of FIGS. 1 and 2. The language type indicates, for example, a language such as Korean (KOR), Japanese (JP), English (USA), etc., and an operation time indicates a time when subtitle information should be output. This operation time data is used to synchronize the caption inform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method indicates whether the subtitles are output in sequence or at a time when the subtitles are output in words or sentences on the screen display unit 16, and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 format (for example, 4 lines of 4 lines or 2 lines of 24 lines). Decide if you want to.

이 선택 코드(75)의 동작 시간을 사용하면, 자막 정보가 오디오 정보에 동기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기화 동작은 선택부의 동작 시간 데이터와 재생 번호 데이터(72)의 재생 번호 데이터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고, 이 데이터를 각각 따로따로 이용할 수도 있다.Using the operation time of this selection code 75, the subtitle information can b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and this synchronization operation utilizes the operation time data of the selection unit and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of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72 together. This data may be used separately.

자막 데이터(76)에는 엠피3 데이터 CD에서 출력된 자막 문자, 또는 CD로부터메모리에 선택적으로 복사된 자막 문자나 통신 포트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메모리에 입력된 자막 문자가 저장된다. 자막 데이터(76)에 저장되는 자막 문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자막 문자만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자막 문자인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저장되는 문자는 예를 들면, 이미지, 하이퍼텍스트, 텍스트 등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The caption data 76 stores caption characters output from the MP3 data CD, or caption characters selectively copied from the CD to the memory, or caption characters input from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The caption characters stored in the caption data 76 may be caption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by separating caption characters except audio data. In this case, the characters to be stored may have a format such as an image, hypertext, or text.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수의 자막 정보(62a, 62b, …, 62m)를 포함하는 자막 정보 그룹(62)은 오디오 복호 단위인 오디오 정보(60a, …, 60n)가 여러개 모여서 이루어지는 엠피3 정보 구조(60)에 부가되어서 엠피3의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때, 여기에 대응되는 자막 데이터(76)가 동기되어 출력될 수 있다.The caption information group 62 including the plurality of caption information 62a, 62b, ..., 62m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an MP3 information structure 60 composed of several pieces of audio information 60a, ..., 60n which are audio decoding units. When the audio data of MP3 is output in addition to the C), the caption data 76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output in synchronization.

이러한 자막 엠피3 정보 구조를 갖는 정보가 재생되는 것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로 설명한다.The reproduction of information having such a subtitle MP3 informa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기록 매체에 기록 저장된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예컨대 도 1의 MP3 CDP에 기록 매체를 투입하면, 재생 장치의 마이크로 컴퓨터(30)를 포함하는 제어계의 제어 동작에 의해 데이터의 재생이 시작된다 (단계 80). 데이터의 재생 단계(80)는 MP3 CDP 내부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을 포함한다.When the recording medium is put into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signal recorded and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the MP3 CDP of FIG. 1, data is started to be reproduced by a control operation of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microcomputer 30 of the reproducing apparatus (step 80 ). The data reproducing step 80 includes reproduc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 memory inside the MP3 CDP.

재생할 CD가 오디오 CD인 경우(81)에는 오디오 CD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MP3 CDP의 메모리(44)에 저장하여 메모리 상에서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아니면 CD로부터 직접 재생할 것인지 판단한다 (단계 82). 오디오 CD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CD 데이터의 선택적 저장을 포함한다.If the CD to be played is an audio CD (81),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audio CD is stored in the memory 44 of the MP3 CDP to determine whether to play the data on the memory or directly from the CD (step 82). Storing the audio CD data in the memory includes selective storage of the CD data.

재생할 CD가 엠피3 데이터 파일인 경우(83)에는 MP3 CDP의 신호계에서 읽은데이터를 메모리(44)에 저장한다 (단계 84).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엠피3 파일 데이터를 읽어 들인 다음 (단계 85), 이 데이터에 오디오 정보만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단계 86). 판단 단계 86에서 오디오 정보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87에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88에서 자막 정보만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자막 정보만 발견되는 경우에는 단계 89로 이동하여 자막 정보를 출력하고, 자막 정보와 오디오 정보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90으로 넘어가서 압축된 오디오 정보를 해독하고 오디오 정보의 재생을 준비한다.If the CD to be reproduced is an MP3 data file (83), the data read from the signal system of the MP3 CDP is stored in the memory 44 (step 84). After reading audio data or MP3 file data stored in the memory (step 85),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audio information exists in the data (step 86). If only the audio information exists in the determination step 86, the audio information is output in step 87; otherwise, in step 88,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the subtitle information exists. If only subtitle information is found, go to step 89 to output subtitle information, and if both subtitl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exist, go to step 90 to decode the compressed audio information and prepare for playback of the audio information.

