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893Y1 -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 Google Patents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893Y1
KR200199893Y1 KR2020000015659U KR20000015659U KR200199893Y1 KR 200199893 Y1 KR200199893 Y1 KR 200199893Y1 KR 2020000015659 U KR2020000015659 U KR 2020000015659U KR 20000015659 U KR20000015659 U KR 20000015659U KR 200199893 Y1 KR200199893 Y1 KR 200199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pes
movement
muscl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2020000015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8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89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내의 천정이나 옥내나 옥외에서의 보조 걸대에 걸어서 스트레칭등 다양한 형태의 근육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운동에 따라 인체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손이나 발 등 신체의 일부분을 잡아주는 여러 종류의 몸걸이(14, 15, 17)와 이 몸걸이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 몸걸이에 연결되어 이 몸걸이를 위쪽에서 지지해 주는 로프(5)를 갖추고, 이 로프에 미치는 힘의 방향을 최소한의 마찰을 통하여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도르래(3)와 위의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로프잠김장치(4)를 구비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철봉 및 아령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이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좁은 공간에서도 기계체조에서 얻을 수 있는 근육운동의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물구나무서기 등 거꾸로 서서 하는 형태의 다양한 운동들도 안전하고 재미있게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erform various types of muscle movements such as stretching by hanging on an auxiliary stool indoors or indoors or outdoors, so that the body can take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various forms of exercise. There are various kinds of body hangers (14, 15, 17) to hold a part and ropes (5) connected to the body hangers to support the body hangers from abov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gers. It is equipped with a pulley (3)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on the r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minimal friction and a rope locking device (4)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above. Muscle exercise device with a device that can be. By using this device, you can easily obtain the effects of muscle movement that can be obtained in the gymnastics even in a small space, and can also safely and funly perform various types of exercises such as standing upright.

Description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본 고안은 도 6 이나 도 7 의 설치 예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옥내의 천정이나 옥내나 옥외에서의 보조 걸대에 걸어서 도 8 에서와 같이 철봉 운동, 아령 운동 및 기계체조 등 스트레칭 운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근육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육운동장치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운동은 다양한 종류의 몸걸이(14,15,17)에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몸을 의지하여 행한다. 아령운동이나 웨이트 트레이닝 형태의 운동 등은 연결고리(10)에 아령(16) 등의 추를 걸고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를 당겼다 놓아주는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installation example of Fig. 6 or 7 walked on the auxiliary stool in the indoor ceiling or indoors or outdoors as shown in Figure 8, including various types of stretching exercises, such as bar exercise, dumbbell exercise and gymnastics It is a muscle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o exercise the muscles. General exercise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relying on the body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ure 8 to the various types of body hangers (14, 15, 17). Dumbbells and weight training exercises can be performed by repeating the action of hooking the weight of the dumbbell 16 to the connecting ring 10 and pulling and releasing the handle 7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at various positions and angles. .

본 고안과 같은 종류의 장치들에서 이용하는 기술의 핵심은 도 1 및 도 2, 도 3, 그리고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잠금장치(4)와 로프의 상하이동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드르래(3,A)나 로프 통로관(99)을 이용하는 것이다.The core of the technology used in devices of the same kind as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 and 2, 3, and 9. A) and the rope passage pipe 99 are used.

