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35Y1 - 샤워기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35Y1
KR200196535Y1 KR2020000011071U KR20000011071U KR200196535Y1 KR 200196535 Y1 KR200196535 Y1 KR 200196535Y1 KR 2020000011071 U KR2020000011071 U KR 2020000011071U KR 20000011071 U KR20000011071 U KR 20000011071U KR 200196535 Y1 KR200196535 Y1 KR 200196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hower head
hole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복
Original Assignee
조장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복 filed Critical 조장복
Priority to KR2020000011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용도 샤워기 헤드가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비용이 증가하였고,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과 불편함이 따랐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샤워기 헤드(10)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조절스위치(22)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부재(50)에 끼움공(52)이 형성되어 탄성부재(7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끼움공(52)에는 상기 제 1,2연통공(62,6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제 1,2개폐돌기(82,84)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이 설치되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 각 일측에는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 1,2간격유지홈(66)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분배부재(60)에 형성된 각 연통공(62,6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강철볼 기능을 갖는 제 1,2개폐돌기(82,84)가 개폐부재(8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80)가 결합되는 끼움공(52)이 회동부재(50)에 하나만 형성됨으로써, 물을 분배하기 위한 구성품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조립작업과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샤워기 헤드{A SHOWER HEAD}
본 고안은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부재와 분배부재 사이에서 각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물을 분배하는 기능을 갖는 부품이 현저하게 감소된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헤드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에 다수개의 분출공이 천공된 샤워노즐판이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이 분사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샤워기 헤드는 단순히 샤워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도가 다양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샤워기 헤드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즉, 샤워기 헤드에 비데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샤워는 물론 항문이나 질 세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다용도 샤워기 헤드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기 헤드는 샤워기능, 절수기능, 비데기능 등으로 작동되는 조절스위치(1-1)가 일측에 설치된 하우징(1)과, 상기 조절스위치(1-1)에 의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다단으로 회동되고 제 1,2설치공(2-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설치공(2-1,2-2)에 제 1,2강철볼(2-3,2-4)과 제 1,2탄성부재(2-5,2-6)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회동부재(2)와, 상기 제 1,2탄성부재(2-5,2-6)의 탄성을 받는 제 1,2강철볼(2-3,2-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1,2연통공(3-1,3-2)이 형성된 분배부재(3)와,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설치되는 샤워노즐판(4)과 비데노즐(5)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기 헤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으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스위치(1-1)가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되어 샤워기능으로 선택되면, 상기 회동부재(2)가 도 2b에 도시된 절수상태에서 제 1연통공(3-1)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 2강철볼(2-4)이 제 1탄성부재(2-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 1연통공(3-1)을 폐쇄하게 되어 공급되는 물이 제 2연통공(3-2)을 통하여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샤워노즐판(4)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스위치(1-1)가 중앙에 위치하여 절수기능으로 선택되면, 상기 회동부재(2)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1,2강철볼(2-3,2-4)이 상기 제 1,2연통공(3-1,3-2)을 동시에 폐쇄하게 됨으로 공급된 물은 분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스위치(1-1)가 도 2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되어 비데기능으로 선택되면, 상기 회동부재(2)가 제 2연통공(3-2)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 1강철볼(2-3)이 상기 제 1탄성부재(2-5)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연통공(3-2)을 폐쇄하게 되어 공급되는 물이 도 2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연통공(3-1)을 통하여 비데노즐(5)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강철볼(2-3,2-4)이 상기 조절스위치(1-1)에 의해 상기 제 1,2연통공(3-1,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사용자는 샤워기 헤드를 샤위기 또는 비데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기 헤드는 공급되는 물을 샤워노즐판(4)이나 비데노즐(5)로 분배하기 위하여 많은 부품이 사용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하였고,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하였으며, 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하우징(1)으로 공급된 물은 복수개의 제 1,2강철볼(2-3,2-4)과, 상기 제 