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007A -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007A
KR20020000007A KR1020000033779A KR20000033779A KR20020000007A KR 20020000007 A KR20020000007 A KR 20020000007A KR 1020000033779 A KR1020000033779 A KR 1020000033779A KR 20000033779 A KR20000033779 A KR 20000033779A KR 20020000007 A KR20020000007 A KR 2002000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action
authentication
card
smar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890B1 (ko
Inventor
김종동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조정일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일,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조정일
Priority to KR10-2000-003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8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890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마트카드에 의해 1차 인증되고, 다시 스마트카드에 의해 생성된 신용거래를 2차 인증하는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마련된 스마트카드와,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신용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판독기와, 스마트카드의 인증정보가 저장된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스마트카드에 사용자의 인증정보와 신용정보 및 거래번호가 저장되고,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스마트카드의 인증정보와 신용거래기록이 저장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제1차 인증경로 및 제2차 인증경로를 통하여 스마트카드 등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과 신용거래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신용카드의 인증경로에서 해커가 사용자의 인증용 정보와 신용정보를 가로채는(해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신용카드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불법사용자의 불법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당한 권리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신용거래기록의 불법적인 도용 및 변조를 방지함으로써 그 신뢰성 및 안전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for certificating an credit dealing using a multi-certificated path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카드에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해당 스마트카드의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제1 인증경로와, 서비스제공시스템이 해당 스마트카드에 의해 생성된 신용거래를 인증하는 제2 인증경로를 통하여 최종적인 신용거래 인증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 인증시스템보다 신뢰성과 안정성이 월등하게 보장되는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용자 인증시스템은, 단일한 인증경로를 통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비스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을 실행한다.
또한, 인증경로에서 개인 신상정보 또는 전송데이터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측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시스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ID, 비밀번호 등)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크램블링 또는 디스크램블링하기도 한다.
한편,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 및 보급에 따라 전자상거래, 홈뱅킹 및 재택근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정보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산업에 있어서, 고도로 전문화되는 해킹 능력을 지닌 해커들로부터 개인의 신용정보 및중요정보의 누출 및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안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 중 암호인증시스템은 근본적인 기술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결국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에 통신상으로 제공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보안시스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해커들의 고도화된 해킹기법에 속수무책인 상태로 놓여 있다.
특히, 고도의 해킹기법을 지닌 해커들이 접속경로 상에서 전송데이터(ID, 비밀번호 등)를 가로채어 이를 암호 해독하는 경우에는, 완벽한 방화벽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서비스시스템은 정당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증을 행할 수밖에 없다.
기존의 사용자 인증시스템의 기술적 한계와 날로 고도화되는 해킹기법 및 증대하는 해킹의 위험성은 일반사용자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의 이용에 막연한 불안심리를 자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산업의 발전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통신상에서 해커에 의한 인증정보의 가로챔을 방지하고, 해당 거래에서 발생한 신용거래가 부당하게 사용됨을 방지하는 신용거래 인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마트카드 102: 메모리부
103: 인증 제어부 200: 카드판독기
204: 입력부 205: 데이터 송/수신부
300: 서비스제공시스템 301: 스마트카드 데이터베이스
400: 공중통신망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증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자 인증과 거래상황을 인증하는 스마트카드;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카드판독기; 및 카드판독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공중통신망에 접속되고, 스마트카드의 인증을 위한 인증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비스제공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마트카드를 카드판독기에 투입하고, 카드판독기를 통하여 스마트카드의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스마트카드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스마트카드 내에 기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작업을 수행하고; 스마트카드가 카드판독기를 통해 입력된 거래내역정보와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승인결과정보 및 거래카운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승인결과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내역정보와 카드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내역정보와 카드정보를 인증프로그램에 대입하여 거래 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전송된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생성된 거래 승인결과정보 및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서비스제공시스템에 등록된 거래카운터정보의 중복여부를 판정하여 신용거래를 승인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스마트카드는,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내역정보 및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카드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스마트카드로부터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내역정보 