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52Y1 -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52Y1
KR200198552Y1 KR2020000011084U KR20000011084U KR200198552Y1 KR 200198552 Y1 KR200198552 Y1 KR 200198552Y1 KR 2020000011084 U KR2020000011084 U KR 2020000011084U KR 20000011084 U KR20000011084 U KR 20000011084U KR 200198552 Y1 KR200198552 Y1 KR 200198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storage
storing
mortuary
bu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0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천규
Original Assignee
박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규 filed Critical 박천규
Priority to KR2020000011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52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유골을 상자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함에 있어서, 유골을 매장식 분묘형태로 안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장문화에 보다 접근할 수 있고 전자식 표시 및 음성재생을 통해 고인의 영정과 음성 등 생전의 모습 등을 생생히 기릴 수 있는 납골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납골장치는 납골함(10)을 흙으로 매장하여 안치하는 분묘형 안치구(20)와, 이 안치구(20)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보관함(30)을 포함하며, 수납보관함(30)에 문(32)이 설치되고 그 문(32)에는 고인의 영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판(35)과 스피커(37)등을 설치하여 된다, 개시된 납골장치에서는 납골함이 실질적인 매장식으로 안치되므로 기존 매장문화와의 거리감이 좁혀지며, 또한 봉분이 있는 매장식 분묘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한편, 고인 생전의 모습이나 약력 및 육성을 통해 고인을 되새겨 볼 수 있어 유족들이 추모의 정을 나누기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므로, 납골방식의 장례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By placing the ashes in a box and placing them in the ossuary, the ashes can be placed in the form of burial-type graves, providing more access to the culture of the burial. Disclosed is an ossuary device. The disclosed ossuary device includes a seedling-type anchorage 20 for depositing and depositing the ossuary 10 with soil, and a storage box 30 for storing and storing the anchorage 20, in the storage box 30. The door 32 is provided, and the door 32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panel 35 and a speaker 37 capable of displaying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the like. The sense of distance from the existing burial culture is narrowed, and the atmosphere of a burial-style tomb with bonbons can be created. It can contribute to induce funerals of the ossuary method.

Description

납골장치{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Ossuary device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본 고안은 유골을 상자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기 위한 납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장식 분모형태로 납골하여 매장문화에 부합하는 장례의식을 치를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전자식 표시 및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고인의 생전 모습과 유언 등을 되새겨 볼 수 있게 한 납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ssuary device for placing the ashes in a box and placing them in the ossuary. In particular, the ossuary in the form of a burial denominator allows funeral rituals to meet the burial culture. It is about the ossuary device that allows us to reflect on the life and will of the deceased.

장사를 지냄에 있어서 우리나라 경우, 전통적 가신제의 하나인 조상신을 숭배하기 위해 화장을 꺼리고 매장하려는 사람이 많으나, 최근에는 국토면적이 좁은데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매장을 위한 토지의 이용이 어려워지면서 매장보다는 납골이 장려되고 있다.In Korea, many people are reluctant to bury cremation to worship the ancestor god, one of the traditional ancestors, but recently, as the land area is narrow and the population increases,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use the land for burial. Urns are encouraged rather than burial.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납골은 시신을 화장한 후 남는 유골을 사찰 등에 마련된 납골당에 위폐와 함께 일정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안치하는 것을 말한다. 납골에는 화장 후 남는 유골을 곱게 빻아서 통상 흙으로 빚은 도기나 석관 또는 금속관 형태의 작은 납골함이 사용되며, 유골이 담긴 납골함은 그 자체로 또는 별도의 보관함에 넣어져 다른 납골함 또는 다른 보관함들과 함께 집단으로 안치된다.As is well known, the ossuary is the remains of the remains after cremation of the body in the ossuary, which is arranged in temples and the like, and is placed for a certain period or permanently. The ossuary is a small ossuary in the form of a pottery, sarcophagus or metal tube, which is usually ground with fine ashes remaining after cremation, and the ossuary containing the ashes, either by itself or in a separate storage box, is used together with other ossuaries or other containers. It is enshrined in a group.

