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297Y1 -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 Google Patents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297Y1
KR200198297Y1 KR2020000005668U KR20000005668U KR200198297Y1 KR 200198297 Y1 KR200198297 Y1 KR 200198297Y1 KR 2020000005668 U KR2020000005668 U KR 2020000005668U KR 20000005668 U KR20000005668 U KR 20000005668U KR 200198297 Y1 KR200198297 Y1 KR 200198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frame
hole
front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6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병승
Original Assignee
민병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승 filed Critical 민병승
Priority to KR2020000005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29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29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앞 표지에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ry in which the picture frame is assembled on the front cover.

본 고안의 다이어리는 앞 표지에 타원형, 사각형, 하트형 또는 원형 등의 관통구를 형성시키고, 그 관통구에 관통구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사진틀을 조립하여 다이어리 소유자 자신의 사진이나 소유자가 선호하는 인물의 사진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어리를 펼치지 않고도 소유자를 곧바로 알 수 있도록 한 다이어리이다.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ough-hole such as oval, square, heart-shaped or round on the front cover, and assembles a picture fram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hole on the through-hole so as to be photographed by the diary owner or a person preferred by the owner. It's a diary so that you can instantly know the owner without having to open the diary.

본 고안 다이어리의 앞 표지를 구성하는 사진틀은 앞 표지의 겉면에서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는 -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 결합부와 앞 표지의 전면에 노출되는 노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틀과, 앞 표지의 내면에서 관통구로 삽입되어 상기 전면틀 결합부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와 앞 표지의 내면에 노출되는 노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틀의 두개 틀로서 구성되며, 상기 사진틀에는 사진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진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 사진 전면과 밀착되는 - 투명창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The picture frame constituting the front cover of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in which the coupling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is formed, and the exposed part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front cover. It is configured as two frames of the rear fram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ront frame, It is equipped with a transparent window-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photo-which makes the photo visible and protects the surface of the photo.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의 사진틀에 소유자 자신의 사진이 아닌 소유자가 선호하는 인물의 사진을 끼우고 항상 볼 수 있는 바, 특히 청소년층으로부터의 많은 호응이 기대될 뿐 아니라, 적당한 사진을 선택하게 되면 다이어리의 앞 표지를 장식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picture frame of the owner, not the owner's own photo, can always be inserted in the above picture frame, and the user can always see it. It also has the effect of decorating the front cover of the diary.

Description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표지로 구성된 다이어리{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본 고안은 앞 표지에 적절한 형상의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다이어리의 앞 표지에 적당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관통구를 형성시키고, 그 관통구에 관통구와 동일한 형상의 사진틀을 조립하여 사진틀에 사진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어리 표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바로 볼 수 있도록 한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표지로 구성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ry in which a picture frame of a suitable shape is assembled on a front cover, and more particularly, a through hole having a suitable shape and size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of a diary, and a picture fram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through cover. By assembling the picture to be inserted into the picture frame, the diary is composed of a cover that is assembled with a picture frame is assembl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see the desired picture on the cover.

일반적으로 다이어리의 표지는 앞 표지와 뒷 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메모 등을 하는 내용물과 사진 등을 보관 할 수 있는 투명내지는 반투명 합성수지 파일이 두 표지 사이에 바인더 형식으로 묶어져 있는 종래 다이어리의 표지는 보통 비닐 커버라고 불려지듯이 합성수지류로 만들어지거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진 두꺼운 종이를 합성수지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ver of the diary is formed of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integrally, and a cover of a conventional diary in whic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ynthetic resin file, which can store contents such as a memo and a photo, is bundled in a binder form between the two covers. It is usually made of synthetic resin as it is called vinyl cover, or it is structured to wrap thick paper with some degree of rigidity with synthetic resin.

따라서, 사용자의 이름은 앞뒤 표지 사이의 내용물이나 표지의 내측면에 기록을 하게 되어 다이어리를 펼쳐보지 않으면 다이어리의 소유자를 알 수가 없으며, 다이어리 소유자 자신의 사진이나 자신이 선호하는 사람의 사진이 쉽게 눈에 띄도록 하고자 하여도 표지의 외측에 붙이지 않는 한 다이어리를 펼쳐 보아야만 한다.Therefore, the user's name is recorded on the contents between the front and back cover or inside of the cover, so that the owner of the diary cannot be known unless the diary is unfolded. Even if you want it to stand out, you should unfold the diary unless you put it on the outside of the cover.

