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053Y1 -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053Y1
KR200194053Y1 KR2020000009459U KR20000009459U KR200194053Y1 KR 200194053 Y1 KR200194053 Y1 KR 200194053Y1 KR 2020000009459 U KR2020000009459 U KR 2020000009459U KR 20000009459 U KR20000009459 U KR 20000009459U KR 200194053 Y1 KR200194053 Y1 KR 200194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otating shaft
display
public telephone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2020000009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0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04M17/023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인 공중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 홍보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공중전화기는 몸체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그 일측에 송수화기, 주화 또는 카드 삽입구, 금액 표시창, 동전반환구,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화수단을 위치시키고; 타측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광고함체와, 이 광고함체의 내부에 축설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결합되어 광고 또는 홍보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필요에 따라 두개이상의 광고시스템이 전화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그 배면에 전화기 몸체의 결합부재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Public telephone having displaying part}
본 고안은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적인 공중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 홍보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중전화기는 몸체 전체에 걸쳐 송수화기와 송수화기 걸이, 주화 또는 카드삽입구, 동전 반환구, 금액표시창, 숫자판과 특수기능 버튼(이하, '키버튼'이라 함)등이 산재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중전화기는 그 크기에 비해 기능이 단순한데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각종 구성요소들이 몸체 전체에 산재해 있기 때문에 전화기 자체로서의 기능만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자리를 점유하고 있을 뿐이었다. 즉, 공중전화기가 점유하는 공간은 그 면적에 비해 효용이 낮아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에 각종 생활정보지나 홍보전단 등의 인쇄물이 많이 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쇄물들은 도로변 등에 설치된 비치대(備置臺)에 담겨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자유롭게 배포되도록 하여 사회의 정보화에 발맞춰 시민들에게 여러 가지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치대는 노천에 설치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미관을 해치기도 하고 도난 파손 등의 염려가 있기도 하며 그 제작비와 설치비 때문에 모든 곳마다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어 배포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비치대 뿐만 아니라, 여기에 담기는 정보지 등도 바람에 날리거나 눈·비에 젖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많은 사람들이 공중전화를 이용하는 점, 이용자가 상당한 시간동안 공중전화기를 쳐다보게 된다는 점, 공중전화기는 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쉽게 끌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유 때문에, 공중전화기는 그 자체로 훌륭한 디스플레이 매체가 될 수 있으므로, 전화기능 이외에도 광고물 또는 홍보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중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또한, 본 고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두개이상의 광고시스템이 전화기 몸체에 착탈 가능한 공중전화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그 일측에 송수화기, 주화 또는 카드 삽입구, 금액 표시창, 동전반환구,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화수단을 위치시키고; 타측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설치한다. 이 디스플레이수단은 그 배면에 결합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전화기 몸체에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두개이상의 광고시스템을 번갈아 교체할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을 전화기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광고함체와, 이 광고함체의 내부에 축설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결합되어 광고 또는 홍보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공중전화기 몸체 11 ; 송수화기
12 ; 전화수단 21 ; 광고함체
22 ; 회전축 23 ; 구동기어
24 ; 구동벨트 25 ; 구동모터
26 ; 회전체 27 ; 가이드레일
28 ; 광고판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중전화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몸체(10)를 2개 영역으로 구획하여 그 일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면)에 통상적인 공중전화기가 갖는 통화에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전화수단이 위치하고, 몸체의 나머지 부분에 디스플레이수단이 위치한다.
