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605Y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605Y1
KR200193605Y1 KR2019980001729U KR19980001729U KR200193605Y1 KR 200193605 Y1 KR200193605 Y1 KR 200193605Y1 KR 2019980001729 U KR2019980001729 U KR 2019980001729U KR 19980001729 U KR19980001729 U KR 19980001729U KR 200193605 Y1 KR200193605 Y1 KR 200193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rain
refrigerator
ho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000U (ko
Inventor
양승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1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60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각실내에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을 지지하며,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와; 상기 배수구에 접속되는 가요성의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안내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트레이에 고인 물을 배출할 때, 냉각실 내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실의 트레이에 고인 물의 배출시, 냉각실 내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냉장고의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1)내에 냉각실인 냉장실(121)과 냉동실(111)을 형성하며, 본체(101)의 전면에는 냉장실(121) 및 냉동실(111)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냉장실도어(141) 및 냉동실도어(131)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21)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다수의 지지선반(123)이 설치되어 있고, 냉장실(121)내의 상부에는 육류, 생선 및 김치등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레이(15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영역에 고인 물을 배출시키는 집수용기(163) 및 안내관(161)이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151)는 거의 사각판형의 물품수용부(153)와, 물품수용부(153)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연장된 가이드부(15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151)의 전방에는 냄새의 유출 및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트레이도어(159)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수용부(153)에는 상측에 육류 및 생선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물품수용부(153)의 기준면에 대하여 소정의 폭을 함몰관통되어 있는 배수구(157)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57)는 물품수용부(153)에 고인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부(155)는 물품수용부(153)에 수용된 물품 및 고인 물의 측면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가이드부(155)의 하부영역에는 외부 양측벽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냉장실(121)의 양측벽에는 슬라이딩돌기(171)가 형성되어 있어서, 트레이(151)가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다.
집수용기(163)는 배수구(157)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구(153)로부터 낙수된 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집수용기(163)는 냉장실(121)의 후벽면에 접촉고정되며, 하측 영역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실(121)의 후벽면에는 후벽면에서 연장하여 후방으로 향하는 안내관(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관(161)은 집수용기(163)에 낙수된 물을 드레인호스(165)로 전달해 준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트레이(151)가 전후 슬라이딩 이송될 경우에, 트레이(151)의 배수구(157)로부터 낙수된 물이 냉장고 본체(101)의 내부로 유출될 수 있어서, 악취 및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트레이가 전후 슬라이딩 이송될 경우에도, 트레이의 배수구로부터 낙수된 물이 냉장실 내부로 유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가 전방으로 이동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냉장고의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냉동실
21 : 냉장실 23 : 지지선반
25 : 슬라이딩돌기 31 : 냉동실도어
41 : 냉장실도어 51 : 트레이
53 : 물품수용부 55 : 가이드부
57 : 배수구 61 : 호스가이드
63 : 안내관 65 : 배수호스
67 : 드레인호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각실내에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을 지지하며,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와; 상기 배수구에 접속되는 가요성의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안내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냉각실의 일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관의 입구측에 깔때기형상의 호스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가이드는 상기 냉각실의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호스가이드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내에 냉각실인 냉장실(21)과 냉동실(11)을 형성하며, 본체(1)의 전면에는 냉장실(21) 및 냉동실(11)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냉장실도어(41) 및 냉동실도어(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21)과 냉동실(11)내에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선반(23)이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어(31, 41)의 내측에는 병류나 계란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가드(4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21)내의 상부에는 육류, 생선 및, 김치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트레이(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가 전방으로 이동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1)에는 트레이(51)에 고인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65)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호스(65)는 내상에 설치된 호스가이드(61) 및 안내관(63)에 소정의 길이가 수용되어 있다.
트레이(51)는 거의 사각판형의 물품수용부(53)와, 물품수용부(53)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연장된 가이드부(5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51)의 전방에는 냄새의 유출 및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트레이도어(27)가 상측을 축으로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품수용부(53)에는 상측에 육류 및 생선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물품수용부(53)의 기준면에 대하여 소정의 폭을 함몰관통되어 있는 배수구(57)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구(57)는 트레이(51)에 고인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부(55)는 트레이(51)에 수용된 물품 및 고인 물의 측면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가이드부(55)의 하부영역에는 외부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냉장실(21)의 양측벽에는 슬라이딩돌기(25)가 형성되어 있어서, 트레이(51)가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다.
배수호스(65)는 탄성이 있는 원통형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유동성이 있는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배수호스(65)의 일측말단은 트레이(51)의 배수구(57)를 수용하여, 접촉결합되며, 타측말단은 후술하는 호스가이드(61)를 지나서, 안내관(63)에 수용된다. 즉, 배수호스(65)의 타측말단은 트레이(51)의 최대유동거리와 거의 동일하거나 큰 길이만큼의 길이를 안내관(63)에 수용된다.
호스가이드(61)는 배수구(57)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호스(65)의 외표면에 생긴 수분 및 배수호스(65) 파손시에 발생하는 물을 수용하여, 안내관(63)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호스가이드(61)는 배면에 형성된 냉장실(21)의 후벽면에 접촉고정되며, 후벽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실(21)의 후벽면에는 호스가이드(61)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하는 안내관(63)이 외부로 함몰관통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관(63)은 배수호스(65)를 내부에 수용하여, 트레이(51)에 생긴 물을 외부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안내관(63)의 말단에는 드레인호스(67)가 접촉결합되어 냉장고 본체(1)의 바닥면에 형성된 물받이(미도시)에 물을 전달해 주며, 물받이(미도시)는 냉장고 본체(1)로부터 착탈가능하므로, 물받이(미도시)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냉장고에는, 배수호스(65)가 마련되어 있어서, 트레이(51)의 유동 및 필요에 따른 이동시에 물을 안내관(63)을 통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가능하며, 배수호스(65)의 파손시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호스가이드(61)가 마련되어 있어서, 배수호스(65)의 파손시에도 일시적으로 냉장고 내부로의 물의 유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물을 외부로 배출가능하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호스가이드(61)를 가지고 있는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호스(65)를 안내관(63)에 직접 수용시켜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레이에 고인 물을 트레이의 배수구에 접촉결합된 배수호스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로의 유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수호스의 파손시에도, 배수구의 하부에 호스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어서, 냉각실 내부로의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배수호스를 교체가능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4)

