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467Y1 -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 Google Patents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467Y1
KR200195467Y1 KR2020000008887U KR20000008887U KR200195467Y1 KR 200195467 Y1 KR200195467 Y1 KR 200195467Y1 KR 2020000008887 U KR2020000008887 U KR 2020000008887U KR 20000008887 U KR20000008887 U KR 20000008887U KR 200195467 Y1 KR200195467 Y1 KR 200195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interlocking
shaft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8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홍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표 filed Critical 홍성표
Priority to KR2020000008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4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46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과 및 제빵용 밀가루를 반죽하는 믹서기구 등에 사용되는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원인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기어박스의 외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변속레바에 의하여 기어변속이 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재가 축착된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일체로 형성된 채 기어박스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공회전용 베어링이 매설되어 있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연동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내치형 스플라인과 치합상태로 관통하는 외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상기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연동스플라인축과; 상기 연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1단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 및 1단 연동기어와 마주하는 반대측의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축의 외치형 스플라인과 치합하는 내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된 채 2단 연동기어와 3단 연동기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동변속기어몸체와; 일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공회전용 베어링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와는 별개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은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채 동력전달부 내측을 향해 돌출된 변속출력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스플라인축과; 상기 구동스플라인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측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의 순서로 상기 1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1단 구동기어, 상기 2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2단 구동기어, 상기 3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3단 구동기어가 일정간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변속기어몸체와;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1단 구동기어측 중심부에 내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4단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스플라인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채 같은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를 좌,우로 이동작동시켜주는 호형작동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변속뭉치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벽면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축의 외단측에 고정 설치되며, 기어박스 외면에 부착된 기어변속지시판에 표기된 기어단수에 맞추어 기어변속위치를 설정하는 작동회전체와; 및 상기 회전축의 내단측에 축착되며, 상기 기어변속뭉치에 형성된 레크기어에 치합되어 기어변속뭉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기어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transmission for industrial machinery used in mixers, kneading dough for confectionery and baking, which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as a power source, and is provided on a shift lever installed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gear box. The gear shaft is configured to be shifted by the input shaft, the input shaft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the gear box and having a connection member condensed to receive power from the motor; A drive gear in which an orbital bearing is embedded in an open stat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gear box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Internal toothed splin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gear meshed with one side of the drive gear and external toothed splines penetrating in a meshed state are formed, and both ends are interlocked spline shafts freely rotatable with support bearings attached to the gearbox. ; A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Locat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interlocking gear and the first-speed interlocking gear, the second-speed interlocking gear and the third-speed interlocking gear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internal tooth spline formed to engage with the external tooth spline of the interlocking gear. An interlock transmission gear body that is integrally formed; One end is supported to rotate separately from the drive gear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dle bearing of the drive gear,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war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ile the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ort bearing attached to the gear box. A drive spline shaft in which a transmission output shaft is integrally formed; The first stage drive gear is slidably engaged to the splin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pline shaft, and is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in the order of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position closest to the driving gear side; A two-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gear, and a three-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three-speed interlocking gear; A four-stage drive gear formed in an inner tooth shape at the center of the first-stage drive gear sid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shaft fixed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rive spline shaft,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to the left A gear shifting bundle having an arc-shaped operation section for moving to the right; It is fixed to the out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gear box by a support bearing, and the operating rotary body to set the gear shif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gears indicated on the gear shift indicator attached to the gear box outer surface; ; And an actuating gear which is squeezed to the inn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formed on the gear shifting block to move the gear shifting unit left and right.

Description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Gea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본 고안은 제과 및 제빵용 밀가루를 반죽하는 믹서기구 등에 사용되는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transmission for industrial machinery used in a mixer mechanism for kneading confectionery and baking.

일반적으로 제과 및 제빵업계에서는 많은 량의 밀가루를 반죽하고 있으므로서 밀가루 반죽을 인력에 의전하지 않고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믹서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상기한 믹서기구는 회전출력이 1단 내지 3단 또는 그 이상으로 회전속도가 변속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confectionery and bakery industry kneads a large amount of flour and uses a mixer mechanism that rotates the flour dough by power without resorting to manpower. Beyond that, the rotation speed can be changed.

종래 기술의 믹서기구에 사용되는 기어변속장치는 통상 후륜구동용 자동차에 장착되고 있는 기어변속장치를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The gear transmission used in the mixer mechanism of the prior art is used by modifying the gear transmission normally mounted on a rear wheel drive vehicle.

자동차의 기어변속장치는 생산가격이 고가이므로 신품의 기어변속장치를 믹서기구에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싼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중고 또는 폐차된 자동차에서 떼어낸 고물의 기어변속장치를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근래에 와서는 후륜구동용 자동차보다 전륜구동용 자동차가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Since the gear transmission of the car is expensive to produce, the new gear transmission cannot be mounted on the mixer mechanism, so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gear transmission of the junk removed from used or scrapped cars which can be purchased at a very low price. In recent years, more front-wheel drive cars are being produced than rear-wheel drive cars.

