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00Y1 -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 Google Patents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00Y1
KR200193700Y1 KR2020000009095U KR20000009095U KR200193700Y1 KR 200193700 Y1 KR200193700 Y1 KR 200193700Y1 KR 2020000009095 U KR2020000009095 U KR 2020000009095U KR 20000009095 U KR20000009095 U KR 20000009095U KR 200193700 Y1 KR200193700 Y1 KR 200193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chai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희성
Original Assignee
권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성 filed Critical 권희성
Priority to KR2020000009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2083/025Computer workstation with integrated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구성됨과 아울러, 별도의 주변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가상현실감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to be configured in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and to realize a virtual reality without having a separate peripheral device.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착좌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의자부(2)에 본체설치프레임(22)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설치프레임(22)에 삽탈 가능하도록 컴퓨터 본체(20)이 구비되고, 상기 의자부(2) 시이트쿠션(12)의 전단부 상측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입력장치(30)가 구비되고, 상기한 입력장치(3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의자부(2)의 소정 부위로부터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이 결합되고,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한 상태로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이 연장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에 화상출력장치(60) 및 음향출력장치(62)(64)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이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 고정되도록 조작되는 레귤레이터(8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가 제공된다.In order to realiz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22 is coupled to the chair portion 2 provided in a seatable form, and the computer main body 20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22. An input device 3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ront end of the seat portion 2 of the seat cushion 12,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hair portion 2 is provided for installation of the input device 30. The input device mounting frame 32 is coupled to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is provided in an extended state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seat back 16. The image output device 6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62, 64 are provided at the 66, and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is operated to rotate and fix the position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sheet back 16. Chair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ulator 80 is provided A personal computer is provided.

Description

의자형 퍼스널컴퓨터{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본 고안은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리한 착좌가 가능한 의자에 퍼스널컴퓨터를 조합시킨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in which a personal computer is combined with a chair capable of convenient seating.

퍼스널컴퓨터(P.C:Personal computer)는 그 용도 및 형태, 그리고 용량에 따라 랩탑형 및 데스크탑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우선 노트북과 같은 랩탑형 퍼스널컴퓨터는 휴대 가능한 형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2) 및 입력장치(154)와, 이러한 본체(152) 및 입력장치(154)에 힌지 결합된 출력장치(158)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Personal computer (PC) can be classified into laptop type and desktop type according to its use and type, and capacity. First of all, a laptop type personal computer such as a notebook is a portable type,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152 and the input device 154 and the output device 158 hinged to the main body 152 and the input device 154 are integrally formed.

또, 상기 데스크탑형 퍼스널컴퓨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데스크 상에 놓이는 본체(152)와,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출력장치(158)로서의 모니터, 그리고 입력장치(154)(156)로서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esktop personal computer includes a main body 152 placed on a desk as shown in FIG. 2, a monitor as an output device 158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154, 156, and It consists of a mous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랩탑형 퍼스널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퍼스널컴퓨터는 소정 탁자 및 의자 등을 필요로 하게 되며, 별도의 주변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한 가상현실감을 실현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laptop-type personal computer and desktop-type personal computer require a predetermined table and chair, etc., and have a disadvantage in that virtual reality cannot be realized unless a separate peripheral device is provid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탁자가 필요없는 구조로 착좌 가능한 의자와 조합되며, 별도의 주변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가상현실감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 chair that can be seat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predetermined table, to realize a virtual reality without having a separate peripheral device It is to provide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that can be used.

도 1은 종래 랩탑형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conventional laptop personal computer,

도 2는 종래 데스크탑형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for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esktop personal computer;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에 적용된 레귤레이터의 일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5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a part of a regulator applied to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에 적용된 트레이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Figure 5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tray applied to the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에 적용된 입력장치 설치프레임의 록킹수단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Figure 5c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of the input device mounting frame applied to the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과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의 각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for illustrat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의자부2: chair

4 : 다리4: leg

6 : 중앙지지대6: center support

8 : 바퀴8: wheels

10 : 분기지지대10: branch support

12 : 시이트쿠션12: seat cushion

16 : 시이트백16: sheet bag

18 : 시이트백의 프레임18: the seat back frame

20 : 컴퓨터 본체20: computer body

22 : 본체설치프레임22: main body mounting frame

30 : 입력장치30: input device

32 :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 input device mounting frame