로프잠금장치(4)는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쪽으로 힘이 가하여 질 경우 그 장치(4)의 내부적인 구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로프(5, 5a)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지만,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쪽에서 로프(5a)를 도 3 에서의 F 방향으로 가볍게 당기면서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를 위로 올려 주거나 아래로 당겨 주면 연결고리(10)에 매달려 있는 발목 몸걸이 연결 로프(11)나 손 몸걸이 연결 로프(12), 아령 연결 로프(13), 발목 몸걸이(14), 손 몸걸이(15), 아령(16),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등의 중력과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에서 위로 올려주거나 아래로 당겨주는 힘과의 차이에 의하여 로프(5a)가 위쪽으로나 혹은 아래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반대측의 로프(5)가 아래방향으로 혹은 위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쪽에서 로프(5a)를 자연스럽게 놓아주거나 G 방향으로 당겨주면 로프잠금장치(4)의 내부적인 구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로프(5, 5a)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진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의 높낮이를 안전하고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rope locking device 4 automatically disables the movement of the ropes 5 and 5a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ice 4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wing or trunk hanger 17, but the rope length adjustment is prevented. Pulling the rope (5a) in the direction of F in Fig. 3 by lifting the handle (7) up or down to gently pull the rope (5a) on the side of the handle (7) connected to the ankle hanger hanging on the hook (10) Gravity such as rope (11) or hand hanger connection rope (12), dumbbell link rope (13), ankle hanger (14), hand hanger (15), dumbbell (16), swing or trunk hanger (17) And the rope 5a can be moved upwards or downward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ce to be pulled up or pulled down from the handle 7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which causes the rope 5 on the opposite side to move downward. Or you can move in the direction above, and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When the rope 5a is naturally released or pulled in the G direction from one of the handles 7, the ropes 5 and 5a are automatically moved due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pe locking device 4. By using this principle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wing or torso hanger (17).

도르래(3, A)나 로프 통로관(99)은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쪽의 로프(5a)와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쪽의 로프(5)의 운동방향을 서로 반대로 바꾸어 줌으로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장치의 아래 쪽에서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에 의지하여 혹은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면서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나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의 상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The pulleys 3 and A or the rope passage tube 99 revers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ope 5a on the handle 7 side to adjust the rope length and the rope 5 on the swing or trunk hanger 17 opposite to each other. By zooming, the user exercising by relying on the swing or trunk hanger 17 on the undersid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using the handle 7 for the rope length adjustment The swing or torso hanger (17) or the role of the handle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andle (7) for adjusting the rope length.

도 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전의 장치에서는 두개의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쪽의 로프(5a)가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쪽의 로프(5a)와 그네 또는 몸통 걸이쪽의 로프(5)사이의 간격이 크다. 이에 따라 로프 통로관(99)을 두어 로프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만들어 주었으나 내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내부에서 로프와 로프 통로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하여 가벼운 힘에 의하여는 로프의 움직임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또한 그 마찰로 인하여 로프가 쉽게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프 통로관(99) 대신에 4 곳의 A의 위치에 각각 1개씩 4개의 도르래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그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도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잘 사용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in the old apparatus, the rope 5a on the handle side and the rope on the swing or trunk hanger are adjusted by placing the rope 5a on the handle sid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wo ropes in the center. The distance between (5) is large. Accordingly, the rope passage pipe (99) is provided to create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the rope, but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ue to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rope and the rope passage pipe inside the rope movement due to light for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ope was not easily damaged due to the fri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ead of the rope passage tube 99, four pulleys were used, one at each of four positions A. Howev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additional parts are also not used well.

예전의 장치에서는 두개의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쪽의 로프(5a)가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쪽의 로프(5a)와 그네 또는 몸통 걸이쪽의 로프(5)사이의 간격이 크다. 이로 인하여 운동도중 로프(5, 5a)의 길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두 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조절할 수 없고 두팔을 모아 가운데로 집중해야 하므로 운동 도중 자세가 불안정해 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 운동장치 자체의 경우 내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하여 가벼운 힘에 의하여는 로프의 움직임이 용이하지 못하며 그 마찰로 인하여 로프가 쉽게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거나 혹은 다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하였다.In the old device, the gap between the rope 5a on the handle side and the swing or body hanger side rope 5a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by placing the rope 5a on the handle sid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wo ropes in the center This is big. Because of this,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5, 5a) during exercise, the arms can not be adjusted in the open state naturally, and the arms must be concentrated in the middle, so the posture becomes unstable during exercise. In the case of the exercise device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ovement of the rope is not easy due to the light force due to the friction generated inside the device, and the rope may be easily damaged by the friction or other methods are used. Occation Additional parts were need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단 두개의 도르래(3)만 사용하고 주요 기계부분(2)을 단순하게 양측으로 모아 놓음으로써 본래의 목적을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어깨넓이의 간격을 갖는 양측의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로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내부 구조를 간단히 하고 불필요한 마찰을 최소화 시켰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pulleys 3 are used and the main machine parts 2 are simply gathered on both sides to satisfy the original purpose, and the length of the ropes on both sides having the width of the shoulder width. By using the knob (7) for adjustment, the length of the rope can be naturally adjusted, simplify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minimizing unnecessary friction.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2는 로프와 도르래 및 로프잠금장치 부분의 절개도Figure 2 is a cutaway view of the rope and pulley and rope lock portion

