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455Y1 -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455Y1
KR200195455Y1 KR2020000008607U KR20000008607U KR200195455Y1 KR 200195455 Y1 KR200195455 Y1 KR 200195455Y1 KR 2020000008607 U KR2020000008607 U KR 2020000008607U KR 20000008607 U KR20000008607 U KR 20000008607U KR 200195455 Y1 KR200195455 Y1 KR 200195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cleaner
coupling
inner cas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6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연 filed Critical 김주연
Priority to KR2020000008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4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455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에어크리너 엘리먼트를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재활용 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use the air cleaner case semi-permanently while recycling the air cleaner case by making the air cleaner element replaceable.

본 고안의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케이스를 분할하여 해당 분할면을 결합면 (11)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면을 통해 케이스를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는 결합면부에는 체결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에 집중되는 회전력이나 탈거력을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해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에어크리너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중 엘리먼트만 교환 가능하여 케이스는 재활용 된다.The air clea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ase to form a corresponding split surface as a joining surface (11), and a fastening portion (12) is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 portions facing each other in order to be able to disassemble and join the case through the joining surface. And a flange 13 extending from the case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r stripping force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part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only the elements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ir cleaner can be replaced, and the case is recycled.

Description

에어크리너 케이스{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Air cleaner case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에어크리너 엘리먼트를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재활용 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use the air cleaner case semi-permanently while recycling the air cleaner case by making the air cleaner element replaceable.

자동차에 쓰이는 원통형 에어크리너유니트(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는 원통형상의 아웃 케이스(2)와, 아웃 케이스(2)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떨어지는 내부 위치에 안착되어 아웃 케이스(2)와 적당한 공간을 만들며 다수의 구멍이 나 있는 인너 케이스(3)와, 아웃 케이스(2)와 인너 케이스(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안착되어 흡입 공기를 여과 시키는 원통형 엘리먼트(4)와, 아웃 케이스(2)와 인너 케이스(3)의 위아래를 결합하는 플랜지 커플링(5)으로 이루어진다.Cylindrical air cleaner unit 1 used in automobiles is seated in a cylindrical out case 2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s shown in FIGS. 1 to 3 and an inner position apart from the outer case 2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 inner case 3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cylindrical element that filters the intake air, and is se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2 and the inner case 3 to make a proper space with the outer case 2 ( 4) and a flange coupling 5 for engaging the up and down of the outer case 2 and the inner case 3.

이같은 종래의 에어크리너유니트(1)는, 필터링 요소인 엘리먼트(4)를 지지하고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멍이 뚫린 아웃 케이스(2)와 인너 케이스(3)를 통해 지지 하고 위/아래를 플랜지커플링(5)으로 처리한 구조로서, 아웃 케이스(2)와 인너 케이스(3)가 서로 플랜지커플링(5)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아웃 케이스(2)나 인너 케이스(3)의 분해나 분리는 불가능한 구조 이고, 여기서 아웃/인너케이스(2)(3) 그리고 플랜지커플링(5)은 아연 도금 처리되어 불순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 도금 처리에 따르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된다.Such a conventional air cleaner unit 1 supports and supports the element 4, which is a filtering element, through a plurality of perforated out cases 2 and an inner case 3 to enable air flow. The outer case 2 and the inner case 3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lange coupling 5, and the outer case 2 and the inner case 3 of the inner case 3 are It is a structure that cannot be disassembled or separated, and the out / inner cases 2 and 3 and the flange coupling 5 are galvanized to prevent impurities from being introduced, which requires expensive costs due to the plating process.

에어크리너유니트(1)의 수명은 엘리먼트(4)의 불순물 여과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즉, 엘리먼트(4)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면 공기 여과 성능이 낮아져 기관으로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대략 3~6개월 마다 교환을 필요로 한다.The life of the air cleaner unit 1 is determined by the impurity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element 4. That is, when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element 4 is lowered, the air filtration performance is lowered and impuriti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ngine, and thus, replacement is necessary approximately every 3 to 6 months.

