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86Y1 -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86Y1
KR200193186Y1 KR2020000007320U KR20000007320U KR200193186Y1 KR 200193186 Y1 KR200193186 Y1 KR 200193186Y1 KR 2020000007320 U KR2020000007320 U KR 2020000007320U KR 20000007320 U KR20000007320 U KR 20000007320U KR 200193186 Y1 KR200193186 Y1 KR 200193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mobile phone
free device
speak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한
유숙경
Original Assignee
하수한
유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수한, 유숙경 filed Critical 하수한
Priority to KR2020000007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간편하게 결합되어 휴대가 용이한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의 스피커 출력을 입력받아 FM으로 변조시켜 오디오 기기로 출력하는 핸즈프리장치(100)를 핸드폰의 스피커 부분에 밀착시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집게형 결합수단을 구비한 독립된 단말기로 구성하고, 오디오 기기(200)에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FM신호를 임의 채널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핸즈프리장치(100)는, 핸드폰의 스피커에 밀착되는 마이크(110)와, 그 마이크(110)의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0)와, 그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FM신호로 변조하는 FM변조부(130)와, FM변조부(130)의 변조신호를 오디오 기기(200)의 세팅된 채널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LED(190)와, 상기 핸드폰의 스피커에 마이크(110)를 밀착시킬 때 눌려서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작 스위치(170)와, 시작 스위치(170)가 눌렸을 때 만 전원을 온시켜 핸즈프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전원부(160)로 핸즈프리장치의 회로장치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핸즈프리장치로서 간단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Hands free device for mobile tele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기기의 FM수신기능을 이용하여 핸드폰의 출력음성을 오디오기기의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핸드폰이 보편화됨에 따라 운전자들이 운전중에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운전중 핸드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대단히 높고, 일부 국가에서는 운전중 핸드폰 사용을 법으로 금지시키고 있다.
또한, 핸드폰의 핸즈 프리기능은 별도의 핸즈프리장치를 설치하여 핸드폰의 콘넥터를 연결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핸즈프리장치는 쉽게 휴대용으로 이동시키기 어렵고 전기적인 신호선 결선에 의해 차량내의 스피커나 마이크 전원장치 등과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이동이 불가능하여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핸드폰의 스피커 출력을 FM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기기의 FM수신기로 송신하여 핸드폰의 음성을 오디오기기에서 출력하게 하는 단순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폰의 스피커 출력을 입력받아 FM으로 변조시켜 오디오 기기로 출력하는 핸즈프리장치를 집게형으로 핸드폰의 스피커 부분에 밀착시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독립된 단말기로 구성하고, 오디오 기기에서는 상기 핸즈프리장치의 FM신호를 임의 채널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핸즈프리장치는, 핸드폰의 스피커에 밀착되는 마이크와, 그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FM신호로 변조하는 FM변조부와, FM변조부의 변조신호를 주변 오디오 기기의 임의의 채널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LED와, 상기 핸드폰의 스피커에 상기 마이크를 밀착시킬 때 눌려서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작스위치와, 그 시작 스위치가 눌렸을 때 만 전원을 온(on)시켜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로 회로장치가 구성되고, 핸즈프리 케이스 외측에 집게형 결합장치가 설치되어 핸드폰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의 오디오 기기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가정내 또는 휴대용 라디오 수신기등 FM수신기를 가진 오디오 기기만 있으면 쉽게 핸즈프리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의 핸즈프리 장치 회로 구성도,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장치 외형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장치와 핸드폰의 결합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드폰
11 : 핸드폰 스피커
20 : 이어폰 잭
21 : 마이크
100 : 핸즈프리장치
101 : 케이스
102 : 결합수단
103 : 스프링
104 : 결합구
105 : 힌지
106 : 결합홈
110 : 마이크
120 : 증폭부
130 : FM변조부
140 : 무선송신부
150 : 배터리
160 : 전원부
170 : 시작 스위치
180 : 이어폰잭 연결구
190 : LED
200 : 오디오 기기
210 : FM수신부
220 : 스피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회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장치 외형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장치와 핸드폰의 결합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의 스피커 출력을 입력받아 FM으로 변조시켜 오디오 기기로 출력하는 핸즈프리장치(100)를 집게형으로 핸드폰의 스피커 부분에 밀착시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독립된 단말기로 구성하고, 오디오 기기(200)에서는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FM신호를 임의 채널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즈프리장치(100)는, 핸드폰의 스피커에 밀착되는 마이크(110)와, 그 마이크(110)의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0)와,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FM신호로 변조하는 FM변조부(130)와, FM변조부(130)의 변조신호를 오디오 기기(200)에 세팅된 채널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작동표시 LED(190)와, 상기 핸드폰의 스피커에 상기 마이크(110)를 밀착시킬 때 눌려서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작 스위치(170)와, 그 시작 스위치(170)가 눌렸을 때 만 전원을 온시켜 핸즈프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전원부(160)로 핸즈프리장치의 회로장치를 구성된다.