34, 36 : 세로부재34, 36: vertical member

38, 40 : 가로부재38, 40: horizontal member

42 : 트레이42: tray

44 : 물림홈44: bite groove

45, 47 : 볼45, 47: Ball

48, 50 : 압축스프링48, 50: compression spring

52, 54 : 볼홈52, 54: ball groove

60 : 화상출력장치60: image output device

62, 64 : 음향출력장치62, 64: sound output device

66 :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8, 70, 72, 74 : 브라켓68, 70, 72, 74: bracket

80 : 레귤레이터80: regulator

82, 84 : 톱니바퀴82, 84: cog wheels

86 : 물림편86: bleeding

88 : 가이드88: guide

90, 92 : 케이블90, 92: cable

94, 96 : 와이어94, 96: wire

98 : 와이어 고정편98: wire fixing piece

100 : 조작봉100: operating r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리와 시이트쿠션 및 시이트백으로 구성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소정 부위에 결합된 본체 설치프레임과, 상기 본체 설치프레임에 삽탈되도록 구비되는 컴퓨터 본체와, 시이트쿠션의 전단부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거나 제껴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입력장치와, 상기한 입력장치가 시이트쿠션의 전단부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거나 제껴놓을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의자부의 소정 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입력장치 설치프레임과, 상기 시이트쿠션에 착좌한 사용자의 시점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화상출력장치와, 상기 시이트쿠션에 착좌한 사용자의 귀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음향출력장치와, 상기한 화상출력장치가 사용자의 시점에 상응하여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사용자의 귀 부위에 상응하여 위치되게 할 수 있게 하거나 상측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시이트백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한 상태로 연장되어지는 출력장치 설치프레임과, 상기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이 상기 시이트백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조작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unit comprising a leg,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a main body mounting fram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hair unit, a computer main body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An input device which is installed to be fixed or aside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input device is predetermin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An in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hair portion so as to be fixed or agitated so as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chair, and to be positioned above the viewpoint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cush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And an image output devic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heet cushion. An audio output device disposed at an ear portion of a user seat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viewpoint, and the sound output apparatus is placed at an ear portion of the user. An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extending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sheet bag so as to be correspondingly positioned or shifted upwardly,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and position can be fixed, and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sheet bag; Provided is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comprising a regulator which is operated to enable rotation and fixation of a position from the center.

또한, 상기한 본체 설치프레임이, 시이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중앙지지대 하단으로부터 분기 상태로 연장되고 각각 구름 가능한 바퀴를 갖게 된 다수의 분기지지대에 일측이 개방된 함체가 일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is a structure in which an enclosure having one side open to a plurality of branch supports, which extend in a branched state from a lower end of the center support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cushion, and which has a cloudable wheel, respectively. It provides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입력장치 설치프레임이, 상기 시이트쿠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세로부재와, 상기 시이트백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되며 그 전방 단부가 상기 세로부재의 상측단과 각각 연장되어 암레스트를 이루게 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와, 일측의 상기 세로부재 상단부에 그 일측부위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 상단부에 결합 및 결합해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가 평탄하게 안착 설치될 수 있는 평판형태로 형성 및 구비되는 트레이와, 상기한 트레이의 타측 부위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 상단부에 결합 및 결합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mounting frame includes a pair of vertical members each extended to fac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at cushion, and each of the vertical members extends for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seat back. A pair of horizontal members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to form an armrest, and one side portion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upled to and disassemb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on the other side. And a tray formed and provided in a flat shape in which the input device can be seated and installed flatly, and locking means for allowing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tray to be coupled and disengag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on the other side. A chair type personal computer is provided.