및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인증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사용자 인증과 거래상황을 인증하는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와;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카드판독기와; 카드판독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공중통신망에 접속되고, 스마트카드의 인증을 위한 인증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비스제공시스템을 포함하며; 스마트카드는 인증 제어부를 통하여 카드판독기로부터 입력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증 처리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카드판독기로부터 입력된 거래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 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카드판독기는 스마트카드에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내역정보 및 스마트카드의 인증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인증 처리결과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카드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카드정보와 거래내역정보 및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승인결과정보 및 기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인증프로그램에 대입하여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거래승인결과정보와 등록된 거래승인결과정보 및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생성된 거래카운터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되지 않을 때에만 신용거래를 인증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스마트카드로부터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내역정보 및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상세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이 암호화되어 저장된 스마트카드(100)와, 스마트카드(100)의 정보를 읽거나 저장하는 카드판독기(200)와,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300)으로 구성되며, 카드판독기(200)와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공중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여기서, 스마트카드(100)는 일명 전자카드(IC 카드)로 명명하기도 하며, 기존의 신용카드와 같은 크기와 두께의 플라스틱 카드에 IC 칩이 내장되어 있으며, IC 칩 내에는 일반적인 마그네틱 카드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데이터는 스마트카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이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에 따른 거래내역, 거래카운터, 거래승인결과 등이 저장된다. 또한, 스마트카드(100)는 스마트카드(100)의 카드정보 및 사용자의 거래정보 또는 거래금액 등의 거래내역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용 스마트카드(100)의 거래승인데이터를 발생하는 인증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카드(100)에 저장된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의 데이터 및 거래내역, 거래카운터, 거래승인결과는 암호화되어 사용자와 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 이외의 제3자가 쉽게 데이터를 얻을 수 없도록 저장된다.
그리고, 카드판독기(200)에는 투입된 스마트카드(10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데이터 등을 인식하는 카드 리더부(201)와, 스마트카드(100)에 새로운 정보를 입력 또는 저장하는 카드 라이트부(202)가 구성되며, 사용자 또는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 필요한 스마트카드(100)의 정보나 처리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3)와, 사용자 정보 또는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04)가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카드(100)내의 인증 제어부(103)에서 발생된 거래승인데이터를 서비스제공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거래승인데이터에 따른 처리결과를 서비스제공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05)가 구성된다.
여기서, 인증 제어부(103)에서 발생되어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 전송되는 거래내역, 거래카운터, 거래승인결과 등의 정보들은 스마트카드(100)의 메모리부(102)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카드(100)를 등록하고, 카드판독기(200)에서 스마트카드(100)를 승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서 스마트카드(100)를 발급하고,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허가를 발급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300)으로부터 스마트카드(100)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 받아 스마트카드(100)에 인식시킨 후,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 스마트카드(100)를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0)를 사용하여 대금을 지불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카드(100)를 카드판독기(200)에 삽입하고, 사용자가 카드판독기(200)를 통하여 스마트카드(100)에 비밀번호 또는 인증정보를 제시하면, 카드판독기(200)에서 해당 인증정보가 올바른 경우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을 허가한다.
이때, 임의의 스마트카드(100)에 대한 신용조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인증을 발급 받기를 원하는 스마트카드(100)를 카드판독기(200)에 삽입한다(S1).
이후, 사용자는 카드판독기(200)의 입력부(204)를 통하여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을 입력하고(S2), 카드판독기(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을 스마트카드(100)에 전송한다(S3). 스마트카드(100)의 인증 제어부(103)는 카드판독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입력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과 메모리부(102)에 기 저장된 등록 비밀번호 또는 전자서명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4), 일치하지 않으면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을 인증하지 않으며(S5), 일치하면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을 허가하는 1차 인증절차를 거친다(S6).
이후, 사용자는 스마트카드(100)가 사용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카드판독기(200)의 입력부(204)를 통하여 입력하고(S7), 이에 따라, 스마트카드(100)내의 인증 제어부(103)에서는 입력된 거래내역정보에 따른 거래카운터 및 거래승인결과를 생성한다(S8). 이때, 거래내역정보에는 스마트카드(100)의 일련번호와 거래금액 및 스마트카드(100)의 유효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인증 제어부(103)는 스마트카드(100)의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및 거래금액과 거래카운터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승인결과값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거래승인결과 및거래카운터정보는 스마트카드(100)내의 제어부(101)에 의해 암호화된 후 스마트카드(100)내의 메모리부(102)에 저장되며(S9), 이와 동시에 카드판독기(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05)를 통하여 암호화된 거래내역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 전송한다(S10).