그리고, 핸즈프리장치(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의 외측에는 힌지(105)에 의해 회동가능하고 스프링(103)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집게형 결합수단(102)이 설치되며, 상기 집게형 결합수단(102)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케이스(101)와 결합수단(102)에는 스프링(103)의 양단이 끼워지는 결합홈(104)(106)들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도 2c 와같이 집게형 결합수단(102)의 구성을 변형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케이스(101)와 결합수단(102)에 지지부를 각각 돌출 형성하고, 각 지지부의 단부가 힌지(105) 결합되어 스프링(103)으로 탄력 지지되어 집게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결합수단(102)의 설치구조는 도 2b와 같은 구조 또는 도 2c와 같은 구조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어떠한 변형도 가능하다. 다만 핸즈프리장치(100)의 마이크(110)가 핸드폰 스피커(11)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으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핸즈프리장치(100)에 핸드폰(10)의 이어폰 잭(20)을 끼워 상기 증폭부(120)로 이어폰 출력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이어폰잭 연결구(180)가 더 형성되고, 핸드폰(10)의 이어폰잭 연결구와 이어폰 잭(20)을 통해 유선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이어폰 잭(20)에는 온/오프 제어 스위치와 마이크(21)가 더 설치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폰 스피커(11) 부분에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마이크(110)가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결합 방법은, 집게형 결합수단(102)을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케이스(101)와 결합수단(102) 사이에 핸드폰 스피커(11) 부분을 끼우고 손을 놓으면 스프링(103)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수단(102)이 핸드폰의 스피커(11)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므로 간편하게 결합된다. 분리시키는 경우는 상기 결합수단(102)이 외측으로 벌려지도록 하면 간편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핸드폰(10)에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100)를 결합시키면, 핸드폰 스피커(11)와 핸즈프리장치(100)의 마이크(110)가 서로 밀착되고, 아울러 마이크(110) 주위에 설치된 시작 스위치(170)가 핸드폰(10)에 의해 눌려서 핸즈프리장치(100)의 전체 작동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작동표시 LED(190)가 점등되어 핸즈프리장치(100)의 작동중임을 표시한다.
핸즈프리장치(100)는, 핸드폰 스피커(1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마이크(110)로 입력받아 증폭부(120)에 의해 증폭하고, 그 증폭부(120)의 신호는 FM변조부(130)에서 FM변조된다. 이때 FM변조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며, 무선송신부(140)에서 무선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 기기(200) 예컨데, 차량의 카 오디오에서는, FM수신부(210)에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FM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스피커(220)를 통해서 출력한다. FM수신부(210)와의 주파수 매칭은, 핸즈프리장치(100)의 주파수를 수동으로 튜닝하여 특정한 주파수 채널에 FM수신부(210)의 수신주파수를 일치시켜두는 방법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수신채널을 오디오 기기(200)에 기억시켜 채널 선택 버튼에 의해 쉽게 해당 FM신호를 수신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즉, 핸즈프리장치(100)와 일치되는 주파수 채널을 메모리에 기억시켜 원터치에 의해 해당 주파수를 튜닝하여 수신하도록 설정하여두고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의 운전중 핸즈프리장치(100)를 핸드폰(10)에 결합시켜두고, 라디오 수신채널을 미리 설정된 FM수신채널로 선택하게 되면 FM라디오를 통한 핸즈프리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송신은 핸드폰(10)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다.