상기한 록킹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타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물리게 되는 형태로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세로부재에 물림홈이 파이고, 이러한 물림홈 주변 의 마주하는 양단면에 부분 노출되도록 돌출되거나 탄력적으로 요입될 수 있는 볼이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상태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타단이 타측 세로부재의 물림홈에 물리게 될 때 상기 볼의 노출 부분이 요입 안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 타단의 상,하면에 볼홈이 파인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means is a bite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vertical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ray is partially bite, protruding or elastically recessed so as to partially expose the opposite end face around the bite groove Balls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compression spring, respectively, and the ball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tray so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ball can be seated when the other end of the tray is bitten into the bite groove of the other vertical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ne structure.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이, '??'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이 상기 시이트백의 프레임 상단 양측에 각각 위치 고정되고, 그 중앙단으로 화상출력장치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브라켓이 구비되며, 그 양단으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장착이 가능한 다른 브라켓이 각각 구비된 절곡파이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is bent in a '??'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of the seatback, and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devices can be mounted at the center end thereof. It is provided with two brackets, both ends of which provides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ipe is provided with a different bracket for mounting the sound output device.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레귤레이터가, 상기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어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의 양단과 함께 시이트백의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방향 톱니의 걸림면 방향이 대치되도록 배치되어 일체화된 한 쌍의 톱니바퀴와, 상기 한 쌍의 톱니바퀴에 선택적으로 물리거나 물림해제될 수 있게 구비되는 물림편과, 상기 물림편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력을 발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물림편의 위치 이동 구간을 한정하고 위치의 이동 작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물림편이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이트백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가이드와, 그 자체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한 그 자체의 와이어 일단부가 상기 물림편의 양 이동방향에서 물림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그 자체의 와이어 타단이 상기한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의 내부 위치에서 연결되고 상기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을 이루는 절곡파이프의 마주하는 슬롯을 관통하여 절곡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고정편과, 상기 절곡파이프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절곡파이프와 중첩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편의 양단이 그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ulator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and hinged to the frame of the seatback together with both ends of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and arranged so that the engagement surface direction of the one-way teeth is replaced. A pair of cog wheels, a bite piece provided to be selectively snapped or released by the pair of cog wheels, a spring member provided to resiliently return the bite piece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bite piece of The gripping piece is coupled so as to limit the position moving section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and in this state, the guide provid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rame of the seatback and its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spring force are possible. One end of its own wir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bite piece in both moving directions of the bite piece. A cable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of the cable itself may be connected at an internal position of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and may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pipe through the opposing slots of the bending pipe constituting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Comprising a wire fixing piece provided, and an operating rod overlapping with the bending pipe so as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pipe and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wire fixing piece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chair type personal computer is provided.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출력장치 설치프레임에 화상출력장치 전방의 좌,우측을 선택적으로 부분 차폐시켜 화면을 타인이 볼 수 없게 하기 위한 커텐이 더욱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rtain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image output device to prevent others from seeing the screen. do.

이하, 종래에서와 동일한 부분으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like part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의자부(2)와, 컴퓨터 본체(20)와, 이의 장착을 위한 본체설치프레임(22)과, 컴퓨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장치(30)와, 이의 설치를 위한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과, 컴퓨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상출력장치(60) 및 음향출력장치(62)(64)와, 이들의 설치를 위한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과,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의 위치 조정을 위한 레귤레이터(80)로 구성되어 있다.3 and 4,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ir unit 2, a computer main body 20, a main body installation frame 22 for mounting thereof, and a computer main body 20. An input device 30, an in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32 for installation thereof, an image output device 60 and an audio output device 62, 64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20, and their An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for installation and a regulator 80 for position adjustment of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즉, 상기한 의자부(2)는 다리(4)와 시이트쿠션(12) 및 시이트백(16)으로 구성된 종래에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의자부(2)의 다리(4) 부분에 상기 본체설치프레임(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chair part 2 has a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composed of the leg 4, the seat cushion 12, and the seat bag 16, and the leg 4 part of the chair part 2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22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본체설치프레임(22)은, 상기 시이트쿠션(12)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다리(4)의 중앙지지대 하단으로부터 분기 상태로 연장되고 각각 구름 가능한 바퀴(8)를 갖게 된 다수의 분기지지대에 양측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것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설치프레임(22)에 상기 컴퓨터 본체(20)가 삽탈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22 as described above extends in a branched state from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upport of the leg 4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cushion 12, and each of the wheels 8 capable of rolling.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orm of the enclosure open to the plurality of branch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mounting frame 22 is to be provided so that the computer main body 20 can be removed.

한편, 상기 입력장치(30)는 상기 컴퓨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에 의해 시이트쿠션(12)의 전단부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거나 제껴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은, 한 쌍의 세로부재(34)(36) 및 가로부재(38)(40)가 암레스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부재(34)(36)에 여닫히도록 결합되는 평판형의 트레이(42) 및 이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록킹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device 30 is fix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12 by the input device mounting frame 32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with the computer main body 20 or It is provided so as to be aside, such an input device mounting frame 32, a pair of vertical members 34, 36 and horizontal members 38, 40 is to form an armrest, the vertical member ( 34) is provided with a tray 42 of the plate type coupled to open and close and the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thereof.

