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969Y1 - 낚시용 뜰채프레임 - Google Patents

낚시용 뜰채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969Y1
KR200194969Y1 KR2020000006189U KR20000006189U KR200194969Y1 KR 200194969 Y1 KR200194969 Y1 KR 200194969Y1 KR 2020000006189 U KR2020000006189 U KR 2020000006189U KR 20000006189 U KR20000006189 U KR 20000006189U KR 200194969 Y1 KR200194969 Y1 KR 20019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ube
support
handle tub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6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Abstract

본고안은 낚시용 뜰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의 양측으로 일측접속관과 타측접속관을 형성시키고 지지체의 상측부로는 나사관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일측접속관에는 일측프레임을 결합시키고 타측접속관에는 타측프레임을 착탈이 용이토록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나사관에는 손잡이관을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뜰채의 경량화를 이룰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타측프레임의 편리한 착탈기능에 의해 뜰채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여 적은 부피로의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체의 나사관으로 결합되는 손잡이관이 사용 도중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안출된것으로,
뜰채(101)의 무게를 경량화시키기 위해 뜰채(101)의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들과 손잡이관(104)을 연결하는 지지체(111)와, 상기 지지체(111)에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을 연결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체(111)에 손잡이관(104)를 연결시키기 위한 손잡이관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뜰채프레임{FRAMES OF FISH CATCHING NET}
본고안은 낚시용 뜰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의 양측으로 일측접속관과 타측접속관을 형성시키고 지지체의 상측부로는 나사관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일측접속관에는 일측프레임을 결합시키고 타측접속관에는 타측프레임을 착탈이 용이토록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나사관에는 손잡이관을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뜰채의 경량화를 이룰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타측프레임의 편리한 착탈기능에 의해 뜰채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여 적은 부피로의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체의 나사관으로 결합되는 손잡이관이 사용 도중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된 낚시용 뜰채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뜰채 프레임의 구성은 도1에 나타내었다.
그물망을 연결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프레임(2)(5)들과,
상기 프레임(2)(5)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일측프레임(2)과 타측프레임(5)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일측 연결편(3)및 타측연결편(6)과,
상기 일측 연결편(3)및 타측 연결편(6)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일측 연결편(6)에 고정되는 나사봉(7)과,
상기 나사봉(7)으로 삽입되어 손잡이관(8)의 체결력에 의헤 고정되도록 일측 연결편(3)에 형성되는 결합공(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일측 및 타측프레임(2)(5)들에는 그물망을 끼울 수 있게 되어 물고기등을 포획하는데 사용하게 되고 사용을 하지 않고 휴대를 할 경우에는 손잡이관(8)를 타측연결편(6)의 나사봉(7)으로 부터 분리를 한뒤 일측 연결편(3)의 결합공(4)도 타측연결관(6)의 나사봉(7)으로 부터 분리를 한다.
그리고, 상기 여러개의 프레임(2)(5)들을 연결하고 있는 관절들을 접으면 적은 부피로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뜰채(1)의 일측 연결관(3)과 타측연결관(6)이 금속뭉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중량이 나가게 되고 아울러 나사봉(7)의 무게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뜰채(1)전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뜰채(1)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뜰채(1)를 자연스럽게 다루지 못하게 되고 많은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뜰채(1)의 무게가 무거우면 신속하게 뜰채(1)를 펴서 사용을 하지 못하고 둔한 행동에 의해 뜰채(1)를 펴기 때문에 시간의 낭비 및 힘의 낭비가 가중되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뜰채의 경량화를 이룰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타측프레임의 편리한 착탈기능에 의해 뜰채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여 적은 부피로의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지지체의 나사관으로 결합되는 손잡이관이 사용 도중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지지체의 양측으로 일측접속관과 타측접속관을 형성시키고 지지체의 상측부로는 나사관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일측접속관에는 일측프레임을 결합시키고 타측접속관에는 타측프레임을 착탈이 용이토록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나사관에는 손잡이관을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결합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낚시용 뜰채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결 도면
도2는 본고안 낚시용 뜰채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고안 뜰채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고안 뜰채프레임의 지지체와 손잡이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고안 뜰채프레임의 지지체와 타측지지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뜰채 102-일측프레임
103-타측프레임 104-손잡이관
105-제2삽입공 106-제1통공
111-지지체 112-일측접속관
113-고정핀 114-타측접속관
115-제1삽입공 116-결합공
117-고정핀 118-나사관
119-제2통공 120-제2보턴
121-제1볼플런저 122-결합홈
123-제1보턴 124-제1탄성부재