종래의 다이어리에 사진을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다이어리에 바인딩 되어 있는 - 한 쪽의 모서리만이 접착되지 않은 - 상기 투명한 봉투형 합성수지 파일 즉, 클리어 파일에 넣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storing a photograph in a conventional diary, first, there is a method of putting in a transparent envelope-type synthetic resin file, ie, a clear file, in which only one corner is not bonded, bound to the diary.

둘째,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가시창(11)을 통하여 사진을 볼 수 있도록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씌운 표지 내측면(13)에 형성된 일자형 틈새(14)를 통하여 표지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의 사진 보관첩에 사진을 넣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의 방법도 있으나 상기의 두 방법과 큰 차별성은 없다.Second,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hrough the linear gap 14 formed in the inner surface 13 of the cover covered with opaque synthetic resin so that the picture can be seen through the visible window 11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re is a method of putting a picture in the pocket-shaped photo storage, there are other method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bove two methods.

상기 사진을 보관하는 방법들은 클리어 파일이나 가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사진 보관 주머니에 비하여 통상적으로 사진의 크기가 작기때문에 테이프 등으로 사진을 고정시키지 않으면 사진이 고정되지 못하고 다이어리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바뀌거나 삐뚤어지게 됨으로써 보기에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The method of storing the picture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picture storage bag in which the clear file or the visible window is formed. Therefore, if the picture is not fixed with a tape or the like, the picture cannot be fixed and th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ary. The crookedness is not only undesirable, but also has little decorative effect.

그리고, 종래의 다이어리는 소유자를 확인하거나 사진을 보기 위해서 항상 잠금구(15)를 풀고 다이어리의 내부를 펼쳐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ary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owner or to see the picture always unwind the lock 15 and unfold the inside of the diary.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잠금구를 풀지 않고서 다이어리의 표지만을 보고서도 소유자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앞 표지의 사진을 쉽게 볼 수 있으면서도 사진에 의한 장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다이어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w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by only looking at the cover of the diary without releasing the locking mechanism, and providing a diary that can easily obtain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picture while being able to easily see the picture of the front cover. There is a purpose.

도 1은 종래 다이어리의 앞 표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of the conventional diary is unfolded.

도 2는 본 고안 타원형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다이어리를 보인 것으로,Figure 2 is to show the diary is assembled ov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는 사시도이고,(A) is a perspective view,

(나)는 사진틀을 분리한 앞 표지의 정면도이다.(B)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cover with the picture frame separated.

도 3은 본 고안 타원형 사진틀을 구성하는 전면틀로서,3 is a front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val frame,

(가)는 정면도이고,(A) is a front view,

(나)는 저면도이며,(B) is the bottom view,

(다)는 단면도이다.(C)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4는 본 고안 타원형 사진틀을 구성하는 후면틀로서,4 is a rear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val frame,

(가)는 정면도이고,(A) is a front view,

(나)는 저면도이며,(B) is the bottom view,

(다)는 단면도이다.(C)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5는 본 고안 사진틀의 조립 상태를 보인 것으로,Figure 5 shows the assembled state of the frame of the subject innovation,

(가)는 조립전 단면도이고,(A) is the section before assembly,

(나)는 조립후 단면도이다.(B) is sectional drawing after assembling.

도 6은 본 고안 사각형 사진틀이 조립된 다이어리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ry assembled with the subject innovation square photo frame.

도 7은 본 고안 하트형 사진틀이 조립된 다이어리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ary assembled the present invention heart-shaped frame.

도 8은 본 고안 원형 사진틀이 조립된 다이어리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ry assembl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r picture fram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1. 가시창 15. 잠금구11. Spear 15. Lock

22. 관통구 23. 사진틀22. Through Hole 23. Photo Frame

23D. 삽입공 23J. 고정돌기23D. Insertion hole 23J. Fixing protrusion

51. 투명창 52. 사진51. Transparent window 52. Photo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다이어리 앞 표지에 형성된 관통구와 그 관통구에 조립되는 사진틀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over of the diary and a picture frame assembled to the through hole.

