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27Y1 -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 Google Patents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927Y1
KR200197927Y1 KR2020000009629U KR20000009629U KR200197927Y1 KR 200197927 Y1 KR200197927 Y1 KR 200197927Y1 KR 2020000009629 U KR2020000009629 U KR 2020000009629U KR 20000009629 U KR20000009629 U KR 20000009629U KR 200197927 Y1 KR200197927 Y1 KR 200197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e
contents
color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2020000009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나 맥주 등을 수용하는 통상의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용량이나 색상, 상태 등을 투시할 수 있게 투시창을 갖도록 한 것이다.
알루미늄이나 금속 성분의 합금제 등으로 제작된 통상의 캔은,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용량과 색상, 보존 상태 등을 개봉 전에는 확인하기 힘들었으며 개봉 후도 남은 잔량은 흔들어 보아 대략 짐작하는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깨끗한 색상의 음료나 알갱이 같은 독특한 내용물로 제품을 구성했을 때에도 통상의 불투명한 캔으로서는, 상품성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캔의 외주면 일정 개소에 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캔과 재질이 다른 투명한 투시창을 고정 형성시키고, 이때 반대편 외주면에도 빛이 들어오게끔 투광창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제품은 개봉 전후 언제든지 내용물의 용량과 색상, 보존 상태 등의 확인이 가능한 편리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
본 고안은 내용물을 투시할 수 있는 창을 갖는 음료용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캔은 알루미늄이나 금속 성분의 합금제 등의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용량과 색상, 보존 상태 등을 미 개봉 상태에서는 확인이 힘들었으며 개봉 후에도 남은 잔량은 흔들어 보아 대략 짐작하는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을 갖는 캔 용기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알루미늄이나 금속 성분의 합금제 등의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진 캔의 외주면 일정 개소에 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의 모양대로 제단을 한 후 재질이 다른 투명한 투시창을 접합 형성시키고, 반대편 외주면 일정 개소에도 투광창의 모양대로 제단을 한 후 빛이 들어오게끔 투광창을 접합 형성시키면 캔 내부의 내용물의 보존 상태와 색상, 용량 등의 확인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나 유통 과정에서도 불량제품을 쉽게 가려내어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경우를 미리 차단할 수 있는 고안이다.
이때 투광창은 투시창의 역할도 겸할 수 있으며 용량도 확인할 수 있는 가늠자 기능도 갖는다. 그리고 투시창이나 투광창의 재질은 투명한 특수 필름이나 연질의 수지, 플라스틱, 시일(seal), 투명한 스티커 등과 같은 고정 부착이 용이한 것들로 하되 내용물을 통해서 인체에 해롭지 않은 성분으로 제작하며, 투시창이나 투광창의 모양은 서로 제품 이미지와 맞는 각기 다른 모양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투시창을 갖는 캔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 투시창을 캔에 부설함에 있어 통상의 금속성 캔이 갖는 내부 압력 유지 기능에 미달되지 않아야 한다.
㉡. 투시창을 캔에 부설함에 있어 투시창 및 투광창의 접합부가 캔에서 이탈되거나 훼손되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접합 방법을 최적의 기술로 한다.
㉢.투시창을 캔에 부설함에 있어 캔의 내용물과 투시창의 성분이 화학적 결합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함을 주지 않도록 한다.
㉣. 투시창을 캔에 부설함에 있어 창의 모양이나 색상을 제품의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 가능토록 한다.
도 1은 통상의 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캔 2, 2a : 외주면
3 : 투시창 4 : 투광창
본 고안에 의하면, 캔(1) 의 외주면(2)(2a) 일정 개소에 투시창(3)과 투광창(4)을 부설하여 창을 통해 내용물의 보존상태와 용량, 색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캔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상의 캔(1)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통상의 캔(1)은 불투명한 금속성 재질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투시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깨끗한 색상의 음료를 부각하거나 독특한 형태의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도시한 사시도로서,
투시창(3)의 모양대로 미리 제단된 금속성 캔(1)의 외주면(2) 일정 개소에 투명하게 제작된 필름이나 연질의 수지, 플라스틱, 시일(seal)등을 모양에 맞게 열융착 및 압착 방법에 의해 투시창(3)을 부착 형성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도시한 배면 사시도로서,
투시창(1)의 부설 지점 반대편쪽 배면의 외주면(2a)에도 미리 제단된 투광창(4)의 모양 위에 상기의 방식으로 투광창(4)을 부착 형성시킨다.
투광창(4)을 부설하는 이유는 내용물을 투시할 때 반대편으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경우 내용물의 색상과 상태를 보다 상세히 구분할 수 있게 때문이며, 투광창(4)을 캔(1)의 외주면(2a) 높이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킬 경우 만지지 않고도 내용물의 용량을 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가늠자 기능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투시창(3)과 투광창(4) 부착시 상기와 같이 일정개소에 부분 부착도 가능하지만, 특수 제작된 투시 필름으로 캔(1)의 외주면(2)(2a) 전체를 횡으로 감싸 코팅함으로서 투시창(3) 투광창(4)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 내용물의 색상 및 상태, 용량 등의 식별 확인이 용이하다.
㉡. 독특한 내용물을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다.
㉢. 제조나 유통 과정에서 발생한 불량 제품을 쉽게 가려내어 소비자의 피해를 미리 차단할 수 있다.
㉣.꽃이나 나비 모양처럼 소비자의 기호나 제품의 특성에 맞게 투시창을 제작하여 상품의 가치를 키울 수도 있다.