에어크리너유니트(1)의 교환은 엘리먼트(4)만 따로 교환하는 것이 아니고, 엘리먼트(4)를지지 고정하는 도금처리된 금속재 아웃/인너케이스(2)(3) 및 플랜지커플링(5)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체를 교환하기 때문에 재활용 가능한 고가의 금속재 부품이 재활용 되지 못하고 폐기물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air cleaner unit 1 is not replaced by the element 4 alone, but the plated metal out / inner case (2) (3), the flange coupling (5), etc., which holds the element (4).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pensive metal parts that are recyclable are not recycled and disposed of as waste because the whole is made of an exchange.

특히, 에어크리너유니트(1)의 금속재 부품(아웃/인너케이스 및 플랜지커플링)은 산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으며, 표면 부식을 막기 위해 아연 도금 처리를 하고 있어 공해물질로 분류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metal parts (out / inner case and flange coupling) of the air cleaner unit 1 are treated with industrial waste, and are treated with zinc plating to prevent surface corrosion and are thus classified as pollutants.

이는 충분히 재활용 가능한 금속재 부품을 따로 재 사용하지 못하고 엘리먼트와 함께 폐기하는데서 나타나는 것으로, 다쓴 에어크리너유니트를 폐기물로 처리할 때 엘리먼트를 케이스에서 빼내지 못하고 그대로 함께 폐기하기 때문에 소각도 어렵고 금속재 부품만 따로 분류하지 못해 자원 낭비의 문제점도 있었다.This is caused by disposing of the recyclable metal parts together with the elements instead of reusing them separately.In case of disposal of the used air cleaner unit as waste, it is difficult to incinerate the elements as they are not removed from the case and are disposed of together.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에 쓰이는 에어크리너유니트중 엘리먼트만을 교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에어크리너유니트를 구성하는 금속재 부품들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recycling of the metal parts constituting the air cleaner unit by replacing only the elements of the air cleaner unit used in the vehic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뚫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아웃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고 아웃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구멍이 나있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인너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엘리먼트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의 상하면을 가리면서 결합하는 플랜지커플링으로 이루어지는 에어크리너유니트에 있어서,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n outer case wit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air flow, and an inner case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which enters into the outer case and maintains a proper distance from the outer case, as well as the outer case. In the air cleaner unit comprising an element located between the outer / inner case and a flange coupling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상기 에어크리너 케이스는,The air cleaner case,

상기 케이스를 분할하여 해당 분할면을 결합면으로 형성하고,By dividing the case to form a corresponding split surface as a joining surface,

상기 결합면을 통해 케이스를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는 결합면부에는 체결부를 형성하며,In order to be able to disassemble and combine the case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to form a coupling portion facing each other coupling surface portion,

상기 체결부에 집중되는 회전력이나 탈거력을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해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nge extending from the case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r stripping force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portion from the outside.

이렇게 에어크리너 케이스의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엘리먼트 만을 케이스에서 꺼내고 새로운 엘리먼트를 넣어 엘리먼트의 교환이 가능하여 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When the air cleaner case is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combined, only the element can be taken out of the case and a new element can be replaced so that the elemen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도 1은 일반적인 에어크리너 유니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air cleaner unit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크리너 케이스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크리너 케이스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크리너 케이스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인너케이스 11:결합면10: inner case 11: mating surface