암호화된 거래내역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수신한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암호화된 각 정보를 해독하고(S11), 해독된 정보가 서비스제공시스템(300)내의 스마트카드 데이터베이스(301)에 저장된 스마트카드(100)의 인증정보와 일치하는가를 비교 검증한다(S12).
여기서, 해독된 정보가 기 등록된 스마트카드(100)의 인증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S13),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해당 거래상황을 인증하지 않는다는 것을 카드판독기(200)에 통보하고(S5), 카드판독기(200)는 인증결과를 디스플레이부(206)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거래가 승인되지 않았다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의 단계(S13)에서 해독된 정보가 기 등록된 스마트카드(100)의 인증정보와 일치하면(S13),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카드판독기(200)로부터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 기 등록된 거래카운터정보가 중복되는가를 검증하고(S14),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등록된 거래카운터정보가 중복되면, 이것은 동일한 거래가 이중으로 등록되거나 불법적인 사용에 의해 거래카운터가 별도로 카운트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해당 거래상황을 인증하지 않는다는 것을 카드판독기(200)에 통보하고(S5), 카드판독기(200)는 인증결과를 디스플레이부(206)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거래가 승인되지 않았다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위의 단계(S14)에서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등록된 거래카운터정보가 중복되지 않으면, 해당 거래를 승인한다(S15).
또한, 서비스제공시스템(300)은 카드판독기(200)로부터 수신된 스마트카드(100)의 인증상태와,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내역정보 및 스마트카드(100)내의 인증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거래결과정보와 거래카운터정보 및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스마트카드 데이터베이스(301)에 저장한다(S16).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0)를 이용할 때, 사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 또는 전자서명의 입력을 통해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자 인증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스마트카드(100)내의 인증 제어부(103)에 의해 생성된 인증 처리결과와 거래내역정보 및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승인결과정보와, 서비스제공시스템(300)에서 생성된 인증처리결과와 거래결과정보, 거래카운터정보, 거래승인결과정보를 비교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카드(100)의 인증작업을 완료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통신상에 전송되지 않게 함으로써, 기존의 암호방식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0)의 사용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용거래는 스마트카드(100)에 의해 거래번호가 부여되고 전자서명 됨으로써, 오직 적법한 사용자만이 신용거래를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신용거래가 타인에 의해 불법도용 및 위/변조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1차 인증경로 및 2차 인증경로를 통하여 스마트카드 등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거래상황을 인증함으로써, 신용거래의 인증경로 상에서 해커가 사용자의 인증용 정보를 해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분실하거나 도난된 경우에도 불법적인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당한 권리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사용자 인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인증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자 인증과 거래상황을 인증하는 스마트카드;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상기 인증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카드판독기; 및 상기 카드판독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공중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스마트카드의 인증을 위한 인증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비스제공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마트카드를 카드판독기에 투입하고, 상기 카드판독기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카드의 인증정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카드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 내에 기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카드판독기를 통해 입력된 거래내역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승인결과정보 및 거래카운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거래승인결과정보와 상기 거래카운터정보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와 카드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상기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상기 거래카운터정보 및 상기 거래내역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인증프로그램에 대입하여 거래 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전송된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생성된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 및 전송된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와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에 등록된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의 중복여부를 판정하여 신용거래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는,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와 상기 거래내역정보 및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와 상기 거래내역정보 및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4. 인증정보 및 카드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사용자 인증과 거래상황을 인증하는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상기 인증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카드판독기; 및
    상기 카드판독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공중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스마트카드의 인증을 위한 인증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비스제공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카드는 상기 인증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카드판독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증 처리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판독기로부터 입력된 거래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카운터정보와 거래 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드판독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거래내역정보 및 상기 스마트카드의 상기 인증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증 처리결과정보와 상기 거래카운터정보 및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정보와 상기 거래내역정보 및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와 상기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상기 인증프로그램에 대입하여 거래승인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판독기로부터 전송된 거래승인결과정보와 등록된 거래승인결과정보 및 전송된 거래카운터정보와 생성된 거래카운터정보를 비교하여, 중복되지 않을 때에만 신용거래를 인증하도록 한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거래카운터정보와 상기 거래내역정보 및 상기 거래 승인결과정보와 상기 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방식을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시스템.
