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78Y1 -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 Google Patents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78Y1
KR200193778Y1 KR2020000007137U KR20000007137U KR200193778Y1 KR 200193778 Y1 KR200193778 Y1 KR 200193778Y1 KR 2020000007137 U KR2020000007137 U KR 2020000007137U KR 20000007137 U KR20000007137 U KR 20000007137U KR 200193778 Y1 KR200193778 Y1 KR 200193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outlet
supply groove
hopper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빅터코리아인바이런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빅터코리아인바이런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빅터코리아인바이런먼트
Priority to KR2020000007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량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켜 주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드라이 아이스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부를 좁게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인출구를 갖는 호퍼와, 호퍼의 인출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외주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인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홈들을 형성하는 원판형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공급홈에 연결하여 그 공급홈으로부터 낙하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시켜 주는 에어호스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Blaster Structure of Dry Ice Cleaner}
본 고안은 압축공기로 드라이 아이스의 입자를 고속으로 분사시켜 각종 기계장치, 설비물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주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량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켜 주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러 해에 걸친 현장 적용과 연구를 통하여 강력한 드라이 아이스 분사기에 관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은 오늘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각종 설비 부품을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고속도로 완전 세척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적인 클리닝 시스템의 수요를 충족하게 되었다.
드라이 아이스 입자 분사기는 산업설비와 환경에 무해한 단단한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분사되는 드라이 아이스의 양과 속도를 어느정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재, 이를테면 세라믹, 합성수지, 희소금속, 화이버 글래스, 고무, 플래스틱, 철강재 등으로 만들어지는 기기와 제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드라이 아이스 입자는 표면에 충돌하는 즉시 무해한 가스로 승화되어, 세척면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이물질만 제거하고 제2차 오염물이나 수분 등을 남기지 않는다.
드라이 아이스 클리닝을 채택하면 장비 수명이 연장되므로 다이, 몰드 및 성형틀 등을 새로 투입하는 투자경비를 절감하게 된다. 세척 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재래식 세척에서 발생했던 2차 오염물을 수집, 처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전반적인 운영 경비를 절감하게 된다. 이제 산업 현장에서 환경보호 관련 법규에서 사용을 금하고 있는 휘발성 유기용제(VOC), 오존층을 훼손하는 물질(ODS) 및 폐수를 유발하는 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생산설비나 제품을 완벽하게 세척할 수 있다.
드라이 아이스 클리닝은 식품가공, 제과, 고무, 플래스틱, 제약, 자동차 제조, 항공기 정비, 우주항공, 전기전자, 반도체 산업, 석유화학, 제철, 인쇄, 주물 공업 등의 모든 산업현장에서 광법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아직도 쇼트블래스팅, 증기 세척, 솔벤트 등 화공약품이나, 손으로 긁어내는 등의 재래식 세척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드라이 아이스 클리닝을 이용하여, 경비절감,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환경보호는 물론, 안전하고 깨끗한 작업환경을 확보하여 직업병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빈번한 전직이나 이직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장점들을 갖는 종래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대표적인 분사구조를 살펴보면 도1에서와 같이, 케이스에 내에 지지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출공(2a)이 뚫린 프레임판(2)과, 상기 프레임판(2) 상부에 고정되고 좌우 방향으로 안내홈(3a)을 갖는 안내판(3)과, 상기 안내판(3)의 안내홈(3a)에 패드(4a)와 함께 안치되고 실린더(4b)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3개의 인입공(4c)들이 뚫린 슬라이딩봉(4)과,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인출구(5a)를 가지되 슬라이드봉(4)의 좌우측 인입공(4c)에 연결되는 호퍼(5)와, 그 일단부는 슬라이딩봉(4)의 인입공(4c)을 통하여 프레임판(2)의 배출공(2a)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콤프레서(6a)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블로잉 시켜주는 압축공기호스(6)와, 그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판(2) 배출공(2a) 하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분사건에 연결되는 분사호스(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세척기의 분사구조는 호퍼(5)에 넣은 드라이 아이스 입자가 인출구(5a)를 통하여 슬라이딩봉(4)의 인입공(4c)에 일치되면 자연 낙하된다. 