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353Y1 - 양방향 게이트 밸브 - Google Patents

양방향 게이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353Y1
KR200192353Y1 KR2020000008827U KR20000008827U KR200192353Y1 KR 200192353 Y1 KR200192353 Y1 KR 200192353Y1 KR 2020000008827 U KR2020000008827 U KR 2020000008827U KR 20000008827 U KR20000008827 U KR 20000008827U KR 200192353 Y1 KR200192353 Y1 KR 200192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pipe
disk
complet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근
Original Assignee
권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근 filed Critical 권오근
Priority to KR2020000008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two or mor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거나 완전히 차단할 경우 밸브의 유체누설을 사전에 감지하고 밸브 전후단배관의 유체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양방향 게이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하나의 몸체에 좌우 병열로 두개의 게이트밸브가 동일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각각의 밸브는 단독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밸브디스크 가운데에는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홀과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크를 열고 닫을때 사용되는 스템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밸브핸들이 좌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은 도면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배관내의 유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한개의 디스크만으로 가능함으로 기존의 밸브보다 수명이 두배로 늘며 또한, 유체를 완전히 차단할 경우 두개의 디스크를 모두 차단시킴으로 보다 완벽하게 유체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고안하였으며 밸브후단의 배관내 유체를 완전 배출시킬 경우 중간에 설치된 드레인홀을 통해 선택한 배관쪽의 디스크를 열고 드레인홀로 유체를 완전 드레인 시킬 수 있으며 유독성 유체의 차단시 별도의 라인브라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두개의 디스크를 모두 닫고 중간에 설치된 드레인홀을 통해 유체를 배출시킴으로 유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밸브디스크의 누설상태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유체의 순도를 유지하며 밸브후단 배관의 개방시 별도의 드레인밸브가 필요 없도록 고안된 양방향 게이트밸브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양방향 게이트 밸브 {THE TWO WAY GATE VALVE}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르는 양을 조절하거나 완전히 차단할 경우 밸브의 유체누설을 사전에 감지하고 밸브 전후단배관의 유체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양방향 게이트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내의 유체를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밸브에는 각종의 밸브가 사용되는데 이중에서 게이트밸브는 하나의 몸체에 하나의 디스크와 스템으로 구성되어 유체를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게 구성되어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기술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게이트밸브는 배관과 배관사이에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게이트밸브가 설치되어 배관내의 유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관내의 유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시트링(3)과 밀착되어 있는 디스크(2)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관에 유로가 형성되어 유체가 지나가게 된다. 유체의 흐르는 양을 많게 하기위해서는 디스크(2)를 많이 올리고 적게 흐르게 하려면 디스크(2)를 적게 열면 된다. 또한 유체가 전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2)를 완전히 아래로 내려 시트링(3)과 밀착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게이트밸브는 양쪽 배관과 바로 연결되어 디스크(2)와 시트링(3)의 마모나 이물질의 간섭으로 완전 밀착되지 않을 경우 유체가 누설되어 완전히 차단할 수 없게 되므로 유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면 배관의 개방이 안되며, 밸브의 교체가 안되는 단점이 있으며, 만약 유체가 유독성이나 해로운 물질이라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유체를 차단하고 밸브 후단의 배관을 개방할 경우 개방할 배관에 별도의 유체를 배출시킬 장치가 필요하며 만약 유체가 개방될 배관에 전혀 영향을 못미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라인브라인더를 설치하여야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관내의 유체를 조절하거나 단순 차단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디스크(2)로 가능함으로 두개의 디스크(2)를 사용함으로 밸브의 수명이 두배로 연장되며, 만약, 하나의 디스크(2)와 시트링(3)의 고장으로 밸브의 기능을 상실할 경우 다른 하나를 사용함으로 본래의 기능을 다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가 전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디스크(2)를 동시에 사용함으로 차단기능을 향상시키고 디스크(2)와 시트링(3)의 기능상실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디스크(2) 중간에 설치된 시트링(3)의 드레인홀(9a)을 통해 드레인홀플러그(9)를 열어서 디스크(2)의 기능상실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를 완전 차단하고 밸브 후단의 배관을 개방할 경우 개방할 배관에 별도의 유체를 배출시킬 장치가 필요없으며 만약 유체가 개방될 배관에 전혀 영향을 못미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라인브라인더를 설치하지 않고 두개의 디스크(2)를 모두 닫고 드레인홀(9a)을 통해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키면 된다. 만약 디스크(2)와 시트링(3)의 상태가 좋지 않아 유체가 누설될 경우에도 드레인홀(9a)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므로 개방되는 배관에는 유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개의 다른 유체가 공급되어 또다른 배관으로 공급할 경우라면 드레인홀(9a)부에 드레인홀플러그(9) 대신 밸브를 설치함으로 필요한 유체가 공급되는 방향의 디스크(2)를 열어서 드레인홀(9a)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양방향 게이트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게이트밸브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양방향 게이트밸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밸브몸체 2. 디스크 3.시트링 4.스템 5.본네트
8.그랜드팩킹 9.드레인홀플러그 11.아이볼트 14.그랜드플렌지
15.요크 18.베어링 20.회전기어 21.핸드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나의 몸체에 좌우 병열로 두개의 게이트밸브가 동일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각각의 밸브는 단독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밸브디스크(2) 가운데에는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홀(9a)과 드레인플러그(9)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크를 열고 닫을때 사용되는 스템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핸드휠(21)이 좌우로 구성되어 있는 양방향 게이트밸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도2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밸브의 몸체(1)에 배관과 쉽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유체를 조절하는 디스크(2)와 디스크(2)를 안착시키는 시트링(3)이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크(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템(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본네트(5)와 하부 몸체(1)와 밀봉시키 위해 설치된 가스켓(7)이 있으며 상부 본네트(5)와 하부 몸체(1)를 체결시키 위해 본네트볼트(6)이 있으며 스템(4)을 타고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시키는 그랜드팩킹(8)과 그랜드플랜지(14)와 체결시키는 아이볼트핀(10)과 아이볼트(11)와 아이볼트너트(12)가 있으며 그랜드팩킹(8)을 조이는 그랜드(13)와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홀(9a)과 드레인홀플러그(9)과 있으며 스템(4)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슬리브그랜드(16)와 슬리브그랜드(16)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20)와 베어링(18)과 지지역할의 요크(15)와 요크커버(23)와 요크커버볼트(24) 회전기어(20)를 고정시켜 회전시키는 핸드휠(21)과 핸드휠(21)을 고정시키는 휠스페이서링(19)과 핸드휠고정볼트(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양방향 게이트밸브는 배관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유체를 조절하기 위해 원하는 방향의 디스크(2)를 닫기 위해 핸드휠(21)을 조작함으로 디스크(2)가 이동되어 유체를 제어하며, 필요시 두개의 디스크(2)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두개의 핸드휠(21)을 조작함으로 가능해 진다. 또한, 유체를 완전 차단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공급되는 방향의 디스크(2)를 먼저 차단하고 드레인홀(9a)의 드레인홀플러그(9)를 열어 디스크(2)의 유체누설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이 있을시는 다른 방향의 디스크(2)를 닫으면 유체가 다른 배관에 유입되지 않고 드레인홀(9a)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필요시 드레인홀(9a)의 드레인홀플러그(9) 대신 밸브를 조립하여 사용함으로 세방향의 밸브로 사용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양방향 게이트밸브는 배관에 설치되어 기존 밸브보다 수명이 두배로 늘어나며 유체의 차단시 보다 완벽하게 차단시키며 디스크(2)와 시트링(3)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밸브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으며 배관내의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킬때 별도의 드레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특히, 유독성 유체의 사용시 안전하게 유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관의 개방시 유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시 드레인홀(9a)에 밸브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세방향의 밸브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3)

