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195Y1 - height-regulable pillows - Google Patents

height-regulable pillow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195Y1
KR200195195Y1 KR2020000004862U KR20000004862U KR200195195Y1 KR 200195195 Y1 KR200195195 Y1 KR 200195195Y1 KR 2020000004862 U KR2020000004862 U KR 2020000004862U KR 20000004862 U KR20000004862 U KR 20000004862U KR 200195195 Y1 KR200195195 Y1 KR 200195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illow
filling space
fil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8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2020000004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1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19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으로 구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having a multi-layered height adjustable.

이러한 본 고안은 격벽에 의해 분할된 다층의 신축 가능한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층의 일측벽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요홈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having a multi-level stretchable filling spac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an injection hole for filling the contents in one side wall of each layer, and a height adjustment groove having a recess in the center.

취침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따라 구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 편안한 취침을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ll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body shape and taste of the sleeper, thereby making the sleeping comfortable.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height-regulable pillows}Height-regulable pillows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축 및 팽창 가능한 다층으로 구성되어 각 층의 팽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adjustable pillow consisting of a multi-shrinkable and expandable multi-layer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each layer.

일반적으로 침구류로는 베개, 이불, 담요 등이 있으며, 이들중 베개는 취침시 머리를 고이는 물건으로서 그 높이가 적당해야 취침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Bedding generally includes pillows, duvets, blankets, etc. Among them, pillows are stuffs that keep heads up when sleeping, so that the sleepers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이러한 베개로서 종래에는 포대 형상의 베개 속싸개에 베개속으로 왕겨, 조, 메밀껍질, 오리털, 양모 등을 넣어 베개 속싸개를 부풀려 일정한 높이가 되게 하여 사용하고 있다.Conventionally, such a pillow is used to put a chaff, stalk, buckwheat shell, duck down, wool, etc. into a pillow-shaped inner wrapper to inflate the pillow inner wrap to a certain height.

이와 같은 베개는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속내 넣어진 베개속을 꺼내거나 더 넣어야 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봉(封)해진 배개 속싸개를 개봉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만아니라 취침자마다 원하는 다른 높이의 베개를 비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These pillows need to be taken out of the inner pillows for further height adjustment or to be put in more. To do this, it is not only a hassle to open the sealed inner wrapper, but also requires a different height pillow for each sleeper.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것으로 내부에 공기나 액체를 넣어 부풀리는 형태의 베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공기나 액체를 충분히 채운 상태에서는 찌그러짐이 없으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공기나 액체를 적게 채우면 베개가 찌그러지고 찌그러진 부분이 취침자의 얼굴이나 목 등을 자극하거나 자국을 남기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make up for this drawback, pillows have been developed that are used to swell air or liquid inside, but there is no distortion when the air or liquid is filled enough. The crushed part irritates or leaves the face or neck of the person sleeping.

또한, 인체의 구조상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바닥면과 머리 사이의 거리는 확연히 다르며, 이에 따라 베개도 누운 상태에 따라 그 높이가 달라져야 하나 기존에 베개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일정하여 반듯이 누우면 편안하나 옆으로 누우면 머리가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옆으로 누우면 편안하나 반듯이 누우면 머리가 너무 높아 목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floor in the lying down st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loor and the head in the side lying down are obviously different. Therefore, the height of the pillow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ying down state. The height is constant, lying down comfortably, but lying sideways, the head is lowered, on the contrary, lying sideways comfortably, but lying down, the head is too high, the burden on the neck.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격벽에 의해 다층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층에 취침자의 선택에 따라 내용물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함으로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중앙부와 양 측단부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취췸자가 누운 상태에 관계없이 편안한 상태로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constructing a multi-layer by the partition wall and fill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sleeper's choice in each layer. The different heights provide a pillow that can support the head in a comfortable state regardless of the user's lying state.

또한 취침자와 면접하는 부분에 찌그러짐이 발생되지 않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that does not cause dents in the interview portion with the slee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A-A에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height 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A-A,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a,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eight 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0' : 충진공간 20 : 격벽10, 10 ': filling space 20: bulkhead

30 : 주입구 40 : 요홈부30: injection hole 40: groove

50 : 돌출부50: protrusion

이와 같은 목적은 격벽에 의해 분할된 다층의 신축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층의 일측벽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요홈부가 형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의해 이루어진다.This purpose is formed by a multi-layer stretchable spac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an injection hole for filling the contents on one side wall of each layer, and is formed by a height-adjustable pillow formed with a recess in the cent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ight 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A-A에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 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height 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A-A.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격벽(20)에 의해 가로로 분할 된 다층의 충진공간(10)을 갖고 있다.As shown, the height-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layered filling space 10 divided horizontally by the partition wall 20.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요(凹)자 형상을 갖는 포대 형태로서 그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20)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층을 분할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분할 된 각 층은 충진공간(10)이 된다. 각각의 충진공간(10)의 일측벽에는 충진공간(10)의 내부에 충진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입구(30)는 공기나 액체의 주입시에는 개방되나 평상시에는 막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진공간 내부로만 개방되는 밸브로서 기존의 공기주입을 요하는 놀이용구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 유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취침자가 손쉬게 공기나 액체를 주입할 수 있고, 주입된 공기나 액체가 스스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g having a yaw shape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0 therein to divide each layer, and the divided layers are filled in the filling space 10. Becomes An injection hole 30 is formed at one side wall of each filling space 10 to fill the inside of the filling space 10, and the injection hole 30 is opened when air or liquid is injected but is normally closed. It is a valve that opens only inside the filling space to maintain the state, and may be similar to that used for a conventional play equipment that requires air inj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eeping person can easily inject air or liquid, and the injected air Or a structure that does not allow liquid to discharge itself.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중단 부분에는 요(凹)홈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단부에는 돌출(突出)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요홈부(40)에는 취침자가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양 측단부의 돌출부(50)는 취침자가 옆으로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평안하게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 이 돌출부(50)도 다층의 충진공간(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충진공간(10')의 측벽에는 역시 주입구(3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cess portion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groove (40) grooves, protruding portion (50) is formed on both side ends. In the center groove portion 40 is to support the head comfortably in the state of sleeping in bed sleeping state, the projections 50 at both side ends to support the head in a state of lying in bed sleeping comfortably, The protrusion 50 also includes a multi-layer filling space 10 ', and an injection hole 30 is also formed on the sidewall of each filling space 10'.