즉, 상기 한 쌍의 세로부재(34)(36)가 시이트쿠션(12)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부재(38)(40)가 시이트백(16)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되며, 그 전방 양측 단부가 상기 세로부재(34)(36)의 상측단과 각각 연장되어 암레스트를 이루게 된 것이다.That is,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34 and 36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seat cushion 12 upward,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horizontal members 38 and 40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sheet bag 16. Each of them extends toward the front, and both front ends thereof extend with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to form armrests.

또, 상기 트레이(42)는 입력장치(30)인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이 얹힐 수 있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상기 세로부재(34)(36) 상단부에 그 일측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도 5b 참조), 그 타측 부위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4)(36) 상단부에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결합 및 결합해체 가능하여 시이트쿠션(12)의 전단부 상측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거나 여는 형태로 밀어 제껴놓을 수 있다(도 5b 참조).In addition, the tray 42 is formed of a flat plate on which a keyboard, a mouse,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devices 30, may be mounted, and one side portion thereof is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on one side ( 5b), and the other side thereof can be engaged and disengaged by the locking means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on the other side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12. It can be pushed aside in a fixed or open form (see FIG. 5B).

또, 상기 록킹수단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6)에 물림홈(44)이 파이고, 복수개의 볼(45)(47) 및 압축스프링(48)(50)이 구비되며, 트레이(42) 타단의 상,하면에 볼홈(52)(54)이 파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5c 참조).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has a bite groove 44 in the vertical member 36 of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balls 45, 47 and compression springs 48, 50 are provided, the tray 42 Ball grooves 52 and 54 have a fine structur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ther end (see FIG. 5C).

즉, 상기 트레이(42)의 타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물리게 되는 형태로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6)의 물림홈(44)에 드나들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볼(45)(47)이 압축스프링(48)(50)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물림홈(44) 주변의 마주하는 양단면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돌출되거나 탄력적으로 요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42) 타단이 타측 세로부재(36)의 물림홈(44)에 물리게 될 때 상기 볼(45)(47)의 노출 부분이 트레이(42) 타단의 상,하면에 볼홈(52)(54)에 요입 안착됨으로써,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6)의 물림홈(44)에 물린 트레이(42)의 타측 단부 고정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도 5c 참조).That is, the other end of the tray 42 is partially bitten so as to be able to enter the biting groove 44 of the vertical member 36 on the other side, and the balls 45 and 47 are compressed springs ( 48) (50) can be protruded or elastically indented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pposite end surface facing the bleed groove 44, the other end of the tray 42 is the other vertical member (36) When the biting groove 44 of the ball 45, 47 is exposed portion of the ball grooves 52, 54 are seat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ray 42,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 The other end fixed state of the tray 42 bitten by the bite groove 44 of 36 is temporarily maintained (refer FIG. 5C).

또한, 상기 화상출력장치(60)는 시이트쿠션(12)에 착좌한 사용자의 시점에 위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평판디스플레이어로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음향출력장치(62)(64)는 시이트쿠션(12)에 착좌한 사용자의 귀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스피커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device 60 is a flat panel display positioned at the viewpoint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cushion 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62 64 is a plurality of speakers disposed on the ear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cushion 12 and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20.

또한, 이와 같은 화상출력장치(60) 및 음향출력장치(62)(64)를 사용자의 각 해당 부위에 상응하여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은, 상기 화상출력장치(60)를 사용자의 시점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측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한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레귤레이터(80)에 의해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조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device 6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62, 64,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to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user, the image output device ( It is extended from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heet back 16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user's point of view or to be moved upward, the state can be rotated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the regulator 80 It can be adjusted to enable rotation and fixation of the position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bag 16.

