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16Y1 -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 Google Patents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16Y1
KR200193716Y1 KR2019980002566U KR19980002566U KR200193716Y1 KR 200193716 Y1 KR200193716 Y1 KR 200193716Y1 KR 2019980002566 U KR2019980002566 U KR 2019980002566U KR 19980002566 U KR19980002566 U KR 19980002566U KR 200193716 Y1 KR200193716 Y1 KR 200193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urface portion
mug
milk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633U (ko
Inventor
손익용
Original Assignee
손익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익용 filed Critical 손익용
Priority to KR2019980002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1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커피잔과 우유잔 및 접시를 동시에 진열,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논슬립리브(26)를 구비하는 경사면부(20)가 형성되며, 지면받침부(22)가 형성되는 바닥면부(18)와, 접시가 다수개 적층 수용되게 바닥면부(18)에 형성되며, 접시인출홈(14)이 형성되는 내통체(12)와, 내통체(12)와 동심원을 이루면서 경사면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커피잔 및 우유잔을 포개어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외통체(10)로 구성되는 것으로, 단일체의 쟁반에 다수개의 접시 및 커피잔 그리고 우유잔을 포개어 놓게 됨으로써, 진열 및 보관의 편리함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색인어]
쟁반, 커피잔, 우유잔, 접시, 설탕그릇

Description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본 고안은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커피잔과 우유잔 및 접시를 동시에 진열,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잔은 대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지님과 동시에 어느 일 측벽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커피 접시는 원형의 판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장자리면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외부면에는 각종 무늬 모양 및 문양이 그려져 있다.
종래의 가정에서는 독특한 형상을 지니고 있는 커피잔을 포개어 보관할 수 없어 진열장 및 찬장 등의 선반에 접시와 한 세트로 나란히 진열하거나 또는 접시는 따로 보관하고 잔만 행거등과 같은 걸이 기구에 일일이 하나씩 손잡이를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커피잔과 우유잔 및 접시를 동시에 진열,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둘레면의 가장자리가 완만하게 상향 경사짐과 아울러 등간격으로 논슬립리브를 구비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며, 저면에 지면 받침부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원형판상의 바닥면부; 접시가 다수개 적층 수용되게 상기 바닥면부의 상부로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어느 일 측벽에 상기 접시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는 접시인출홈이 형성되는 내통체; 및 상기 내통체와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면부의 가장자리에 수직 상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커피잔 및 우유잔을 포개어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외통체를 포함하는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측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체 12 : 내통체
14 : 접시인출홈 16 : 접시수용홈
18 : 바닥면부 20 : 경사면부
22 : 지면받침부 24 : 보강리브
26 : 논슬립리브 30 : 접시
32 : 커피잔 34 : 우유잔
36 : 설탕그릇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및 제2도 그리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은 바닥면부(18)와, 내통체(12)와 외통체(10)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철, 스텐레스, 주석, 나무 또는 동등의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바닥면부(18)는 원형의 판체로 둘레면의 가장자리가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부(20)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저면에 역시 동심원을 이루는 지면받침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부(20)의 상부면에는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논슬립리브(26)가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면받침부(22)는 원형의 보강리브(2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논슬립리브(26)는 커피잔 및 우유잔이 구르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통체(12)는 상기 바닥면부(18)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이룸과 동시에 일정한 높이를 지니면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접시 수용홈(16)이 형성되며, 어느 일 측벽에 접시 인출홈(14)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내통체(12)는 원통체로 어느 일 측벽에 같은 높이를 지니게 되는 접시 인출홈(14)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은 상기 바닥면부(18)가 구비되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통체(10)는 상기 바닥면부(18)의 경사면부(20) 둘레면에 수직 상향되게 돌출 형성되고, 그 높이는 상기 내통체(12) 보다는 낮게 하여 형성되며,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수평면을 이루는 바닥면부(18)의 가장자리에 동심원을 이루면서 경사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부(18)와 상기 경사면부(20)의 둘레면에 동심원을 이루게 되는 내통체(12)와 외통체(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4도 도시와 같이 상기 내통체(12)의 접시 수용홈(16)으로는 다수개의 접시(30)를 수용 적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최 상부의 접시에는 설탕 그릇(36) 등을 올려놓을 수 있고, 상기 내통체(12)의 외부벽과 외통체(10)의 내부벽 사이공간에는 커피잔(32) 및 우유잔(34)을 포개어 나란히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피잔(32)들은 개방면의 둘레면이 상기 경사면부(20)의 논슬립돌기(26)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됨과 아울러 하부면이 상기 내통체(12) 외부벽 또는 바닥면부(18)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12)의 접시 수용홈(16)에 적층 수용된 접시(30)들은 내통체(12)의 어느 일 측벽에 형성된 접시 인출홈(14)을 통해 손가락을 넣어 편리하게 하나씩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일체의 쟁반에 다수개의 접시 및 커피잔 그리고 우유잔을 포개어 놓게 됨으로써, 진열 및 보관의 편리함으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둘레면의 가장자리가 완만하게 상향 경사짐과 아울러 등간격으로 논슬립리브(26)를 구비하는 경사면부(20)가 형성되며, 저면에 지면받침부(22)가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원형판상의 바닥면부(18)와; 접시가 다수개 적층 수용되게 상기 바닥면부(18)의 상부로 동심원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어느 일 측벽에 상기 접시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는 접시인출홈(14)이 형성되는 내통체(12)와; 상기 내통체(12)와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면부(20)의 가장자리에 수직 상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커피잔 및 우유잔을 포개어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외통체(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KR2019980002566U 1998-02-26 1998-02-26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KR200193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566U KR200193716Y1 (ko) 1998-02-26 1998-02-26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566U KR200193716Y1 (ko) 1998-02-26 1998-02-26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33U KR19990036633U (ko) 1999-09-27
KR200193716Y1 true KR200193716Y1 (ko) 2000-09-01

Family

ID=1953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566U KR200193716Y1 (ko) 1998-02-26 1998-02-26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33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065A (en) Molded tray for holding different size containers
US6585119B2 (en) Modular storage system for multiple stacks
US4951832A (en) Multi-functional space saving container system
US3385465A (en) Canister set
US3870156A (en) Modular wine bottle rack
US2352684A (en) Serving plate
US5183165A (en) Kitchen storage unit
US4305511A (en) Utensil storage device
US9211009B2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varying shaped and sized spice bottles or containers
US3768710A (en) All purpose carrier
US20030034317A1 (en) Modular test tube rack
US2978285A (en) Revolvable tray
CA2736328C (en) Cup and bowl carrier
US20110253711A1 (en) Tiered Container
US6398056B1 (en) Tipping-resistant cup holding tray
US4615443A (en) Beverage bottle package display system
JPH02309916A (ja) 多数の円筒形容器を保持しかつ展示する装置
US2041563A (en) Sanitary tumbler cover and coaster
US4919278A (en) Holder for containers and covers
US6135296A (en) Cup holder
US4991811A (en) Compactly stackable cake platters
US2826333A (en) Device for vertically storing refrigerator containers
US2294657A (en) Serving dish
KR200193716Y1 (ko) 커피세트 진열용 쟁반
CN103688120B (zh) 具有可拉出的容器的制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