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403Y1 -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 Google Patents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403Y1
KR200199403Y1 KR2020000015112U KR20000015112U KR200199403Y1 KR 200199403 Y1 KR200199403 Y1 KR 200199403Y1 KR 2020000015112 U KR2020000015112 U KR 2020000015112U KR 20000015112 U KR20000015112 U KR 20000015112U KR 200199403 Y1 KR200199403 Y1 KR 200199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xpansion tank
float valve
buoyancy
bal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2020000015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0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float-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으로 된 볼바의 형상을 90°로 변형하여 팽창탱크내의 부력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상기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부력에 의한 볼 깨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팽창탱크(4)내 바닥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급수측 어댑터(3)에는 일측이 90°로 벤딩하여 볼바(2)의 타측이 결합되고, 이 볼바(2)의 구부러진 부분에는 사출물로 된 볼(1)의 연결부가 결합되어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된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FLOAT VALVE}
본 고안은 팽창탱크의 볼바(BALL BAR)형상을 변경한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으로 된 볼바의 형상을 90°로 변형하여 팽창탱크내의 부력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상기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부력에 의한 볼 깨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보통 팽창탱크(EXPANSION TANK)는 워터 릴리징(WATWE RELEASING)장치라고도 하는 바, 이는 이상 압력(수두압)상승에 따른 팽창수를 워터 릴리징관을 통해 흡수시키는 탱크로서 개방식과 밀폐식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워터 릴리징장치는 온수보일러에서 물의 가열에 의한 팽창으로 압력이 이상 상승하여 위험하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이상팽창에 의한 체적 증가분을 피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도 5 는 종래의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내에 설치된 상태도로서, 종래의 팽창탱크(11)에 사용된 플로트밸브는 사출물로 된 볼(12)과 동으로 된 볼바(13)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탱크(11)의 급수측 어댑터(14)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측 어댑터(14)의 상단으로 배수부가 설치되는 한편 팽창탱크(11)내에는 C 범위에서 전기보일러 사용시 관체팽창량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볼과 볼바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볼과 볼바연결부가 부력에 의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볼 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볼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스테인레스 볼의 가격이 고가여서 소비자에게 커다란 부담을 주어 플로트밸브를 사용하는 데에 커다란 제약 요인이 되어 있다. 따라서,본 출원인은 팽창탱크에 사용되고 있는 플로트밸브의 사출물로 된 볼과 동으로 된 볼바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스테인레스 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팽창탱크에 사용한 플로트밸브중 볼이 사출물로 된 것이 사용중 볼과 볼바연결부가 깨지는 현상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볼바의 현상을 90°로 변형하여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조 개선하여 플로트밸브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팽창탱크의 볼바형상을 변경한 플로트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플로트밸브를 결합해 놓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에 설치해 놓은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플로트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 는 종래의 플로트밸브가 팽창탱크내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 2 ---- 볼바