1,2강철볼(2-3,2-4)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2탄성부재(2-5,2-6)가 사용되었으며, 상기 제 1,2강철볼(2-3,2-4)과 제 1,2탄성부재(2-5,2-6)이 각각 설치될 제 1,2설치공(2-1,2-2)을 회동부재(2)에 각각 형성해야 함으로써,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었고, 조립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분배부재에 형성된 각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다수개의 부품을 일체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물을 샤워노즐판과 비데노즐로 각각 분배하기 위한 부품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작비용 감소는 물론 부품의 조립과 취급이 용이한 샤워기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샤워노즐판과 비데노즐이 설치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조절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조절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공급되는 물을 분배하도록 된 회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와 샤워노즐판 사이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분배된 물이 상기 샤워노즐판과 비데노즐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 1,2연통공이 형성된 분배부재가 설치되어 호스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헤드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제 1,2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제 1,2개폐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재의 끼움단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을 받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기 분배부재의 제 1,2연통공 각 일측에는 상기 제 1,2개폐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 1,2간격유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2b는 도 1에 도시된 샤워기 헤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샤워기 헤드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샤워기 헤드의 작동상태 단면도로, 5a는 조절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b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절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5c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분배된 물이 비데노즐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d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샤워노즐판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우징 22 : 조절스위치
30 : 샤워노즐판 40 : 비데노즐
50 : 회동부재 60 : 분배부재
62,64 : 제 1,2연통공 66,68 : 제 1,2간격유지홈
70 : 탄성부재 80 : 개폐부재
82,84 : 제 1,2개폐돌기 86 : 끼움단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샤워기 헤드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10'는 샤워기 헤드이고, '23'은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설치공이며, '25'는 작동공이고, '32'는 샤워노즐판(30)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홈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10)는 급수기호스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스위치(22)와,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설치되는 샤워노즐판(30)과, 상기 샤워노즐판(3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비데노즐(40)과, 상기 조절스위치(22)에 의해 작동되는 회동부재(50)와, 상기 회동부재(50)에 결합되어 공급되는 물을 분배하도록 형성된 개폐부재(80)와, 상기 회동부재(50)와 샤워노즐판(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8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1,2연통공(62,64)과,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회피되어 개폐부재(80)와 회동부재(5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 1,2간격유지홈(66,68)이 형성된 분배부재(6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20)은 호스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최종적으로 분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면 중앙에는 상기 회동부재(50)와 분배부재(60) 및 샤워노즐판(30)과 비데노즐(40)이 차례로 설치되도록 설치공(23)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절스위치(22)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동하도록 작동공(2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하우징(20)의 작동공(25)으로 설치된 조절스위치(22)와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조절스위치(22)에 의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동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타단 상면 중앙부에는 끼움공(52)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공(52)에는 탄성부재(7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조절스위치(22)에 의해 상기 제 1,2연통공(62,6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부재(50)와 분배부재(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상기 제 1,2연통공(62,64)을 개폐하도록 된 제 1,2개폐돌기(82,84)가 만곡지게 각각 돌설되고, 타측면 중앙에는 상기 끼움공(52)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70)의 탄성을 받는 끼움단(86)이 수직 돌설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상기 개폐부재(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는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돌설되고,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끼움공(52)에 삽입 설치되는 끼움단(86)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은 회동부재(5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는 상기 분배부재(6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부재(80)는 상기 끼움단(86)이 상기 끼움공(52)에 삽입 설치되면, 상기 탄성부재(70)의 탄성을 받게 된다.