즉, 상기한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은, '??'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이 상기 시이트백(16)의 프레임(18) 상단 양측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절곡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곡파이프의 중앙단으로 화상출력장치(60)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브라켓(68)(70)이 구비됨과 아울러, 절곡파이프의 양단으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62)(64)의 장착이 가능한 다른 브라켓(72)(7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is a bent pipe which is bent in a '??'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positions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frame 18 of the seat back 16. A plurality of brackets 68 and 70 are provided at the center end of the bending pipe to enable the image output device 60 to be mounted, and the sound output devices 62 and 64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bending pipe. Each of these possible brackets 72 and 74 is provided.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80)는, 한 쌍의 톱니바퀴(82)(84)와, 물림편(86)과 스프링부재(87) 및 가이드(88)와 케이블(90)(92), 상기 케이블(90)(92)의 와이어(94)(96) 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편(98) 및 조작봉(10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gulator 80 also includes a pair of cog wheels 82 and 84, a bite piece 86, a spring member 87, a guide 88, a cable 90 and 92, and the cable ( It consists of the wire fixing piece 98 and the operating rod 100 to which the wire 94 and 96 ends of the 90 and 92 are connected.

즉, 상기 한 쌍의 톱니바퀴(82)(84)는, 상기한 절곡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이와 함께 상기 시이트백(16)의 프레임(18)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방향 톱니의 걸림면 방향이 대치되도록 배치되어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pair of cog wheels 82 and 84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bent pipe, respectively, and hinged to the frame 18 of the sheet bag 16, and the engagement surface direction of the one-tooth teeth is fixed.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substitute and is formed in the integrated form.

또, 상기 물림편(86)은 상기한 한 쌍의 톱니바퀴(82)(84)에 선택적으로 물릴 수 있는 판형태로 형성 및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88)는 물림편(86)의 위치 이동 구간을 한정하고 위치의 이동 작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물림편(86)이 결합됨과 아울러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이트백(16)의 프레임(18)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도 5a 참조).In addition, the bite piece 86 is form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that can be selectively snapped to the pair of cog wheels 82, 84, the guide 88 is the position of the bite piece 86 In order to define the movement section and guide the movement action of the position, the bite piece 86 is coupled and provid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to the frame 18 of the seatback 16 in this state (see FIG. 5A). ).

또, 상기 스프링부재(87)는, 상기한 물림편(86)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력을 발하도록 물림편(86)을 탄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88)에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87 is incorporated in the guide 88 in a state in which the bite piece 86 is held so as to give elasticity for returning the bite piece 86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케이블(90)(92)은 와이어(94)(96)가 외피에 유동 가능한 구조로 내재되고, 작용력이 제거된 후 상기 와이어(94)(96)가 스프링의 탄력으로 원상 복귀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ble (90, 92) is inherent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re 94, 96 can flow in the outer shell, and after the action force is removed, the wire (94) (96)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pring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t is in the usual structure.

또, 상기한 와이어(94)(96) 일단부들이 상기 물림편(86)의 양 이동방향에서 물림편(86)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90)(92)의 각 와이어(94)(96) 타단이 상기한 절곡파이프 내부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편(98)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each of the wires 94 and 96 is connected to the biting piece 86 in both moving directions of the biting piece 86, and the wires 94 of the cables 90 and 92 respectively. (96) The other end is connected with the said wire fixing piece 98 in the direction which faces in the position inside the said bending pip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을 이루는 절곡파이프의 소정 부위에는 적어도 한 쌍의 슬롯(S)이 마주하는 위치에 뚫려 있으며, 이러한 슬롯(S)을 상기 고정편(98)이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조작봉(100)의 내주면에 고정편(98)의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ending pipe constituting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is drilled at a position where at least one pair of slots S face each other, and the slot S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piece 98. Both ends of the fixing piece 98 ar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100.

또, 상기 조작봉(100)은 절곡파이프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절곡파이프와 중첩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봉(100)이 좌,우로 위치 이동될 때 와이어 고정편(98)이 슬롯(S)에서 함께 위치 이동되어 케이블(90)(92)의 와이어(94)(96)를 각각 선택적으로 당겨 그 조작력을 상기한 물림편(86)에 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rod 100 is overlapped with the bending pipe so as to slide and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pipe, the wire fixing piece 98 when the operation rod 10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user ) Are moved together in the slot S to selectively pull the wires 94 and 96 of the cables 90 and 92, respectively, to apply the manipulation force to the bite 86 described above.

