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980Y1 - 동축분배반 - Google Patents

동축분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980Y1
KR200191980Y1 KR2019990030115U KR19990030115U KR200191980Y1 KR 200191980 Y1 KR200191980 Y1 KR 200191980Y1 KR 2019990030115 U KR2019990030115 U KR 2019990030115U KR 19990030115 U KR19990030115 U KR 19990030115U KR 200191980 Y1 KR200191980 Y1 KR 20019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plate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립
Original Assignee
김경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립 filed Critical 김경립
Priority to KR2019990030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6Cable duct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exchange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의 내부에 부착되는 절연판을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절연판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로 구성함으로서, 같은 규격 내에 케이블을 많이 수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이 케이블을 내부로 수용하여 정리함으로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축분배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분배반{distribution of cable in case}
본 고안은 동기식/비동기식 광 전송장치와 ATM 교환기 등에서 DS-3급 회선을 상호 접속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망을 구축 및 운용할 수 있는 동축분배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전송장치(FLC)는, 비동기식전송모드(ATM)로 광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광신호를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제1동축분배반으로 전송하고, 제1동축분배반은 수신된 데이터를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다수의 통신회선을 갖는 복수개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제2동축분배반으로 분배하여 전송하며, 제2동축분배반은 제1동축분배반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DCS)로 전송하고, 데이터 통신부는 제2동축분배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분배반은, 카드타입과 일체형의 모듈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드타입은 19인치의 규격 내에 카드를 16매 사용하여 8개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경제적이며, 또한 모듈타입은 같은 규격 내에 12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위치의 접점 등 접속점이 많아서 접촉손실이 발생하고, 1개의 모듈 불량 발생시 모듈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케이블 등을 정리하지 못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DS3급에 사용되는 케이스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원활한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같은 규격 내에 케이블을 많이 수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이 케이블을 내부로 수용하여 정리함으로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동축분배반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부착되는 절연판과;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절연판에 고정되어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몸체
14: 지지대 15: 분리판
17: 덕트 19: 브라켓
20: 절연판 30: 커넥터
31: 외체 32: 중심도체
33: 절연체 34: 스크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동축분배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광 전송장치(FLC)는, 비동기식전송모드(ATM)로 광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광신호를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제1동축분배반으로 전송하고, 제1동축분배반은 수신된 데이터를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다수의 통신회선을 갖는 복수개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제2동축분배반으로 분배하여 전송하며, 제2동축분배반은 제1동축분배반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44.736Mbps의 DS-3방식으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DCS)로 전송하고, 데이터 통신부는 제2동축분배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배하는 동축분배반에 있어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스(10)가 구성되고, 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부착되는 절연판(20)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절연판(20)에 고정되어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3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가 구비되며, 좌·우측에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1,2수용공(12)(13)이 구비되며, 내부에 소정길이 상부로 이격되며 일측에 제3수용공(141)이 형성된 지지대(14)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14)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개의 고정공(151)이 형성된 분리판(15)이 구비되며, 이 분리판(15)의 앞·뒤에 커버(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부착되어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덕트(17)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20)은, 상기 분리판(16)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공(161)과 동일선상으로 끼움공(21)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30)는, 내부가 다단으로 관통되며 외부에 고정판(311)이 형성된 외체(31)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안착공(321)이 형성되며 이 안착공(32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개면(322)이 대칭되게 구비된 중심도체(32)가 구비되며, 이 중심도체(32)의 단부에 끼워지는 절연체(33)가 구비되고, 상기 외체(31)를 상기 분리판(16)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스크류(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상·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4수용공(18)이 구비되고, 절연판(20)의 고정공(151) 배열을 작게 하여 부피를 줄이고, 단부에 대향되게 브라켓(19)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심도체(32)의 양측 절개면(322)에 절연체(33)를 끼우고, 외체(31)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절연판(20)의 끼움공(21)에 부착한 후, 상기 외체(31)의 고정판(311)과 절연판(20)을 스크류(34)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절연판(20) 끼움공(21)의 배열은 12×8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절연판(20)의 끼움공(21)에 커넥터(30)를 고정시킨 후, 상기 케이스(10)의 분리판(15)에 상기 절연판(20)을 고정한 후,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덕트(17)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앞·뒤를 커버(16)로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를 한 개로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개를 적층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 케이스(10)에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이 유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케이블이 케이스(10)의 제1수용공(12)으로 경유시켜 절연판(20)에 고정된 커넥터(30)에 연결한다. 이때, 케이블의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 중심도체(32)의 안착공(321)에 끼워지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될수록 절개면(322)이 외부로 벌어져 접촉되므로, 중심도체(32)와 케이블의 접속력이 한층더 강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타측에도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이 케이블은 덕트(17)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케이블은 제2수용공(13)을 경유하여 커넥터(30)에 고정되며, 이 케이블은 상기와 같이 커넥터(30) 중심도체(32)의 안착공(32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을 커넥터(30)에 연결하고, 이 커넥터(30)에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한 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20)의 고정공(21) 배열을 12×2열로 작게 형성시키고, 이 고정공(21)에 중심도체(32)를 끼우고 스크류(34)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절연판(20)의 고정공(21)에 커넥터(30)를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스(10)의 분리판(15)에 절연판(20)을 고정시킨 후, 몸체(11)의 일측에 대향되게 구비된 브라켓(19)을 셸프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 케이스(10)에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이 유입되는 과정을 보면, 케이블이 케이스(10)의 상·하부에 형성된 제4수용공(18)으로 유입되고, 상부에서 유입된 케이블은 커넥터(30)에 고정하면 되고, 하부에서 유입된 케이블은 지지대(14)의 제3수용공(141)을 통해 커넥터(30)에 고정하면 된다.
이때, 케이블은 상기와 같이 커넥터(30) 중심도체(32)의 안착공(32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을 커넥터(30)에 연결하고, 이 커넥터(30)에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한 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동축분배반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의 내부에 부착되는 절연판을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절연판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로 구성함으로서, 같은 규격 내에 케이블을 많이 수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이 케이블을 내부로 수용하여 정리함으로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분배하는 동축분배반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가 구비되며, 좌·우측에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1,2수용공(12)(13)이 구비되며, 내부에 소정길이 상부로 이격되며 일측에 관통된 제3수용공(141)이 형성된 지지대(14)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14)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개의 고정공(151)이 형성된 분리판(15)이 구비되며, 이 분리판(15)의 앞·뒤에 커버(16)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부착되어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덕트(17)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분리판(15)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공(151)과 동일선상으로 끼움공(21)이 구비된 절연판(20)과;
    상기 분리판(15)의 고정공(151)과 상기 절연판(20)에 고정되어 광 전송장치의 케이블과 데이터 통신장치의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분배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내부가 다단으로 관통되며 외부에 고정판(311)이 형성된 외체(31)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안착공(321)이 형성되며 이 안착공(32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절개면(322)이 대칭되게 구비된 중심도체(32)가 구비되며, 이 중심도체(32)의 단부에 끼워지는 절연체(33)가 구비되고, 상기 외체(31)를 상기 분리판(15)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스크류(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분배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관통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제4수용공(18)이 구비되고, 단부에 대향되게 브라켓(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분배반.
KR2019990030115U 1999-12-29 1999-12-29 동축분배반 KR20019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15U KR200191980Y1 (ko) 1999-12-29 1999-12-29 동축분배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15U KR200191980Y1 (ko) 1999-12-29 1999-12-29 동축분배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980Y1 true KR200191980Y1 (ko) 2000-08-16