때문에 후륜구동용 자동차에 장착되는 중고의 기어변속장치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secure the second-hand gear transmission mounted on the rear wheel drive car.

또한 후륜구동용 자동차의 기어변속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므로 전기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게 개조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용도중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수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since the gear transmission of the rear wheel drive car is very complicated in structure,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to be modified to be driven by the power of an electric moto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do so.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후륜구동용 자동차에 장착되는 기어변속장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1단에서부터 4단까지 기어변속할 수 있는 기어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기어변속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미숙련자라 할지라도 기어의 배치구조만 숙지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기어변속장치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립가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저렴한 생산원가로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고장발생시 고장부위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고장부위의 부품 등의 교체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has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gear transmission mounted on a rear wheel drive car and has a gear transmission capable of shifting gears from 1 to 4 gear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gear transmission is simple, so even an inexperienced user can easily assemble the gear arrangement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assembly time and reduce the processing cost of the gear transmission. Another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supply to the consumer at relatively low production cost, and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failure part when a failure occurs, and also to quickly replace parts such as failure parts. It was designed for a purpos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동력원인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기어박스의 외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변속레바에 의하여 기어변속이 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In that the gear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s a power source, and is configured to be gear shifted by a shift lever installed to protrude to an outer side of the gear box.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베어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재가 축착된 입력축과;An input shaf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gear box and is coupled to a connection member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상기 입력축에 일체로 형성된 채 기어박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공회전용 베어링이 매설되어 있는 구동기어와;A drive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and installed inside the gear box, and having a ball bearing dedicated therein;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연동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내치형 스플라인과 치합상태로 관통하는 외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상기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연동스플라인축과;Internal toothed splin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gear meshed with one side of the drive gear and an external toothed spline penetrating in a meshed state are formed, and both ends are interlocked spline shafts which are freely rotated by support bearings attached to the gear box. and;

상기 연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1단 연동기어와;A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상기 연동기어 및 1단 연동기어와 마주하는 반대측의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축의 외치형 스플라인과 치합하는 내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된 채 2단 연동기어와 3단 연동기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동변속기어몸체와;Locat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interlocking gear and the first-speed interlocking gear, the second-speed interlocking gear and the third-speed interlocking gear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internal tooth spline formed to engage with the external tooth spline of the interlocking gear. An interlock transmission gear body that is integrally formed;

일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공회전용 베어링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와는 별개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은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채 동력전달부 내측을 향해 돌출된 변속출력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스플라인축과;One end is supported to rotate separately from the drive gear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dle bearing of the drive gear,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war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ile the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ort bearing attached to the gear box. A drive spline shaft in which a transmission output shaft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구동스플라인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측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의 순서로 상기 1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1단 구동기어, 상기 2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2단 구동기어, 상기 3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3단 구동기어가 일정간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변속기어몸체와;The first stage drive gear is slidably engaged to the splin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pline shaft, and is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in the order of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position closest to the driving gear side; A two-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gear, and a three-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three-speed interlocking gear;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1단 구동기어측 중심부에 내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4단 구동기어와;A four-stage drive gear formed in an inner tooth shape at the center of the first-stage drive gear sid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상기 구동스플라인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채 같은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를 좌,우로 이동작동시켜주는 호형작동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변속뭉치와;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shaft fixed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rive spline shaft,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to the left A gear shifting bundle having an arc-shaped operation section for moving to the right;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벽면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축의 외단측에 고정 설치되며, 기어박스 외면에 부착된 기어변속지시판에 표기된 기어단수에 맞추어 기어변속위치를 설정하는 작동회전체와; 및It is fixed to the out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gear box by a support bearing, and the operating rotary body to set the gear shif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gears indicated on the gear shift indicator attached to the gear box outer surface; ; And

상기 회전축의 내단측에 축착되며, 상기 기어변속뭉치에 형성된 레크기어에 치합되어 기어변속뭉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기어;An actuating gear on the inn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engaged with the gear gear formed on the gear shifting unit to move the gear shifting unit left and right;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입력축, 구동스플라인축, 연동스플라인축 각각의 일단에는 각 축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one end of each of the input shaft, the driving spline shaft,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male screw portion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shaft,

또한 상기 기어변속뭉치의 상,하면 각각에 레크기어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호형이동간은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forming a gear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ear shift, the arc-shaped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도 1은 본 고안을 믹서기구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1 is a state of u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mixer mechanism.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기어변속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2 to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gear transmission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1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이며,2 is a gear shifted to the first stage,

도 3은 2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이고,3 is a state in which the gear is shifted in two stages,

도 4는 3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이며,Figure 4 is a gear shifted to three stages,

도 5는 4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이고,5 is a state in which the gear is shifted to four gears,

도 6은 중립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이다.6 is a state in which the gear is shifted to neutral.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인 기어변속장치의 평면구성도.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gear transmission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기어박스 2 : 입력축1: gearbox 2: input shaft

3 : 구동스플라인축 4 : 구동변속기어몸체3: drive spline shaft 4: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5 : 연동스플라인축 6 : 기어변속뭉치5: Interlocking Spline Shaft 6: Gear Shifting Bundle