도3은 도2중 X-X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도4는 도2중 Y-Y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in FIG.

도5는 로프안전잠금장치(6)의 실시 예5 is an embodiment of the rope safety lock (6)

도6은 본 고안의 장치를 천정에 설치한 예Figure 6 is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eiling

도7은 본 고안의 장치를 보조 걸대에 설치한 예Figure 7 is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uxiliary rack

도8은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들의 예8 is an example of exercises performed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고안의 장치와 유사한 예전의 장치9 is an old device similar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주요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Major Codes

1 : 근육운동장치본체 2 : 주요 기계부분1: Main body of the muscle exercise device 2: Main machine part

2a : 본 장치를 걸기위한 고리 2b : 로프구멍2a: hook for hanging the device 2b: rope hole

3 : 도르래 4 : 로프잠금장치3: pulley 4: rope locking device

4a : 로프잠금장치의 한 측면 4b : 로프잠금장치의 빗살4a: one side of the rope lock 4b: comb teeth of the rope lock

5 : 로프 5a : 로프5: Rope 5a: Rope

6 : 로프안전잠금장치 7 :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6: Rope safety locking device 7: Handle for adjusting rope length

8 : 기계본체 연결대 9 : 철봉8: machine body connecting rod 9: iron rod

10 : 연결고리 11 : 발목 몸걸이 연결 로프10: hook 11: ankle rope connection rope

12 : 손 몸걸이 연결 로프 13 : 아령 연결 로프12: hand rope connecting rope 13: dumbbell connection rope