Family

ID=1960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115U KR200191980Y1 (ko) 1999-12-29 1999-12-29 동축분배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729A (zh) * 2016-06-01 2017-12-05 阿自倍尔株式会社 控制柜及更换单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729A (zh) * 2016-06-01 2017-12-05 阿自倍尔株式会社 控制柜及更换单元
KR20170136452A (ko) * 2016-06-01 2017-12-11 아즈빌주식회사 제어반 및 교환 유닛
KR101970879B1 (ko) * 2016-06-01 2019-04-19 아즈빌주식회사 제어반 및 교환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792B2 (en) Jack assembly
US7857635B2 (en) Board edge termination back-end connection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connectors including such assemblies
US5546282A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digital cross-connect panels having insertable modules with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axial jack switches
US6988914B2 (en) Electrical coupler with splitting receptacle jack interfaces
EP0724365A2 (en) A communications wiring system including a reconfigurable outlet assembly
US7936572B2 (en) Distributor connection module for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ology
AU2001272338B2 (en) Distribution device in a data signal processing installation, and data signal processing installation
EP2224547A1 (en) Shielded cassette for a cable interconnect system
US5350324A (en) Telecommunications circuit assemblies of wires and connectors
US7503810B1 (en) Board edge termination back-end connection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jacks including such assemblies
WO2005088427A1 (en) High density front access device
CN102414939A (zh) 数据通信电缆和连接器的组件和系统
KR200191980Y1 (ko) 동축분배반
HUT68301A (en) Data communications outlet kit
US7540787B2 (en) Flex-X module with board mounted baluns
US6246749B1 (en) Network interface unit and module
US20040242074A1 (en) Cable connect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partitions
US20060079135A1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cabinet system with DSX assemblies and multiplexers
WO2003090316A1 (en) Cab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0278066Y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295147Y1 (ko) 통신선 단자클램프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MX2012010762A (es) Modulo de telecomunicaciones con funcion de desconexion.
WO2012032439A1 (en) Telecommunication line distribu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