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063A -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063A
KR20020003063A KR1020000038115A KR20000038115A KR20020003063A KR 20020003063 A KR20020003063 A KR 20020003063A KR 1020000038115 A KR1020000038115 A KR 1020000038115A KR 20000038115 A KR20000038115 A KR 20000038115A KR 20020003063 A KR20020003063 A KR 2002000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length
cache memory
data
length decoding
lev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현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3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063A/ko
Publication of KR2002000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2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using table look-up for the coding or decoding process, e.g. using read-only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조의 국한성에 착안하여 최근에 참조된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의 참조 시 가변 길이 디코딩부에서 추출된 DCT 계수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먼저 확인한 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저장 테이블을 참조하여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찾아 전체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테이블; 가장 최근에 참조된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캐쉬 메모리; 및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상기 저장 테이블 또는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VARIABLE LENGTH DECODING DEVICE FOR IMPROVING DECODING SPEED}
본 발명은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쉬 메모리를 구비하여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에 따른 런(RUN) 데이터 및 레벨(LEVEL) 데이터(데이터의특성 설명 요망)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테이블(100) 및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 테이블(100)로부터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 테이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짧은 계수를 부여하여 테이블의 상위에, 상대적으로 드물게 사용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긴 계수를 부여하여 테이블의 하위에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의 가변 길이 디코딩부(120)는 저장 테이블(100)의 상위에서 하위로 순서대로 참조하여 저장 테이블(100)에서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음으로써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참조의 국한성에 착안하여 최근에 참조된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의 참조 시 가변 길이 디코딩부에서 추출된 DCT 계수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먼저 확인한 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저장 테이블을 참조하여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찾아 전체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저장 테이블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저장 테이블
210 : 캐쉬 메모리
220 : 가변 길이 디코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테이블; 가장 최근에 참조된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캐쉬 메모리; 및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상기 저장 테이블 또는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결과 테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는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테이블(200), 최근에 참조된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캐쉬 메모리(210) 및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 테이블(200) 또는 캐쉬 메모리(210)로부터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로 이루어지되,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는 캐쉬 메모리(210)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로드 신호(load)를 캐쉬 메모리(210)로 출력하고, 캐쉬 메모리(210)는 현재 참조하고자하는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가 캐쉬 메모리 내에 존재함을 알리는 히트 신호(hit)를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로 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에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가 캐쉬 메모리(210)에 존재할 경우 캐쉬 메모리(210)가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로 "하이"레벨의 히트 신호(hit)를 보내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는 캐쉬 메모리(210)로부터 해당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반면, 추출된 DCT 계수가 캐쉬 메모리(210)에 존재하지 않으면 캐쉬 메모리(210)가 "로우"레벨의 히트 신호(hit)를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로 보내고, 이를 받은 가변 길이 디코딩부(220)는 종래와 동일하게 저장 테이블(200)의 상위에서 하위로 순서대로 참조해가면서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고, 로드 신호(load)를 사용하여 캐쉬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DCT 계수와 그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캐쉬 메모리(210)의 업데이트는 종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 관계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최근에 참조된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캐쉬 메모리를 구비하여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의 참조 시 가변 길이 디코딩부에서 추출된 DCT 계수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먼저 확인한 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저장 테이블을 참조하여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아냄으로써 보다 빠르게 찾아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디코딩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Claims (3)

  1.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테이블;
    가장 최근에 참조된 DCT 계수에 따른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캐쉬 메모리; 및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DCT 계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DCT 계수에 매칭되는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상기 저장 테이블 또는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입력 받아 디코딩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쉬 메모리는,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으로부터 추출된 DCT 계수를 입력받아 상기 DCT 계수에 따른 상기 런 데이터 및 상기 레벨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히트 신호를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으로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 수단은,
    상기 저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런 데이터 및 레벨 데이터를 찾은 경우 해당 DCT 계수에 따른 상기 런 데이터 및 상기 레벨 데이터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 신호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 출력하는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KR1020000038115A 2000-06-30 2000-06-30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KR20020003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15A KR20020003063A (ko) 2000-06-30 2000-06-30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115A KR20020003063A (ko) 2000-06-30 2000-06-30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063A true KR20020003063A (ko) 2002-01-10

Family

ID=1967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15A KR20020003063A (ko) 2000-06-30 2000-06-30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0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494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US7218257B2 (en) 2003-07-29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length cod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494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US7218257B2 (en) 2003-07-29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length co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6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data compression
WO2005029369A3 (en) Data profiling
CA2337079A1 (en) A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al of data, and the use thereof in a search engine
KR910005156A (ko) 파이프라인 처리 방법으로 동작하는 프리디코더 유니트 와 주 디코더 유니트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
WO2001057642A3 (en) Data store bandwidth accelerator
WO1999067883A3 (en)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for variable-length coding and decoding
MXPA03011335A (es) Metodos de codificacion y de decodificacion de longitud variable.
EP2296282A3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rithmetischen Enkodierung und Dekodierung mit Verwendung mehrerer Nachschlagtabellen
WO2002087087A3 (en) Protocol encoder and decoder
CA23664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sing a document
DE60135227D1 (de) Doppelmodus-datenabbildungsprodukt
TW373410B (en) Run level pair buffering for fast variable length decoder circuit
EP1341314A3 (en) Improved huffma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A2633528A1 (en) A method of filtering high data rate traffic
WO2001097522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addresses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signal to a user
KR20020003063A (ko) 디코딩 속도를 개선한 가변 길이 디코딩 장치
JP2002135672A5 (ko)
ATE391955T1 (de) Behandlung des speicherüberlaufs in einem datenverarbeitungssystem
WO2004070505A3 (en) Method and device for text data compression
EP1041721A3 (en) Decoding device for Huffman-encoded data
KR910005155A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AU2003240915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variable-length decoding, and a device for the localization of codewords
WO2002011368A3 (en) Pre-fetching and caching data in a communication processor's register set
BR9907902A (pt) Processamento de dados digitais em um decodificador
KR960003122A (ko) 비터비 복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