상기 분배부재(60)는 상기 샤워노즐판(30)과 회동부재(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공(23)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0)으로 공급된 물이 상기 샤워노즐판(30)과 비데노즐(40)로만 공급되도록 하우징(20)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배부재(60)에는 공급되는 물을 상기 샤워노즐판(3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 1연통공(62)과, 비데노즐(40)로 공급하기 위한 제 2연통공(6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연통공(62)과 제 2연통공(64)의 각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재(80)의 제 1,2개폐돌기(82,84)가 각각 회피되는 제 1,2간격유지홈(66,68)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구성요소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공(25)에 상기 조절스위치(22)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설치공(23)에는 끼움공(52)이 형성된 회동부재(50)가 삽입되어 그 일단 저면이 상기 작동공(25)으로 삽입된 조절스위치(22)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52)에 탄성부재(70)를 삽입하고, 상기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을 삽입하여 상기 탄성부재(70)의 탄성을 받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50)에 개폐부재(80)가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20)의 설치공(23)에 분배부재(60)를 삽입 설치하되, 그 일면이 상기 개폐부재(80)에 접하도록 삽입 설치하고, 상기 설치공(23)에 샤워노즐판(30)을 설치한 후, 상기 샤워노즐판(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홈(32)에 상기 비데노즐(40)을 설치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10)의 조립과정은 완료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를 개폐하는 제 1,2개폐돌기(82,84)가 상기 개폐부재(8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망실이 최소화되고, 조립작업이 단순화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형성된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을 단순히 상기 탄성부재(70)가 내설된 끼움공(52)에 삽입하는 것으로 그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설치공(23)에 회동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50)에는 개폐부재(80)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50)와 개폐부재(80)가 설치된 설치공(23)에 상기 분배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샤워노즐판(30)이 상기 분배부재(6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설치공(23)에 설치되며, 상기 샤워노즐판(30)의 안착홈(32)에 비데노즐(40)이 설치되면,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연통공(62)은 상기 샤워노즐판(30)과 연통되고, 제 2연통공(64)은 상기 비데노즐(40)과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조절스위치(22)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샤워노즐판(30) 또는 비데노즐(40)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상호 결합된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샤워기 헤드의 작동상태 단면도로, 5a는 조절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b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절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5c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분배된 물이 비데노즐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5d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샤워노즐판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호스로부터 상기 샤워기 헤드(10)의 하우징(20)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스위치(22)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키지 않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50)의 끼움공(52)에 결합된 개폐부재(80)의 제 1,2개폐돌기(82,84)는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을 각각 폐쇄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회동부재(5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쪽으로도 회동되지 않은 중립상태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5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70)가 상기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에 탄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는 상기 제 1,2연통공(62,64)의 내경 모서리부에 밀착되어 그 곳을 각각 폐쇄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20)으로 공급된 물은 어느곳으로도 공급되지 않는 절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조절스위치(22)가 중립상태를 유지하여 절수된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스위치(2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조절스위치(2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조절스위치(22)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조절스위치(22)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부재(50)가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50)의 끼움공(52)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회동부재(50)와 같이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개폐돌기(82)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연통공(62)을 개방한 후 상기 제 2연통공(64)을 폐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개폐돌기(84)는 상기 제 2연통공(64)을 개방한 후 상기 제 2간격유지홈(68)에 삽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개폐돌기(82)가 상기 제 1연통공(62)을 개방한 후 제 2연통공(64)을 폐쇄하고, 상기 제 2개폐돌기(84)는 상기 제 2연통공(64)을 개방한 후 제 2간격유지홈(68)에 삽입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2연통공(64)을 폐쇄하고 있던 제 2개폐돌기(84)가 상기 제 2연통공(64)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제 2간격유지홈(68)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80)의 일면과 