  1.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내에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을 지지하며,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와;
    상기 배수구에 접속되는 가요성의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안내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냉각실의 일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입구측에 깔때기형상의 호스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가이드는 상기 냉각실의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호스가이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80001729U 1998-02-12 1998-02-12 냉장고 KR200193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29U KR200193605Y1 (ko) 1998-02-12 1998-02-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29U KR200193605Y1 (ko) 1998-02-12 1998-02-1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00U KR19990036000U (ko) 1999-09-15
KR200193605Y1 true KR200193605Y1 (ko) 2000-09-01

Family

ID=1953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729U KR200193605Y1 (ko) 1998-02-12 1998-02-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6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00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3605Y1 (ko) 냉장고
KR200265318Y1 (ko) 냉장고의도어가드
MX2008013248A (es) Refrigerador.
WO2005010447A1 (en) Ice maker
CN109489328B (zh) 具有用于将流体雾加入到保鲜容器中的能机械操纵的喷射单元的家用制冷器具
KR101088221B1 (ko) 냉장고
KR200143552Y1 (ko) 냉장고 특선실의 배수장치
KR100299235B1 (ko) 냉장고의전용보관용기구조
KR0170123B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출장치
KR0133006Y1 (ko) 냉장고용 얼음저장용기
KR200144966Y1 (ko) 쇼케이스의 냉기통풍장치
KR200161981Y1 (ko) 냉장고용 제상수용기
KR200157105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드레인 구조
EP4276391A1 (en) Refrigerator
KR100221147B1 (ko) 외부급수가 가능한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KR200180225Y1 (ko) 냉장고용 와인병홀더
KR200239614Y1 (ko) 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200152114Y1 (ko) 냉장고의 병꽂이가드
KR20040082702A (ko) 냉장고의 서랍식 저장박스 구조
KR100476410B1 (ko) 냉장고의 홈바 설치구조
KR200314148Y1 (ko) 냉장고용병지지구
KR960006519Y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KR200161980Y1 (ko) 냉장고용 냉동도어
JP2010121892A (ja) 冷蔵庫
KR19990018258U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