그 다음에, 제2 판단 단계로서, MP3 CDP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가 출력될 때 이에 대응되는 자막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해독 단계(90)에서 해독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91). 대응되는 자막 정보가 없으면, 출력된 이전의 자막 정보를 계속 출력함으로써 이 정보의 출력을 유지하거나, 또는 공백 문자를 갖는 자막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95). 한편,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막 데이터가 있으면, 이 자막 데이터를 형성하는 파일의 종류, 예를 들면, 이미지, 하이퍼텍스트, 텍스트 등의 파일 종류에 따라 자막 데이터를 해석한다 (단계 92).Next, as a second judging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subtitle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decoded in the decoding step 90 so that a subtitle corresponding to the audio is output when the MP3 CDP reproducing apparatus is output. (Step 91).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subtitle information, the output of this information is maintained by continuously outputting the outputted subtitle information, or the subtitle information having blank characters is output (step 95).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cap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the caption data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le forming the caption data, for example, the file type of the image, hypertext, text, and the like (step 92).

그러면, 상기 해독 단계(90)에서 해독한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 정보를 재생 장치에서 서로 동기를 맞추어 동시에 출력한다 (단계 93).Then, the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decoded in the decoding step 90 is simultaneously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tion apparatus (step 93).

단계 94에서는 미출력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아직 출력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면 경로 96을 따라 단계 90으로 되돌아가고, 모든 데이터가 출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종료 단계(97)에서 재생 절차를 종료한다.In step 9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no output information, and if there is data that has not been output yet, the flow returns to step 90 along the path 96,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data has been output, the playback procedure is terminated in the termination step 97.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MP3 CDP 재생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와 그에 대응되는 동기 자막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MP3 CDP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audio data and synchronous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제2 구현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자막 엠피3 정보 구조(100)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자막 엠피3 파일(100a, 100b, …)로 되어 있다. 각각의 자막 엠피3 파일은 오디오 정보(102)와 자막 정보(104)를 가진다. 오디오 정보(102)는 제1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표준 MPEG 오디오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The caption MP3 inform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ption MP3 files 100a, 100b, ... as shown in FIG. Each subtitle MP3 file has audio information 102 and subtitle information 104. The audio information 102 is composed of standard MPEG audio file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5에서는 자막 정보(104)가 오디오 정보(102) 뒤에 붙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자막 정보(104)를 오디오 정보(102) 앞에 둘 수도 있지만, 엠피3 파일 재생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범용성을 고려한다면 도 5에 나타낸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FIG. 5, subtitle information 104 is shown attached behind audio information 102. Alternatively, the caption information 104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audio information 102,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ity of the software for playing the MP3 file.

도 5에는 하나의 자막 엠피3 파일(예컨대, 100a)이 하나의 오디오 정보(102a)와 하나의 자막 정보(104a)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실제 자막 엠피3 파일 하나에는 복수의 오디오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막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자막 엠피3 파일은 예컨대, 한 곡의 노래, 소정의 기준(예를 들면, 주제)으로 나누어진 한 문단의 음성 정보에 해당한다.In FIG. 5, one subtitle MP3 file (eg, 100a) is composed of one audio information 102a and one subtitle information 104a. However, this is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drawing, and the fact that most actual subtitle MP3 files consist of a plurality of audio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plurality of subtitle information i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One subtitle MP3 file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song and a piece of speech information divided by a predetermined standard (for example, a topic).

자막 정보 1(104a), 자막 정보 2(104b)는 각각 자막 시작 동기 신호(106), 자막 데이터 1, 2, …, N (108a, 108b, …, 108n), 텍스트 유형(110), 자막 확인코드(112)로 이루어져 있다. 자막 시작 동기 신호(106)는 예컨대 4 바이트 데이터로서 자막 정보가 들어 있는 시작 위치를 표시한다. 자막 데이터(108)는 실제 화면에 표시될 문자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는 문자 정보에 따라 변한다. 자막 데이터(108)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aption information 1 104a and the caption information 2 104b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caption start synchronization signals 106, caption data 1, 2,... , N (108a, 108b, ..., 108n), the text type 110, and the caption confirmation code 112. The subtitle start synchronization signal 106 indicates, for example, the start position where the subtitle information is contained as 4 byte data. The caption data 108 has character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actual screen, and the size thereof changes depending on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 caption data 108 will be described later.