14 : 발목 몸걸이 15 : 손 몸걸이14: Ankle Shawl 15: Hand Shackle

16 : 아령 17 : 그네 또는 몸통 걸이16: dumbbell 17: swing or torso hanger

20 : 천정 21 : 보조 걸대20: ceiling 21: auxiliary stool

61 : 스프링 62a : 로프고정장치61: spring 62a: rope fixing device

62b : 로프고정장치 99 : 로프 통로관62b: rope fixing device 99: rope passage pipe

본 고안의 근육운동장치 본체(1)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2 개의 주요 기계부분(2)과 양측의 주요 기계부분(2)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기계본체 연결대(8)와 철봉(9)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양측에 각각 1 개씩 2 개의 로프(5, 5a)가 있고 이 로프의 한 쪽(5a)에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와 만일에 로프잠금장치(4)가 정상적으로 자동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로프안전잠금장치(6)가 있으며 다른 한 쪽(5)에 운동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의 몸걸이(14, 15, 17)나 아령(16)을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양측의 주요 기계부분(2)은 천정(20)이나 보조 걸대(21)에 본 근육운동장치 본체(1)를 매달을 수 있도록 본 장치를 걸기위한 고리(2a)와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쪽의 로프(5a)와 그네 또는 몸통 걸이(17)쪽의 로프(5)의 운동방향을 서로 반대로 바꾸어주기 위한 도르래(3), 그리고 빗살무늬 형태로 돌출되어 로프(5a)가 위 방향으로 올라가려고 할 경우 더 이상의 미끄러짐을 자연스럽게 막게 해 주는 로프잠금장치의 빗살(4b)을 양면(4, 4a)에 갖는 로프잠금장치(4)로 구성된 다. 로프(5a)에 장착되어 있는 로프안전잠금장치(6)는 여러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5 에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로프고정장치(62a,62b)를 누르면 로프(5a)가 직선으로 되어 로프안전잠금장치(6)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로프잠금장치(4)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아 로프(5a)가 위로 미끄러져 올라갈 경우 이 로프안전잠금장치(6)가 로프구멍(2b)에서 멈추게 함으로써 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운동중의 몸의 위치에 따라 적당한 자리에 이 로프안전잠금장치(6)를 고정시키면 된다.As shown in FIG. 1, the muscle exercise device main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chine body connecting table 8 which connects and fixes two main machine parts 2 and two main machine parts 2 on both sides. It consists of an iron bar (9). In addition there are two ropes (5, 5a), one on each side and one of the ropes (5a)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7) and if the rope lock (4) does not normally There is a rope safety lock (6)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case of the other side, and on the other side (5), depending on the type of movement, various body hangers (14, 15, 17) or dumbbells (16) It can be connected and used. The main machine part (2) on both sides has a hook (2a) for hanging the device so that the muscle exercise device main body (1) can be hung on the ceiling (20) or the auxiliary base (21) and the handle for adjusting the rope length ( 7) a pulley 3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ope 5a on the side and the rope 5 on the swing or trunk hanger 17 and a comb-toothed shape so that the rope 5a is upwards Rope locking device (4) having the comb teeth (4b) of the rope locking device on both sides (4, 4a) to naturally prevent any further slip when going up All. The rope safety locking device 6 mounted on the rope 5a can be of various types and one example is shown in FIG. In FIG. 5, when the rope fixing devices 62a and 62b are pressed, the rope 5a becomes a straight line to move the rope safety locking device 6 up and down, and the rope locking device 4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rope safety lock 6 is fixed in a proper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dy during exercise so that the rope safety lock 6 stops at the rope hole 2b when it slides upward. Just do it.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단 두개의 도르래(3)만 사용하고 도르래(3)와 로프잠금장치(4)를 포함하는 주요 기계부분(2)을 양측으로 모아 놓아 그 구조를 단순화 시켰으며, 다양한 종류의 몸걸이(14, 15, 17), 로프(5, 5a), 도르래(3), 로프잠금장치(4) 등을 조화있게 배치함으로써, 첫째는 운동 도중 운동하는 사람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로프(5,5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해 주고, 두째는 로프와 이 로프에 접촉되는 장치 내부 표면과의 마찰을 최소화 시켜 최소한의 힘으로 자유롭게 로프의 상하이동을 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몸걸이의 상하 위치조절을 하게 해 주며, 셋째는 마찰이 최소화 됨에 따라 로프의 마모를 최소화 시켜주고, 넷째는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쪽의 로프(5a)에 이동이 가능한 로프안전잠금장치(6)를 두어 만일에 로프잠금장치(4)가 정상적으로 자동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다섯째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자재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원가를 최소화 시켜주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의 구입가격 을 크게 낮출 수 있게하여 준다.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pulleys (3) are used, and the main machine parts (2) including the pulley (3) and the rope locking device (4) are collected on both sides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By harmoniously arranging the hangers 14, 15 and 17, the ropes 5 and 5a, the pulleys 3 and the rope locking device 4, first, the rope 5 , 5a), and the second is to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ro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in contact with the rope, allowing the rope to move freely with minimal forc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control, and the third is to minimize the wear of the rope as the friction is minimized, and the fourth is to place the rope safety locking device (6) that is movable on the rope (5a) of the handle sid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Rope locking device (4)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the automatic operation is not automatic, the fifth is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minimizing the cost of the product by the simple structure, and thus the purchase price of the consumer. It can be greatly lowered.

