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707A -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707A
KR20020003707A KR1020000035940A KR20000035940A KR20020003707A KR 20020003707 A KR20020003707 A KR 20020003707A KR 1020000035940 A KR1020000035940 A KR 1020000035940A KR 20000035940 A KR20000035940 A KR 20000035940A KR 20020003707 A KR20020003707 A KR 2002000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t
opening
bed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00003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707A/ko
Publication of KR2002000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7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일정부위에 개폐할 수 있는 개구부의 하부에 수세식 양변기를 일체로 부가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유로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지지각이 고정된 프레임의 상면에 매트를 안치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일정부위에 원반형상으로 절취한 개구부를 마감부재로 개/폐하는 매트와 상기 개구부의 저부에는 일측부위에 배출관이 형성된 분뇨통을 고정하여 일측에 부설된 가압물탱크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급수관으로 유입되면서 분뇨를 배출관을 통해 수거통에 포집되도록 하는 수세식 양변기와 상기 양변기의 일측에는 용변후 분뇨통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진공탱크와 스프레이건을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된 세척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Bed attached toilet stool}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의 일정부위에 변기시트와 마감부재를 임의로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개구부의 하부에 수세식 양변기를 일체로 부가 설치하여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유로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침대의 구조는 하부에 지지각이 고정된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를 안치한 구성으로서, 자유로운 활동이 부자연스러운 환자를 위하여 침대의 높이나 또는 매트의 각도를 가변하는 기능을 갖는 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 즉 침대의 높이와 매트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자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식사시간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를 간병하는 보호자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것은 용변의 처리문제로서, 이는 당사자간의 문제에 머무르지 않고 같은 병실을 사용하고있는 다른 환자나 보호자에게도 상당한 폐를 끼친다고 하는 것이다.
현재 용변의 처리는 소변인 경우에는 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통을 이용하지만 대변의 경우에는 매트의 상면에 별도로 마련된 패드를 깔고 용변을 본 후 다시 국부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이용하여 수건으로 깨끗하게 뒤처리하여야 하므로 한번의 용변시 간병인이 수회에 걸쳐 화장실을 왕래하여야 되므로, 이 과정에서 비좁은 병실에 분뇨의 냄새가 확산되고 병실내부가 항상 불결한 상태를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기존 환자용 침대는 상기에서 열거한 것 외에 수많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로서 병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함과 동시에 환자나 간병인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한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지지각이 고정된 프레임의 상면에 매트를 안치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일정부위에 원반형상으로 절취한 개구부를 마감부재로 개/폐하는 매트와, 상기 개구부의 저부에는 일측부위에 배출관이 형성된 분뇨통을 고정하여 일측에 부설된 가압물탱크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급수관으로 유입되면서 분뇨를 배출관을 통해 수거통에 포집되도록 하는 수세식 양변기와, 상기 양변기의 일측에는 용변후 분뇨통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진공탱크와 스프레이건을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된 세척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특히 용변시에는 매트의 개구부를 폐쇄하고있는 마감부재를 개방한 후 이에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변기시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의 작용과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가압물탱크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척장치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개구부 3…마감부재 4…변기시트 4a…플렌지부
4b…차폐판 4c…유도관 5…매트 6…분뇨통
6a…급수관 6b…배출관 8…가압물탱크 8a…조절레버
10…수세식양변기 11…물탱크 12…호스 13…스프레이건
15…세척장치 20…프레임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4개의 지지각(17)을 포함하는 프레임(20)상에 안치되는 매트(5)와, 매트(5)의 일정개소에 형성된 개구부(1)의 저부에 고정 장착되는 수세식 양변기(10) 및 용변후 분뇨통(6)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세척장치(15)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매트(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트(5)상에 원반형상으로 절취하여 개구부(1)를 형성하게되는 것으로서, 이 개구부(1)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최적의 직경을 갖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취된 개구부(1)에는 평상시에는 마감부재(3)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용변을 볼 경우에는 상기 마감부재(3)를 제거한 후 개구부(1)와 동일한 직경으로 성형된 변기시트(4)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변기시트(4)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한 플렌지부(4a)를 형성하여 개구부(1)의 상부에 걸리도록 하고, 하부에는 일정길이를 연장된 유도관(4c)의 하부가 분뇨통(6)에 근접되도록 하여 용변시 분뇨가 매트(5)에 묻지 않도록 도모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플렌지부(4a)의 전측에는 소변이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배지하기 위한 차폐판(4b)을 일체로 형성하게되는 것으로서, 이 차폐판(4b)은 허벅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국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매트(5)에 형성된 개구부(1)와 동일직경으로 천공된 프레임(20)의 저부에 고정 장착되는 수세식 양변기(10)의 구성은 급수관(6a)과 배출관(6b)이 일체로 성형된 분뇨통(6)과, 이 분뇨통(6)에 급수관(6a)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가압물탱크(8)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분뇨통(6)은 상부에는 개구되어 있고 저부에는 항시 일정한 높이의 물을 집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후술하는 가압물탱크(8)에서 공급되는 물을 유입하기 위한 급수관(6a)과 또 다른 일측에는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분뇨를 수거통(9)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6b)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뇨통(6)에 물을 공급하는 가압물탱크(8)의 구성은 내부가 진공 밀폐된 중공형상으로서,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충만시키기 위한 급수밸브(8a) 그리고 내부의 물을 분뇨통(6)으로 공급하기 위한 볼 밸브를 개폐하는 조절레버(8b)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6b)의 저부에는 이로 배출되는 분뇨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9)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뇨통(6)의 일측에는 용변후 분뇨통(6)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세척장치(15)가 부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탱크(11)와 물을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건(13)을 호스(12)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물탱크(11)의 구성은 상술한 바 있는 가압물탱크(8)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진공 밀폐된 구조로서, 일측면에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11a)가 장착되고 저면의 중앙에는 소켓(11b)을 마련하여 호스(12)를 결합하도록구성되어있다.