Claims (2)

  1. 알루미늄이나 금속성 합금제로 구성된 음료용 캔(1)의 외주면(2)과 반대편 배면의 외주면(2a) 일정 개소에 창(3)(4)의 형태로 미리 제단을 한 후, 캔(1)과 다른 재질의 투명한 투시창(3)과 투광창(4)을 각각 열융착 또는 압착 방법으로 부착 형성하여 내용물을 투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을 갖는 음료용 캔(1).
  2. 제 1항에 있어서,
    캔(1)에 투시창(3)과 투광창(4)을 형성 시키는 방법에 있어 음료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특수 제작된 투시 필름을 사용하여, 투시창(3)과 투광창(4) 모양이 미리 제단된 외주면(2)(2a) 전체를 횡으로 감싸 코팅함으로서 투시창(3) 및 투광창(4)이 형성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1)
KR2020000009629U 2000-04-01 2000-04-01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KR200197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29U KR200197927Y1 (ko) 2000-04-01 2000-04-01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29U KR200197927Y1 (ko) 2000-04-01 2000-04-01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27Y1 true KR200197927Y1 (ko) 2000-10-02

Family

ID=1965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29U KR200197927Y1 (ko) 2000-04-01 2000-04-01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89A (ko) * 2001-09-17 2003-03-26 송종섭 내용물안전확인캔
KR100864817B1 (ko) 2007-04-13 2008-10-23 홍현덕 투시창을 구비한 유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89A (ko) * 2001-09-17 2003-03-26 송종섭 내용물안전확인캔
KR100864817B1 (ko) 2007-04-13 2008-10-23 홍현덕 투시창을 구비한 유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5939A (en) Bottle with a multiple part label
US20050145533A1 (en) Packaging for decorative frangible ornaments
EP0963727A3 (en) Transparent insulat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69304919T2 (de) Gefüllte packung, ein im wesentlichen farblos durchscheinendes äusseres aufweisend
AU6648900A (en) Primary package for contact lens
EP1083041B1 (en) Shrink sleeved bottle
EP1083129A1 (en) Shrink sleeved bottle
KR19990071552A (ko) 음료 캔 장치
KR200197927Y1 (ko) 내용물 투시가 가능한 음료용 캔
CN101296851A (zh) 带保护顶盖的饮料罐
US20080217336A1 (en) Can for Beverages Comprising a Protective Lid
US20030127420A1 (en) Dual bottle closure
US2143156A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s
JP2008150101A (ja) 二種飲料用容器
FR2641078A1 (ko)
KR920002409Y1 (ko) 투시창이 형성된 식품용기
EP1753671A1 (en) Unit dose packaging
CN212638346U (zh) 一种新型复合酒瓶
KR20030068533A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갖고 있는 스파우트 파우치 용기
JP3061480U (ja) ラベル付き容器
CN2221002Y (zh) 带凸耳的防伪瓶子
JP3015143U (ja) 円柱状容器
CN2221004Y (zh) 酒瓶盖
KR200407249Y1 (ko) 투시창이 구비된 포장용 캔
EP0979781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joints circula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