텍스트 유형(110)은 자막 텍스트의 출력 유형 즉, 형태를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서 자막 데이터(108)에 있는 문자 정보가 20칸 4줄로 또는 24칸 2줄로 출력되도록 한다. 자막 확인 코드(112)는 정보 구조가 자막 엠피3 파일인지 확인하는 코드이다. 자막 데이터 1, 2, …, N (108a, 108b, …, 108n) 각각은 자막 표시 시간(114), 문장 시작 확인(116), 자막부(118), 부가 데이터(120), 옵션(122), 데이터 크기(124)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text type 110 determines the output type, ie form, of the subtitle text, for example, so that the character information in the subtitle data 108 is output in four 20 lines or two 24 lines. The caption confirmation code 112 is a code for confirming whether the information structure is a caption MP3 file. Subtitle data 1, 2,... , N (108a, 108b, ..., 108n) respectively indicate the subtitle display time 114, the sentence start confirmation 116, the subtitle section 118, the additional data 120, the option 122, and the data size 124. It has a structure to include.

자막 표시 시간(114)은 자막이 표시될 시점의 시간 데이터로서 예컨대 7 바이트의 크기로 되어 있다. 문장 시작 확인(116)은 하나의 문장이 여러 화면으로 표시될때 문장의 처음을 찾기 위한 코드이다. 자막부(118)는 화면에 표시될 문자 데이터에 해당하며, 부가 데이터(120)는 옵션 이외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고, 자막 정보의 파일 종류(이미지 파일, 하이터텍스트 파일, 텍스트 파일)를 나타내거나 자막 정보의 언어를 표시하는 정보가 들어 있다. 옵션(122)은 스크롤(scroll) 형태(예컨대, 화면 표시될 문자가 흐르면서 표시되거나, 이전의 문장이 서서히 사라진 다음 사라진 위치에 다음 문장이 서서히 나타남)나 플래시(flash; 예컨대, 글자의 깜빡임)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이른바 옵션 사항에 대한 저장 장소이다. 데이터 크기(124)에는 자막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가 들어간다.The subtitle display time 114 is, for example, 7 bytes in size as time data at the time when the subtitle is displayed. The sentence start confirmation 116 is a code for finding the beginning of a sentence when a sentence is displayed on several screens. The caption unit 118 corresponds to character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dditional data 120 is used when information other than an option is required, and the file type (image file, highlighter file, text file) of caption information is used. Contains information indicating or indicating the language of the subtitle information. Option 122 may be scrolled (e.g., scrolled through a character to be displayed, or the next sentence gradually appears in a position where the previous sentence gradually disappears and then disappears), flash (e.g., blinking of characters), or the like. It is a storage place for so-called optional options for storing information. The data size 124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he caption data.

이와 같은 정보 구조를 갖는 자막 엠피3 파일에서는 오디오 정보와 자막 정보가 자막 표시 시간(114) 데이터에 의해 동기된다. 시간 정보를 이용한 동기화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동기화보다 더 유리하며 동기화 실패율이 더 낮다.In the caption MP3 file having such an information structure, the audio information and the caption information are synchronized by the caption display time 114 data. Synchronization using time information is more advantageous than synchroniz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has a lower synchronization failure rate.