그리고 실린더(4b) 및 콤프레서(6a)를 구동시켜 주면 슬라이드봉(4)이 좌우 왕복 이동하면서 배출공(2a)에 일치되면 콤프레서(6a)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가 분사호스(7)를 통하여 세척대상물의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세척하여 주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것은 슬라이딩봉(4)의 이동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움직이므로 분사되는 드라이 아이스 양 또한 일정하여 세척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 즉, 드라이 아이스 분사량에 따라 세척 효과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세척대상물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 양을 융통성 있게 조절함으로서 세척 효과를 증대하여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드라이 아이스 분사량이 거의 일정하게 분사되므로 세척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것은 슬라이딩봉(4) 및 패드(4a)들은 소모품으로서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는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들 부품들을 교체할 시 호퍼(5), 안내판(3), 압축공기호스(6) 및 분사호스(7) 등을 모두 분해하여 주어야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분사되는 드라이 아이스 양을 자유자재로 조절하게 함으로써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소모품을 없게 하여 부품을 교체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기의 분사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종래기술*
2:프레임판 2a:배출공
3:안내판 3a:안내홈
4:슬라이딩봉 4a:패드
4b:실린더 4c:인입공
5:호퍼 5a:인출구
6:압축공기호스 6a:콤프레서
7:분사호스
*본 고안*
10:케이스 20:호퍼
21:인출구 30:회전판
31:공급홈 40:에어호스
41:콤프레서 42:분사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드라이 아이스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부를 좁게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인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인출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외주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상기 인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홈들을 형성하는 원판형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공급홈에 연결하여 그 공급홈에 채워진 드라이 아이스의 자연 낙하되는 것을 압축공기로 배출시켜 주는 에어호스로 구성됨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도, 도2 및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에 설치되고 드라이 아이스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부를 좁게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인출구(21)를 갖는 호퍼(20)와, 상기 호퍼(20)의 인출구(2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외주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상기 인출구(21)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홈(31)들을 형성하는 원판형의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의 공급홈(31)에 연결하여 그 공급홈(31)으로부터 낙하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콤프레서(41)의 압축공기로 배출시켜 주는 에어호스(40)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분사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로 회전판(30)에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면 회전판(30)이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공급홈(31)에 드라이 아이스 입자가 호퍼(20) 인출구(21)로부터 배출되어 채워진다. 공급홈(31)에 채워진 드라이 아이스는 에어호스(40)에 위치되면 낙하한다. 이때 콤프레서(41)에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주면 드라이 아이스는 고속으로 분사되어 세척대상물의 표면에 충돌되어 표면의 이물질층을 초저온 급속 동결시켜 떨어져 나오게 함으로써 깨끗이 세척시켜 준다.
본 고안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퍼(20)는 도3에서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통으로서 상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부를 좁게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1개의 인출구(21)를 갖는다. 종래에는 호퍼에 2개의 인출구를 형성했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1개의 인출구(21)를 형성하여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공급홈(31)으로 공급하여 준다.
회전판(30)은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원판 형태로 외주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공급홈(31)을 형성시켜 호퍼(20)의 인출구(21)로부터 나오는 드라이 아이스를 에어호스(40)로 이송시켜 주는 구조부이다. 회전판(30)이 회전하면서 공급홈(31)이 인출구(21)에 일치될 때 드라이 아이스가 낙하되어 공급홈(31)에 채워진다. 그리고 드라이 아이스가 채워진 공급홈(31)은 에어호스(40)에 위치될 때 호스(40) 내부로 낙하된다. 회전판(30)은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한 회전판(30)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조절하여 회전판(30)의 회전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30)의 속도를 조절하여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되는 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회전판(30)을 천천히 돌리면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량이 적어지고, 회전판(30)을 빨리 돌리면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량이 많아진다. 이를 이용하여 세척대상물의 이물질이 적은 부분은 회전판(30)을 천천히 돌리고 이물질이 많은 부분은 빨리 돌려줌으로서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판(30) 둘레에 형성되는 공급홈(31)의 형태는 도4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는 넓게 되고 축방향으로는 점점 좁게 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을 보여준다. 이는 공급홈(31)에 채워지는 드라이 아이스가 에어호스(40)에 위치될 때 원활하게 낙하되는 장점을 갖는다.
