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462A - 상자용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 Google Patents

상자용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462A
KR20020004462A KR1020000038368A KR20000038368A KR20020004462A KR 20020004462 A KR20020004462 A KR 20020004462A KR 1020000038368 A KR1020000038368 A KR 1020000038368A KR 20000038368 A KR20000038368 A KR 20000038368A KR 20020004462 A KR20020004462 A KR 20020004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am
elastic member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6505B1 (ko
Inventor
정관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5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E05D13/12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 E05D13/123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with compression springs
    • E05D13/1246Spring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폐쇄시 댐핑력을 제공하여 냉장고의 파손 및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댐핑구조는, 힌지체결을 위한 힌지부가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일측에 상기 본체힌지부와 체결되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복원력을 발휘하여 도어의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급격한 폐쇄를 억제함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자용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 The damping structure for a chest-type refrigerator }
본 발명은 상자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폐쇄시 댐핑력을 제공하기위한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형 냉장고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상하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고내에 음식물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일측이 냉장고 본체와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에 대해 회전하며 냉장고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힌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1)는 냉장고 본체(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냉장고 본체(2)와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냉장고 본체(2)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1)의 체결을 위한 힌지(3)가 스크류 등의 체결구(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3)의 양측면에는 힌지리브(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리브(3a)의 중앙에는 힌지핀(5)이 통과하는 핀공(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에는 일측에 도어리브(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리브(1a)는 상기 양측 힌지리브(3a)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중앙에 관통공(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리브(3a) 사이에 상기 도어(1)의 도어리브(1a)를 위치시키고, 각각에 형성된 핀공(3b)과 관통공(1b)을 통해 힌지핀(5)을 삽입한 후, 상기 힌지핀(5)을 고정하면, 냉장고 본체(2)와 도어(1)의 체결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1) 개폐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상기 도어(1)는 폐쇄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어(1)는 아웃케이스가 스틸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단열을 위한 발포액이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무거운 편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1)가 아무런 지지력없이 자중에 의해 폐쇄될 경우, 상당히 급격한 속도로 폐쇄되고, 이러한 도어(1)의 급격한 폐쇄는 큰 충격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1) 개폐구조에는 상기 도어(1)의 폐쇄를 억제하는 어떠한 완충구조도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충격에 의해 도어(1) 또는 냉장고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1)와 본체(2) 사이에 끼이는 경우, 사용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급격한 폐쇄를 억제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힌지부 구조가 도시된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부분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 폐쇄시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 개방시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도어 12 : 냉장고 본체
13 : 힌지 14 : 힌지리브
15 : 캠고정용리브 15a : 삽입홈
16 : 탄성부재 17 : 캠
17a : 캠경사면 21 : 도어리브
22 : 돌기 22a : 돌기경사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댐핑구조는, 힌지체결을 위한 힌지부가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일측에 상기 본체힌지부와 체결되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복원력을 발휘하여 도어의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댐핑수단은,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및 복원을 기구적으로 제어하는 돌기와; 경사진 캠면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는 캠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의 선단부가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 폐쇄시 최대한 압축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하여 도어의 급격한 폐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힌지부 구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어 폐쇄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부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부를 살펴보면, 냉장고 본체(12)의 일측에 도어(11)의 체결을 위한 힌지(13)가 체결구(40)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13)의 양측단부에는 힌지리브(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리브(14)의 중심부에는 힌지핀(30)이 통과하는 힌지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리브(14) 사이에는 특징적으로 캠고정용리브(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고정용리브(15) 중앙부에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삽입홈(15a)이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5a)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6)와, 상기 탄성부재(16)의 양측으로 상기 삽입홈(15a)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캠(17)이 삽입된다. 상기 캠(17)에는 경사진 캠면(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힌지핀(30)이 통과하는 힌지공(1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5a)과 캠(17)의 단면형상을 사각형으로 성형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캠(17)이 압축력을 받아 상기 캠(17)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가 압축될 때, 상기 캠(17)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상기 탄성부재(16)의 복원력 사이에서 상기 캠(17)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어(11)에는 일측에 한 쌍의 도어리브(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리브(21)는 상기 힌지리브(14)와 캠고정용리브(15)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도어리브(21)에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경사면(22a)이 형성된 돌기(2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기(22)를 관통하여 힌지핀(30)이 통과하는 힌지관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고정용리브(15)의 삽입홈(15)에 상기 탄성부재(16)와 캠(17)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리브(21)를 상기 힌지리브(14)와 캠고정용리브(15) 사이에 삽입하고, 각각에 형성된 힌지공(14a,17a,21a)을 통해 힌지핀(30)을 체결하여 고정하면, 도어(11)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리브(21)의 돌기(22)는 상기 도어(11)와 힌지(13)의 체결시, 상기 캠고정용리브(15)의 삽입홈(15a)에 삽입되어 상기 캠(17)과 접촉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일 때, 그 선단부가 상기캠면(17a)의 선단부분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상기 캠(17)이 최대한 내측으로 밀린 상태가 되어, 상기 캠(17) 사이의 탄성부재(16)가 최대의 압축력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1)가 개방을 위해 힌지핀(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돌기(22) 또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면(17a)은 경사면이므로 상기 돌기(22) 선단부와 캠(17)의 캠면(17a) 사이에 이격거리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6)는 상기 캠(17)을 이격거리만큼 밀어내며 복원되는데, 이러한 복원력은 상기 도어(11)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180°회전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돌기(22)의 경사면(22a)과 상기 캠(17)의 캠면(17a)이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16)는 최대한 복원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개방된 도어가 폐쇄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도 4에서 도 3의 형태로 진행되어, 상기 돌기(22)의 선단부에 의해 캠(17)이 압축력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부재(16)가 압축에 대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부재(16)의 지지력은 상기 도어(11)의 폐쇄를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도어(11) 개방 시에는 상기 탄성부재(1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11)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고, 폐쇄 시에는 상기 탄성부재(16)가 압축에 저항하며 지지력을 발휘하여 급격한 도어(11)의 폐쇄가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11)가 폐쇄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5a)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16)가 최대한의 압축력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1)를 개방하고자 하면, 힌지핀(30)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1)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본체(12) 내부의 저장실을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어(11)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16)가 복원되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시 도어(11)를 폐쇄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11)를 힌지핀(30)에 대해 하측으로 회전시켜 저장실을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22)가 회전하며 상기 캠(17)에 압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캠(17)이 내측으로 밀리며 실질적으로 상기 캠(17)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가 압축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6)에는 상기 도어(11)의 폐쇄를 억제하려는 지지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16)의 지지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급격히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의 부주의로 도어(11)가 자유낙하하게 되더라도, 종래와 같은 충격을 유발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캠(17)에 상기 돌기(22)에 의한 압축력과 상기 탄성부재(16)의 지지력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상기 돌기(22)의 선단부와 접촉된 상기 캠(17)의 캠면(17a)에서 미끌어짐이 발생하여, 상기 캠(17)이 회전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회전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삽입홈(15a)과 캠(17)의 단면형상에 의해 구속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폐쇄시 탄성부재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급격한 폐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캠고정용리브(15)의 삽입홈(15a)의 단면형상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상기 삽입홈(15a)의 단면형상은 캠(1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는 캠고정용리브(15)에 관통성형된 삽입홈(15a)에, 탄성부재(16)와 한 쌍의 캠(17)을 삽입하고, 도어리브(21)에 상기 캠(17)에 압축력을 가하는 한 쌍의 돌기(2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나, 캠고정용리브(15)에 삽입홈(15a)을 일측으로만 삽입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캠(17)과 돌기(22)만을 이용하여 탄성부재(16)에 압축력을 전달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가 캠 고정용리브 내에 삽입된 탄성부재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도어의 급격한 폐쇄로 인한 냉장고 구조물의 파손이나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 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에 비해 보다 수월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힌지체결을 위한 힌지부가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일측에 상기 본체힌지부와 체결되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폐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복원력을 발휘하여 도어의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핑수단으로 구성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및 복원을 기구적으로 제어하는 돌기와;
    경사진 캠면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는 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의 선단부가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 폐쇄시 최대한 압축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KR10-2000-0038368A 2000-07-05 2000-07-05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KR10036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68A KR100366505B1 (ko) 2000-07-05 2000-07-05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68A KR100366505B1 (ko) 2000-07-05 2000-07-05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62A true KR20020004462A (ko) 2002-01-16
KR100366505B1 KR100366505B1 (ko) 2003-01-09