본 고안 다이어리 앞 표지의 관통구에 조립되는 사진틀에 다이어리 소유자의 사진이나 소유자가 선호하는 사람의 사진을 끼워넣음으로써 다이어리를 펼치지 않고 앞 표지만을 보고도 다이어리의 소유자를 확인 할 수 있다.Diary owners can be identified by looking at the front cover without opening the diary by inserting a photo of the diary owner or a photo of the person preferred by the owner into a photo frame assemb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ront cover of the diary.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technical constit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도 2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다이어리 앞 표지(21)의 타원형 관통구(22)에 조립되는 사진틀(23)은 앞 표지(21)의 겉면에서 관통구로 부분 삽입되어 앞 표지 전면으로 노출되는 전면틀(23A)과, 앞 표지의 내면에서 상기 관통구로 부분 삽입되어 전면틀과 결합하면서 앞 표지 내면으로 노출되는 후면틀(23B)의 두개 틀로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picture frame 23 assembled to the elliptical through hole 22 of the diary front cover 21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 to be exposed to the front cover front. It is configured as two frames of the front frame 23A and the rear frame 23B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t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and is exposed to the front cover inner surface.

전면틀(23A)은 관통구(22)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3C)와 관통구로 삽입되는 - 다수의 삽입공(23D)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3E)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후면틀(23B)도 전면틀과 마찬가지로 노출부(23H)와 결합부(23I)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The front frame 23A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exposed portion 23C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22 and a coupling portion 23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3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imilarly to the front frame, the exposed portion 23H and the engaging portion 23I are formed in one body 23B.

그리고, 후면틀(23B)의 노출부(23H) 뒷면에는 사진틀(23) 조립시 전면틀(23C)의 삽입공(23D)으로 삽입되는 삽입공 수만큼의 고정돌기(23J)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s 23J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posed part 23H of the rear frame 23B as many times as the insertion hole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23D of the front frame 23C when the photo frame 23 is assembled.

상기의 사진틀에 사진을 넣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How to put a picture in the picture frame is as follows.

전면틀(23C)을 다이어리 앞표지(21)의 관통구(22)에 끼운 후, 사진이 보일 수 있고 사진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투명창(51)을 전면틀(2C1) 후면의 내측 단턱(23F)에 위치시킨다.After inserting the front frame 23C into the through-hole 22 of the diary front cover 21, the transparent window 51 serving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photo can be seen and the inside of the rear of the front frame 2C1. It is located in step 23F.

상기 투명체(51) 하면에 접하도록 보고자 하는 사진(52)을 위치시키고, 후면틀(23B)의 고정돌기(23J)를 전면틀(23C) 결합부(23E)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3D)에 삽입시킴으로써 사진틀(23)의 조립이 완료된다.Position the photograph 52 to be view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dy 51, the insertion hole (23D) formed in the engaging frame (23E) of the front frame (23C) of the fixing projection (23J) of the rear frame (23B). The assembly of the picture frame 23 is completed by inserting in the.

그리고, 후면틀(23B)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돌기(23K)는 사진의 교체등 사진틀을 분해할 경우, 후면틀(23B)을 쉽게 떼어내기 위한 것이다. 즉, 돌기(23K)의 단턱부(23L)를 들어 올림으로써 후면틀(23B)을 전면틀(23A)로부터 손쉽게 분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liptical protrusion 23K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frame 23B is for easily removing the rear frame 23B when disassembling the photo frame such as replacement of the photo. That is, the rear frame 23B can be easily disassembled from the front frame 23A by lifting the stepped portion 23L of the protrusion 23K.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6 내지 도8에 사각형상의 사진틀(60)과 하트형 사진틀(70) 및 원형의 사진틀(80)이 조립되어 있는 다이어리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6 to 8 show a perspective view of a diary in which a rectangular picture frame 60, a heart-shaped picture frame 70, and a circular picture frame 80 are assembled.