7 : 회전축 11 : 모터7: rotating shaft 11: motor

21,25,26,27 : 지지베어링 22 : 연결부재21,25,26,27: support bearing 22: connecting member

23 : 구동기어 24 : 공회전용 베어링23: drive gear 24: bearing for idle

28,32,57 : 암나사부 31 : 변속출력축28, 32, 57: female thread part 31: shift output shaft

41 : 1단 구동기어 42 : 2단 구동기어41: 1st stage drive gear 42: 2nd stage drive gear

43 : 3단 구동기어 44 : 4단 구동기어43: three-speed drive gear 44: four-speed drive gear

45 : 원형홈 51 : 연동기어45: circular groove 51: interlocking gear

52 : 1단 연동기어 53 : 연동변속기어몸체52: 1-speed interlocking gear 53: Interlocking gear body

54 : 2단 연동기어 55 : 4단 연동기어54: 2nd gear interlocking gear 55: 4th gear interlocking gear

56 : 간격유지구 61 : 가이드 축56: spacing 61: guide shaft

62 : 레크기어 63 : 호형작동간62: Recreational Gear 63: Arc-Type Operation

71 : 작동기어 72 : 작동회전체71: operating gear 72: operating rotating body

73 : 수동레바 74 : 변속지시눈금73: manual lever 74: shift indication scale

75 : 기어변속지시판75: gear shift indication board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을 믹서기구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기어변속장치를 1단에서부터 4단 및 중립상태로 기어변속한 상태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인 기어변속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Figure 1 is a state of use of one embodiment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ixer mechanism, Figures 2 to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gear shifting gear shifting from the first stage to the fourth stage and the neutral stat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8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ear transmission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면부호 1은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기어박스(1)의 후방측 벽면에는 동력원인 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2)이 지지베어링(2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gear box, in which the input shaft 2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11, which is a power sourc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bearing 21 on the rear wall of the gear box 1. It is installed.

상기 기어박스(1)의 외부로 돌출된 입력축(2)의 외단측에는 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재(22)가 축착되며,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모터(11)의 출력축에 축착되는 동력전달체에 따라 풀리 또는 체인기어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On the outer end side of the input shaft 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ear box 1, a connection member 22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11 is condensed, and the connection member 22 is an output shaft of the motor 11. It can be selected as a pulley or chain gear depending on the power train condensed on the

예를 들어, 상기 모터(11)의 출력축에 축착된 동력전달체가 풀리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22)는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이며, 상기 동력전달체가 체인기어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22)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체인기어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body condens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11 is a pulley, the connection member 22 is a pulley connected by a belt, an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body is a chain gear, the connection member 22. Is the chain gear connected to the chain.

상기 기어박스(1)의 내부로 돌출되는 입력축(2)의 내단측에는 구동기어(23)가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기어(23)는 입력축(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게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rive gear 23 is formed at an inner end side of the input shaft 2 protruding into the gear box 1, and the drive gear 23 is preferably process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put shaft 2.

상기 구동기어(23)의 중심부에는 내측을 향해 개구된 원통홈을 형성한 다음 그 원통홈에 공회전용 베어링(24)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있다.In the center of the drive gear 23 is formed a cylindrical groove which is open inward, the ball bearing 24 is forcibly fit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상기 입력축(2)과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기어박스(1)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플라인축(3)의 일단은 상기 구동기어(23)의 공회전용 베어링(24)속에 공회전 상태로 지지되도록 삽입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기어박스(1)의 일측에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동력전달부(12)를 구획하는 벽면에 지지베어링(2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2)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는 변속출력축(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의 외주면은 피치간격이 넓은 스플라인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변속출력축(31)의 외주면은 피치간격이 좁은 스플라인 구조로 되어 있다.One end of the drive spline shaft 3 installed inside the gearbox 1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input shaft 2 coincides with the center shaft is inserted into the idle bearing 24 of the drive gear 23 so as to be supported at idle. On the other e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by the support bearing 25 on a wall surface defin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 formed in an extended state on one side of the gear box 1. 12) The shift output shaft 31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spline shaft 3 has a spline structure with a wide pitch interva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ift output shaft 31 is pitch Splined structure with narrow spacing.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의 스플라인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합되어 있는 구동변속기어몸체(4)에는 상기 구동기어(23)을 향한 부분을 기준하여 외경이 가장 큰 1단 구동기어(41)에서부터 2단 구동기어(42) 및 3단 구동기(43)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단 구동기어(41)의 중심부측에는 상기 구동기어(23)에 치합되는 내치형의 4단 구동기어(44)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pli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pline shaft 3, the drive gear 41 having the largest outer diameter from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having the largest outer diameter is 2 to 2. The stage drive gear 42 and the third stage drive 43 are sequential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inner tooth type that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3 on the central side of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Four-stage drive gear 44 is formed.