Family

ID=1967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368A KR100366505B1 (ko) 2000-07-05 2000-07-05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5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949B1 (ko) * 2004-05-31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US7127911B2 (en) * 2003-04-26 2006-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imchi refrigerators
KR200469021Y1 (ko) * 2007-12-10 2013-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7911B2 (en) * 2003-04-26 2006-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imchi refrigerators
KR100592949B1 (ko) * 2004-05-31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469021Y1 (ko) * 2007-12-10 2013-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505B1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817B2 (en) Hinge assembly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of storage facility
EP1273750A2 (en) Hinge assembly
KR100366505B1 (ko)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JPH08100575A (ja) 扉用ヒンジと、それを使用する浴室用扉
KR102130928B1 (ko)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KR100746420B1 (ko) 냉장고용 홈바의 힌지부재
KR100478458B1 (ko) 냉장고
KR100457981B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KR200328446Y1 (ko) 화장품냉장고 케이스
KR100903906B1 (ko) 냉장고
KR100570299B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구조
KR200166856Y1 (ko) 양방향으로개폐가능한냉장고도어
KR0149980B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KR200254705Y1 (ko) 힌지
KR200148390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389419B1 (ko) 상자형 냉장고 도어 댐핑 구조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0135219Y1 (ko) 쇼케이스의 바스프링 고정구조
KR200150921Y1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271181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0597679B1 (ko) 냉장고용 도어지지장치
KR0119841Y1 (ko) 냉장고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KR200158216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756701B1 (ko) 냉장고용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