한편,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표준 엠피3 파일은 헤더, 에러체크, 오디오 데이터, 부가 데이터로 구성되는 포맷을 갖는데, 이 표준 엠피3 파일의 부가 데이터에 자막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데이터의 양에 따라 압축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가 데이터에 자막 정보를 넣는 것 보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 또는 제2 구현예와 같이 자막 정보를 별도의 파일 구조로 첨가하는 것이 프로그램이 더 쉽고, 자막 정보와 오디오 정보의 상호 간섭에 의한 잡음 방지 등 유리한 점이 많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MP3 file has a format consisting of a header, an error check,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It is conceivable to include subtitle information in the additional data of the standard MP3 file. However, since the compression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audio data, it is more convenient to add subtitle information in a separate file structure as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inserting the subtitle information in the additional data.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easier and noise prevention due to mutual interference of subtitl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자막 엠피3 파일에서 자막 정보의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laying caption information in a caption MP3 f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막 정보의 자막 확인 코드를 사용하여 재생할 파일에 자막 정보가 들어 있는지 확인하여 자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오디오 정보만 재생하고, 자막 정보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막 정보를 MP3 CDP의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자막 정보의 재생을 시작한다 (단계 130).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면, 자막 정보가 초기화된다(단계 132). 자막 정보 초기화 단계(132)에서는 화면 표시 장치에 이미 표시되어 있는 자막을 삭제할 것인지, 자막 정보가 어느 파일에 붙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자막 엠피3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재생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34). 재생이 끝나면 최종 종료 단계(140)에서 재생이 종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막 시간값을 가져온다 (단계 135). 그 다음, 1/1000 초 단위로 재생되고 있는 플레이 시간을 가져온다 (단계 136). 이 플레이 시간은 재생 장치 예컨대, MP3 CDP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카운트되는 값이다. 이 플레이 시간을 자막 시간과 비교한다 (단계 138). 자막 시간은 자막 데이터(108)의 자막 표시 시간(114)으로서 자막이 표시될 시점의 시간 데이터 값이다. 자막 시간을 플레이 시간과 비교하여 (단계 138) 두 값이 일치하면 자막을 출력하고 (단계 139), 일치하지 않으면 그 다음 자막 시간 데이터를 가져온다 (경로 137). 소정 분량의 자막이 출력되고 나면, 다시 재생 종료 판단 단계 134로 되돌아가 (경로 141), 단계 134 ~ 139를 반복한다.Use the subtitle confirmation code of the subtitl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file to be played contains subtitle information. If the subtitle information is not present, only the audio information is played. If the subtitl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le, save the subtitle information to the MP3 CDP's memory. Then, playback of the caption information is started (step 130). When playback of the file starts, subtitle information is initialized (step 132). In the caption information initialization step 13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ption already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is deleted or which file the caption information is attached to. While the subtitle MP3 file is being played back,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playback is to end (step 134). When the playback ends, the playback ends in the final ending step 140, otherwise the subtitle time value is taken (step 135). Then, the play time being played in units of 1/1000 second is obtained (step 136). This play time is a value counted by the microprocessor 30 of the playback apparatus, for example, the MP3 CDP. This play time is compared with the subtitle time (step 138). The caption time is the caption display time 114 of the caption data 108 and is a time data value at the time when the caption is displayed. The subtitle time is compared with the play time (step 138) and if the two values match, the subtitle is output (step 139),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next subtitle time data is taken (path 137). After the predetermined amount of subtitles have been output, the process returns to the playback end determination step 134 again (path 141), and steps 134 to 139 are rep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자막 정보가 이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에 동기된 상태로 출력되는 MP3 CDP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MP3 CDP device in which the subtitle information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막 엠피3 데이터의 동작 시간 데이터와 재생 번호 데이터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이것을 별개로 이용하여 자막을 동기 출력하거나, 자막 표시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막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간단한 동기 자막 출력이 가능하고 동기화 실패율을 낮출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ion can be synchronously outputted using the operation time data and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of the caption MP3 data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or the caption data can be synchronously outputted using the caption display time data. This allows for simpler synchronous subtitle output and lowers synchronization failure rates.