3 ---- 어댑터 4 ---- 팽창탱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팽창탱크의 볼바형상을 변경한 플로트밸브는, 팽창탱크(4)내 바닥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급수측 어댑터(3)에는 일측이 90°로 벤딩하여 볼바(2)의 타측이 결합되고, 이 볼바(2)의 구부러진 부분에는 사출물로 된 볼(1)의 연결부가 결합되어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동으로 된 볼바(2)의 형상을 90°로 변형하여 팽창탱크(4 : 도 3 참조)내의 부력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상기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부력에 의한 볼 깨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상기 팽창탱크(4)내 바닥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급수측 어댑터(3)에는 일측이 90°로 벤딩하여 볼바(2)의 타측이 결합되고, 이 볼바(2)의 구부러진 부분에는 사출물로 된 볼(1)의 연결부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고 있어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게 된다. 이는 급수측 어댑터(3)의 상단으로 배수부가 설치되는 한편 팽창탱크(4)내에는 C 범위에서 전기보일러 사용시 관체팽창량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급수 부위도 종래와 달리 팽창탱크(4)내 바닥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플로트밸브는 팽창탱크에 부착되어 보일러에 난방수가 가득차면 급수를 공급시키는 것으로, 팽창탱크에 사용하는 플로트밸브중 볼(1)을 사출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곳의 볼바(2)의 형상이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볼(1)과 볼바(2) 연결부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볼(1)은 팽창된 난방수에 의해 부력을 받고, 상기 볼바(2)는 상기 볼(1)에서 받는 부력의 힘을 어댑터(3)에 전달한다. 상기 어댑터(3)는 상기 볼(1)과 볼바(2)에서 전달된 부력을 감지하여 어댑터(3)에서 급수를 공급하거나 급수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팽창탱크(4)의 구성부품인 플로트밸브의 볼(1)을 고가인 스테인레스 볼을 사용하지 않고 사출물로 된 볼(1)을 사용하여 스테인레스 볼기능을 대신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부담없이 유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플로트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로서, 보일러 관수의 온도가 0℃ 일 때 볼탑의 위치가 A 지점에 위치하고 보일러에서 방출된 난방수 또한 A 위치에 있다가 보일러의 관수가 90 ℃ 로 올라가게 되면, 난방수 또한 B 지점까지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팽창탱크(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플로트밸브의 볼(1)에 부력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팽창탱크의 구성부품인 플로트밸브의 볼을 종래와 같은 사출물로 된 볼을 사용하는 곳에 볼바의 형상을 변형하여 유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팽창탱크의 구성부품인 플로트밸브의 볼을 고가인 스테인레스 볼을 사용하지 않고 사출물로 된 볼을 사용하여 스테인레스 볼기능을 대신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부담없이 유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팽창탱크의 구성부품인 플로트밸브의 볼을 종래와 같은 사출물로 된 볼을 사용하는 곳에 볼바의 형상을 변형하여 유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팽창탱크(4)내 바닥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급수측 어댑터(3)에는 일측이 90°로 벤딩하여 볼바(2)의 타측이 결합되고, 이 볼바(2)의 구부러진 부분에는 사출물로 된 볼(1)의 연결부가 결합되어 부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KR2020000015112U 2000-05-29 2000-05-29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KR200199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112U KR200199403Y1 (ko) 2000-05-29 2000-05-29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112U KR200199403Y1 (ko) 2000-05-29 2000-05-29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403Y1 true KR200199403Y1 (ko) 2000-10-02

Family

ID=1965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112U KR200199403Y1 (ko) 2000-05-29 2000-05-29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4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4447A (zh) 一种带加热体的防结冰接头
KR200199403Y1 (ko) 팽창탱크의 플로트밸브
KR200389029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구조
KR20220000996U (ko) 튜브형 호스 연결용 커플러
KR20100114958A (ko) 수도관동파방지기
WO2003074309A3 (de) Anschlusskupplung
KR100851825B1 (ko) 온수기용 배수장치
ITPD20000287A1 (it) Gruppo sonda per il controllo del livello dell'acqua in caldaie a resistenza elettrica.
CN208982750U (zh) 电热水龙头
CN108309059B (zh) 升液管防护引流罩、升液管组件和饮品制作机
CN208058160U (zh) 一种闪蒸罐出料管用短接管
CN201634924U (zh) 一种具有蒸汽压力控制开关的蒸汽电熨斗
CN100489409C (zh) 有胆饮水器热力压储热水的方法及装置
CN110006181B (zh) 高压加热器疏水液位控制辅助装置
KR100304459B1 (ko) 온수 보일러용 팽창탱크
CN203743478U (zh) 电热水器用球阀
CN217153222U (zh) 一种适用于保温水箱的耐高温浮球阀
CN102261799A (zh) 冰箱
CN216124318U (zh) 一种具有控制进水装置的蒸汽足浴盆
KR200377411Y1 (ko) 해빙장치
CN210601072U (zh) 一种新型煤气冷凝水安全排出装置
CN203231521U (zh) 开水器
CN2418421Y (zh) 自动开水器
CN201561808U (zh) 下置式水温水位传感器
KR100724729B1 (ko) 저수위센서 체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