그리고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의 1단 및 2단 구동기어(41)(42) 사이에는 원형홈(45)이 형성되어 있다.A circular groove 4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ge and second stage drive gears 41 and 42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한편, 상기 기어박스(1) 내부에는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에 형성된 1단 내지 3단 구동기어들 각각에 치합하는 연동기어들이 설치되는 연동스플라인축(5)의 양단이 지지베어링(26)(2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동스플라인축(5)의 외주면에는 피치간격이 좁은 스플라인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in which the interlocking gears meshing with each of the first to third gears formed in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are installed in the gearbox 1. (27)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has a narrow spline structure.

상기 연동스플라인축(5)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23)에 치합되는 연동기어(51)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동기어(51)에는 외경이 가장 작은 1단 연동기어(52)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연동변속기어몸체(53)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동변속기어몸체(53)에는 2단 연동기어(54)와 3단 연동기어(55)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n interlocking gear 51 meshed with the drive gear 23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interlocking gear 51 has a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having the smallest outer diameter. It is formed integrally spaced apart at intervals, and on the other side, the interlock transmission gear body 53 is installed, the second gear link gear 54 and the third gear link gear 55 is provided on the interlock gear shift body 53.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set intervals.

그리고 상기 연동기어(51)와 일체로 형성된 1단 연동기어(52)와 상기 연동벽속기어몸체(53)의 2단 연동기어(54) 사이에는 연동스플라인축(5)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치합되는 내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된 간격유지구(56)가 설치되어 상기한 연동기어(51)과 1단 연동기어(52) 및 2단 연동기어(54)와 3단 연동기어(55)들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51 and the second interlocking gear 54 of the interlocking wall gear body 53 are engaged with the splin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 spacing holder 56 having an internal tooth type spline formed therein is installed so that the interlocking gear 51,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the second stage interlocking gear 54, and the third stage interlocking gear 55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a fixed state.

또한 상기 기어박스(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과 수평상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가이드 축(61)에는 기어변속뭉치(6)가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변속뭉치(6)의 상,하면 각각에는 레크기어(62)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기어변속뭉치(6)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홈(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를 좌,우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호형작동간(63)이 형성되는데, 상기 호형작동간(63)은 기어변속뭉치(6)의 중심에 있지 아니하고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gear transmission bundle 6 is slidably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guide shaft 61 fixed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drive spline shaft 3 in the gear box 1. Recreational gears 62 ar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ransmission bundle 6, and one surface of the gear transmission bundle 6 includes a circular groove 4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Slidingly inserted is formed arc-shaped operating period 63 for moving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to the left, right sides, the arc-shaped operating interval 63 is not in the center of the gear shift bundle (6)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상기 기어변속뭉치(6)의 하면에 형성된 레크기어(62)는 기어박스(1)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박스(1) 내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7)의 내단측에 축착된 작동기어(71)에 치합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7)의 외단측에는 작동회전체(72)가 축착되는데, 상기 작동회전체(72)에는 수동레바(73)가 부착되어 수동으로 회전축(7)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creational gear 6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shift bundle 6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gear box (1) is affixed to the inner end side of the rotary shaft (7) protruding into the gear box (1) It is to be meshed with the operating gear 71, the operating rotary body 72 is condensed to the outer end side of the rotary shaft 7, the manual lever 73 is attached to the operating rotary body 72, the rotary shaft 7 is manually It is configured to operate rotation.

그리고 상기 작동회전체(72)의 외주면 일측에는 기어변속위치를 지시하는 변속지시눈금(74)이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동회전체(72)가 설치되는 기어박스(1)의 외표면에는 기어변속상태 즉, 1단에서부터 4단 및 중립으로 기어변속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변속지시판(75)이 부착되어 있다.A shift indication scale 74 indicating a gear shift position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tating body 72, and a gea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ear box 1 in which the operating rotating body 72 is installed. Gear shifting indicator 75 is attached to check the shift state, that is, whether the gear is shifted from the first gear to the fourth gear and neutral.

상기에서 구동변속기어몸체(4)의 외주에 형성되는 1단 내지 3단 구동기어들과 연동스플라인(5)에 설치된 1단 및 2단 연동기어들 각각의 양단은 경사진 상태에서 끝이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23)와 내치형의 4단 구동기어(44)들은 서로 마주하는 일단만 경사진 상태에서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 3단 연동기어(55)의 경우는 기어박스(1)의 내측을 향한 일단만 경사진 상태에서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각 구동 및 연동기어들의 양단 또는 일단을 경사지고 또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것은 기어변속작동시 서로 치합되는 구동 및 연동기어들이 회전하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Both ends of the first to third stage drive gear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and the first and second stage interlocking gears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5 are rounded at the ends in an inclined state. It is formed in the shape, the drive gear 23 and the internal gear type four-stage drive gears 44 are formed in a rounded triangular shape inclined only one end facing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the three-stage interlocking gear 55 It is formed in a rounded triangular shape with only one end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gear box 1. Thus, both ends or one end of each drive and interlocking gear are inclined and rounded in a triangle shape. The driving and interlocking gears to be engaged can be smoothly coupled and separated even in a rotating state, and also to be able to pass quickly.