또한, 재생 번호 데이터가 저장된 재생 번지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을 사요하여 음성과 자막을 동기시키기 때문에, 오디오 신호의 출력 속도 (즉, 빠르기나 템포)에 따른 추가 조작이나 특별한 기술적 고려없이 일정한 속도로 자막을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음성 신호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출력하여 그 속도를 변경한 경우 자막 데이터를 이와 동기시키기 위해 추가 회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뿐만 아니라 어학 데이터를 재생할 때 특히 유용하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능력이나 취향에 맞게 음악이나 어학 데이터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회로 추가나 설계 변경없이 간단하게 자막 또는 가사를 동기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the audio and subtitles are synchronized using a data format including a reproduction address portion in which the reproduction number data is stored, the subtitles at a constant speed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or special technical considerations according to the output speed (ie, speed or tempo) of the audio signal. It is possible to output In other words, if you change the speed of the audio signal quickly or slowly, and you do not need additional circuitry to synchronize the subtitle data with it, you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layer and play back language data as well as music data. This is especially useful whe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layback speed of music or languag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or taste, but can simply output synchronous subtitles or lyrics without additional circuitry or design ch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막 엠피3 정보 구조에는 표준 엠피3 데이터 음성 정보가 자막 정보와 분리되어 저장 출력되기 때문에, 자막 데이터만 별도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노래를 듣는 것과 별도로 가사 데이터만 볼 수도 있고, 어학 청취와는 별도로 문장만을 따라 출력하여 반복하여 보거나 원하는 부분을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학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ndard MP3 data audio information is stored and output separately from the caption information in the caption MP3 information structure, only the caption data can be output separately. In other words, you can see only the lyrics data separately from listening to the song, and you can maximize the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because it can be output by repeating the sentences separately from the language listening, or by searching for desired par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P3 CDP는 표시 방식 데이터에 따라 자막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자막을 출력할 수 있고, 자막의 언어 종류를 나타내는 언어 종류 데이터가 들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음성 또는 오디오에 대해 다양한 언어의 자막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한 언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자막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정보 구조에 포함시키고 이러한 파일 종류 데이터에 따라 자막 신호를 출력하므로, 자막 데이터를 단순히 텍스트 형태로만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형태로 출력하거나 하이퍼 텍스트 문서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막의 특정 부분을 검색하는 것이 좀 더 용이하고 시각적 효과가 훨씬 우수한 형태의 자막 출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MP3 C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cap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method data,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caption in various ways, and since it contains language type data indicating the language type of the caption, one voice or audio Subtitle data of various languages can be output in a suitable langu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ddition, since the data indicating the type of the subtitle file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subtitle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file type data, the subtitle data is output not only in the form of text but also in the form of an image or in a hypertext document.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specific part of the subtitles,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subtitles in a form with much better visual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CD에 수록된 데이터를 선별하여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은 후 CD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상에서만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C에 수록된 많은 데이터 중 원하는 것만 선별하게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고 메모리상에서 재생이 가능하므로 플레이어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재생 불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CD에 수록된 자막 정보를 재생할 때 음성을 제외한 자막 뎅이터만 메모리로 읽어들여 CD 상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 의해 동기시켜 메모리상의 자막을 출력하므로 CD 플레이어에서 자막을 동기시켜 출력하는 기술적 곤란을 해소할 수 있다.Since the data contained in the C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rted and stored in a memory, the data can be played back only in the memory without using a CD disk. Therefore, only a large number of data contained in the C can be easily played back. Since playback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playback defects caused by player vibration or shock. In addition, when playing the caption information recorded on the CD, only the subtitle editor except the voice is read into the memory and the subtitles in the memory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ime when the audio is output on the CD. I can eliminate it.

Claims (11)

