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855Y1 -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 Google Patents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855Y1
KR200194855Y1 KR2019990029255U KR19990029255U KR200194855Y1 KR 200194855 Y1 KR200194855 Y1 KR 200194855Y1 KR 2019990029255 U KR2019990029255 U KR 2019990029255U KR 19990029255 U KR19990029255 U KR 19990029255U KR 200194855 Y1 KR200194855 Y1 KR 200194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cable
support plate
support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근
오성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주식회사은진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주식회사은진텔레콤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2019990029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4Repair 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내 접속함의 고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접속함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유지보수시 접속함이 케이블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함의 상,하부에 케이블이 놓여져 있는 상황에서도 상기 접속함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속함 내부의 광섬유 심선의 분기접속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케이블 받침대(6)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접속함(2)의 밑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 받침판(12)과, 상기 걸림턱(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반원 받침판(12)을 지지하고 이 반원 받침판(1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Slide type hanger for optical fiber cable closure}
본 고안은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관로 구간에 매설된 광섬유 케이블을 상호간에 접속하는데 있어, 그 광섬유 심선 접속부를 수분침투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함을 인공내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광섬유 케이블간의 접속점이 인공내 수용될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에 고정시키고 접속함(2)에 연결될 광섬유 케이블(1)의 여장을 허용곡률반경 이상으로 유지하여 정리한다.
한편, 종래의 접속함을 케이블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일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2)이 철재밴드(4)를 매개로 지지봉(3)에 연결되어지고, 이 지지봉(3)은 케이블 받침대(6)의 결합구멍(6b)내에 결합되어진 케이블 걸이(6a)위에 올려 놓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2)으로 인입된 케이블(1)을 케이블 걸이(6a)위에 직접 올려 놓고 그 접촉부위를 케이블 타이(4a)로 묶는 방법을 이용해왔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6)에 접속함(2)을 지지봉(3)으로 매달아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또한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 타이(4a)나 철재밴드(4)등으로 지지봉(3)을 케이블 걸이(6a)와 묶는 작업에 있어서 원형의 지지봉(3)과 수평판 형태의 케이블 걸이(6a)는 형태가 상이한 철재구조로서 고정도가 낮아 접속함(2)이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쉽게 움직여지고 인공 외부로 부터의 클리핑, 차량진동 등으로 접속함(2)의 이동현상이 발생하여 광섬유 케이블이 절곡되거나 접속함(2)이 낙하되어 광섬유 케이블(1)에 손상을 줌으로써 통신소통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도 3 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지지봉(3)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에 장착되어진 케이블 걸이(6a)의 상간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는 접속함(2)으로 인입된 케이블(1)이 케이블 걸이(6a)에 놓여져, 접속함(2)의 자체무게로 인해 케이블 걸이(6a)에 받쳐진 케이블(1)이 굴곡되어 광섬유의 손실특성을 저하시키고, 접속함(2)의 밀폐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설치구조는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에 매어 다는 형식을 취함으로서 유지보수시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로 부터 분리하여 인공 밖으로 꺼내거나 인공내에서 접속함(2)을 풀어 헤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후 지지봉(3)을 제거하고 접속함(2)의 상, 하부커버를 모두 열어야 하기 때문에 운용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함(2)의 바로 위에 높여진 케이블 걸이(6a)에 케이블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지보수시 반드시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로 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인공내 접속함의 고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접속함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유지보수시 접속함이 케이블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함의 상,하부에 케이블이 놓여져 있는 상황에서도 접속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속함 내부의 광섬유 심선의 분기접속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함의 과다한 설치공간을 줄이고 접속함의 유동성, 케이블의 신뢰성, 운용성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걸이는,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을 인공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 받침대 상간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받침대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접속함의 밑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 받침판과; 상기 걸림턱으로 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반원 받침판을 지지하는 받침판 지지대와; 이 받침판 지지대는 받원 받침판에 올려진 접속함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속함에 밀착되는 상기 반원 받침판은 그 일측면에 고무재질의 완충판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설치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걸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의 유지보수를 위해 접속함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2 : 접속함
3 : 지지봉 6 : 케이블 받침대
10 : 접속함 길이 11 : 걸림턱
12 : 반원 받침판 13 :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
13a : 외부 프레임 13b : 내부 프레임
13c : 슬라이딩 멈춤 볼트 14 : 완충판
15 : 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섬유 케이블 접속함(이하 접속함이라 약칭함.)은 광섬유 심선 접속부를 수분침투나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접속점이 인공내에 수용될 때 설치된다.