한편,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서 기어변속뭉치(6)의 호형작동간(63)의 돌출 위치를 일측으로 편중시킨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arc-shaped operation section 63 of the gear shift bundle 6 to one side is biased to one side for the following reasons.

즉, 구동변속기어몸체(4)의 1단 구동기어(41)가 1단 연동기어(52)에 치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내치형의 4단 구동기어(44)가 구동기어(23)에 치합되는 거리는 짧은데 비추어, 3단 구동기어(43)가 3단 연동기어(55)에 치합되는 거리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형홈(45)을 2단 구동기어(42)에 인접한 중심 위치에 형성하게 되더라도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를 4단으로 변속시킬 때의 거리는 짧고 3단으로 변속시킬 때의 거리는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호형작동간(63)은 구동기어(23)측을 향한 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is engaged with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the internal gear type four stage drive gear 44 is the drive gear 23. Although the distance to be meshed with is short, the distance with which the three-stage drive gear 43 is meshed with the three-stage interlocking gear 55 is formed long. Therefore, even when the circular groove 4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is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stage drive gear 42, when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is shifted to four steps. Since the distance is short and the distance at the time of shifting to three gears becomes long, the arc-shaped operation period 63 is formed in a state biased toward the drive gear 23 side.

또한 상기 기어변속뭉치(4)의 상,하면 모두에 레크기어(62)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한 호형작동간(63)이 일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 작동기어(71)의 설치 위치가 바뀌더라도 구동변속기어몸체(4)를 1단에서부터 4단까지의 변속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gear gear 62 is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ear shifting bundle 4 is that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perating gear 71 is changed in the state where the arc-shaped operation section 63 is biased to one side. This is to allow the shifting operation from the first gear to the fourth gear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그리고 상기한 입력축(2)과 구동스플라인축(3) 및 연동스플라인축(5) 각각의 일단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암나사부(28)(32)(57)가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input shaft 2, the drive spline shaft 3,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is provided with female threads 28, 32, 57 for easy disassembly.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어변속장치는 상기 입력축(2)의 반대위치에 돌출된 변속출력축(31)의 회전출력을 이용하도록 고안된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믹서기구에 적용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는 바, 상기 기어박스(1)의 일측에 연장상태로 형성시킨 동력전달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된 변속출력축(31)에는 동력전달기어(8)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변속출력축(31)에 대하여 직교상으로 설치되는 수직회전축(9)에는 상기 동력전달기어(8)와 치합하는 회전기어(91)를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수직회전축(9) 하단에 부착된 반죽부재(92)를 1단에서부터 4단으로 변속회전시켜 밀가루 등을 반죽하게 되는 것이다.The gear sh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designed to use the rotational output of the shifting output shaft 31 projecting to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input shaft 2,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ixer mechanism as an embodiment. The transmission gear shaft (8) is fixed to the transmission output shaft (31) protruding inward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gear box (1), and the transmission output shaft (31). The kneading member 92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tation shaft (9) as a structure for fixing the rotary gear (91) meshing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8)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rotation shaft (9). It is to knead flour by shifting from 1 to 4 gear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단의 구동기어들을 중립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동력원인 모터(11)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1)의 회전동력이 연결부재(22)에 전달되어 상기 입력축(2)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회상기 입력축(2)이 회전하게 되면 그 내단측에 형성된 구동기어(23)도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기어(23)의 공회전용 베어링(24)속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구동스플라인축(3)은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한 상태이므로 정지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구동기어(23)에 치합되어 있는 연동기어(51)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태이므로 상기 연동기어(51)와 연동스플라인축(5) 및 1단 내지 3단 연동기어(52)(54)(55)는 함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drive gears of the stages formed in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are operated in a neutral state, when the motor 11, which is the power source, is driven,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22. The input shaft 2 is rotated, and when the rotary shaft input shaft 2 is rotated in this way, the drive gear 23 formed at the inner end side of the input shaft 2 also rotates together, wherein only the idle rotation of the drive gear 23 is performed. The drive spline shaft 3, which is support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24, is stopped because it does not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while the interlocking gear 51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3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Since the interlocking gear 51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nd the first to third interlocking gears 52, 54 and 55 are rotated together at the same speed.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23)와 연동스플라인축(5)에 설치된 1단 내지 3단 연동기어들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어박스(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작동회전체(72)의 수동레바(73)를 잡고 변속지시눈금(74)이 기어변속지시판(75)의 1단표시위치에 일치되도록 회전조작하게 되면 회전축(7)과 작동기어(7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동기어(71)의 회전작동에 따라 레크기어(62)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변속뭉치(6)는 가이드 축(61)을 타고 작동기어(71)의 회전방향을 향해 수평이동함과 동시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를 이동시키게 되어 1단 구동기어(41)는 회전하고 있는 1단 연동기어(52)에 치합되는 것이며, 그 외의 2단 내지 4단의 구동 및 연동기어들은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1단 구동기어(41)가 1단 연동기어(52)에 치합되면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와 구동스플라인축(3)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변속출력축(31)은 1단으로 기어변속된 속도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ing rotary body 7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gear box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stage interlocking gears installed on the driving gear 23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re rotating as described above. Holding the lever 73 and rotating operation so that the shift indication scale 74 is match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gear shift indicating plate 75, the rotating shaft 7 and the operating gear 71 rotate, and the operating gea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71, the gear shift bundle 6 in which the gear gear 62 is formed is moved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gear 71 by the guide shaft 61 and the drive spline shaft at the same time.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slidably installed at (3) is moved so that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is engaged with the rotating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and the other two to four stages. Drive and interlocking gears are in a separated state, and thus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stage. When the gear 52 is engaged with the gear 52,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and the drive spline shaft 3 rotate at the same rotation speed, and thus the transmission output shaft 31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 spline shaft 3 is It i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t the speed gear shifted to the first stage (see Fig. 2).