125-제2탄성부재 126-제2볼플런저
본고안의 구성을 도2 내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뜰채(101)의 무게를 경량화시키기 위해 뜰채(101)의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들과 손잡이관(104)을 연결하는 지지체(111)와,
상기 지지체(111)에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을 연결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체(111)에 손잡이관(104)를 연결시키기 위한 손잡이관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연결수단은 강도유지봉(107)을 삽입하고 있는 일측프레임(102)을 고정핀(113)에 의해 고정하고 있는 지지체(111)의 일측부에 형성된 일측접속관(112)과,
상기 지지체(111)의 타측부로 타측프레임(103)을 결합하고 있는 타측접속관(114)과,
상기 타측접속관(114)내에서 타측프레임(103)을 착탈시키기 위한 타측프레임의 착탈수단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타측 프레임의 착탈수단은 타측접속관(114)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공(115)과,
상기 제1삽입공(115)으로 출몰 동작을 하여 타측프레임(103)을 고정 또는 해정시키기 위해 타측프레임(103)으로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124)에 의해 제1통공(106)으로 부터 출몰 동작을 하는 제1볼플런저(121)에 결합된 제1보턴(123)으로 구비하였다.그리고, 상기 타측접속관(114)내에서 타측프레임(103)이 자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접속관(114)의 내부 공간과 지지체(11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116)과,
상기 결합공(116)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핀(117)과,
상기 고정핀(117)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타측프레임(103)의 제1볼플런저(121)에 형성되는 결합홈(122)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손잡이관의 연결수단은 지지체(111)의 상측부로 형성되는 나사관(118)과,
상기 나사관(118)으로 나사부를 결합하고 있는 손잡이관(104)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관의 풀림방지수단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관의 풀림방지수단은 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관(104)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공(105)과,
상기 제2삽입공(105)으로 출몰동작을 하여 손잡이관(104)을 고정 또는 해정시키기 위해 나사관(118)으로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125)에 의해 나사관(118)의 제2통공(119)으로 부터 출몰 동작을 하는 제2볼플런저(126)에 결합된 제2보턴(120)으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 지지체(111)에 형성되는 일측접속관(112)에는 일측프레임(102)을 고정핀(113)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프레임(102)의 내부에는 강도유지봉(107)을 함께 결합하여 고정핀(113)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서 일측프레임(102)과 일측접속관(112)연결부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체(111)의 타측접속관(114)으로 결합되는 타측프레임(103)은 착탈이 용이토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타측프레임(103)을 타측접속관(114)으로 결합시 타측프레임(103)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프레임(103)에는 제1볼플런저(1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제1볼플런저(121)는 타측프레임(103) 타측접속관(114)으로 결합되면 제1볼플런저(121)에 결합된 제1보턴(123)이 제1탄성부재(124)의 탄력에 의해 타측접속관(114)의 제1삽입공(115)으로 도5와 같이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타측프레임(103)이 사용중 타측접속관(114)으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타측프레임(103)이 자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프레임(103)을 타측접속관(114)으로 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타측접속관(114)의 제1삽입공(115)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보턴(123)을 손으로 누르면 제1보턴(123)은 제1삽입공(115)과 제1통공(106)으로 몰입이 되어진다.
이때, 상기 타측프레임(103)을 빼내면 도2와 같이 용이하게 분리가 되어지므로 적은 부피로 휴대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타측프레임(103)의 제1볼플런저(121)에 형성된 결합홈(122)은 타측프레임(103)을 타측접속관(114)에 결합시 지지체(111)의 결합공(116)으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117)에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끼워지게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22)및 고정핀(117)에 의해서도 타측프레임(103)이 타측접속관(114)내에서 자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11)에 형성된 나사관(118)에는 손잡이관(104)이 나사결합되는바, 상기 손잡이관(104)이 사용도중 나사관(118)으로 부터 저절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이 접목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관(104)을 나사관(118)으로 체결시 나사관(118)의 제2통공(119)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보턴(120)을 손으로 누르면 상기 제2보턴(120)이 제2볼플런저(126)의 제2탄성부재(125)를 압축하면서 몰입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관(1040을 나사관(118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손잡이관(104)의 결합이 완료되면 손잡이관(104)에 형성된 제2삽입공(105)이 제2보턴(120)과 일치가 되면서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삽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2삽입공(105)으로 돌출되는 제2볼플런저(126)의 제2보턴(120)에 의해 손잡이관(104)이 자회전을 하여 저절로 풀리는 일이 없게 되므로 안전된 상태에서 물고기등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관(1040을 나사관(1180으로 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제2삽입공(105)으로 돌출된 제2보턴(1200을 손으로 누른뒤 손잡이관(104)을 역회전시키면 용이하게 분리가 되어지므로 적은 부피의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지지체의 양측으로 일측접속관과 타측접속관을 형성시키고 지지체의 상측부로는 나사관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일측접속관에는 일측프레임을 결합시키고 타측접속관에는 타측프레임을 착탈이 용이토록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나사관에는 손잡이관을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뜰채의 경량화를 이룰수 있어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타측프레임의 편리한 착탈기능에 의해 뜰채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여 적은 부피로의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지지체의 나사관으로 결합되는 손잡이관이 사용 도중 저절로 풀리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수 잇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뜰채(101)의 무게를 경량화시키기 위해 뜰채(101)의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들과 손잡이관(104)을 연결하는 지지체(111)와,