또한, 이어폰 잭(20)을 사용하는 경우는, 핸드폰의 이어폰잭 연결구에 이어폰 잭(20)을 끼우고, 그 이어폰 잭(20)을 핸즈프리장치(100)의 이어폰잭 연결구(180)에 끼우면, 핸드폰(10)의 음성출력이 직접 증폭부(120)로 입력되어 FM변조후 송신되고 오디오 기기(200)의 스피커(220)를 통해서 음성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때 이어폰 잭(20)에는 온/오프 제어와 마이크(21)가 설치되어 있어서 음성 입력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의 음성 출력을 FM변조시켜 오디오기기의 FM수신기능을 이용해 스피커로 출력하는 핸즈프리기능을 간단한 장치로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다른 특징은 핸즈프리장치를 집게형으로 핸드폰에 착탈시키는 것에 의해 핸즈프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이어폰잭도 이용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하고 간단한 구조의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핸드폰의 스피커 출력을 입력받아 FM으로 변조시켜 오디오 기기로 무선송신하는 핸즈프리장치(100)를 핸드폰의 스피커 부분에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구비한 독립된 단말기로 구성하고, 오디오 기기(200)에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0)의 FM신호를 임의 채널로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핸즈프리장치(100)는, 핸드폰의 스피커부에 밀착되는 마이크(110)와, 그 마이크(110)의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0)와, 그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FM신호로 변조하는 FM변조부(130)와, 그 FM변조부(130)의 변조신호를 오디오 기기(200)의 세팅된 채널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작동표시 LED(190)와, 상기 핸드폰의 스피커에 상기 마이크(110)를 밀착시킬 때 눌려서 핸즈프리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작 스위치(170)와, 그 시작 스위치(170)가 눌렸을 때 만 전원을 온(on)시켜 핸즈프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전원부(160)로 핸즈프리장치의 회로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0) 케이스(101)의 외측에는 힌지(105)에 의해 회동가능하고 스프링(103)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집게형 결합수단(102)이 설치되며, 상기 집게형 결합수단(102)을 탄력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케이스(101)와 결합수단(102)에는 스프링(103)의 양단이 끼워지는 결합홈(104)(106)들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0)는, 핸드폰(10)의 이어폰 잭(20)을 끼워 상기 증폭부(120)로 핸드폰의 이어폰 출력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이어폰잭 연결구(180)가 형성되고, 그 이어폰 잭(20)에는 온/오프 제어 스위치와 마이크(2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20000007320U 2000-03-15 2000-03-15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KR200193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320U KR200193186Y1 (ko) 2000-03-15 2000-03-15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320U KR200193186Y1 (ko) 2000-03-15 2000-03-15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86Y1 true KR200193186Y1 (ko) 2000-08-16

Family

ID=1964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320U KR200193186Y1 (ko) 2000-03-15 2000-03-15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50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오디오 링크용 fm 송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50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오디오 링크용 fm 송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7387A1 (en) Wireless assembly comprising an ear pad and an intermediate module connected to a mobile telephone
US6173195B1 (en) Wireless mobile telephone adapter for automobiles
JP2000013294A (ja) 無線送受話器
KR200193186Y1 (ko) 핸드폰의 핸즈프리장치
KR10080474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외장형 스피커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200218484Y1 (ko) 차량용 유무선겸용 핸즈프리의 전원제어장치
KR20010011015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리형 무선 보조 단말장치
KR20010084261A (ko)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KR200218540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KR200335010Y1 (ko) 음성제어 기능이 있는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 마이크
KR200301204Y1 (ko) 충전크레들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KR200181630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 송수화세트
KR200205563Y1 (ko) 이동 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194782Y1 (ko) 이동무선전화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82127Y1 (ko) 일체형 무선 핸즈프리키트
KR200180591Y1 (ko)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장치
KR200282169Y1 (ko) 에프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200353232Y1 (ko) 에프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200226768Y1 (ko)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US20030153367A1 (en) Earphone/car audio system dual receiving mode type cellular telephone hand-free handset
KR20000067253A (ko) 차량용 음향신호 수신장치
KR200258282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0224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330211Y1 (ko) 전원공급선을 안테나선으로 이용한 통신단말기용차량용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