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486Y1 - 동력살포기 - Google Patents

동력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486Y1
KR200192486Y1 KR2020000003907U KR20000003907U KR200192486Y1 KR 200192486 Y1 KR200192486 Y1 KR 200192486Y1 KR 2020000003907 U KR2020000003907 U KR 2020000003907U KR 20000003907 U KR20000003907 U KR 20000003907U KR 200192486 Y1 KR200192486 Y1 KR 200192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ing
engine
liquid
generato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정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종 filed Critical 정석종
Priority to KR2020000003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1/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combined liquid- and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거나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휴대용 동력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동력살포기와 같이 송풍기를 엔진으로 구동함은 물론 펌프를 추가하여 액제의 분무 능력을 증대시킨 것으로서 펌프의 구동을 위해 발전기와 모타를 추가하여 전기를 이용함으로써 전기 스위치의 단락만으로 모타의 가동 여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엔진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발전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간단한 구조로 발전기의 발전에 필요한 엔진의 부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료등 입제나 분제의 살포에서도 통상의 비료살포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상의 동력살포기가 실질적으로는 액제 살포에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노즐의 막힘을 줄이면서 분무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서 액제의 살포만을 위한 동력분무기의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살포기{Powered Sprayer}
본 고안은 송풍기와 펌프를 구비하여 액제 및 입제와 분제의 살포가 가능한 동력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에 발전기를 추가하거나 엔진에 통상 부착되는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로 전기모타를 구동하여 그 회전력으로 펌프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휴대용 동력살포기는 배부식 몸체(28)에 엔진(10)이 결합된 송풍기(20)와 약제통(70)으로 구성되어 송풍기(20)에서 발생하는 송풍기류를 송풍관(22)으로 분사하면서 약제통(70)의 입제나 분제를 송풍관(22)의 송풍기류에 실어 살포하는 것으로 주로 사용되며 액제를 분무할 경우 송풍기(20)에서 발생하는 공기압을 액제통(70) 내에 인입시킨 압력과 약제통(70)의 수면의 높이와 분무 노즐(54)의 높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해 액제를 호스(51, 53)와 밸브(52)를 통해 약제통(70)에서 노즐(54)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노즐(54)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액제의 농도가 높아지면 노즐(54)이 자주 막힐 수 있고 분무량도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 이용에 제약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제의 이송력을 높이고 이송량을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액제를 이송하고 노즐의 막힘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펌프를 이용하여 액제를 이송하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회전력으로 엔진에 부속된 발전기나 별도의 발전기를 추가하여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으로 가동되는 모타를 이용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동력분무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동력분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발전기 조합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통상의 2행정 가솔린 엔진의 발전기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으로 입제나 분제를 살포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펌프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20 : 송풍기
30 : 발전기 50 : 펌프