    상기 지지체(111)에 일측프레임(102) 및 타측프레임(103)을 연결시키기 위한 프레임의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체(111)에 손잡이관(104)를 연결시키기 위한 손잡이관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연결수단은 강도유지봉(107)을 삽입하고 있는 일측프레임(102)을 고정핀(113)에 의해 고정하고 있는 지지체(111)의 일측부에 형성된 일측접속관(112)과,
    상기 지지체(111)의 타측부로 타측프레임(103)을 결합하고 있는 타측접속관(114)과,
    상기 타측접속관(114)내에서 타측프레임(103)을 착탈시키기 위한 타측프레임의 착탈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프레임의 착탈수단은 타측접속관(114)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공(115)과,
    상기 제1삽입공(115)으로 출몰 동작을 하여 타측프레임(103)을 고정 또는 해정시키기 위해 타측프레임(103)으로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124)에 의해 제1통공(106)으로 부터 출몰 동작을 하는 제1볼플런저(121)에 결합된 제1보턴(123)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프레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접속관(114)내에서 타측프레임(103)이 자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접속관(114)의 내부 공간과 지지체(11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116)과,
    상기 결합공(116)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핀(117)과,
    상기 고정핀(117)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타측프레임(103)의 제1볼플런저(121)에 형성되는 결합홈(122)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관의 연결수단은 지지체(111)의 상측부로 형성되는 나사관(118)과,
    상기 나사관(118)으로 나사부를 결합하고 있는 손잡이관(104)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관의 풀림방지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관의 풀림방지수단은 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관(104)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공(105)과,
    상기 제2삽입공(105)으로 출몰동작을 하여 손잡이관(104)을 고정 또는 해정시키기 위해 나사관(118)으로 결합되어 제2탄성부재(125)에 의해 나사관(118)의 제2통공(119)으로 부터 출몰 동작을 하는 제2볼플런저(126)에 결합된 제2보턴(120)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뜰채프레임.
KR2020000006189U 2000-03-06 2000-03-06 낚시용 뜰채프레임 KR20019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89U KR200194969Y1 (ko) 2000-03-06 2000-03-06 낚시용 뜰채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89U KR200194969Y1 (ko) 2000-03-06 2000-03-06 낚시용 뜰채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969Y1 true KR200194969Y1 (ko) 2000-09-01

Family

ID=1964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89U KR200194969Y1 (ko) 2000-03-06 2000-03-06 낚시용 뜰채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9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98B1 (ko) 2010-11-19 2013-01-28 정찬영 낚시용 조립식 뜰채
KR20210012211A (ko) * 2019-07-24 2021-02-03 이성규 절첩식 낚시용 뜰채
KR20220036627A (ko) * 2020-09-16 2022-03-23 유성옥 원터치 결합구조를 가지는 수초낫 겸용 낚시뜰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98B1 (ko) 2010-11-19 2013-01-28 정찬영 낚시용 조립식 뜰채
KR20210012211A (ko) * 2019-07-24 2021-02-03 이성규 절첩식 낚시용 뜰채
KR102306220B1 (ko) 2019-07-24 2021-09-28 이성규 절첩식 낚시용 뜰채
KR20220036627A (ko) * 2020-09-16 2022-03-23 유성옥 원터치 결합구조를 가지는 수초낫 겸용 낚시뜰채
KR102577095B1 (ko) 2020-09-16 2023-09-08 유성옥 원터치 결합구조를 가지는 수초낫 겸용 낚시뜰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132B2 (en) Modular designed handle/net apparatus
US4886297A (en) Skateboard handle
US7131255B1 (en) Picking rake with dual handles and dual rake heads for gathering and picking material
KR200194969Y1 (ko) 낚시용 뜰채프레임
US20200163317A1 (en) Special-shaped dip net provided with external handle
US4052808A (en) Collapsible fish spear
US6678989B1 (en) Folding pole spear system
US20170356210A1 (en) Adaptable net
US11344010B2 (en) Dip net provided with lockable and foldable handle
KR100408071B1 (ko) 텐트용 폴의 연결줄
US4989871A (en) Badmington racquet structure
KR101373632B1 (ko) 낚시용 뜰채
EP0706316A1 (de) Kescher, insbesondere für den fischfang
US3738048A (en) Bait and hook holder
CN210696305U (zh) 一种风筝伞
JP6568004B2 (ja) 玉網
CN217088540U (zh) 一种分体组合式铁锹
CN217873622U (zh) 防松连接结构、锹柄以及锹具
TWI292697B (ko)
GB2330509A (en) Detachable angling weight
JP3628609B2 (ja) 掬い網用枠杆の折畳み構造
KR200302031Y1 (ko) 낚시용 뜰채의 소켓구조
KR200280990Y1 (ko) 요철면을 갖는 낚시용 뜰채의 결합소켓
KR200405834Y1 (ko) 인출식과 꼽기식이 결합된 낚시대
CN210696292U (zh) 多用便携登山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