상기와 같이 1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에서 2단으로 기어변속하고자 할 때에는 작동회전체(72)의 수동레바(73)를 잡고 변속지시눈금(74)이 기어변속지시판(75)에 표기되어 있는 2단표시위치와 일치하도록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기어변속뭉치(6)가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를 2단 기어변속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앞서 1단으로 기어변속되어 있던 1단 구동기어(41)는 1단 연동기어(52)에서 분리되고 2단 구동기어(42)가 2단 연동기어(54)에 치합되는 것이며(도 3 참조), 2단 기어변속 후 다시 3단으로 기어변속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작동회전체(72)의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는 변속지시눈금(74)이 기어변속지시판(75)의 3단표시위치와 일치하도록 회전조작하게 되면 2단 구동기어(42)는 2단 연동기어(54)에서 분리되고 3단 구동기어(43)가 3단 연동기어(55)에 결합되는 것이며(도 4 참조), 이와 같이 3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에서 4단으로 기어변속할 경우에도 역시 변속지시눈금(74)이 기어변속지시판(75)의 4단표시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수동레바(73)를 잡고 작동회전체(72)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3단 구동기어(43)가 3단 연동기어(55)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가 구동기어(23)쪽으로 이동하여 내치형의 4단 구동기어(44)가 상기 구동기어(23)에 결합되는 것이며(도 5 참조), 이와 같이 3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에서 4단으로 기어변속될 때에는 2단 구동기어(42)와 1단 구동기어(41)가 2단 연동기어(54)와 2단 연동기어(52)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4)는 앞서 3단으로 기어변속된 상태로 회전할 때의 회전관성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이동하여 통과하게 되므로 3단에서 4단으로의 기어변속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gear is shifted to the second g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gear is shifted to the first gear as described above, the manual gear lever 73 of the operating rotating body 72 is held, and the shift indication scale 74 is marked on the gear shift indicator 75. When the rotational operation is made to coincide with the two-stage display position, the gear shifting unit 6 moves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to the two-speed gear shifting position. The gear 4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52 and the second stage drive gear 42 is meshed with the second stage interlocking gear 54 (see FIG. 3). Even when shifting is performed, when the shift indication scale 74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tating body 72 is rotated to coincide with the three-step display position of the gear shift indicating plate 75, the two-stage drive gear 42 Is separated from the two-stage interlocking gear 54 and the three-stage drive gear 43 is coupled to the three-stage interlocking gear 55. (See FIG. 4), the manual shift so that the shift indication scale 74 coincides with the four-step display position of the gear shift indicator 75 is also performed when the gear is shifted to the fourth gear while the gear is shifted to the third gear. When the operating rotary body 72 is rotated by holding the lever 73, the three-stage drive gear 43 is separated from the three-stage interlocking gear 55, and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moves toward the driving gear 23. The internal gear type four-stage drive gear 44 is coupled to the drive gear 23 (see FIG. 5). In this case, the two-stage drive gear is shifted to four-stage gears in the three-stage gear shift state. (42) and the first stage drive gear 41 passes through the second stage interlocking gear 54 and the second stage interlocking gear 52, wherein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4 is gear shifted to the third stage in advance. The gear shifting operation from the 3rd to the 4th stage is performed because it moves and passes in the state of rotation by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when rotating It will be made smoothly.