본 고안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앞표지로 구성되는 다이어리는 사진틀에 끼워져 있는 사진에 의하여 다이어리를 펼치지 않고도 다이어리 소유자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iary consisting of the fron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rame is assembled has the advantage that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diary owner without opening the diary by the picture inserted in the frame.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소유자가 선호하는 인물의 사진을 끼우고 항상 볼 수 있는 바, 특히 청소년층으로부터의 많은 호응이 기대된다.And, if necessary, the owner's favorite picture of the person can always be inserted, especially from the youth group.

Claims (3)

앞뒤 표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다이어리의 앞표지(21)에 관통구(22)가 형성되며, 그 관통구(22)에 관통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사진틀(23)이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표지로 구성된 다이어리.Through-hole 22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21 of the diary composed of the front and rear cover, the picture frame 23 is assemb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22 has a picture frame 23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hole Diary consisting of a cover. 제 1항에 있어서, 다이어리의 앞표지(21)에 형성된 관통구(22)와 관통구에 조립되는 사진틀(23)의 형상이 타원형(23), 사각형(60), 하트형(70), 원형(80)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표지로 구성된 다이어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22 formed in the front cover 21 of the diary and the picture frame 23 assembled to the through-hole is oval 23, square 60, heart-shaped 70, circular Diary consisting of a cover that is assembled to the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80). 제 1항에 있어서, 사진틀(23)은 앞 표지(21)의 겉면에서 관통구(22)로 부분 삽입되어 앞 표지 전면으로 노출되며 관통구(22)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3C)와 다수의 삽입공(23D)이 형성되어 관통구(22)로 삽입되는 결합부(23E)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틀(23C)과, 앞 표지(21)의 내면에서 상기 관통구(22)로 부분 삽입되어 전면틀과 결합하면서 앞 표지 내면으로 노출되고 사진틀(23) 조립시 전면틀(23C)의 삽입공(23D)으로 삽입되는 삽입공 수만큼의 고정돌기(23J)가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3I)와 노출부(23H)가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틀과, 사진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진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투명창(5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이 조립되어 있는 표지로 구성된 다이어리.The photo frame 23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 and exposed to the front face of the front cov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22 and the plurality of exposed portions 23C. 23C of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the front frame 23C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3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1 is part of the through hole 22. Joining is inserted into the front frame a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and the fixing projections (23J) of the number of insertion hole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D) of the front frame (23C) when assembling the photo frame 23 is formed on the back The picture frame is composed of a rear fram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ion 23I and the exposed portion 23H, and a transparent window 51 which serve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picture while allowing the picture to be seen. Diary consisting of a cover.
KR2020000005668U 2000-02-29 2000-02-29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KR2001982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68U KR200198297Y1 (en) 2000-02-29 2000-02-29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68U KR200198297Y1 (en) 2000-02-29 2000-02-29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297Y1 true KR200198297Y1 (en) 2000-10-02

Family

ID=1964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68U KR200198297Y1 (en) 2000-02-29 2000-02-29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29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297Y1 (en) Diary having photo frame in front cover
KR100622400B1 (en) Publication having recording device
KR970074595A (en) Cassette storage case
KR200491463Y1 (en) Album structure having inner picture frame
JPH10304905A (en) Button cover
JP4034554B2 (en) Packaging boxes such as picture frames
US6431354B1 (en) Picture frame type cover for disk storage case
US5842072A (en) Camera with viewing opening extended to hold label
KR20200001082U (en) Album structure having folding type picture frame
KR200226981Y1 (en) Album with compact disk holder
KR200325763Y1 (en) mount of an album
KR200356658Y1 (en) A mirror case having a picture frame and a comb keeping space therein
KR200203838Y1 (en) Album cover
JP2019072318A (en) Deceased person's photo case
KR200377617Y1 (en) a album
KR200162171Y1 (en) Album keeping photo
KR200152792Y1 (en) A paper bag
USD425116S (en) Photo album
KR200257261Y1 (en) album sheet
KR100353769B1 (en) Purse used as photo album
FR2690108A1 (en) Item intended for making a personalized postcard.
JPS6131943Y2 (en)
JPH07137783A (en) Cassette tape case
KR960009617Y1 (en) Picture frame
KR910005558Y1 (en) A file of pictures-kee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