납골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8652호에 의하여 납골함 내부에 이슬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막기 위해 통풍구를 형성하고 또 습도 및 온돌를 조절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한지를 게재하여 유골분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5-8468호와 동 제97-2470호등에 의하면 납골함을 수용하는 보관함들을 조직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적층시켜서 좁은 장소에서 보다 많은 유골을 안치할 수 있게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ossuary, according to Patent Publication No. 97-8652, it forms a ventilating opening to prevent dew condensation inside the ossuary and also has a function to control humidity and ondol. There is a known method of preventing the decay of ashes, and according to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8468 and No. 97-2470, etc., more ashes in a narrow place can be stacked systematically and firmly. The struc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ettle is known.

한편,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5-8469호는 매장시 1구 또는 2구의 시신을 매장하였던 묘지당 가족단위 또는 종가 단위로 다수의 납골함을 매장하여 묘지의 이용을 극대화하는 납골분묘를 개시하며, 동 제96-5373호는 종교를 가진 유족들을 고려하여 납골함에 신상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개시하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제97-27592호는 다수의 납골함을 보관하는 보관장치에 공동의 예배부를 마련하고 납골함을 선택, 예배부로 반송하여 예배의식을 치룰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8469 discloses a gravel grave that maximizes the use of the graveyard by burying a large number of crypts in the family unit or at the end of the cemetery where burial bodies were buried. No. 96-5373 discloses the formation of a statue in the ossuary in consideration of the bereaved families, and Publication No. 97-27592 discloses a common worship service in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ossuaries. It shows how to arrange and return the ossuary to the worship service so that the service can be performed.

시신을 화장한 후 남는 유골을 사찰 등에 마련된 납골당에 안치하여 장사지내는 납골형식의 장례는 토지를 점유하지 않는 점에서 장려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방식의 개선된 바 있으나, 시신은 땅에 묻어서 장사지내야 한다는 뿌리깊은 매장문화와는 이질감 등 상당한 거리가 있는 데다, 유족들이 묘지에 둘러 앉아서 행하여 오던 제사나 예배 등의 추도의식과 함께 고인의 생전을 기리면서 추모의 정을 나누던 부위기를 조성하기에 부적합한 등 쉽게 받아들이지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Ossuary funerals where burial remains after cremating the body are placed in an ossuary located in temples, etc., and are preferred to be encouraged in that they do not occupy land. The body has been improved in many ways. There is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deep-rooted burial culture of burial and burial, and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and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and the worship of the deceased and the worship of the deceased were held in the cemetery.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ily accepted, such as being unsuitable for the following.

상기 열거된 종래기술 중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5-8469의 경우처럼 납골함을 가족단위나 종가단위로 하나의 묘지에 매장함으로써 기존 매장문화와의 거리감을 어느정도 좁힐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상당 면적의 토지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지가 않으며, 유골의 부패방지를 위한 습도와 온도 조절등 관리상에 적잖은 어려움과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어 실질적으로 몇몇 부유층에게만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As in the case of th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8469 listed above, it is possible to narrow the sense of distance from the existing burial culture by bubbling the burial box in a single cemetery on a family basis or a closing price basis. However, this is also undesirable because it occupies a large amount of land, and it is not practically preferable to only a few wealthy people due to the considerable difficulty and costly management of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 to prevent corruption of ashes. .

한편, 납골당은 안치된 납골함을 구분할 수 있는 위폐 정도 이외에 고인의 생전 모습을 담은 영정이나 유언 등을 함께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이 허락되지 않는등 유족들이 고인을 기리면서 추모의 정을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적극 조성할 수 있는 납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ssuary Party is not allowed to place the spirits and wills that contain the lives of the deceased in addition to the degree of counterfeit to distinguish the enclosed ossuaries. To provide a ossuary device that can actively cre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장치의 전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수납보관함을 부분절단하고 그 전면에 설치된 문을 분리하여 내부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by separat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separating the door installed in the front to explain the entire structure of 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장치에 있어서의 납골함 안치구조를 보이기 위해 그 안치구를 부분 절단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the anterior fixture to show the ossuary settlement structure in 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장치의 수납보관함 문을 개방하여 그 내부를 바라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box door of 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e the inside thereof.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장치의 수납보관함 문에 장착되는 화상표시 및 음성재생을 위한 회로를 보인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image display and sound reproduction mounted on the storage box door of 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납골함 20: 안치구10: Ossuary 20: Restoration