오디오 CD와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장치로서,An audio playback device that can play both audio CDs and uncompressed audio data. 오디오 CD와 압축 오디오 CD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계와,A drive system that rotates the audio CD and the compressed audio CD at a constant speed, 상기 구동계에 의해 구동되는 오디오 CD와 압축 오디오 CD로부터 광 신호를 얻고 이것을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바꾸는 광학계와,An optical system which obtains an optical signal from an audio CD and a compressed audio CD driven by the drive system and replaces the analog electrical signal with the optical system; 상기 광학계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며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신호계와,A signal system including a signal separator configured to process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system as a digital signal and to separate subtitle data and audio data; 상기 제어계의 출력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system; 상기 구동계, 광학계, 신호계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계와,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system, the optical system, and the signal system and selecting an output signal to be stored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해독하는 디코더와,A decoder for decoding the compressed audio data output from the memory;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data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자막 데이터를,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된 상태로 출력하는 자막 출력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And a captio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caption data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in synchronization with audio data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엠피3 파일 포맷이며, 엠피3 파일은 헤더,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 엠피3 파일 구조를 갖는 오디오 정보와,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 정보로 이루어진 자막 엠피3 정보 구조로서,The compressed audio data has an MP3 file format, and the MP3 file has subtitle MP3 information including audio information having a standard MP3 file structure consisting of a header,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and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As a structure, 상기 자막 정보에는 자막 정보의 위치 데이터 및/또는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이 위치 데이터 및/또는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정보가 재생될 때 이 재생 오디오 정보에 동기된 자막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The subtitle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data and / or time data of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output subtitle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reproduced audio information when the audio information is reproduced using the position data and / or time data.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자막 정보는 자막 정보의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부와 정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데이터는 재생되는 오디오 정보의 몇번째 프레임과 자막 정보가 대응되는가를 나타내는 재생 번호부이고, 이 재생 번호부는 상기 정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The subtitle information includes a start portion indicating the start of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ortion, wherein the position data is a reproduction number por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frames of audio information to be reproduced and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number portion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ortion. And an audio playback device.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정보부는,The information unit, 복수의 자막 정보가 하나의 단어 또는 화상으로 되는 경우에 각 자막 정보가 서로 조합되도록 하는 재생 번지를 나타내는 재생 번지부와,A reproduction address section indicating a reproduction address for combining each subtitle information when a plurality of subtitle information is a word or an image; 저장된 정보의 파일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식별부와,An information identifier indicating a file type of stored information; 저장된 정보의 언어 종류, 동작 시간 또는 화면 표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선택부와,A selection unit for indicating at least one of a language type, an operation time, or a screen display method of stored information; 자막 문자가 저장되는 자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And a caption unit in which caption characters are stored.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자막 엠피3 파일 각각은 헤더,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로 구성되는 표준 엠피3 파일 구조를 갖는 오디오 정보와, 상기 오디오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 정보로 이루어지고,Each subtitle MP3 file includes audio information having a standard MP3 file structure including a header, audio data, and auxiliary data, and subtit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information. 각각의 상기 자막 엠피3 파일에서 오디오 정보는 자막 정보 앞에 위치하고, 상기 자막 정보는 자막 정보가 재생될 때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된 시간을 나타내는 자막 표시 시간 데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Audio information in each of the subtitle MP3 files is located before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the subtitle information has subtitle display time data indicating a tim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when the subtitle information is reproduced. 제5항에서,In claim 5, 상기 자막 정보는,The subtitle information, 상기 자막 정보가 들어 있는 시작 위치를 표시하는 자막 시작 동기 신호와,A caption start synchronization signal indicating a start position of the caption information; 상기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될 문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자막 데이터와,A plurality of subtitle data having character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상기 문자 정보의 출력 형태를 결정하는 텍스트 유형과,A text type for determining an output form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자막 확인 코드를 포함하며,Include a caption verification code. 상기 자막 표시 시간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자막 데이터 각각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막 엠피3 파일이 재생될 때 카운트되는 플레이 시간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And the caption display time data i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ption data, and is compared with a play time counted when the caption MP3 file is played. 제6항에서,In claim 6, 상기 자막 데이터 각각은,Each of the caption data, 상기 자막 데이터로 구성되는 문자의 시작 부분을 표시하는 문장 시작 확인 데이터와,Sentence start confirmation data indicating a beginning of a character consisting of the subtitle data; 상기 화면 표시 데이터에 표시될 문자 데이터로 이루어진 자막부와,A caption section comprising character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data; 스크롤 형태와 플래시 정보가 들어 있는 부가 데이터와,Additional data containing scroll type and flash information, 자막 데이터의 길이 정보가 들어 있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And a data size containing length information of the caption data. 제1항에서, 상기 오디오 CD에는 자막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 CD에 수록된 자막 데이터만 저장하여 오디오 CD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에 의해 동기된 상태로 자막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CD contains caption data, and the memory stores only the caption data recorded on the audio CD so that the caption data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ime of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audio CD. Audio playback device. 제1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오디오 CD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CD의 구동없이 메모리로부터 직접 출력되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2.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stores data stored in an audio CD and the stored data is directly output from the memory without driving the audio CD. 제1항에서, 상기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때 출력되는 자막 데이터의 단위별로 자막 데이터만 선택적 조회가 이루어지고, 상기 조회되는 자막 데이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caption data and the audio data are output, the caption data is selectively searched for each unit of the caption data output, and only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aption data is selectively output. Audio playback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자막 출력부는 오디오 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분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btitle output unit has a separate structure physically separated from a main body constituting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KR1020010061893A 2001-10-08 2001-10-08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KR200200055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93A KR20020005523A (en) 2001-10-08 2001-10-08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93A KR20020005523A (en) 2001-10-08 2001-10-08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23A true KR20020005523A (en) 2002-01-17