그리고 상기와 같이 1단에서부터 4단으로 기어변속을 선택하여 그 변속된 회전출력을 변속출력축(31)을 통하여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변속출력축(31)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작동회전체(72)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변속표시눈금(74)을 상기 기어변속지시판(75)의 각 단표시위치의 사이에 각각 표시된 중립위치(N)에 일치시키게 되면 각 구동기어들은 각 연동기어들과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서 입력축(2)으로 전달된 회전동력이 연동스플라인축(5)에만 전달될 뿐 구동스플라인축(3)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1단 내지 4단으로 기어변속시킨 상태에서도 모터(11)를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변속출력축(31)만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gear shift is selected from the first gear to the fourth gear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ar shift output shaft 31 is to be stopp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hifted rotation output through the shift output shaft 31, the operation rotary body 72 ) When the shift display scale 74 displayed on one side is matched to the neutral position N respectively displayed between the step display positions of the gear shift indicator 75, the respective drive gears are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interlocking gears. Since the rotational power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2 is transmitted only to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nd not to the driving spline shaft 3, the motor 11 is shifted to the first to fourth gears. Only the shift output shaft 31 can be temporarily stopped without stopping).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어변속장치를 사용하다가 고장이 발생되거나 또는 1단 내지 4단 구동 및 연동기어들이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기어박스(1)의 일측면에 지그를 갖다대고 그 지그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분해용 도구(도시 없음)의 수나사를 상기 입력축(2)의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부(28)에 나사조립하게 상기한 분해용 도구가 입력축(2)을 인발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입력축(2)의 내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23)가 지지베어링(21)을 밀어내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입력축(2)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축(2)을 분해한 다음 다시 분해용 도구의 수나사를 구동스플라인축(3)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부(32)에 나사조립하여 인발하게 되면 지지베어링(25)도 기어박스(1)의 벽면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상기 구동스플라인축(3)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분해용 도구의 수나사를 상기 연동스플라인축(5)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부(57)에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기 연동스플라인축(5)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치합되어 있던 연동기어(51)와 1단 연동기어(52) 및 2단 및 3단 연동기어(54)(55)가 형성된 연동변속기어몸체(53) 그리고 간격유지구(56)는 기어박스(1) 내부에 그대로 있는 한편 상기 연동스플라인축(5)만 지지베어링(26)을 밖으로 밀어내면서 인발되는 상태가 되므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gear transmiss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failure occurs, or when the first to fourth gears and interlocking gears are worn out and want to replace them, put a jig on one side of the gearbox (1) to the jig Since the above-mentioned disassembly tool draws the input shaft 2 by screwing the male screw of the disassembly tool (not shown) which is held in a fixed state to the female screw portion 28 formed at one end of the input shaft 2. Since the drive gear 23 integrally formed at the inner end side of the input shaft 2 is in a state of pushing the support bearing 21, the input shaft 2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the input shaft 2 is disassembled. Next, when the male screw of the disassembly tool is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part 32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spline shaft 3 and pulled out, the support bearing 25 also comes out of the wall of the gear box 1, so that the driving spline shaft (3)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the external thread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can be easily assembled by screwing the male screw of the disassembling tool to the female screw portion 57 formed at one end of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Interlocking gear body 53 and interlocking gear 56 formed with interlocking gear 51 and first-stage interlocking gear 52 and two- and three-stage interlocking gears 54 and 55 engaged with the spline formed thereon; The dismantling is performed while the gearbox 1 remains intact while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is pulled out while pushing the support bearing 26 out.

또한 상기와 같이 입력축(2)과 구동스플라인축(3) 및 연동스플라인축(5)을 분해하여 각 기어부품을 교체한 다음에는 교체된 새로운 기어부품을 기어박스(1) 내부에 조립순서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 축을 순서대로 삽입시키고 각 지지베어링을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하게 되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disassembling the input shaft (2), the drive spline shaft (3)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5)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gear parts are replaced, the new gear parts are placed in the gearbox (1) in the assembly order. If you put each axis in order in the state in the state and each support bearing is assembled by interference type, the assembly work can be easily complet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의 내단측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에 매설되는 공회전용 베어링에 구동스플라인축의 일단이 지지되게 연결시켜 상기 입력축과 구동스플라인축이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스플라인축에 1단 내지 4단 구동기어가 형성된 구동변속기어몸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기어변속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를 수평이동시키는 작동으로 기어변속할 수 있으므로 기어변속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의 기어변속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미숙련자라도 각 부품의 조립위치만 숙지한 상태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해작업도 용이하여 부품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ne end of the drive spline shaft is connected to the ball bearing dedicated to the revolving bearing embedded in the drive gear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end side of the input shaft receiving the power of the motor to rotate the input shaft and the drive spline shaft respectively And a means for slidably configuring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stage drive gears are formed on the drive spline shaft,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gear transmiss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drive transmission gear The gear shifting operation is easy because the gear can be shifted by moving the body horizontally. In particular, the gear sh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even an inexperienced person can perform the assembly work while only knowing the assembly position of each part. Not only can it be easily disassembled, it is easy to replace parts. It is a practical design that provides an advantage such as.

Claims (3)