KR10-2000-0033779A 2000-06-20 2000-06-20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10040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79A KR100408890B1 (ko) 2000-06-20 2000-06-20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79A KR100408890B1 (ko) 2000-06-20 2000-06-20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07A true KR20020000007A (ko) 2002-01-04
KR100408890B1 KR100408890B1 (ko) 2003-12-11

Family

ID=1967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779A KR100408890B1 (ko) 2000-06-20 2000-06-20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8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17A (ko) * 2001-04-27 2002-11-02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전자지갑을 이용한 고객카드 충전방법
KR100705470B1 (ko) * 2006-08-24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용 봉투 고정 구조
KR100743608B1 (ko) * 2005-06-09 2007-07-27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주방의 바닥면 구조
KR100872602B1 (ko) * 2007-02-28 2008-12-08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아이씨 카드
WO2011005263A1 (en) * 2009-07-09 2011-01-13 Kenichi Uchikura Authorization verification system
KR20210158768A (ko)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34068A (ko)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한빛테크놀로지 반송용 지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78A (ko) 2018-10-22 2020-05-04 김유경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
KR20210069540A (ko) 2019-12-03 2021-06-11 김성림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781A (en) * 1995-09-13 1998-02-24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card transactions
US7239706B1 (en) * 1997-08-06 2007-07-03 Deutsche Telekom Ag Transcoder for decoding encoded TV programs
JP3072987B2 (ja) * 1998-03-26 2000-08-07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icカード
KR100457994B1 (ko) * 1999-10-08 2004-11-18 조현준 스마트 카드에 의한 온라인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000030727A (ko) * 1999-12-18 2000-06-05 임공진 전자화폐기능을 갖는 금융거래용 카드와 이를 이용한전자결제방법
KR100303713B1 (ko) * 2000-04-04 2001-11-03 이승국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달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17A (ko) * 2001-04-27 2002-11-02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전자지갑을 이용한 고객카드 충전방법
KR100743608B1 (ko) * 2005-06-09 2007-07-27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주방의 바닥면 구조
KR100705470B1 (ko) * 2006-08-24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용 봉투 고정 구조
KR100872602B1 (ko) * 2007-02-28 2008-12-08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아이씨 카드
WO2011005263A1 (en) * 2009-07-09 2011-01-13 Kenichi Uchikura Authorization verification system
US8167200B2 (en) 2009-07-09 2012-05-01 Kenichi Uchikura Authorization verification system
KR20210158768A (ko)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10158773A (ko)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34068A (ko)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한빛테크놀로지 반송용 지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890B1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480B2 (en) Authenticator centralization and protection based on authenticator type and authentication policy
US8132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a smartcard and a smartcard reader
CA2417901C (en) Entity authentication in electronic communications by providing verification status of device
US7558965B2 (en) Entity authentication in electronic communications by providing verification status of device
US7552333B2 (en) Trusted authentication digital signature (tads) system
US5721781A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card transactions
EP2401838B1 (en) System and methods for online authentication
EP2481230B1 (en) Authentication method, payment authoris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equipments
KR101644124B1 (ko) 사전 인증을 통한 거래 서버 및 그 방법
CN101770619A (zh) 一种用于网上支付的多因子认证方法和认证系统
KR100408890B1 (ko)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101856530B1 (ko) 사용자 인지 기반 암호화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암호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라인 결제 처리 방법, 보안 장치 및 거래 승인 서버
KR20200013494A (ko)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U2008203481B2 (en) Entity authentication in electronic communications by providing verification status of device
JPH0199158A (ja) 端末認証方法
JP2005038222A (ja) Icカードを利用した金融システム
JPH04315248A (ja) 個人識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