에어호스(40)는 도3에서와 같이, 일측 끝은 콤프레서(41)에 연결되고 그 가운데부분은 회전판(30)의 공급홈(31)에 연결되며 타측 끝은 분사건(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호스(40)는 공급홈(31)에서 낙하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콤프레서(41)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분사건(42)쪽으로 분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는 외주면에 공급홈(31)들이 형성된 원판형의 회전판(30)을 호퍼(20)의 인출구(21) 하부에 설치하여 회전판(30)의 회전에 의해서 드라이 아이스를 에어호스(40)로 이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판(30)의 속도를 조절하여 드라이 아이스의 분사되는 량을 쉽게 조절하여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30)에 의해서 드라이 아이스를 에어호스(40)로 이송시켜 주는 단순한 구조로서, 종래와 같이 소모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부품을 교체해 줄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 및 유지가 편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10) 내에 설치되고 드라이 아이스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상부를 넓게 형성하고 하부를 좁게 형성하며 그 하단부에는 인출구(21)를 갖는 호퍼(20)와,
    상기 호퍼(20)의 인출구(2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외주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상기 인출구(21)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홈(31)들을 형성하는 원판형의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의 공급홈(31)에 연결하여 그 공급홈(31)으로부터 낙하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시켜 주는 에어호스(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홈(31)의 형태는 원주방향으로는 넓게 되고 축방향으로는 점점 좁게 되는 원추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KR2020000007137U 2000-03-14 2000-03-14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KR200193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137U KR200193778Y1 (ko) 2000-03-14 2000-03-14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137U KR200193778Y1 (ko) 2000-03-14 2000-03-14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78Y1 true KR200193778Y1 (ko) 2000-08-16

Family

ID=1964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137U KR200193778Y1 (ko) 2000-03-14 2000-03-14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71A (ko) * 2001-08-31 2003-03-07 태광실업 주식회사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신발용 소재의 세척방법
CN109226104A (zh) * 2018-10-10 2019-01-18 北京德高洁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多晶硅炉盘干式清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71A (ko) * 2001-08-31 2003-03-07 태광실업 주식회사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신발용 소재의 세척방법
CN109226104A (zh) * 2018-10-10 2019-01-18 北京德高洁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多晶硅炉盘干式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7895A (ko) 절삭 공구의 절삭 헤드에 의해 생성된 칩을 제거하기 위한
KR101673270B1 (ko) 분무 살수장치
US52635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with a focused fluid stream
EP0699032B1 (en) Tobacco cur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US52209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with a focused fluid stream
JP2008155135A (ja) 鎖打撃式破砕乾燥機
KR100781588B1 (ko)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CN217807045U (zh) 一种砂石输送带清理装置
KR200193778Y1 (ko)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의 분사구조
KR102054770B1 (ko) 드라이아이스 세정기
KR20140110514A (ko) 컨베이어 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0442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청소장치
CN112517544B (zh) 可控制干冰粒子的干式清洗机
KR100636074B1 (ko) 가변토출 디스크형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JP2009183892A (ja) 洗浄装置とこれを備える粉粒体処理装置
KR100363955B1 (ko) 드라이 아이스 세척기
KR102094527B1 (ko) 소형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TWM498632U (zh) 乾冰清洗設備
KR102059838B1 (ko)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KR102625038B1 (ko) 드라이아이스 입자 조절장치
KR200423107Y1 (ko)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200355153Y1 (ko) 드라이 아이스 세정기의 드라이 아이스 공급장치
KR200218333Y1 (ko) 필터세척장치
KR200403856Y1 (ko) 가변토출 디스크형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KR100545936B1 (ko) 드라이 아이스 세정기의 드라이 아이스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