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131Y1 -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131Y1
KR200198131Y1 KR2019970040370U KR19970040370U KR200198131Y1 KR 200198131 Y1 KR200198131 Y1 KR 200198131Y1 KR 2019970040370 U KR2019970040370 U KR 2019970040370U KR 19970040370 U KR19970040370 U KR 19970040370U KR 200198131 Y1 KR200198131 Y1 KR 20019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voltage
variable atten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770U (ko
Inventor
정일용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7004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13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17Compensating for errors; Adjusting or regula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의 주파수 상향기에서 발생하는 송신 전력의 오차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송신 전력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상향기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 신호(IF)와 국부 발진 신호(LO)가 믹서(MIX)에서 혼합된 송신 주파수 신호(TX)는, 가변 감쇄기(VA1), 증폭기(AMP), 대역 통과 여파기(BPF)를 거쳐, 방향성 결합기(DC)와 또 한번의 가변 감쇄기(VA2)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가변 감쇄기의 감쇄 전압(AV1)을 조절하여 송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이 송신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송신 신호와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이때의 감쇄 전압(AV2)값으로, 송신되는 송신 전력을 측정한다. 또한 감쇄 전압(AV2)값으로부터 송신 전력을 측정한 후, 송신로와 송신 전력 측정로의 가변 감쇄기의 감쇄 전압을 변환시켜 송신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Description

통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 장치{Apparatus of measuring transmitted power of communication base station}
본 고안은 통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의 주파수 상향기에서 발생하는 송신 전력의 오차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송신 전력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에 종래의 주파수 상향기의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구성도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로부터 유입된 중간 주파수 신호(IF)는, 국부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국부 발진 신호(LO)와 믹서(MIX)에서 혼합되어, 송신 가능한 주파수 신호(TX)로 주파수가 상향 변환되어 가변 감쇄기(VA)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가변 감쇄기의 감쇄 전압(AV)을 조절하여 송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레벨이 조절된 송신 신호는 다시 증폭기(AMP)를 거쳐 송신 가능한 일정 크기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송신 신호는 다시 대역 통과 여파기(BPF)를 거쳐 통과 대역내의 신호로 대역 제한되어 송신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파수 상향기 구성에서는 송신 전력을 측정할 수 없고, 제품별 이득 오차 및 열화에 따른 이득 변화를 보상하여 송신 전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고안은, 기지국의 주파수 상향기에서 발생하는 송신 전력의 오차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송신 전력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형태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 증폭, 여파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송신 전력 측정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 상향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송신 전력 측정과 자동 이득 조절 기능을 갖는 주파수 상향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A1, VA2 : 가변 감쇄기 DD : 다이오드 검파기
VC : 전압 비교기 AMP : 증폭기
LO : 국부 발진 신호 BPF : 대역 통과 여파기
MIX : 혼합기 DC : 방향성 결합기
IF(Intermediate Frequency) : 중간 주파수
TF(Transmit Frequency) : 송신 주파수
AV1, AV2 : 감쇄 전압 RV(Reference Voltage) : 기준 전압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 나타난, 송신 전력 측정과 자동 이득 조정을 갖는 주파수 상향기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 증폭, 여파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와, 상기 송신부(1)에서 송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송신 전력 측정부(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부(1)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 주파수 신호(IF)는, 국부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국부 발진 신호(LO)와 믹서(MIX)에서 혼합되어, 송신 가능한 주파수 신호(TX)로 주파수가 상향 변환되어 가변 감쇄기(VA1)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가변 감쇄기(VA1)의 감쇄 전압(AV1)을 조절하여 송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레벨이 조절된 송신 신호는 다시 증폭기(AMP)를 거쳐 송신 가능한 일정 크기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송신 신호는 다시 대역 통과 여파기(BPF)를 거쳐 통과 대역내의 신호로 대역 제한되어 송신된다.
본 고안의 핵심 부분인 송신 전력 측정부(2)는, 방향성 결합기(DC), 가변 감쇄기(VA2), 다이오드 검파기(DD), 전압 비교기(VC)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송신 전력 측정부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신부(1)에서 송신된, 송신 신호의 일부가 결합 포트로 나오도록 설계된 방향성 결합기(DC)를 거쳐 다시 가변 감쇄기(VA2)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가변 감쇄기(VA2)의 감쇄 전압(AV2)을 조절하여 송신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레벨이 조절된 송신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DC 전압으로 변환 시키는 다이오드 검파기(DD)를 경유하고, 상기 다이오드 검파기(DD)를 거쳐 DC 전압으로 변환된 송신 신호와,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HIGH' 또는 'LOW'를 출력하는, 전압 비교기(VC)를 경유하여 송신하게 된다.
이때, 전압 비교기(VC)의 출력이 'HIGH' 또는 'LOW'가 되도록 하는 가변 감쇄기(VA2)의 감쇄 전압(AV2)값을 알면 송신되는 송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감쇄 전압(AV2)값으로부터 송신 전력을 측정한 후 송신로에 가변 감쇄기(VA1)의 감쇄 전압(AV1)을 조절하여 송신 전력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종래 주파수 상향기의 구조가 갖는 문제점, 즉 송신 전력의 측정과 제품별 이득 오차 및 열화에 따른 이득 변화를 보상하여 송신 전력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중간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증폭과 여파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일부 결합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기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레벨을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하여 감쇄시키는 가변 감쇄기와,
    상기 가변 감쇄기의 출력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다이오드 검파기와,
    상기 다이오드 검파기의 출력신호를 기준 전압 신호와 비교하는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측정 장치.
KR2019970040370U 1997-12-24 1997-12-24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KR200198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70U KR200198131Y1 (ko) 1997-12-24 1997-12-24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70U KR200198131Y1 (ko) 1997-12-24 1997-12-24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70U KR19990027770U (ko) 1999-07-15
KR200198131Y1 true KR200198131Y1 (ko) 2000-10-02

Family

ID=1951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370U KR200198131Y1 (ko) 1997-12-24 1997-12-24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1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777B1 (ko) * 2001-06-08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전력 제어회로
KR101281634B1 (ko) * 2012-04-04 2013-07-0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신호 측정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70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4523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利得設定
KR100353413B1 (ko) 부스터, 감시 장치, 부스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감시방법
EP0740422B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341069B1 (ko) 송신기에서의송신전력와수신기에서의감쇠의동적제어
US20060209997A1 (en) Amplifiers with cutoff circuit to avoid overloading cellular network sites
KR100193842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전력조절 회로 및 방법
US20010023190A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of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198131Y1 (ko) 통신기지국의송신전력측정장치
CA2607144C (en) Cellular network amplifier with automated output power control
EP0957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ransmitter overload in a transmit scanning receiver
JP2937866B2 (ja) 無線送信装置
JP3484415B2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フェージング余裕の測定
US6701157B2 (en) Transmitter circui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in-band noise in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s
KR100538452B1 (ko) 시간 분할 송수신 방식의 통신 시스템 및 자동 이득 제어방법
KR100255307B1 (ko)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 회로
KR100401239B1 (ko) 업링크 영역확장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
JP2636780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0183762A (ja) 送信電力制御回路とその制御方法及び送信装置
KR100318480B1 (ko) 동적출력레벨을갖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3777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믹서 신호손실 보상장치
KR1002931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제어 장치
KR100487814B1 (ko) Rf 중계기의 발진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JPH044782B2 (ko)
KR19980065550A (ko) 송신기지국에서 송신 출력 조정 회로
KR200199766Y1 (ko) 회송파 감지회로를 갖는 무선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