12:체결부 13:플랜지12: Fastener 13: Flange

14:나사부 15:걸림홈14: screw part 15: locking groove

16:걸림턱 17:아웃케이스16: Jam Jaw 17: Outcase

18:엘리먼트It is an element 18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크리너 케이스 및 체결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 다른 체결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4 to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case and the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oth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에어크리너 케이스는, 도 4와 같이 인너 케이스(10)를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해당 분할면을 결합면(11)으로 형성하고, 이 결합면(11)을 통해 인너 케이스(10)를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는 결합면부를 체결부(12)로 형성하였으며, 체결부(12)에 집중되는 회전력이나 탈거력을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해 인너 케이스(10)로부터 플랜지(13)를 연장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체결부(12)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면을 대칭적인 나사부(14)로 형성하여 결합면의 분해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결합면의 한쪽은 걸림홈(15)을 형성하고 상대측은 걸림턱(16)을 형성하여 탄성력으로 분해 결합 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the air clean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nner case 10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r more to form a corresponding partition surface as a joining surface 11, and the joining surface 11 is formed. In order to enable the inner case 10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surfac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as the fastening part 12, and the inner case 1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r the detachment force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part 12 from the outside. ), The flange 13 is extended. Here, the fastening portion 12 forms a coupling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a symmetrical screw portion 14 to enable disassembly of the coupling surface, or one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forms a locking groove 15 and the opposite side is a locking jaw. (16)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structure that is decomposed and bonded by the elastic force.

2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인너 케이스(10)와 아웃 케이스(17)에 각각 결합면 (11)을 형성하여 체결부(12)를 통해 아웃/인너 케이스(10)(17)를 각각 분해 결합 시키거나 하나만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한 형태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surfaces 11 are formed on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17, respectively, and the outer / inner cases 10 and 17 are respectively disassembled and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12. It is a form that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only one.

3실시예는 인너 케이스(10)에는 따로 결합면(11)을 두지 않고 아웃 케이스 (17)에만 형성한 형태로서, 이 경우 플랜지(13)는 아웃 케이스(17)에서 연장 시킨다.In the third embodiment, only the outer case 17 is formed in the inner case 10 without the coupling surface 11. In this case, the flange 13 extends from the outer case 17.

플랜지(15)는 인너 케이스(10)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아웃 케이스(17) 직경에 상당하는 만큼 확장된 확장형이나, 아웃 케이스(17)에서 인너 케이스(10) 방향으로 모아지는 축소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Flange 15 is an extension type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inner case 10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ut case 17, or selectively applies a reduction type that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case 10 from the outer case 17. can do.

이렇게 에어크리너 케이스를 분해 결합 가능한 구조로 만들면 케이스를 폐기 하지 않고 엘리먼트만 따로 빼내 교환할 수 있어 케이스의 재활용이 가능하다.If the air cleaner case is made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combined, only the element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without disposing of the case.

본 고안의 에어크리너 케이스에 의한 엘리먼트 교환은 도 4내지 도 6과 같이 먼저 인너 케이스(10)나 아웃 케이스(17)중 하나만 선택하여 분리한 뒤 엘리먼트(18)를 케이스에서 꺼내고 새로운 엘리먼트(18)를 이너/아웃 케이스(10)(17) 사이 공간에 넣고 다시 케이스를 조합하는 순서로 엘리먼트(18)를 교환한다.Element replacement by the air clea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6, first select and separate one of the inner case 10 or the out case 17, and then take the element 18 out of the case and the new element 18.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 out cases 10 and 17, and the elements 18 are replaced again in the order of combining the cases.

아웃 케이스(17) 또는 인너 케이스(10)의 분해 결합은 결합면(11)에 있는 체결부(12)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disassembly coupling of the outer case 17 or the inner case 10 is made through the fastening part 12 in the engagement surface 11.

인너 케이스(10)를 분해할 경우 도 4와 같이 인너 케이스(10)에 주어진 체결부(12) 구조에 따라 조작 방법을 달리하는데, 결합면(11)이 나사부(14) 결합인 경우 인너 케이스(10)와 연결된 플랜지(13)를 회전 시키면 나선방향으로 인너 케이스(10)가 회전하면서 결합면(11)을 중심으로 서로 분할 되며, 재 결합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결합면(11)을 서로 맞대고 플랜지(13)를 회전 시키면 나사부(14)에 의해 결합된다.When disassembling the inner case 10, the operation metho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12 given to the inner case 10 as shown in FIG. 4, but the inner case ( 10, the inner case 10 rotates in a spiral direction and the inner case 10 is rotated to be divid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urface 11, and in the case of recombination, the coupling surface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lange ( Rotating 13) is coupled by the threaded portion (14).