호스(1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레이건(1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손잡이레버(13a)의 조작에 의해 물이 분사되거나 차단하게되는 것이다.
이 세척장치(15)는 환자가 용변을 마친 후 가압물탱크(8)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분뇨를 배출시킨 후 잔류하는 미량의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트(5)에 형성된 개구부(1)를 이용하여 물탱크(11)에 충만된 물을 스프레이건(13)에 장착된 손잡이 레버(13a)를 조작하면서 청소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거동이 중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매트(5)에 형성된 개구부(1)를 폐쇄하고 있는 마감부재(3)를 분리한 후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성형한 변기시트(4)를 결합하여 사용하게되는 것이다.
변기시트(4)를 결합함으로써 매트(5)와 분뇨통(6)이 상호 연통되어 환자의 용변시 분뇨가 유도관(4c)의 안내를 받아 저부로 낙하하며 소변은 변기시트(4)에 구비된 차폐판(4b)에 의해 차단되어 분뇨통(6)에 적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변을 마친 후 스프레인건(13)을 이용하여 환자의 국부를 세척한 후 변기시트(4)의 덮개(4d)를 닫은 후 가압물탱크(8)에 장착된 조절레버(8a)를 개방시켜 내부에 충만되어 있던 물은 진공압에 의해서 급수관(6a)을 경유하여 분뇨통(6)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이에 충만되어 있는 분뇨를 배출관(6b)으로 밀어내어 수거통(9)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뇨를 수거통(9)으로 포집한 후 분뇨통(6)에 잔류하는 미량의 이물질은 세척장치(15)를 이용하여 재차 깨끗하고 청결하게 청소한 후 개구부(1)에서 변기시트(4)를 제거한 후 패트(5a)를 재차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매트 상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 수세식 양변기와 이를 청소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다가 용변시에만 개구부를 이용하여 누운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로서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간병인의 수고를 덜어주고 또 병실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의거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으로서,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지지각이 고정된 프레임의 상면에 매트를 안치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일정부위에 원반형상으로 절취한 개구부를 마감부재로 개/폐하는 매트와;
    상기 개구부의 저부에는 일측부위에 배출관이 형성된 분뇨통을 고정하여 일측에 부설된 가압물탱크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급수관으로 유입되면서 분뇨를 배출관을 통해 수거통에 포집되도록 하는 수세식 양변기와;
    상기 양변기의 일측에는 용변후 분뇨통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진공탱크와 스프레이건을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된 세척장치;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매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마감부재는 용변시 이를 분리하고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변기시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는 중공형으로서 상단부에는 개구부에 안치하기 위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의 전측에는 소변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뇨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유도관이 일체로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고정된 환자용 침대.
KR1020000035940A 2000-06-28 2000-06-28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KR20020003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940A KR20020003707A (ko) 2000-06-28 2000-06-28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940A KR20020003707A (ko) 2000-06-28 2000-06-28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707A true KR20020003707A (ko) 2002-01-15

Family

ID=1967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940A KR20020003707A (ko) 2000-06-28 2000-06-28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7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545A1 (en) * 2003-01-10 2004-07-29 Angel Bed Co., Ltd.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
US10540717B2 (en) 2014-06-24 2020-01-21 Hitachi, Ltd. Financial products trading system and financial products trading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545A1 (en) * 2003-01-10 2004-07-29 Angel Bed Co., Ltd.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
US10540717B2 (en) 2014-06-24 2020-01-21 Hitachi, Ltd. Financial products trading system and financial products trading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JPH10113364A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101456103B1 (ko)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
CN211674809U (zh) 一种便携式卧床患者通用小便收集器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KR20020003707A (ko) 수세식 양변기가 일체로 부설된 환자용 침대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US10689836B1 (en)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WO1995004513A1 (fr) Procede et appareil d&#39;elimination des excrements
KR20170002950U (ko) 위생구토기
KR20120033713A (ko) 이동식 비데
CN110881887A (zh) 一种老年患者集便护理装置
CN211214035U (zh) 一种卧式护理床用大便斗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214910812U (zh) 一种肿瘤科病人呕吐护理装置
US4819280A (en) Portable handheld urinal and complementary flush system for same
CN108175615A (zh) 一种隔离式免清洗医用便盆及其免清洗方法
CN216221302U (zh) 一种妇产科护理用接尿装置
CN211213786U (zh) 一种卧式护理床便斗结构
JP2000107088A (ja) 小用補助具付便器
JP2009275380A (ja) 排便吸込み機能を付加した便器の構造
KR20230089038A (ko) 이동식 세정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