이러한 구성에 따라 화상출력장치(60)가 상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있고, 또 입력장치(30)가 열려 제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이트쿠션(12)에 착좌하게 되며, 트레이(42)를 회동시켜 타측의 세로부재(36)에 물려 고정시키고, 레귤레이터(80)를 조작하여 화상출력장치(60)를 시점의 위치로 고정시켜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image output device 60 is moved upward and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cushion 12 while the input device 30 is opened, and the tray 42 is rotated and the other side is rotated. The vertical output member 60 is bitten and fixed, and the regulator 80 is operated to fix the image output device 60 to the position of the viewpoint.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에 화상출력장치(60) 전방의 좌,우측을 선택적으로 부분 차폐시켜 화면을 타인이 볼 수 없게 하기 위한 커텐(102)(104)이 더욱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curtain 102 and 104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image output device 60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so that others cannot see the screen are provided.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도 7은 다리(4)가 적어도 4개의 위치 이동 불가능한 고정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의자부(2)의 시이트쿠션(12)의 하부에서 본체설치프레임(22)이 서랍식으로 여닫히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본체설치프레임(22)의 일측으로 구름 가능한 다른 바퀴(9)를 갖는 다른 2개의 다리(5)를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의자부(2)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와 같은 컴퓨터 본체(20)와 입력장치(30),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 화상출력장치(60) 및 음향출력장치(62)(64),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 그리고 레귤레이터(80) 및 커텐(102)(104) 등을 조합시킨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7 shows that the leg 4 is fixed to at least four positions which cannot be moved, and the main body installation frame 22 is opened and cl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12 of the chair part 2. Computer body as in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chair part 2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wo other legs 5 having different wheels 9 which can be rolled to one side of the body mounting frame 22 are joined. 20, input device 30, in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32, image output device 60 and sound output device 62, 64,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and regulator 80 and curta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102) (104) and the like is combined, is show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형 퍼스널컴퓨터는, 소정 탁자가 필요없는 착좌 가능한 의자와 조합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구조의 컴팩트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주변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가상현실감을 실현시킬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type personal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with a seatable chair that does not require a predetermined table,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expect compactness of th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irtual reality can be realized without having.

Claims (4)