동력원인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기어박스의 외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변속레바에 의하여 기어변속이 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In that the gear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s a power source, and is configured to be gear shifted by a shift lever installed to protrude to an outer side of the gear box.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베어링으로 지지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재가 축착된 입력축과;An input shaf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gear box and is coupled to a connection member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상기 입력축에 일체로 형성된 채 기어박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공회전용 베어링이 매설되어 있는 구동기어와;A drive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and installed inside the gear box, and having a ball bearing dedicated therein;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연동기어의 중심부에 형성된 내치형 스플라인과 치합상태로 관통하는 외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은 상기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연동스플라인축과;Internal toothed splin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gear meshed with one side of the drive gear and an external toothed spline penetrating in a meshed state are formed, and both ends are interlocked spline shafts which are freely rotated by support bearings attached to the gear box. and; 상기 연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1단 연동기어와;A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상기 연동기어 및 1단 연동기어와 마주하는 반대측의 연동스플라인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동축의 외치형 스플라인과 치합하는 내치형 스플라인이 형성된 채 2단 연동기어와 3단 연동기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동변속기어몸체와;Located on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interlocking gear and the first-speed interlocking gear, the second-speed interlocking gear and the third-speed interlocking gear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internal tooth spline formed to engage with the external tooth spline of the interlocking shaft. An interlock transmission gear body that is integrally formed; 일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공회전용 베어링 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와는 별개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은 기어박스에 부착된 지지베어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채 동력전달부 내측을 향해 돌출된 변속출력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스플라인축과;One end is supported to rotate separately from the drive gear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dle bearing of the drive gear,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war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ile the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ort bearing attached to the gear box. A drive spline shaft in which a transmission output shaft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구동스플라인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측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의 순서로 상기 1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1단 구동기어, 상기 2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2단 구동기어, 상기 3단 연동기어와 치합 및 분리되는 3단 구동기어가 일정간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변속기어몸체와;The first stage drive gear is slidably engaged to the splin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pline shaft, and is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tage interlocking gear in the order of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position closest to the driving gear side; A two-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gear, and a three-speed drive gear mesh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three-speed interlocking gear;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1단 구동기어측 중심부에 내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4단 구동기어와;A four-stage drive gear formed in an inner tooth shape at the center of the first-stage drive gear sid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상기 구동스플라인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채 같은 축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변속기어몸체를 좌,우로 이동작동시켜주는 호형작동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변속뭉치와;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shaft fixed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rive spline shaft,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transmission gear body to the left A gear shifting bundle having an arc-shaped operation section for moving to the right;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벽면에 지지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축의 외단측에 고정 설치되며, 기어박스 외면에 부착된 기어변속지시판에 표기된 기어단수에 맞추어 기어변속위치를 설정하는 작동회전체와; 및It is fixed to the out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gear box by a support bearing, and the operating rotary body to set the gear shif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gears indicated on the gear shift indicator attached to the gear box outer surface; ; And 상기 회전축의 내단측에 축착되며, 상기 기어변속뭉치에 형성된 레크기어에 치합되어 기어변속뭉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기어;An actuating gear on the inner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engaged with the gear gear formed on the gear shifting unit to move the gear shifting unit left and right;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Gear transmission for industrial machin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축, 구동스플라인축, 연동스플라인축 각각의 일단에는 각 축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And one end of each of the input shaft, the driving spline shaft, and the interlocking spline shaft to form a female screw portion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shaf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어변속뭉치의 상,하면 각각에 레크기어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호형이동간은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기계기구용 기어변속장치.The gear transmission device for the industrial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rack gear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ear transmission, the arc-shaped movement between the protruding from the position biased to one side.
KR2020000008887U 2000-03-29 2000-03-29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KR2001954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87U KR200195467Y1 (en) 2000-03-29 2000-03-29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87U KR200195467Y1 (en) 2000-03-29 2000-03-29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467Y1 true KR200195467Y1 (en) 2000-09-01

Family

ID=1964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887U KR200195467Y1 (en) 2000-03-29 2000-03-29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46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162B1 (en) 2009-09-11 2011-12-19 주식회사 에이치엔시테크놀리지 Open and clos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162B1 (en) 2009-09-11 2011-12-19 주식회사 에이치엔시테크놀리지 Open and clos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2485C (en) Gear change mechanism
US5868641A (en) Motor vehicle change gear unit with reduced gear wheel stages
CN103968007A (en) Speed reducer
US6694833B2 (en) Multi-speed worm gear reduction assembly
EP0733825B1 (en) Motor vehicle gearbox
JP2014040897A (en) Shift drive mechanism of multi-stage transmission
CN107131252B (en) Parallel axes variable moderator
US20070137342A1 (en) Gearing apparatus
KR200195467Y1 (en) Gear transmit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machinery
CN101730805B (en) Transmission for a vehicle
CN217422057U (en) Coaxial double-clutch pneumatic gear shifting gearbox
CN2876440Y (en) Gear speed changing box
US20120024095A1 (en) Manual transmission
KR200342722Y1 (en) Non-stage transmission
TW201507887A (en) A multi-driveshafts transmission with traction drive synchronizer
CN101782133A (en) Speed changing device for recoiling machine
CN215861562U (en) Transmission device and feeder comprising the same
CN200975448Y (en) Tractor fixed axis planetary transmission antecedence apparatus
JP2000310299A (en) Vertical gear box
CN2272073Y (en) Speed-changing gear driving device
CN211266671U (en) Three-way shaft-outlet noodle maker speed reducing motor
KR100187849B1 (en) 5-step manual transmission having reverse synchronizer in front wheel drive car
CN2180584Y (en) Bicycle speed changing device
CN201587513U (en) Transmission of three-wheeled motor vehicle
KR20020043053A (en) Planetary gear type re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