인공내에는 상하방향으로 케이블 받침대(6)가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으로 구멍(6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2)의 설치구조는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 상간에 위치시켰을 때 종래와 같이 매어 다는 형식이 아닌 일정한 형태로 구성되어진 접속함 걸이(10)로 받쳐주는 형식을 갖는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걸이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는 케이블 받침대(6)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접속함(2)의 밑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 받침판(12)과, 상기 걸림턱(11)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반원 받침판(12)을 지지하고, 이 반원형 받침판(1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형식의 받침판 지지대(13)로 구성된 접속함 걸이(1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함 걸이(10)는 내부식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한 금속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원 받침판(12)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어 그 상면에 원형의 접속함(2)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부가적으로 반원 받침판(12)의 양단은 바깥방향으로 접혀져 타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15)이 형성된다.
이 타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15)은 반원 받침판(12)안에 수용된 접속함(2)을 움직이지 않도록 케이블 타이를 걸기 위함이다.
또한, 반원 받침판(12) 내부에는 고무재질의 완충판(14)이 부착되어 인공내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케이블 받침대(6)를 통해 접속함(2)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킨다.
상기 걸림턱(11)은 케이블 받침대(6)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려 있는 구멍(6b)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ㅜ'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케이블 받침대(6)의 구멍(6b)에 걸림턱(7)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적합한 위치에 접속함 걸이(1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 지지대(13)는 걸림턱(11)과 반원 받침판(12)사이에 설치되어 반원 받침판(12)이 케이블 받침대(6)의 소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특히, 반원 받침판(12)과 걸림턱(11)간을 연결하는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의 일단은 접속함(2)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2개의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의 폭이 접속함(2)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의 타단은 C형 구조를 갖는 외부 프레임(13a)이 접합되어 걸림턱(11)과 직각방향으로 도출되어 있고, 외부 프레임(13a)에는 반원 받침판(12)의 길이 방향으로 반원 받침판(12)의 밑면과 접합된 내부 프레임(13b)이 삽입되어, 외부 프레임(13a)과 내부 프레임(13b)은 상호간에 슬라이딩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외부 프레임(13a)에 부착된 슬라이딩 멈춤 볼트(13c)로 내부 프레임(13b)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접속함(2)이 좌.우측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에 올려진 경우, 접속함(2)을 반원 받침판(12)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걸이(10)의 설치방법 및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공내 케이블 받침대(6)에 광섬유 케이블 접속함(2)이 놓일 위치의 구멍(6b)에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걸이(10)의 걸림턱(11)을 삽입 고정하고, 그와 동일선상에 있는 타측 케이블 받침대(6)의 구멍(6b)에도 동일구조를 갖는 접속함 걸이(10)의 걸림턱(11)을 삽입 고정하여 두 개의 접속함 걸이(10)의 반원 받침판(12)이 수평으로 놓이도록 한다.