인너 케이스(10)만 분리하여도 엘리먼트(18)의 탈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엘리먼트(18)를 교환할 경우 이같이 인너 케이스(10)를 분해한 뒤 엘리먼트(18)를 회수하고 새로운 엘리먼트(18)를 아웃 케이스(17)의 내벽과 밀착시켜 넣고 다시 인너 케이스(10)를 조립하면 간단히 엘리먼트(18)의 조립이 완료된다.The element 18 can be removed even by removing the inner case 10 alone. Therefore, when the element 18 is replaced, the inner case 10 is disassembled in this way, the element 18 is recovered, the new element 18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ase 17, and the inner case 10 is again replaced. The assembly simply completes the assembly of the element 18.

인너 케이스(10)의 체결부(12) 구조는 나사부(14)에 의한 결합 방식이 아닌 도 7과 같은 탄성결합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플랜지(13)를 잡고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당겨내면 걸림턱(16)이 걸림홈(15)에서 빠져나와 결합면(11)이 분리 되어 분해되고, 분해된 상태에서 결합할 때에는 반대로 결합면(11)을 맞추어 밀어넣으면 걸림턱(16)이 걸림홈(15)에 탄력적으로 걸려 빠지지 않는다. 여기서 작용되는 탄성력은 케이스가 보통 탄력이 있는 박판에 구멍을 내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므로 소재 자체 탄력이 있어 따로 탄성결합을 위한 구조를 만들지 않고 기존 케이스와 동일한 제작 방법을 적용하여도 이러한 걸림홈(15)과 걸림턱(16)의 체결부(12)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2 structure of the inner case 10 may be applied to the elastic coupling method as shown in FIG. 7 instead of the coupling method by the screw part 14. In this case, when holding the flange 13 and pulling it upward or downward, the locking jaw 16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groove 15 and the coupling surface 11 is separated and disassembled. When the 11 is pushed together, the locking jaw 16 does not elastically hook the locking groove 15. The elastic force acting here is produced by press processing in which a case is usually made of a sheet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material itself has elasticity, so even if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at of the existing case is applied without creating a structure for elastic coupling, the hook groove (15) ) And the fastening part 12 structure of the locking step 16 can be completed.

마찬가지로 아웃 케이스(17) 만을 독립적으로 분해 결합하여도 엘리먼트(18)의 교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적용되는 체결부(12)는 인너 케이스(10)에 적용되는 나사부(14) 결합이나 걸림홈(15) 및 걸림턱(16)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Similarly, the element 18 can be replaced even if only the outer case 17 is independently disassembled. The fastening part 12 applied here may selectively apply the screw part 14 coupling or the locking groove 15 and the locking step 16 which are applied to the inner case 10.

이와 같이 케이스를 분할하고 해당 분할면을 결합면(11)으로 처리하여 체결부(12)를 통해 분해 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케이스를 만들 경우 인너 케이스(10)와 아웃 케이스(17)에 동시에 이러한 분해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니면 인너 케이스(10)와 아웃 케이스(17) 둘중 하나만 분해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ase is divided and the divided surface is treated as the engaging surface 11 to form a case in which the structure can be disassembled and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12,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 case 17 are simultaneously disassembled.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or only one of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 case 17 may provide the disassembly coupling structure.