Claims (2)

2 개의 주요 기계부분(2)을 양 끝부분에 갖추고 그 두개의 주요 기계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기계본체 연결대(8)와 철봉(9)을 갖추며, 그 두개의 주요 기계 부분은 각각 그 내부를 통과하여 바깥 쪽과 안쪽으로 나뉘어 지며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로프(5,5a)를 양측에 갖추고 있고 필요한 경우 그 로프가 이동하지 않도록 로프의 이동을 정지시켜 주는 한 쌍의 로프잠금장치(4)를 갖고 있으며 안쪽 로프(5)와 바깥 쪽 로프(5a)의 운동의 방향을 정반대로 바꾸어 주기 위하여 한 쌍의 도르래(3)를 갖추고 있어, 양 측의 한 쌍의 로프의 바깥 쪽 로프(5a)들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로프길이조절을 위한 손잡이(7)들을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안 쪽 로프(5)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운동에 따라 양 측의 한 쌍의 안 쪽 로프(5)들에 다양한 몸걸이(14,15,17 등)나 혹은 아령(16)등을 매달아서 근육운동을 실시 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근육운동장치Two main machine parts (2) are provided at both ends and the machine body connecting rod (8) and the iron rod (9)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two main machine parts to each other. A pair of rope lockers that are divided in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through the inside and have a pair of ropes (5, 5a)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on both sides, and, if necessary, stop the movement of the rope so that the rope does not move. (4) and having a pair of pulleys (3) to revers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ner rope (5) and the outer rope (5a), the outer rope of the pair of ropes on both sides The length of the inner ropes (5)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handles (7)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air of ropes connected to (5a) up and down, and according to the desired movement Various bodies on the ropes (5) The (14,15,17, etc.), or dumbbell (16) muscle movement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muscle exercises and the like suspending 제 1 항에 있어서 로프잠금장치(4)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아 로프(5a)가 위로 미끄러져 올라갈 경우 운동하는 사람이 바닥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있는 두 개의 로프(5a)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각각의 로프안전잠금장치(6)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2. The rope locking device (4) according to claim 1, in which the rope locking device (4)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the rope (5a) slides up and down to the two ropes (5a) on both sides to prevent the exerciser from colliding with the floor. Muscle exercise device with each rope safety lock (6) which can be moved to
KR2020000015659U 2000-06-01 2000-06-01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KR2001998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59U KR200199893Y1 (en) 2000-06-01 2000-06-01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59U KR200199893Y1 (en) 2000-06-01 2000-06-01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893Y1 true KR200199893Y1 (en) 2000-10-16

Family

ID=1965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59U KR200199893Y1 (en) 2000-06-01 2000-06-01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8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825A (en) Portable doorway and floor stand excerciser for use by wheelchair occupants.
US3708167A (en) Exercising apparatus
US4465274A (en) Hydraulic exercise device
US4930769A (en) Unified pull-push exercise device
US7544156B2 (en) Exercise arm apparatus with pivotal linkage system
US5403253A (en) Exercise and gymnastics training machine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US6491609B2 (en) Exercise arm apparatus with pivotal linkage system
US4431184A (en) Aerial gymnastic exerciser
KR101518197B1 (en) weight training device
US5674168A (en) Multiple exercise device
US5024433A (en) Manually adjustable ropes suspended therefrom
US20180311523A1 (en) Modular Structure for Physical Exercise
CN209809406U (en) A four limbs strength training chair for gymnasium
US11266875B2 (en) Space-saving exercise equipment
US3480272A (en) Swing device
US5462508A (en) Calf cruncher exercise equipment
KR101479172B1 (en)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KR200199893Y1 (en) Muscle exercise apparatus with rope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US4709919A (en) Exercise machine
KR0140158Y1 (en) All-round body training tool using weight
JP2006239395A (en) Muscular strength training machine
US4569517A (en) Push-pull swing
CN210521686U (en) Multifunctional pilates lifting bed
CN2129624Y (en) Household combined body-bui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