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988Y1 -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988Y1
KR200191988Y1 KR2020000000960U KR20000000960U KR200191988Y1 KR 200191988 Y1 KR200191988 Y1 KR 200191988Y1 KR 2020000000960 U KR2020000000960 U KR 2020000000960U KR 20000000960 U KR20000000960 U KR 20000000960U KR 200191988 Y1 KR200191988 Y1 KR 200191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nection terminal
battery
roller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연
Priority to KR2020000000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4Lighting mea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에 발광체(108)가 발광을 하도록 되어 있어,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갑피 및 상기 갑피의 저면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1)을 가지고 있고, 지지프레임(10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롤러본체(102); 롤러본체(102) 상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120); 롤러본체(102)의 외측 부분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용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체(108); 및 롤러본체(102) 상에서 배터리(120)와 발광체(108)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120)로부터 발광체(108)로의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스위치부재는, 통상의 수용케이스(112), 수용케이스(112)의 일측면에서 발광체(108)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고정접속단자(111), 및 바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수용케이스(112)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단에 형성된 힌지회동단부(114)가 배터리(120)와 연결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하는 회동부재(115)로 구성되고, 롤러본체(102)가 회전할 때 회동부재(115)는 힌지회동단부(114)를 중심으로 롤러본체(102)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함으로써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을 발광체(108)로 전달하여 발광체(108)가 발광하도록 하고, 롤러본체(102)가 정지시에는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한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이 발광체(108)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광체(108)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having light-emitting body}
본 고안은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에 발광체가 발광을 하도록 되어 있어,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roller-blad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용 롤러본체가 지지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지지판의 상부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주는 덮개부로 나누어진다.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덮개부는 통상적으로 신발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신발을 벗은 맨발로 상기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운동을 통해 마치 스케이트를 타듯이 발로 지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예전에 많이 유행하던 회전용 롤러본체스케이트에 비해서 날렵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젊은 계층 특히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청소년층은 시각적인 심미감 및 화려함 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인라인 스케이트 같이 외적인 특징이 미약한 것은 청소년층으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힘들다. 그래서, 인라인 스케이트가 매력적인 스포츠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외적인 화려함을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비교적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야간주행시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탄 사람이 보행자 및 다른 이동체와 충돌할 위험이 많아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중에 발광체가 발광을 하도록 되어 있어,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3 - 회전시 회전용 롤러본체 부분의 측면도.
도 4 - 정지시 회전용 롤러본체 부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지지프레임 102 : 롤러본체
103 : 합성수지재 105 : 지지축
107 : 연결와이어 108 : 발광체
111 : 고정접속단자 112 : 수용케이스
113 : 가동접속단자 114 : 힌지회동단부
115 : 회동부재 120 : 배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갑피 및 상기 갑피의 저면에 부착되고 그 하부가 개구되고 양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롤러본체; 롤러본체 상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 롤러본체의 외측 부분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체; 및 롤러본체 상에서 배터리와 발광체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발광체로의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스위치부재는, 통상의 수용케이스, 수용케이스의 일측면에서 발광체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고정접속단자, 및 바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수용케이스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단에 형성된 힌지회동단부가 배터리와 연결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가동접속단자가 고정접속단자와 접촉하는 회동부재로 구성되고, 롤러본체가 회전할 때 회동부재는 힌지회동단부를 중심으로 롤러본체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속단자가 고정접속단자와 접촉함으로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발광체로 전달하여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하고, 롤러본체가 정지시에는 고정접속단자와 접촉한 가동접속단자가 고정접속단자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발광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광체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힌지회동단부에는 탄성복원스프링이 설치되어, 롤러본체의 회전시 회동한 회동부재를 롤러본체의 정지시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체는 LED(light emitted diode) 혹은 램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용 롤러본체의 외표면 상에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도포되어 회전용 롤러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용 롤러의 내부가 육안으로 관측될 수 있도록 하여 누드적 심미감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행중에 발광체가 발광을 하게 되어,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회전시 회전용 롤러본체 부분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정지시 회전용 롤러본체 부분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갑피, 갑피의 저면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1) 및 지지프레임(101)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회전용 롤러본체(102)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1)은 하부가 개구되고 양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지지프레임(101)의 내측벽 상에는 4개의 지지축(105)이 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의 가로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이 지지축(105)에 상기한 각 회전용 롤러본체(102)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용 롤러본체(102)는 실린더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고, 회전용 롤러본체(102)의 외표면 상에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103), 예를 들어 투명성 폴리우레탄(PU, poly-urathane)이 도포되어 회전용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용 롤러의 내부가 육안으로 관측되어 누드적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을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착용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용 롤러본체(102)의 내부 중공부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지지용 베어링(104)에 지지축(105)이 삽입됨으로써, 회전용 롤러본체(102)는 지지축(10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용 롤러본체(102)에는 본 고안의 요지인 발광부가 장착되어 있고, 발광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롤러본체 상에는 전원공급용 배터리(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원공급용 배터리(120)에 인접한 지점의 롤러본체(102)의 외측 부분에는 전원공급용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체(108)가 설치된다. 배터리(120)와 발광체(108)는 전도성 연결와이어(107)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롤러본체(102) 상에 배터리(120)와 발광체(108)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120)로부터 발광체(108)로의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부재가 설치된다. 스위치부재도 전도성 연결와이어(107)를 매개로 하여 배터리(120) 및 발광체(108)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부재는, 통상의 수용케이스(112), 수용케이스(112)의 일측면에서 발광체(108)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고정접속단자(111), 및 바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수용케이스(112)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단에 형성된 힌지회동단부(114)가 배터리(120)와 연결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하는 회동부재(115)로 구성된다.