21: 안치구 몸체 22: 덮개21: fixture body 22: cover

24: 흙(고령토) 30: 수납보관함24: soil (kaolin) 30: storage box

32: 문 35: 액정표시판32: Q. 35: LCD panel

37: 스피커 81: 마이크로컴퓨터37: speaker 81: microcomputer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골이 담긴 납골함이 흙이 충진된 안치구에 매장되어 있고, 그 안치구가 묘테와 봉분을 가지는 분묘형태로 되어 있으며, 안치구가 문을 갖는 수납보관함에 수납되어 문을 열면 분묘가 드러나 보이게 함으로써 유족들로 하여금 묘지를 연상케 할 수 있게 된 납골장치를 구성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ossuary containing the ashes are buried in the earthenware filled with soil, the anchorage is in the form of tombs with graves and rods, and the anchorage has a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tomb is visible, the ossuary device is made to allow the bereaved family to resemble the cemetery.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인의 영정이나 약력 등 고인과 관련한 각종 화상이나 문자정보가 저장되어 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 및 또는 고인 생전의 육성등을 녹음한 각종 음성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음성재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족들이 고인 생전의 모습과 육성 등을 기리면서 추모의 정을 나누는데 적합한 납골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display means for storing various images or 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eased, such as the deceased's emotion or biography, and selectively display it, or the various voice information recording the development of the deceased's life, and selectively reproduce it By providing a means for reproducing voice, the bereaved device is constructed to be suitable for dividing tribute in honor of the deceased's appearance and development.

즉, 본 고안은 매장식 분묘형태의 납골을 유도하여 기존의 매장문화에 한층 더 접근하는 동시에 유족들이 고인을 생각하면서 추모의 정을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납골방식의 장례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burial of the burial method by inducing the burial of the burial type gravel to create an atmosphere where the bereaved family can share the tribute to the deceased while thinking of the deceased.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장치 전체를 보인 것으로, 부호 10은 납골함, 20은 납골함(10)의 분묘형 안치구, 30은 분묘형 안치구(20)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수납보관함이다, 이밖에도 본 고안은 수납보관함(30) 내부 바닥에 잔디형 깔판(40)을 깔아주고 또한 분묘형 안치구(20) 주위에 묘비와 돌제단 및 향로 등의 모형물(50,60,70)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육지상의 묘소가 연출되도록 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shows the entir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 10 is the ossuary, 20 is the seedling-type anchorage of the ossuary 10, 30 is a storage for storing the seedling-type anchorage 2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lays the grass-type pallet 40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0 and also the tombstones, stone altars, and incense burners around the seedling fixture 20 (50, 60, 70). Properly placed, the onshore mausoleum was created as a whole.

상기한 납골함(10)은 석관이나 금속관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통상과 같이 시신을 화장한 후 남은 유골을 곱게 빻은 유골분이 외기와 차단되게 잘 밀봉된 상태로 납골되어 있다.The ossuary 1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arcophagus or a metal tube, and the inside of the ossuary is finely crushed in a state of being sea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nely divided remains of the ashes after cremating the body as usual are blocked from outside air.

분묘형 안치구(20)는 도 2와 같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진공으로 유지된 공동부(21a,22a)를 가지는 안치구 몸체(21)와 덮개(22)로 이루어지며, 안치구 몸체(21) 내에 마련한 안치실(23,23')에는 납골함(10,10')을 안치하되, 잘 건조된 고령토 등의 흙(24)으로 그 주위를 채움으로써 실질적인 매장식 분묘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진공상태의 공동부(21a,22a)와 고령토는 외기를 완전차단하는 기능으로 납골함(10)에 납골된 유골분이 침습이나 온도변화 등에 의해 부패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도록 배려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령토는 전기로에서 약 700℃의 온도로 3시간 이상 태워서 세균이나 이물질을 완전 제거하고 수분함량이 5%이하로 되게 하며, 또한 곱게 빻아서 충진 밀도를 높이는 것이다.The seedling-type fixture 20 is composed of a fixture 21 and a lid 22 having cavity 21a, 22a held in vacuum by aluminum die casting, as shown in FIG. The prepared chambers (23, 23 ') was placed in the ossuary (10, 10'), it was composed of a substantial burial type gravel by filling it around with soil (24), such as well-dried kaolin. Here, the cavity 21a, 22a and the kaolin in the vacuum state are considered to function to prevent the ashes from the ossuary 10 from decaying due to invasion or temperature change as a function of completely blocking external air. Preferably, kaolin is burned in an electric furnace at a temperature of about 700 ° C. for at least 3 hours to completely remove bacteria or foreign substanc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5% or less, and to grind finely to increase filling density.