케이블 받침대(6)의 2개소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설치된 접속함 걸이(10)의 반원 받침판(12)내로 접속함(2)을 올려 놓고 반원 받침판(12) 양단에 형성된 구멍(15)에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접속함(2)의 상부둘레를 반원 받침판(12)과 같이 조임으로서 접속함(2)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는 반원 받침판(12)의 조임으로 접속함(2)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반원 받침판(12)과 일체형인 내부 프레임(13b)이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의 외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접속함 직상에 케이블이 놓여져 있다 하더라도 접속함을 필요한 위치만큼 앞으로 빼낼 수 있어 유지보수를 보다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의 유지보수를 위해 접속함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2)을 설치한 후 유지 보수작업에서 광섬유 심선의 분기 등으로 인해 접속함(2)을 해체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접속함(2)을 케이블 받침대(6)로 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접속함(2)을 해체하지 않고, 접속함(2)이 본 고안의 접속함 걸이(10)에 놓여진 상태에서 접속함(2)을 작업이 편리한 위치까지 앞으로 이동, 고정시킨 후, 접속함(2)의 상부커버만을 간편하게 분리하면 광섬유 심선의 재접속 등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어 운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블 받침대(6)의 접속함 설치 위치에 접속함 걸이(10)를 삽입 고정시키고, 광섬유 케이블 접속이 완료된 접속함(2)을 반원 받침판(12)에 올려 놓음으로 해서 접속함(2) 설치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인공내 접속함의 고정도를 높일 수 있고, 접속함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유지보수시 접속함이 케이블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함의 상,하부에 케이블이 놓여져 있는 상황에서도 접속함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속함 내부의 광섬유 심선의 분기접속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접속함의 과다한 설치공간을 줄이고 접속함의 유동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신뢰성, 운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기능이 부가되어 접속함이 상하에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놓여진다 하더라도 접속함을 필요한 위치까지 빼내거나 본래 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어 유지보수에 있어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2)을 인공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 받침대(6) 상간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받침대(6)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 접속함(2)의 밑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반원 받침판(12)과; 상기 걸림턱(11)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반원형 받침판(12)을 지지하고 반원형 받침판(1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형식의 받침판 지지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2)에 밀착되는 상기 반원 받침판(12)의 일측면에 고무재질의 완충판(14)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12)의 양끝단에 케이블타이를 묶을 수 있는 구멍(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 받침판(12)측에 접합되는 받침판 지지대(13)의 일단이 접속함(2)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2개의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 의 폭이 접속함(2)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턱(11)측으로 접합되는 슬라이드식 받침판 지지대(13)의 타단의 C형 구조를 갖는 외부프레임(13a)이 접합되어 걸림턱(11)과 직각방향으로 도출되어 있고, 외부 프레임 (13a)에는 반원 받침판(12)의 길이 방향으로 반원 받침판(12)의 밑면과 접합된 내부 프레임(13b)이 삽입되어, 외부 프레임(13a)과 내부 프레임(13b)은 상호간에 슬라이딩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 프레임(13a)에 부착된 슬라이딩 멈춤 볼트(13c)로 내부 프레임(13b)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KR2019990029255U 1999-12-22 1999-12-22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KR200194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55U KR200194855Y1 (ko) 1999-12-22 1999-12-22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55U KR200194855Y1 (ko) 1999-12-22 1999-12-22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855Y1 true KR200194855Y1 (ko) 2000-09-01

Family

ID=1960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55U KR200194855Y1 (ko) 1999-12-22 1999-12-22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8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570A (en) Cable support
CA1195094A (en) Fastener-clip
US8097808B2 (en) Separation and/or reinforcement device for a wire cable duct
US6311006B1 (en) Apparatus for storing surplus ADSS cable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CN102612587A (zh) 活梯
KR20200107844A (ko) 케이블 관리용 브래킷
KR200194855Y1 (ko) 광섬유케이블의 슬라이드식 접속함 걸이
KR100999984B1 (ko) 도선용 고정 장치
KR200216768Y1 (ko)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함 걸이
KR20140101909A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CN101494363A (zh) 用于机动车的电接线盒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20090075962A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지지용 행거
KR102304443B1 (ko) 통신 케이블용 선통기
KR20010093978A (ko) 케이블가설용 행거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0639755B1 (ko)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지지장치
KR100540580B1 (ko) 처마용 물받이 걸이구
CN216699409U (zh) 一种具有漏孔的槽式水平三通
JP4180803B2 (ja) 管内ケーブルのケーブルホルダー
KR102231151B1 (ko) 케이블 이동장치 및 이동 방법
CN210720832U (zh) 架设光缆用多功能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