상기 회동부재(50)의 일면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개폐돌기(82)가 상기 제 2연통공(64)을 폐쇄하고, 상기 제 2개폐돌기(84)가 제 2간격유지홈(66)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끼움공(52)에 삽입된 탄성부재(70)가 상기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에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각 제 1,2개폐돌기(82,84)가 상기 분배부재(60)에 밀착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개폐돌기(82)가 제 2연통공(64)을 폐쇄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으로 공급된 물은 도 5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 1연통공(62)을 통하여 상기 비데노즐(40)로 공급되어 분사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스위치(22)가 중립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화살표 'B'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동부재(50)의 끼움공(52)에 결합된 개폐부재(80)도 상기 회동부재(5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80)가 화살표 'B'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연통공(62)을 폐쇄하고 있던 제 1개폐돌기(82)는 화살표 'B'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연통공(62)을 개방한 후 상기 제 1간격유지홈(66)으로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개폐돌기(84)는 화살표 'B'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연통공(64)을 개방한 후 상기 제 1연통공(62)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개폐돌기(82)가 제 1연통공(62)을 개방한 후 제 1간격유지홈(66)에 삽입되고, 상기 제 2개폐돌기(84)가 제 2연통공(64)을 개방한 후 제 1연통공(62)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20)으로 공급된 물은 도 5d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 2연통공(64)을 통하여 상기 샤워노즐판(30)으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을 개폐하는 제 1,2개폐돌기(82,84)가 개폐부재(8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 분배를 위한 개폐부재(8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부재(50)에 의해 상기 제 1,2연통공(62,6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됨으로, 그 작동이 원할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헤드는 분배부재에 형성된 각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강철볼 기능을 갖는 제 1,2개폐돌기가 개폐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결합되는 끼움공이 회동부재에 하나만 형성됨으로써, 물을 분배하기 위한 구성품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제작비용의 절감은 물론, 조립작업과 취급이 용이하며, 수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샤워노즐판(30)과 비데노즐(40)이 설치되는 하우징(20)의 일측에 조절스위치(22)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상기 조절스위치(22)에 의해 작동되어 공급되는 물을 분배하도록 된 회동부재(50)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재(50)와 샤워노즐판(30) 사이에는 상기 회동부재(50)에 의해 분배된 물이 상기 샤워노즐판(30)과 비데노즐(40)로 각각 공급되도록 제 1,2연통공(62,64)이 형성된 분배부재(60)가 설치되어 호스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 헤드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50)에는 끼움공(52)이 형성되어 탄성부재(7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끼움공(52)에는 상기 제 1,2연통공(62,6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제 1,2개폐돌기(82,84)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재(80)의 끼움단(86)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분배부재(60)의 제 1,2연통공(62,64) 각 일측에는 상기 제 1,2개폐돌기(82,8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 1,2간격유지홈(66,6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헤드.
KR2020000011071U 2000-04-19 2000-04-19 샤워기 헤드 KR200196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71U KR200196535Y1 (ko) 2000-04-19 2000-04-19 샤워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71U KR200196535Y1 (ko) 2000-04-19 2000-04-19 샤워기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35Y1 true KR200196535Y1 (ko) 2000-09-15

Family

ID=1965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071U KR200196535Y1 (ko) 2000-04-19 2000-04-19 샤워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467A (en) Three-way adjustable shower device
US8297538B2 (en) Shower switch with adjustable device
US10239065B2 (en) Flow control component and shower
US6561441B1 (en) Kitchen-used sprinkling gun
CN112246457A (zh) 一种带有推钮的花洒
US6431211B1 (en) Water controlling stem structure of a faucet
KR200196535Y1 (ko) 샤워기 헤드
US7464887B2 (en) Pivotable watering nozzle assembly
CN110841813A (zh) 一种操作方便的喷枪花洒
KR200168476Y1 (ko) 샤워헤드
CN211436638U (zh) 一种操作方便的喷枪花洒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KR200257141Y1 (ko) 싱크대용 물 분사헤드
KR200307823Y1 (ko) 자폐식 절수형 샤워기
KR200314026Y1 (ko) 세차 기구
KR200187231Y1 (ko) 주방용 샤워헤드
KR200163455Y1 (ko) 샤워헤드
KR200206274Y1 (ko) 샤워기 헤드
CN213524932U (zh) 一种组合淋浴装置
KR200268289Y1 (ko) 씽크대용 물 분사구
KR102665839B1 (ko) 다용도 물분사기
KR200210884Y1 (ko) 절수형 비데샤워헤드
KR200283545Y1 (ko) 유체 분배기
CN216675648U (zh) 一种洗地机
KR200292700Y1 (ko) 싱크대용 분사헤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519

Effective date: 200208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30

Effective date: 200307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813

Effective date: 2004022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