플랜지(13)가 닿는 케이스의 내면 접촉부에는 고무패킹과 같은 밀폐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플랜지(13)는 인너 케이스(10)로부터 연장된 바깥 방향 확장형 형태나 아웃 케이스(17)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모아지는 축소형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 sealing member such as rubber packing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contact portion of the case where the flange 13 touches, and the flange 13 may be extended outwardly from the inner case 10 or inward from the outer case 17. The reduced type can be selectively appli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크리너유니트중 케이스 부분을 분해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엘리먼트의 간단한 교환이 가능하여 케이스의 반영구적인 재사용을 유도하여 에어크리너유니트 전체 교환으로부터 생기는 자원 낭비나 폐기물 처리에 따르는 비용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크리너유니트 폐기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ase part of the air cleaner unit can be disassembled and combined, the element can be replaced easily, thereby inducing the semi-permanent reuse of the case, thereby eliminating the waste of resources or waste caused by the entire air cleaner unit replacement.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cost, and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air cleaner unit disposal.

Claims (5)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뚫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아웃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고 아웃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구멍이 나있는 인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인너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엘리먼트와,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의 상하면을 가리면서 결합하는 플랜지커플링으로 이루어지는 에어크리너에 있어서,An outer case wit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air flow, an inner case which enters into the outer case at a suitable distance from the outer case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as well as the outer case, and an element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 inner case In the air cleaner comprising a flange coupling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상기 에어크리너 케이스는,The air cleaner case, 상기 케이스를 분할하여 해당 분할면을 결합면으로 형성하고,By dividing the case to form a corresponding split surface as a joining surface, 상기 결합면을 통해 케이스를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는 결합면부에는 체결부를 형성하며,In order to be able to disassemble and combine the case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to form a coupling portion facing each other coupling surface portion, 상기 체결부에 집중되는 회전력이나 탈거력을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해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Air clea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ange extending from the cas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r stripping force concentrated in the fastening portion from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면을 인너 케이스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Air clea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면을 아웃 케이스에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The air clea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urface is formed only in the out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면을 대칭적인 나사부로 형성하여 결합면을 통해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The fastening part is an air clea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forming a symmetrical screw portion to enable disassembly coupling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면의 한쪽은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대측은 걸림턱을 형성하여 탄성력으로 분해결합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케이스.The fastening part is an air clea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to form a lock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to form a locking jaw to be separated by elastic force.
KR2020000008607U 2000-03-27 2000-03-27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KR2001954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607U KR200195455Y1 (en) 2000-03-27 2000-03-27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607U KR200195455Y1 (en) 2000-03-27 2000-03-27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455Y1 true KR200195455Y1 (en) 2000-09-01

Family

ID=1964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607U KR200195455Y1 (en) 2000-03-27 2000-03-27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45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7457B2 (en) air filter
US6221122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EP1008375A1 (en) Disposable fuel filter element and lid assembly
KR200195455Y1 (en) Aircleaner casing of automobile
RU2201790C2 (en) Filter for cleaning oil (variants)
KR200421098Y1 (en) Case of air cleaner
JP2017001008A (en) Filter paper separation type cylindrical filter and cylindrical air cleaner of applying the same
US20040060439A1 (en) Replaceable filter element assembly
KR100406313B1 (en) Filter for dust collector being exchangable of filter paper
JP2000225305A (en) Filter for oil treatment
KR100573855B1 (en) Air cleaner
US20220370945A1 (en) Air filter with integrated seal lip
KR200402273Y1 (en) Dual filter device
KR200193818Y1 (en) Engine oil filter for car
KR200285881Y1 (en) Air-cleaner Unit with exchangable filter of Automobile
KR100497653B1 (en) Filter device for filter press
KR960008203Y1 (en) Solenoid valve for l.p.g used in motorcar
KR100314959B1 (en) carbon filter in filter assembling for clean water
JPH07299306A (en) Element for fluid filter
KR100272746B1 (en) Air cleaner element for reuse
CN215541749U (en) Oil stain filter with iron slag recovery function
KR200301460Y1 (en) separator for cheating an adulteration treatment
JP3789182B2 (en) Snap-fit engagement structure
KR200191314Y1 (en) Filter for vehicle and industry
KR200222054Y1 (en) A engine oil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