  1. 배관에 설치되어 유체를 조절하는 게이트밸브에 있어서,
    밸브 하나의 몸체에서 독립적으로 유체의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두개의 디스크(2)와 이에 대응하는 시트(3)와 유체를 배출시키는 드레인홀(9a)과 드레인홀플러그(9)와 디스크(2)와 연결된 스템(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핸드휠(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게이트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크(2)와 시트링(3)이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디스크(2)와 시트링(3) 사이에 유체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밸브로 연결사용 할 수 있도록 드레인홀(9a)과 드레인홀플러그(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게이트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스템(4)을 상하로 이동시킬때 양 옆으로 설치되어 서로 간섭 받지 않고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휠(21)과 슬리브그랜드(16)와 서로 기어로 연결되어 스템(4)을 움직이게하며 회전기어(20)와 회전기어(20)를 보다 원할하게 동작 시키기 위해 설치된 베어링(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게이트밸브.
KR2020000008827U 2000-03-23 2000-03-23 양방향 게이트 밸브 KR200192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27U KR200192353Y1 (ko) 2000-03-23 2000-03-23 양방향 게이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27U KR200192353Y1 (ko) 2000-03-23 2000-03-23 양방향 게이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353Y1 true KR200192353Y1 (ko) 2000-08-16

Family

ID=1964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827U KR200192353Y1 (ko) 2000-03-23 2000-03-23 양방향 게이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940B1 (ko) * 2000-11-14 2002-10-25 김병용 라인블라인드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940B1 (ko) * 2000-11-14 2002-10-25 김병용 라인블라인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4948A (en) Straight-way valve
KR100259608B1 (ko) 밸브장치의 시트 이격장치
US9297461B2 (en) Block and bleed valve assembly
WO2009020286A1 (en) Ball valve having backflow prevention unit
GB2317439A (en) Secondary seal bypass valve for gate valves
US4951702A (en) Bidet valve
KR200192353Y1 (ko) 양방향 게이트 밸브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US6758234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CN210770278U (zh) 一种双座蝶阀
KR100764157B1 (ko) 더블 파일로트 밸브 붙이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US7100629B2 (en) Method for assembling balanced normally-open and normally-closed valves
KR200403849Y1 (ko) 더블 파일로트 밸브 붙이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KR200213452Y1 (ko) 버터플라이 밸브 이중 실링장치
US6981515B2 (en) Balanced valve body for use with normally-open and normally-closed modes of operation
RU2082054C1 (ru) Вентиль с керамическими шайбами
KR102554382B1 (ko) 플러그 밸브
KR100727571B1 (ko) 바이패스 밸브 부착 양압 버터플라이 밸브
RU2188978C2 (ru) Шаровой кран
JP5220364B2 (ja) 複合弁
KR200311741Y1 (ko) 파일롯 압력에 의한 양압 차단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38623Y1 (ko) 더블 사이드 세그먼트 플러그형 메탈시트 볼밸브
JP2531664Y2 (ja) バイパス付弁箱構造
JPH0369867A (ja) 回転弁
KR200347226Y1 (ko) 디스크시트 유동형 버터플라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