안치구 몸체(21) 내 안치실(23)은 2곳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납골함(10)을 추가로 합장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이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안치구 몸체(21)의 주위를 대리석으로 된 묘테(25)로 장식하여 고풍스러움을 더하고, 덮개(22)의 상면을 구면상으로 볼록한 봉분형태로 형성하여 그 위에 잔디형 커버(26)를 씌움으로써 실질적인 봉본을 갖는 분묘를 연출하였다.Settlement chamber 23 in the settling body 21 is provided in two places, which is to allow the ossuary 10 to be additionally assembled and settled,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more as needed. Meanwhile, the periphery of the body 21 is decorated with marbled cemetery 25 to add antiqu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2 is formed in a spherical convex shape to form a grass-shaped cover 26 thereon. The covering was used to create a tomb with substantial bonbons.

납골함(10)의 안치구(20)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수납보관함(30)은 나무나 합성수지 사출물로써 되는 상자모양으로서 그 본체(31)의 전면부를 개구시켜 내부의 수납실(32)이 개방될 수 있게 하였고, 그 전면부에 문(32)을 설치하여 수납실(32)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였다, 문(32)의 회전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그 문(32)을 개방한 후 도 3과 같이 본체(31)의 수납실(32) 내부로 그 일측벽면을 따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32)의 한쪽 상하단에는 힌지(33,33')를 돌출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본체(31)의 상판부와 판부 내면에 힌지 안내홈(34,34')을 형성하였다.The storage box 30 for storing and storing the settling chamber 20 of the crypt box 10 is a box shap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and opens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31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rein.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32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32, further opening the door 32. Then, hinges 33 and 33 'are protruded from one upper and lower end of the door 32 in order to be inserted along the one wall surface into the storage chamber 32 of the main body 31 as shown in FIG. Thus, hinge guide grooves 34 and 34 'were form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plat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한편, 수납보관함(30)에 설치된 문(32) 전면에는 광학적으로 화상 및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판(35)과, 복수의 푸시버튼형 스위치가 배열된 키패드(36) 및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37)등을 설치하고, 문(32) 내부 또는 이면에는 키패드(36)에 있는 스위치들의 선택조작에 따라 액정표시판(35)을 구동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이나 문자를 표시하고 그 표시되는 화상이나 문자와 함께 역시 미리 녹음된 음성을 스피커(37)로 재생할 수 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표시 및 음성재생회로(80)를 장착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door 32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30,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35 that can optically display images and characters, the keypad 36 is arranged a plurality of push-button type switch and the speaker for voice output (37) and the like, and inside or behind the door 32, the liquid crystal panel 35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es on the keypad 36 to display a pre-stored image or character, and the displayed image or character. In addition, an image display and audio reproducing circuit 80 as shown in FIG. 4, which can also reproduce pre-recorded voices with the speaker 37, is mounted.

도 4에 도시된 화상표시 및 음성재생회로(80)는 주제어부인 마이크로컴퓨터(81), 상기 키패드(36)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81)에 입력하는 키입력부(82), 마이크로컴퓨터(81)의 지령으로 상기 액정표시판(35)을 구동하는 화상출력부(83) 및 상기 스피커(37)를 작동시키는 음성출력부(84)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81)에는 자체 메모리에 고인의 영정이나 약력 등 고인과 관련된 각종의 화상과 문자정보 및 미리 녹음된 음성정보가 저장되고, 또한 키입력부(8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각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다. 즉, 화상 및 음성으로 출력되는 고인 생전의 모습과 육성들을 통해 고인을 되새길 수 있고 따라서 유족들이 추모의 정을 나누기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해 주도록 한 것이다.The image display and audio reproduction circuit 80 shown in FIG. 4 includes a microcomputer 81 which is a main control unit, a key input unit 82 for inpu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36 to the microcomputer 81, and a microcomputer. The image output unit 83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35 and the audio output unit 84 for operating the speaker 37 by the instruction of 81 are constituted. Herein, the microcomputer 81 stores various images, character information, and pre-recorded vo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ceased, such as the deceased's emotion and biography, in its own memory,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82. The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each part is outputted. In other words, through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deceased life, which is output through video and audio, the deceased can be remembered, thus creating a suitable atmosphere for the bereaved to share their tribute.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매장식 분묘형의 안치구를 구성하여 납골함을 실질적인 매장식으로 안치할 수 있게 하므로 기존 매장문화와의 거리감을 좁혀줄 수 있으며, 또한 봉분이 있는 매장식 분묘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한편, 고인 생전의 모습이나 약력 및 육성을 통해 고인을 되새겨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유족들이 추모의 정을 나우기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므로, 납골방식의 장례를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mortar of a burial type gravel, so that the ossuary can be settled in a substantial burial type, thereby narrowing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burial culture, and also having a bonbun. While creating the atmosphere of the food grave, the deceased can be reconsidered through the appearance, biography, and development of the deceased, thus creating a suitable atmosphere for the bereaved family members, thus contributing to the ossuary funeral. .