60 : 모타 70 : 약제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살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에 있어서 동력살포기에 전기모타(60)와 펌프(50)의 조합을 결합하고 엔진축에 발전기(90)를 연결하여 발전기(90)와 모타(60)를 전선(60a, 60c, 60d)과 스위치(60b)로 연결하고 펌프(50)에 액제인입호스(51a)와 액제송출호스(51b) 및 밸브(52)와 호스(53)와 노즐(54)을 조합한 것이다. 액제인입호스(51a)는 펌프(50)의 인입구(50a)와 약제통의 송출구(70a)를 연결하고 액제송출호스(51b)는 펌프(50)의 송출구(50b)에 연결한 것이다. 펌프와 모터는 송풍기 케이스나 동력살포기 몸체등에 클램프로 고정하게 하여 쉽게 장탈착하게 구성하여 펌핑이 필요 없을 경우 탈착하고 이용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풍관(22)에 장착하게 구성된 분무관(23)에는 송풍관(22)에 장착하게 구성된 분무관(23)에는 메쉬부재(55)와 노즐(54)이 조립되어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엔진축(10a)에 조합된 발전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의 (A)는 엔진축(10a)에 마그넷하우징(35)과 마그넷(35a)을 결합하고 마그넷(35) 주위에 유도권선 하우징(45)와 유도권선(45a)를 배치하여 전선(62a, 62d)를 배선 한 것으로 유도권선 하우징(45)를 축(45b)과 디스크(45c)를 결합하고 축(45b)에 압축스프링(45d)을 조합하고 송풍기 케이스(26)의 공기인입구 카바(27)의 가이드홀(27b)에 끼우고 디스크(45c)를 동작할 수 있게 레버(47)를 위치 시킨 것이다. 압축스프링(45d)은 하우징(45)를 마그넷(35a) 방향으로 밀고 있게 한 것으로 하우징(45)과 하우징(35) 사이에 일정한 간격은 레버(47) 상단에 걸리는 디스크(45c)에 의해 유지되다가 레버(47)가 작동되면 축(45b)을 당겨 하우징(45)가 하우징(35)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작동되어 젖혀진 레버(47)는 락커(47a)로 고정되고 두 하우징 간의 간격이 멀어지면 기전력이 약해지는 만큼 발전에 필요한 엔진 출력의 소비가 줄어들어 송풍팬(25)을 보다 강력하게 구동할 수 있으므로 펌프(50)의 구동이 필요 없는 입제나 분제의 살포시 송풍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의 (B)는 마그넷(95a)을 축형으로 배치하고 유도권선(85a)은 실린더형으로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3의 (A)의 마그넷 하우징(35)과 유도권선하우징(45)들 보다 마그넷 하우징(95)과 유도권선 하우징(85)의 직경을 작게 하고도 동일한 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어 송풍기 공기 인입구(27a)에서 하우징(85)이 차지하는 단면적을 줄여 공기 인입에 대한 저항의 감소폭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레버(47)의 조작은 레버(47)에 의해 디스크(45c)를 밀어 압축스프링(45d)을 압착시키며 유도권선 하우징을 마그넷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조작된 레버(47)은 송풍기 케이스(26)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클램프(47a)로 눌러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레버(47)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엔진의 동력을 줄일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조도 축(45b)과 디스크(45c)등 단순하다.
도 4은 통상의 2행정 가솔린 엔진의 발전기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로서 엔진의 엔진축(10a)의 일부에 마그넷(15a)가 결합되어 있는 디스크형의 마그넷하우징(10b)이 결합되어 구동축(10a)에 의해 구동되면서 마그넷하우징(10b) 주위에 설치된 유도권선(17)에 유도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가 전선(17a)를 통해 점화코일(18)로 전달되어 점화코일(18)에서 승압되어 전선(16a)를 통해 점화플러그(16)로 전달되어 점화플러그(16)에서 점화가 발생되게 구성된 것으로 통상 마그넷(15a)과 유도권선(17)은 구동진축(10a)이 일회전 할 때 점화플러그가 한번 점화되도록 마그넷하우징(10b)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5의 (A)는 통상의 엔진(10)에 부속된 유도권선(17)에 전선(63a, 63c, 63d)과 스위치(63b)로 전기모타(60)와 연결하여 모타(60)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5의 (B)는 점화플러그(1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도권선(17) 주위에 서로 연결된 유도권선(19)들을 추가하고 전선(61a, 61c, 61d)과 스위치(61b)로 유도권선(19)과 모타(60)를 연결한 것으로 유도권선(19)들은 서로 연결되어 마그넷(15a)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전기를 발생하여 전선(61a, 61c, 61d)과 스위치(61b)을 통해 모타(6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엔진(10)을 가동하면 송풍기(20)가 가동됨과 동시에 마그넷, 유도권선등 발전 소자에 의해 전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전기가 전기모타(60)를 구동시키면 펌프(50)가 구동된다. 약제통(70)의 액제는 액제인입호스(51a)로 펌프(50)에 유입되어 펌프(50)에 의해 가압되어 액제송출호스(51b)와 밸브(52) 및 호스(53)를 거쳐 노즐(54)로 이송된다. 이때 노즐(54)의 높이나 액제의 점도가 높아도 펌핑에 의해 액제가 이송되므로 노즐을 통해 충분히 분사된다. 분사된 액제는 송풍관(22)를 통해 분사되는 고속 기류에 의해 잘게 부수어 지고 메쉬부재(55)에 의해 더욱 잘게 부숴져 분무되게 된다.