상기 충진공간들(10, 10')에는 공기나 액체등이 충진될 수 있으며, 액체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옥석등의 분말등을 혼합할 수 있다.The filling spaces 10 and 10 ′ may be filled with air or a liquid, and the liquid may be mixed with powders such as gemstones that emit far infrared rays, etc., which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이와 같이 구성된 베개는 취침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다.The pillow configured in this way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desired by the sleeper.

그 적용 예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였다.Application examples thereof are shown in FIGS. 3A and 3B.

먼저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 취침자에게 편안한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충진공간들(10, 10') 중 전장(全長)에 길게 형성된 충진공간(10)들중 최 상단에 형성된 충진공간(10)에 먼저 충진물을 주입하고 높이가 낮으면 최하단의 충진공간에 충진물을 주입하고 이후 원하는 충진공간에 충진물을 주입한다.First of all, in order to fit a comfortable height to the sleeper in the flat state lying in the filling space (10) formed at the top of the filling space (10) formed long in the entire length of the filling space (10, 10 ') If the injection is high and the height is low, the fill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space at the bottom and the filling is then injected into the desired filling space.

이와 같이 충진물의 주입순서를 최상단 충진공간- 최하단 충진공간-원하느 충진공간의 순서로 하는 것은 최상단의 충진공간이 채워진 상태가 되어야 베개의 취침자와 접하는 부분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취침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such, the order of filling of the filling in the order of the highest filling space-the lowest filling space-the desired filling space should be filled with the filling space at the top. Because it can provide.

다음으로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의 높이 조절은 역시 전술한 누운 상태에서 취침자에게 편안한 높이를 맞추기에서와 같이 분절(分節)된 충진공간(10')의 최상단을 최우선으로 충진시키고 이하 원하는 충진공간에 충진시킬 수 있다.Next, the height adjustment in the side lying state is filled with the top of the segmented filling space 10 'as the highest priority, as in the above-mentioned setting the comfortable height to the sleeper in the above state, Can be filled.

이 과정에서 최상단의 충진공간을 최우선으로 채우는 이유 또한 전술한바와 같이 베개의 취침자와 접하는 부분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취침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process, the filling of the topmost filling space is the first reas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acting part of the pillow with the sleeping bed can be provided with comfort to the sleeping person.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는 사용자가 자기의 체형에 맞게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베개의 취침자와 면접하는 부분에 찌그러짐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서 편안한 취침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height-adjustabl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but also does not cause dents in the interview portion of the pillow bed, the effect of achieving a comfortable bed There is.

Claims (1)

격벽(20)에 의해 분할된 다층의 신축 가능한 충진공간(10)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층의 충진공간(10)의 일측벽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주입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요홈부(40)가 형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The multi-layer stretchable filling space 10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20 is formed, and the injection hole 30 for filling the contents is formed in one side wall of the filling space 10 of each layer, Height adjustable pillow formed grooves (40).
KR2020000004862U 2000-02-22 2000-02-22 height-regulable pillows KR2001951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62U KR200195195Y1 (en) 2000-02-22 2000-02-22 height-regulable pillow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62U KR200195195Y1 (en) 2000-02-22 2000-02-22 height-regulable pillow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195Y1 true KR200195195Y1 (en) 2000-09-01

Family

ID=1964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862U KR200195195Y1 (en) 2000-02-22 2000-02-22 height-regulable pillow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19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554B1 (en) Air sleep system with dual elevating air posturizing sleep surfaces
US5848448A (en) Pillow with cutouts adapted to accommodate the ear, nose and cheek of a user
US6131219A (en) Inflatable pillow
US5259079A (en) Double bed arrangement with combination mattress
US5231720A (en) Support pillow
KR100718338B1 (en) Pillow with high and low portion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US20200154912A1 (en) Multi-Chamber Adjustable Pillow
WO2005110169A1 (en) Water pillow with restricted flow
US20210045553A1 (en) Kind of Pillow with Adjustable Height
US6173465B1 (en) Mattress
US5918335A (en) Baby pillow
KR200195195Y1 (en) height-regulable pillows
US5729851A (en) System of pillows having different elevations
US7055197B1 (en) Multi-pillow construction
KR200181238Y1 (en) The pillow
WO2020213532A1 (en) Pillow
KR200351722Y1 (en) Air-filled pillows for height and angle adjustment
KR20200137197A (en) a cervical pillow with elevated support
KR100665859B1 (en) Arm pillow
CN218683508U (en) Health care pillow
KR102639636B1 (en) Cervical Pillow
CN210407934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pillow
JPH02257913A (en) Shoulder pad pillow
JP7216400B2 (en) side sleeping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