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121Y1 - 적재 가능한 찬기 - Google Patents

적재 가능한 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121Y1
KR200196121Y1 KR2019990023530U KR19990023530U KR200196121Y1 KR 200196121 Y1 KR200196121 Y1 KR 200196121Y1 KR 2019990023530 U KR2019990023530 U KR 2019990023530U KR 19990023530 U KR19990023530 U KR 19990023530U KR 200196121 Y1 KR200196121 Y1 KR 200196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opening
cylindrical portion
heel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릭스
Priority to KR2019990023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1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개가 안정적으로 포개져 적재될 수 있는 찬기를 제공한다.
그 찬기(10)는 개구부(12);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6)와, 그 원통부(16)로부터 굴곡되는 바닥(20)과, 상기 원통부(16)와 바닥(20)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른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12) 전체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 1단부(24)와, 그 제 1단부(24)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단부(26)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8); 및 그 몸체(18)의 바닥(20)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굽(22)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재 가능한 찬기{Pilable vessel}
본 고안은 반찬 그릇, 즉, 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가 안정적으로 포개져 적재될 수 있는 찬기에 관한 것이다.
오목한 찬기 제품은 그 자체의 아름다운 선과 아늑하고 단아함을 선호하는 우리 나라의 민족성 때문에 우리 민족은 옛부터 오목한 찬기를 선호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목한 찬기는 일반 가정에서 뿐 만 아니라 음식점에서도 음식물을 담기 위한 다양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용기들은 금속, 도자기,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 수준이 향상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고 변질 가능성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유기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기들 중 주로 반찬을 담는데 사용되는 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식자의 반찬을 편리하게 집을 수 있도록 그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다. 찬기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개구부(1)와, 그 개구부(1)로부터 일정높이로 형성되며 실제로 반찬이 담겨지는 수용부(2)가 형성된 몸체(3)와, 그 몸체(3)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탁자 또는 상에 접촉지지되는 굽(4)으로 형성된다. 한편, 몸체(3)의 측부(5)와 굽(4)이 형성되는 바닥(6)의 경계부(7)는 라운드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찬기들을 보관할 때는 통상적으로 여러개의 찬기를 상방향으로 포개어, 즉, 적층방식으로 포개어 적재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찬기(D)위에는 다른 하나의 찬기(D')가 적층되는 방식으로 여러 개가 포개져 적재되어 보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찬기들을 다량으로 사용한 후 포개어 적재하는 경우, 하나의 찬기(D)의 개구부(1)에 다른 하나의 찬기(D')의 몸체(2)의 경계부(7)가 정확하고 균형되게 접촉되어 지지되지 않으면, 찬기들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쏠리거나 편향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찬기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없으며, 또한 적재된 찬기가 쓰러져 파손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많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찬기를 포개어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 또는 주부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개를 안정적이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포개어 쌓을 수 있는 적재 가능한 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도자기 제조방식으로 제조되며, 포개어 적재 가능한 찬기에 있어서, 개구부;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와, 그 원통부로부터 굴곡되는 바닥과, 상기 원통부와 바닥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른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 전체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 1단부와, 그 제 1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바닥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굽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가능한 찬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찬기가 다른 하나의 찬기에 적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재 가능한 찬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찬기가 다른 하나의 찬기에 적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찬기 12: 개구부
14: 수용부 16: 원통부
18: 몸체 20: 바닥
22: 굽 24: 제 1단부
26: 제 2단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재 가능한 찬기(10)는 기본적으로 최상부에서 개구부(12)를 포함하며, 그 개구부(12)의 하부에는 실제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오목한 수용부(14)를 형성하는 원통부(16)를 갖는 몸체(18)를 포함한다. 또한, 그 몸체(18)의 바닥(20)에는 탁자 또는 상에 접촉지지되도록 굽(22)이 돌출 형성된다.
특히, 몸체(18)의 원통부(16)와 바닥(20)의 경계부에는 복수개의 단부(段部), 즉, 제 1단부(24)와 그 제 1단부(24)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2단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6)간의 간격은 찬기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6)간의 간격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찬기에 다른 하나의 찬기가 적재된 상태에서, 그 다른 하나의 찬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그 다른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의 일측이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의 일측에 이르기전에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의 타측에 다른 하나의 찬기의 단부의 타측에 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단부(2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하나의 찬기의 개구부(12)에 접촉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제 2단부(26)는 찬기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2개의 단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조업자는 찬기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의 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찬기의 제조방식 및 적재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업자는, 예컨대 50-60중량퍼센트의 활석, 20-25중량퍼센트의 고령토, 10-15중량퍼센트의 장석,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찬기의 재료를 만든다. 이 재료로, 개구부(12), 몸체(18) 및 굽(22)을 형성함은 물론 몸체(18)의 원통부(16)와 바닥(20)의 경계부에 제 1 및 제 2단부(24,26)를 형성하여 찬기의 원형을 만든다. 물론, 이와 같은 찬기의 원형은 주형(mould)에 재료를 넣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부(12)부분을 두껍게하여 다량 취급하여도 파손 되지 않도록 제조하였다. 여기서, 단부를 2개로 형성한 이유는, 상술된 각각의 단부(24,26)의 단부들 기능을 유지함은 물론, 성형공정이 간단하고 바닥(20)의 두께를 얇게하여 찬기 모양이 틀어지거나, 바닥이 처지지 않는 모양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함이며, 그 제조 수율은 95∼98%로 우수하였다.
이후, 찬기의 원형을 약 1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800℃에서 약 8시간동안 초벌구이 한다. 초벌구이한 원형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낙관을 색인한 후, 1250℃에서 12시간동안 재벌구이 함으로써 찬기를 제조한다. 여기서, 수율은 약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에 따른 찬기의 개구부(12)의 수축율은 12% 내지 15%이고, 몸체(18)의 수축율은 11% 내지 13%이며, 굽(22)은 10% 내지 12%였다. 또한, 이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찬기는 개구부(12)에서 13%의 수축율을, 몸체(18)에서 12%의 수축율을, 또한 굽(22)에서 11%의 수축율을 나타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찬기를 적재하는 경우,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에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제 1단부(24)가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포개져 적재된다. 이와 같은 적재방식에 의해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에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제 1단부(24')를 지지하기만 하면, 수평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또한 다수의 찬기를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에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제 1단부(24')가 접촉되어 포개진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제 1단부(24')가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찬기들의 일부에 하방으로 향하는 편심력이 작용하더라도 찬기가 기울어지거나 편향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지 못하게 포개진 다른 하나의 찬기(1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그 최대의 기울어짐은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6')사이의 폭으로 한정되며, 최종적으로 제 2단부(26')에 의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여러개의 찬기를 높게 적층하더라도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2개 또는 그 이상의 찬기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하나의 찬기(10)에 대해 다른 하나의 찬기(10')가 기울어지는 경우, 그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의 일측이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의 일측에 이르기전에 하나의 찬기(10)의 개구부(12)의 타측에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제 2단부(26')의 타측이 접하므로써, 다른 하나의 찬기(10')의 완전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적재 가능한 찬기에 의하면, 각각의 찬기의 몸체의 원통부와 바닥의 경계부에 단부가 형성되어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에 다른 하나의 찬기의 단부가 접촉지지됨으로써, 다수의 찬기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라면 본원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도자기형의 적재 가능한 찬기에 있어서,
    개구부(12);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16)와, 상기 원통부(16)로부터 굴곡되는 바닥(20)과, 상기 원통부(16)와 바닥(20)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른 하나의 찬기의 개구부 전체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 1단부(24)와, 상기 제 1단부(24)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단부(26)를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8); 및
    상기 몸체(18)의 바닥(20)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굽(22)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가능한 찬기.
KR2019990023530U 1999-10-29 1999-10-29 적재 가능한 찬기 KR200196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30U KR200196121Y1 (ko) 1999-10-29 1999-10-29 적재 가능한 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30U KR200196121Y1 (ko) 1999-10-29 1999-10-29 적재 가능한 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121Y1 true KR200196121Y1 (ko) 2000-09-15