도 6는 본 고안으로 입제나 분제를 살포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2에서 구성된 분무관(23)과 액제호스(51a, 51b)는 동력살포기에서 탈착하고 스위치(60c)를 단락시켜 전기모타(60)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한다. 엔진(10)을 가동하고 약제조절레버(29)를 조작하면 링크(29a, 29b)의 작동에 의해 약제조절밸브(29c)가 개방되어 송풍기(20)로 약제통(70)의 입제나 분제가 이송되어 송풍관(22)의 송풍기류에 의해 분무되는 것으로 통상의 동력살포기와 동일하다. 도 6에 나타난 레버(29)와 링크(29a, 29b)와 약제조절밸브(29c)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한 것으로 동력 살포기에 통상 구성되는 것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펌프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2에서 송풍관(22)과 분무관(23)을 탈착하고 액제인입호스(51a)와 액제송출호스(51b)를 펌프에 연결된 상태로 둔 것에 액제송출호스(51b)를 일반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상의 노즐대(59)에 연결한 것으로 엔진(10)을 가동하여 발전된 전기로 펌프(50)를 가동하면 펌프(50)에 의해 가압된 액제가 액제송출호스(51a)를 거쳐 노즐대(59)의 밸브(59a)를 거쳐 노즐(59b)로 분무되는 것으로 농가에 보급되어 있는 통상의 노즐대를 이용해 본 고안에 접목해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동력살포기에 비해 펌프에 의한 액제 이송으로 대량의 액제를 노즐의 높이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분사할 수 있고 가압된 액제가 노즐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즐의 막힘이 줄어든다. 또한 비료등 입제나 분제의 살포도 통상의 살포기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고 통상의 노즐대를 이용한 액제 살포도 가능하므로 다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그넷과 유도권선의 간격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엔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펌프 가동에 의한 동력의 손실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펌프와 모타가 기어나 벨트등으로 연결되지 않고 전선만으로 동력이 연결되므로 비료등 입제나 분제의 살포시 펌프와 모타가 필요치 않으므로 펌프와 모타를 클램프로 동력살포기 몸체등에 장착해 두었다가 클램프 조작과 전선 단락만으로 탈착할 수 있다.
통상의 동력살포기의 액제 살포능력은 액제의 송출능력이 크지 않아 엔진으로 고압펌프만을 가동하여 노즐대로 분무하는 휴대용 동력분무기가 액제 살포에 이용되고 있으나 본 고안으로는 휴대용 동력분무기 이상의 액제 분무 성능을 발휘 할수 있어 실질적으로는 두가지 장비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엔진(10)을 동력원으로 하여 송풍기(20)에서 발생하는 고속기류를 송풍관(22)으로 분사하여 약제통(70)의 약제를 살포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에 있어서 동력살포기에 전기모타(60)와 펌프(50)의 조합을 결합하고 엔진축(10a)에 발전기(90)를 연결하여 발전기(30)와 모타(60)를 전선(60a, 60c)과 스위치(60b)로 연결하고 펌프(50)에 액제인입호스(51a)와 액제송출호스(51b) 및 밸브(52)와 호스(53)와 노즐(54)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동력살포기의 엔진(10)에 부속된 전선(17a)에 전선(63a, 63c, 63d)과 스위치(63b)로 전기모타(60)와 연결하여 모타(60)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동력살포기 엔진(10)의 유도권선(17) 주위에 서로 연결된 유도권선(19)들을 추가하고 전선(61a, 61c, 61d)과 스위치(61b)로 모타(60)와 연결한 것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력살포기
KR2020000003907U 2000-02-10 2000-02-10 동력살포기 KR200192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07U KR200192486Y1 (ko) 2000-02-10 2000-02-10 동력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07U KR200192486Y1 (ko) 2000-02-10 2000-02-10 동력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486Y1 true KR200192486Y1 (ko) 2000-08-16

Family

ID=1964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907U KR200192486Y1 (ko) 2000-02-10 2000-02-10 동력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4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590B1 (ko) * 2002-02-15 2005-10-24 윤종대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101230753B1 (ko) 2010-11-25 2013-02-06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590B1 (ko) * 2002-02-15 2005-10-24 윤종대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101230753B1 (ko) 2010-11-25 2013-02-06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701B1 (en) High-pressure misting fan
US20090008473A1 (en) Portable haze sprayer having multi-function
KR200192488Y1 (ko) 동력살포기
CN108295345B (zh) 一种医疗雾化器
US5752662A (en) Atomizer
CN110026306A (zh) 冷喷雾器
US1899749A (en) Spraying device
KR20100045422A (ko) 다단펌프를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장치
KR200192486Y1 (ko) 동력살포기
CN201422351Y (zh) 背负式高效喷雾机
US7845584B2 (en) Single motor blower
US6032407A (en) Combination aerosol generator and thermal fogger
CN205199199U (zh) 喷雾式降温除尘机的喷雾装置
US900814A (en) Air-compressor.
CN206545573U (zh) 一种手提式空气压缩机
CN106762532A (zh) 一种手提式空气压缩机
JPH0644098U (ja) 発電機付き除電除塵装置
CA2106522A1 (en) Fluid Control Nozzle for Conduit Cleaner
KR200166143Y1 (ko) 분무, 초미립자 분무 및 입제와 분제 살포가 가능한 휴대형동력 살포기
KR950002870A (ko) 이동식 세척기
KR200419604Y1 (ko) 휴대용 초미립자 분무기
JPS57207710A (en) Atomizer
JP2001224990A (ja) 携帯用電動スプレーガン
CA2273373A1 (en) Taping gun mud pump apparatus
CN101844119B (zh) 背负式减振节能喷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