상기 전화수단은, 그 좌측면에 탄설된 송수화기 걸이에 송수화기(11)가 위치하고, 전면에는 주화 및 카드 삽입구, 금액 표시창, 동전반환구, 키버튼 등이 전면에 집중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화기 몸체(10)의 우측에 결합되며 전면이 개구된 광고함체(21)와, 이 광고함체(21)의 내부에 축설되는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2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 돌설되는 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회전체(26)와, 이 회전체(26)에 부착되어 대중에게 광고나 홍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판(28)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고함체(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면에 소정 형상의 결합돌기(미도시)를 설치하고, 광고함체(21)의 배면이 접하는 전화기 몸체(10)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결합홈(10a)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전화기 몸체(10)로부터 광고함체(21)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에따라, 본 고안은 두개이상의 광고시스템에 착탈 가능한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단지 예시한 것일 뿐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수단(예컨데, 볼트, 접착제 등)이든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22)의 일단에 결합된 구동기어(23)와, 이 구동기어(23)에 구동벨트(24)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2)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2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광고판(28)은 상기 회전체(26)와 회전체(26) 사이에 일체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각각의 회전체(26)의 단부에 각각 상호 대향되도록 대략 'ㄱ'자형의 가이드레일(27)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각 대향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7)에 광고판(28)을 슬라이드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광고판(28)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 또는 홍보 메시지를 담은 광고판(28)을 회전체(26)의 각각의 가이드레일(27)에 삽입하여 전체적으로 삼각형(일명, 트라이비젼이라 한다)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구동모터(25)를 가동하면 회전체(26)는 회전축(22)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연동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26)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담은 세 개의 광고판(28)이 회전하면서 광고함체(21)의 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광고판(28)은 통화시간 동안 이용자 및 이용 대기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시선을 집중시키도록 할 수가 있어 다른 장소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보다 그 효과가 월등하고,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 자체로서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전화기가 설치된 곳의 주변환경이나 영업장소 등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도시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회전체의 개수를 3개로 하여 광고판 역시 3개가 되도록 예를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회전체의 개수를 증감하여 광고판의 개수를 변화시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할 것이다.또한, 회전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의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멜로디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각종 멜로디를 저장한 메모리칩과, 메모리칩에 저장된 멜로디를 소리로 발생하는 음향발생수단을 구성하여 회전체가 일정시간마다 회전할 때 소정 멜로디가 발생토록 함으로써 전화이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중전화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 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확장함으로써 공중전화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를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공공홍보, 안내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개인 기업체나 공원 등의 위락시설에 설치하여 기업광고, PR, 위치안내 등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는 통화시간 동안 이용자 및 이용 대기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시선을 집중시키도록 할 수가 있어 다른 장소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보다 그 효과가 월등하고, 본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 자체로서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전화기가 설치된 곳의 주변환경이나 영업장소 등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도시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화기 몸체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그 일측에 송수화기, 주화 또는 카드 삽입구, 금액 표시창, 동전반환구,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화수단을 위치시키고; 타측에는 광고 또는 홍보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배면에는 결합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전화기 몸체에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두개이상의 광고시스템을 번갈아 교체할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을 전화기 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광고함체와, 이 광고함체의 내부에 축설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결합되어 광고 또는 홍보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광고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각 단부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광고판을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에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2020000009459U 2000-04-03 2000-04-03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200194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459U KR200194053Y1 (ko) 2000-04-03 2000-04-03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459U KR200194053Y1 (ko) 2000-04-03 2000-04-03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053Y1 true KR200194053Y1 (ko) 2000-09-01

Family

ID=1965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459U KR200194053Y1 (ko) 2000-04-03 2000-04-03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0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972B2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WO2000067242A1 (fr) Panneau d'affichage
KR200194053Y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100276986B1 (ko)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20010097960A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화기
CN2824155Y (zh) 具有广告功能的自动售货机
HUT66344A (en) Combinated publicity pillar
KR20020008441A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KR200309728Y1 (ko) 회전장치가 부착된 이동용 입간판
CN1199484A (zh) 信息存取亭
KR200331895Y1 (ko) 메모장을 갖는 광고 게시대
KR20010025679A (ko) 화장실
KR200410227Y1 (ko) 주차중 운전자 연락처 표시장치
CN213659971U (zh) 一种具有高效展示效果的广告牌
KR200197790Y1 (ko) 회전광고대
CN216249430U (zh) 一种带物联网自助扫码支付游戏的广告牌
KR200215877Y1 (ko) 회전 디스플레이어를 가지는 광고간판
KR20090126374A (ko) 광고장치
KR200199151Y1 (ko) 렌티큘러를 이용한 광고간판
CN2329067Y (zh) 自动发声广告灯箱
KR200198575Y1 (ko)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의 회전기구
KR200283959Y1 (ko) 동영상 겸용 간판 장치
KR200308231Y1 (ko) 복권기능을 갖는 명함
JP2004167281A (ja) 情報伝達冊子の陳列構造
KR200205932Y1 (ko) 광고문구가 움직이는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