Family

ID=1959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30U KR200196121Y1 (ko) 1999-10-29 1999-10-29 적재 가능한 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1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914A (en) Hors d'oeuvre tray
US4846350A (en) Hollow, stackable molded product with rigidifying skirt-shaped flange
US10674848B2 (en) Silicone cup with metal ring and openings for inserting metal ring
US6682034B1 (en) Removable foodstuff container holder
US20090211937A1 (en) Carriers for cups
US5706966A (en) Multiple tier dessert container
US3642165A (en) Stackable table service
US20140239000A1 (en) Party Plate
KR200196121Y1 (ko) 적재 가능한 찬기
EP1858380A2 (en) Carriers for cups
EP0012009A2 (en) Two-part food container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GB2367233A (en)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drink
US6318575B1 (en) Nesting insulated egg server
US20050284307A1 (en) Bundt cake container
US20240049896A1 (en) Multifunctional Stackable Dishware Collection System
JP3142763U (ja) 箸箱及び箸陳列具
US20110095032A1 (en) Party plate
JP3065801U (ja) カップとソ―サ―
CN213882714U (zh) 一种便于调味的塑料餐具
CN214904384U (zh) 一种便于叠放的快餐饭盒
CN210643652U (zh) 一种节省包装空间的锅
KR200169884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JPH0628057Y2 (ja) コップ立て
CN202179359U (zh) 多用途玻璃陶瓷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