Family

ID=197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893A KR20020005523A (en) 2001-10-08 2001-10-08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5523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89A (en) * 2002-05-06 2003-11-12 미래통신 주식회사 Caption data synchronous method of audio file using address
KR100502710B1 (en) * 2002-05-24 2005-07-20 주식회사 아이큐브 Optical disk regenerative apparatus
WO2005104549A1 (en) * 2004-04-27 2005-11-03 Jong-Sik Woo Method and apparatus of synchronizing caption, still picture and motion picture using location information
WO2007058393A1 (en) * 2005-11-16 2007-05-24 Rtsne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remote text service
KR101158319B1 (en) * 2009-12-04 2012-06-22 (주)아이칼리지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languag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real-time translation training apparatus operated thereof
WO2017010690A1 (en) * 2015-07-16 2017-01-1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Video providing apparatus,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586A (en) * 1994-09-26 1996-04-12 Marantz Japan Inc Karaoke device
KR20000050384A (en) * 1999-01-08 2000-08-05 노영훈 Caption indicating MP3 player, MP3 data format and reproduct method thereof
KR20010001791A (en) * 1999-06-08 2001-01-05 이영준 MP3 caption data displaying method
KR20010010504A (en) * 1999-07-21 2001-02-15 손국일 Handling technique of digital audio data synchronized with words or graphic information
KR20010016735A (en) * 1999-08-03 2001-03-05 민기철 Compact Disc for Compressed Audio Data and Compact Disc Player for Compressed Audio Data
KR20010063363A (en) * 1999-12-22 2001-07-09 윤장진 Compact disc player for mp3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586A (en) * 1994-09-26 1996-04-12 Marantz Japan Inc Karaoke device
KR20000050384A (en) * 1999-01-08 2000-08-05 노영훈 Caption indicating MP3 player, MP3 data format and reproduct method thereof
KR20010001791A (en) * 1999-06-08 2001-01-05 이영준 MP3 caption data displaying method
KR20010010504A (en) * 1999-07-21 2001-02-15 손국일 Handling technique of digital audio data synchronized with words or graphic information
KR20010016735A (en) * 1999-08-03 2001-03-05 민기철 Compact Disc for Compressed Audio Data and Compact Disc Player for Compressed Audio Data
KR20010063363A (en) * 1999-12-22 2001-07-09 윤장진 Compact disc player for mp3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89A (en) * 2002-05-06 2003-11-12 미래통신 주식회사 Caption data synchronous method of audio file using address
KR100502710B1 (en) * 2002-05-24 2005-07-20 주식회사 아이큐브 Optical disk regenerative apparatus
WO2005104549A1 (en) * 2004-04-27 2005-11-03 Jong-Sik Woo Method and apparatus of synchronizing caption, still picture and motion picture using location information
WO2007058393A1 (en) * 2005-11-16 2007-05-24 Rtsne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remote text service
KR101158319B1 (en) * 2009-12-04 2012-06-22 (주)아이칼리지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language training electronic device and real-time translation training apparatus operated thereof
WO2017010690A1 (en) * 2015-07-16 2017-01-1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Video providing apparatus,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8028966A (en) * 2015-07-16 2018-05-11 纳宝商务平台株式会社 video providing device,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595067B2 (en) 2015-07-16 2020-03-17 Naver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Video providing apparatus,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8028966B (en) * 2015-07-16 2021-06-08 纳宝商务平台株式会社 Video providing device, video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407A (en) Optical disk having speech recognition templates for information access
EP0165320B1 (en) Disk-shape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JP2965330B2 (en) Information playback device
KR100297206B1 (en) Caption MP3 data format and a player for reproducing the same
JP3899596B2 (en)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JP3431030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KR100335439B1 (en) multisession disc including DVD application sess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335440B1 (en) Disc recording DVD application on CD medi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915228B2 (en)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20005523A (en) Audio Player having a Caption Display Function
JP3327463B2 (en) Information recording disk,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H03205659A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dium and its player
US6973019B2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KR100234258B1 (e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compressed audio data
JP4214861B2 (en)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JP3877689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KR0161779B1 (en) Method of detecting start position of cd-da track in video compact disc
KR19990084716A (en) How to play optical disc
JP2000260117A (en)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JPH08255430A (en)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017256B2 (en) Information playback device
JPH05159468A (en) Information recording disk and music and picture reproducing device
JP2004295927A (en) Reproducing device
Nilsson Tech talk: all about audio.
KR20050035572A (en) A portable device for playing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