Claims (7)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하나 또는 둘 이상 안치할 수 있는 안치실을 가지며 그 안치실을 봉함하도록 씌워지는 덮개와 결합하여 되는 안치구와, 이 안치구의 안치실에 안치되는 납골함을 매장하기 위해 충진되는 흙과, 그 안치구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수납실을 가지는 수납보관함을 포함하는 납골장치.A mortuary having a mortuary to hold one or more ossuaries containing ashes and combined with a cover covered to seal the mortuary, and the soil filled to bury the ossuary in the mortuary of the mortuary; Ossuary device including a storage box having a storage room for storing and storing the sphe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치구의 몸체가 외기를 차단하도록 진공상태로 배기된 공동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장치.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of the settling device has a cavity evacuated in a vacuum state to block outside 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치구의 안치실에 상기 납골함을 매장하기 위해 충진되는 흙으로서 건조된 고령토 분말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dried kaolin powder is used as soil to be filled in the morgue of the mort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보관함의 수납실에 수납하여 보관되는 안치구가 분묘형으로 묘사되어 있고, 분묘형으로 묘사된 안치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수납보관함 전면에 수납실을 개폐할 수 있는 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장치.The storage compartment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storage box is depicted as a seedling shape, and the storage space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so that the storage space described by the storage shap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ssu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is install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보관함의 수납부실에 상기 분묘형 안치구와 함께 묘비나 제단 등 적어도 하나의 모형물이 수납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납골장치.The ossuar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model such as a tombstone or an altar is stored together with the seedling-type anchorage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된 문을 개방후 수납실의 일측 벽면을 따라 그 수납실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이동지지하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supporting the doo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room along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room. 청구항 1 또는 4항에 있어서, 화상이나 문자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 및/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음성재생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을 하는 납골장치.5. The ossuary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displaying image or text information and / or voice reproducing mean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producing voice information. Device.
KR2020000011084U 2000-04-19 2000-04-19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KR2001985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84U KR200198552Y1 (en) 2000-04-19 2000-04-19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84U KR200198552Y1 (en) 2000-04-19 2000-04-19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52Y1 true KR200198552Y1 (en) 2000-10-02

Family

ID=1965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084U KR200198552Y1 (en) 2000-04-19 2000-04-19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5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5729921A (en) Burial marker and display box
USRE47066E1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7406754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076292A (en) Hybrid grave marker and cremains container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200198552Y1 (en) Apparatus for laying ashes to rest
US20050126086A1 (en) Burial structure for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100761485B1 (en) Anti-dewing enshrinement tomb burying without making a mound on the grave
KR200392056Y1 (en) Charnel tomb
JP2001173272A (en) Simple gravestone
KR200376872Y1 (en) Gravestone having a image display function and ashes management system
US12098564B2 (en) Patron-accessible memorialization structures
KR200278391Y1 (en) a charnel
KR200223612Y1 (en) Family Ossuary
KR200250526Y1 (en) family charnel
KR200185323Y1 (en) Charnel tomb with water-drain and air vent
KR200411753Y1 (en) The locking installation which uses the Buddhist imageLaying
KR200189937Y1 (en) A crypt
KR200189933Y1 (en) A rotation structure layout for grave storage room
JP2006288421A (en) Portable grave
KR200242678Y1 (en) Structure of the charnel house
KR200193183Y1 (en) New family tomb
KR10030449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eed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