착좌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의자부(2);A chair unit 2 provided in a seatable form; 상기 의자부(2)에 결합된 본체설치프레임(22);A main body mounting frame 22 coupled to the chair part 2; 상기 본체설치프레임(22)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컴퓨터 본체(20);A computer main body 20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installation frame 22; 상기 의자부(2) 시이트쿠션(12)의 전단부 상측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입력장치(30);An input device (3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ront end of the chair portion (2) seat cushion (12); 상기한 입력장치(3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의자부(2)의 소정 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An in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32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hair part 2 for installation of the input device 30;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의 고정이 가능한 상태로 연장되어지는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An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extending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sheet back (16) in such a way as to be rotatable and fixed in position; 상기 시이트쿠션(12)에 착좌한 사용자의 시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에 설치되는 화상출력장치(60);An image output device (60) installed in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viewpoint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cushion (12); 사용자의 귀 부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에 설치되는 음향출력장치(62)(64);Sound output devices (62) (64) installed on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frame (66) so as to be disposed on a user's ear;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이 상기 시이트백(16)의 양측 상부로부터 회동 및 위치 고정되도록 조작되는 레귤레이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And a regulator (80) operable to rotate and position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from both upper portions of the seat back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장치설치프레임(32)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mounting frame 32, 상기 시이트쿠션(12)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세로부재(34)(36);A pair of longitudinal members 34 and 36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eat cushion 12 upwardly; 상기 시이트백(16)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도록 각각 연장되며 그 전방 단부가 상기 세로부재(34)(36)의 상측단과 각각 연장되어 암레스트를 이루게 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38)(40);A pair of horizontal members 38 and 40 extending from the both sides of the sheet bag 16 toward the front, respectively, and the front ends of which exten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to form armrests. ; 일측의 상기 세로부재(34)(36) 상단부에 그 일측부위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4)(36) 상단부에 결합 및 결합해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30)가 평탄하게 안착 설치될 수 있는 평판형태로 형성 및 구비되는 트레이(42);The one side portion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and disassemb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on the other side. Tray 42 is form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at can be installed flatly; 상기한 트레이(42)의 타측 부위가 타측의 상기 세로부재(34)(36) 상단부에 결합 및 결합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And a locking means for allowing the other side of the tray 42 to be coupled and disengag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s 34 and 36 on the oth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이 상기 시이트백(16)의 프레임 상단 양측에 각각 위치 고정되고,Bent in the form of a '??'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of the sheet back 16, 그 중앙단으로 화상출력장치(60)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브라켓(62)(64)이 구비되며,At the center end thereof, a plurality of brackets 62 and 64 are provided to enable the image output device 60 to be mounted thereon. 그 양단으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62)(64)의 장착이 가능한 다른 브라켓(66)(68)이 각각 구비된 절곡파이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A chair-type personal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is made of bending pipes provided with different brackets (66) (68) for mounting the sound output devices (62, 6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레귤레이터(80)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gulator (80)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의 양단에 고정되어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의 양단과 함께 시이트백(16)의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그 일방향 톱니의 걸림면 방향이 대치되도록 배치되어 일체화된 한 쌍의 톱니바퀴(82)(84);As long as it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and hinged to the frame of the seat back 16 together with both ends of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the one-sided tooth is disposed so as to replace the engaging surface direction Pair of cog wheels 82, 84; 상기 한 쌍의 톱니바퀴(82)(84)에 동시 물림 및 선택적인 별도 물림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물림편(86);A bite piece 86 provided at the pair of cog wheels 82 and 84 to be moved to allow simultaneous bite and optional separate bite; 상기 물림편(86)의 위치 이동 구간을 한정하고 위치의 이동 작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물림편(86)이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이트백(16)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가이드(88);Guide provid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to the frame of the sheet back 16 is coupled to the bite piece 86 is coupl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to limit the position movement section of the bite piece (86) 88; 그 자체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한 그 자체의 와이어(94)(96) 일단부가 상기 물림편(86)의 양 이동방향에서 물림편(86)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케이블(90)(92);A pair of wires 94, 96, one end of which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spring force, is connected to the bite pieces 86 in both moving directions of the bite piece 86, respectively. Cables 90 and 92; 상기 한 쌍의 케이블(90)(92) 그 자체의 와이어(94)(96) 타단이 상기한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의 내부 위치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출력장치설치프레임(66)을 이루는 절곡파이프의 마주하는 슬롯(S)을 관통하여 절곡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고정편(98);The other ends of the wires 94 and 96 of the pair of cables 90 and 92 are respectively connected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internal positions of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and the output device mounting frame 66. A wire fixing piece (98) provid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pipe by passing through the slots (S) of the bending pipe forming a); 상기 절곡파이프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절곡파이프와 중첩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편(98)의 양단이 그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봉(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형 퍼스널컴퓨터.Composed overlapping with the bending pipe so as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ding pipe, and in this state comprises an operating rod 100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of the wire fixing piece 98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Chair-type personal computer.
KR2020000009095U 2000-03-30 2000-03-30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KR2001937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95U KR200193700Y1 (en) 2000-03-30 2000-03-30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95U KR200193700Y1 (en) 2000-03-30 2000-03-30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00Y1 true KR200193700Y1 (en) 2000-08-16

Family

ID=1964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95U KR200193700Y1 (en) 2000-03-30 2000-03-30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0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1A (en) * 2001-02-13 2002-08-21 학교법인 호서학원 A chair for comp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1A (en) * 2001-02-13 2002-08-21 학교법인 호서학원 A chair for compu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0294B2 (en) Head mounting mechanism and head mount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367027A1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US10973723B2 (en) Dental treatment machine with a retractable backrest for children
TW200523720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980566B1 (en)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with flexible
JP4176462B2 (en) Chair headrest device
KR200193700Y1 (en) Personal computer of chair type
KR100995197B1 (en) Combined Chair for Computer
KR20210155558A (en) Element implementing multi channel sound system for chair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0865274B1 (en) Desk
TWM623033U (en) Lumbar pillow supporting force adjusting structure and seat
JP2002119347A (en) Chair
KR200278701Y1 (en) multimedia chair system
JP2016067851A (en) Support tool
JP7322660B2 (en) Screen manufacturing method and screen
JP4659435B2 (en) A chair and a combination of this and a desk
JPH09299186A (en) Armrest for chair
US20240115050A1 (en) Arm support
JPH09313301A (en) Armrest device for chair
JP6797453B1 (en) Chair with linkage
KR100615049B1 (en) two side screen display
CN220713429U (en) Deyu psychological dispersion auxiliary chair
KR102545154B1 (en) 3D Motion Chair
JP2000175749A (en) Desk panel device
CN1476800A (en) Integrated multimedia compute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