고정접속단자(111)는 연결와이어(107)를 매개로 하여 발광체(108)와 직접 연결되어 있고, 힌지회동단부(114)도 또한 연결와이어(107)를 매개로 하여 배터리(120)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롤러본체(102)가 회전할 때 회동부재(115)는 힌지회동단부(114)를 중심으로 롤러본체(102)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함으로써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을 발광체(108)로 전달하여 발광체(108)가 발광하도록 하고, 롤러본체(102)가 정지시에는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한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이 발광체(108)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광체(108)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한다.
발광체(108)로서는, LED(light emitted diode) 혹은 램프가 채용된다.
이하에서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주행시 발광체(108)가 발광하기 위한 작동과 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착용자가 상기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 달릴 때, 회전용 롤러본체(102)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용 롤러본체(102)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회동부재(115)가 힌지회동단부(114)를 중심으로 롤러본체(102)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회동부재(115)의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는, 배터리(120)의 전원이 발광체(108)로 공급될 수 있게 됨으로써, 발광체(108)가 발광하게 된다.
발광체(108)가 발광하면, 그 빛은 투명성 재질의 합성수지재(10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회전용 롤러본체(102) 전체가 발광체(108)인 것과 같은 착시적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게 된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탄 착용자가 정지하여 회전용 롤러본체(102)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회동부재(11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가동접속단자(113)가 고정접속단자(111)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배터리(120)의 전원이 발광체(108)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어 발광체(108)가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때, 회전용 롤러본체(102)의 외표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120), 발광체(108) 및 스위치부재 등이 외부에 투명하게 노출됨으로써, 누드적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회동단부(114)에는 탄성복원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어, 롤러본체의 회전시 회동한 회동부재(115)가 롤러본체의 정지시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롤러본체(102)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115)의 위상이 상하로 바뀜으로써 전원이 공급차단 및 공급재개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주행중에 발광체(108)가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용 롤러본체(102)의 외표면 상에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도포됨으로써, 누드적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고, 합성수지재가 마모되더라도 마모된 부분 만을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제품호환성이 뛰어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의하면, 주행중에 발광체가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시각적 심미감 및 세련미를 구현할 수 있고, 야간시에는 보행자에게 주행상태를 가시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회전용 롤러본체의 외표면 상에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도포됨으로써, 누드적 심미감을 구현할 수 있고, 합성수지재가 마모되더라도 마모된 부분 만을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제품호환성이 뛰어나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착용자의 발목을 둘러싸는 갑피 및 상기 갑피의 저면에 부착되고 그 하부가 개구되고 양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01)을 갖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용 롤러본체(102);
    상기 롤러본체(102) 상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용 배터리(120);
    상기 롤러본체(102)의 외측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용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체(108); 및
    상기 롤러본체(102) 상에서 상기 배터리(120)와 상기 발광체(10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상기 발광체(108)로의 전원공급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부재는,
    통상의 수용케이스(112),
    상기 수용케이스(112)의 일측면에서 상기 발광체(108)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고정접속단자(111), 및
    바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용케이스(112)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단에 형성된 힌지회동단부(114)가 상기 배터리(120)와 연결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가동접속단자(113)가 상기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하는 회동부재(115)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본체(102)가 회전할 때 상기 회동부재(115)는 상기 힌지회동단부(114)를 중심으로 상기 롤러본체(102)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동접속단자(113)가 상기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발광체(108)로 전달하여 상기 발광체(108)가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롤러본체(102)가 정지시에는 상기 고정접속단자(111)와 접촉한 상기 가동접속단자(113)가 상기 고정접속단자(11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배터리(120)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발광체(108)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발광체(108)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동단부(114)에는 탄성복원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롤러본체(102)의 회전시 회동한 상기 회동부재(115)를 상기 롤러본체(102)의 정지시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08)는 LED(light emitted diode) 혹은 램프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롤러본체(102)의 외표면 상에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도포되어 회전용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용 롤러의 내부가 육안으로 관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00000960U 2000-01-14 2000-01-14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191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60U KR200191988Y1 (ko) 2000-01-14 2000-01-14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60U KR200191988Y1 (ko) 2000-01-14 2000-01-14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988Y1 true KR200191988Y1 (ko) 2000-08-16

Family

ID=1963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60U KR200191988Y1 (ko) 2000-01-14 2000-01-14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9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220E1 (en) Module to provide intermittent light with movement
US20040255490A1 (en) Article of apparel
JP3898215B1 (ja) スノーボード
US5732486A (en) Footwear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4412205A (en) Switch construction responsive to motions of a wearer
US6238056B1 (en) Spring mounted light
US5483759A (en) Footwear or other products
KR200483621Y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핸드 피젯 스피너
US5588734A (en) Side light for in-line roller skate
US7204045B2 (en) Shoe having light emitting function
US6688636B2 (en) Light-producing structure for wheeled traveling case assembly
US20040004828A1 (en) Spinning illuminated novelty device with syncronized light sources
US4463412A (en) Illuminated shoe skate attachment
US5484164A (en) Roller skate lighting system
US20070147026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devices disposed on an object in a sequence
WO1995002786A1 (en) Miniature centrifugal lighting assembly
US5775800A (en) Illuminating device having rotary switch
GB2378118A (en) An illuminated article of apparel eg.a shoe
US6293032B1 (en) Lighted slipper
KR200191988Y1 (ko)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US7059739B2 (en) Skates with flashing lights
US20040257831A1 (en) Illuminating decoration for skateboard
KR200238213Y1 (ko) 발광신발
WO2002072208A1 (en) Light emitting jump lope having linear light emitting member
KR200348258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