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77Y1 - 가구조립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가구조립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77Y1
KR200191477Y1 KR2020000006629U KR20000006629U KR200191477Y1 KR 200191477 Y1 KR200191477 Y1 KR 200191477Y1 KR 2020000006629 U KR2020000006629 U KR 2020000006629U KR 20000006629 U KR20000006629 U KR 20000006629U KR 200191477 Y1 KR200191477 Y1 KR 200191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member
fastening
opened
fasten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Original Assignee
김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용 filed Critical 김현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eparate pins, dow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직경이 일정한 가이드부(12)의 선단에는 헤드부(11)가 후단에는 원추부(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가이드부(12) 외측에 선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슬릿(21)이 수개 절결되어 몸체(10)의 원추부(13)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한 앵커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공구홈(31)이 파여져 외부의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될 때 몸체(10)의 헤드부(11)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트여진 수용부(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이 앵커부재(20)의 선단부에 접하는 테두리면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조임체(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조임체(30)가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에서 앵커부재(20)를 확관시키기 위한 조임작업시 약 1/4 회전만 수행하여도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조임체(30)의 설치위치가 몸체(10)의 축직각방향에 위치되므로써 세로목(B)의 측면부에 조립흔적이 노출되지 않고 바닥이나 가장 상부 평면에 노출되어 제품의 외관이 간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 이다.

Description

가구조립용 체결구 {Fasteners for assembling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조립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우수한 체결력을 발휘함과 아울러 부품의 간소화로 원가 절감과 마감이 깨끗하여 제품의 상품성과 장식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이나 문틀 및 각종 가구들은 가로목과 세로목을 서로 연결한 후 그 연결부를 체결구로 체결하게 된다.
종래 가로목과 세로목의 연결부를 체결하는 구조로 장볼트와 너트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장볼트가 설치될 수 있을 정도로 깊은 구멍을 뚤어 고정시키고 외측에서 너트를 끼워 나사 체결하는 방법으로 가로목과 세로목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볼트와 너트에 의한 단순 나사 체결방식은 비교적 얇은 두께의 문짝에 깊숙이 구멍을 뚫는 작업에 많은 숙련이 필요로 함과 아울러, 부주의로 구멍위치가 어긋나기 쉽다.
따라서, 문짝등의 제품을 자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너트를 스패너등의 특수공구로 장볼트 깊숙이 체결토록 하기 위해 작업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작업시간이 필요로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 93-9114호 및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7-3388호에서는 앵커구조를 이용한 체결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이러한 종래 앵커구조의 체결구에 의하면 앵커볼트의 단부에 원추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확관 가능한 앵커부재를 위치시켜 너트로 앵커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원추돌출부에서 앵커부재가 확관되며 설치구멍에서 앵커부재가 완전히 고정 설치되는 방법으로 가로목과 세로목의 연결부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하면 장볼트와 너트에 의해 가구를 연결하는 방법에 비해 조립구멍을 짧게 뚫어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앵커부재의 외경을 확대하기 위해 너트를 앵커볼트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회수로 너트를 조여야 하므로 그 작업 과정이 번잡하고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 가장 큰 단점은 가로목방향으로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너트의 조립방향이 일치되게 설치되므로 너트를 조립한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기 위한 구멍이 세로목의 측면부에 반드시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을 열고 닫을 때 시야에 보이는 세로목에 조립용 구멍이 노출됨에 따라 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감용 캡등으로 구멍을 막히게 하는 과정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그 제품의 외관이 나뿌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고 앵커부재의 확관을 위한 조작회수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업성의 개선으로 인해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가구조립용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시각에서 보이게 되는 세로목에 조립용 홀등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가구조립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문짝에 적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문짝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구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구가 가구에 설치된 상태에 앵커부재가 직경 확대되는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문짝이 조립되는 과정을 이해도로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헤드부
12 - 가이드부 13 - 원추부
20 - 앵커부재 21 - 슬릿
22 - 미끄럼방지돌기 30 - 조임체
31 - 공구홈 32 - 수용부
33 - 가이드레일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직경이 일정한 가이드부(12)의 선단에는 헤드부(11)가 후단에는 원추부(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가이드부(12) 외측에 선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슬릿(21)이 수개 절결되어 몸체(10)의 원추부(13)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한 앵커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공구홈(31)이 파여져 외부의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될 때 몸체(10)의 헤드부(11)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트여진 수용부(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이 앵커부재(20)의 선단부에 접하는 테두리면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조임체(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체(30)가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에서 앵커부재(20)를 확관시키기 위한 조임작업시 약 1/4 회전만 수행하여도 편심운동으로 앵커부재(20)가 확관되어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조임체(30)의 설치위치가 몸체(10)의 축직각방향에 위치되므로써 세로목(B)의 측면부에 조립흔적이 노출되지 않고 바닥이나 가장 상부 평면에 노출되어 제품의 외관이 간결하고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 몸체(10)의 외부로 감싸지게 앵커부재(20)가 결합되고 그 축 직각방향으로 조임체(30)가 분해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구가 문짝에 적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일부절결 하여 정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연결부마다 각각 2개의 체결구가 셋트로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 요부 확대도로 연결부에 설치된 2셋트의 체결구를 체결작업하기 위한 조임체(30)가 서로 엇갈리게 세로목(B)과 가로목(A)에 각각 설치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구가 조립되는 상태를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구가 문짝에 설치된 상태에 앵커부재(20)가 직경 확대되어 조립구멍(1)에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평면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예로서 문짝을 구성하는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상부에서 공구를 이용해 조립하는 과정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몸체(10)는 앵커부재(20)의 중심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조임체(30)의 회전으로 이동될 때 그 직경이 화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심체이다.
이 몸체(10)의 중앙은 직경이 일정한 가이드부(12)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선단에는 헤드부(11)가 후단부에는 원추부(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추부(13)는 후단측으로 점차 그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 몸체(10)의 외측에는 앵커부재(20)가 조립된다.
상기 앵커부재(20)는 가이드부(12) 외측에 선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조임체(30)의 회전 조작으로 몸체(10)가 전진 이동될 때 상기 원추부(13)의 형상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며 조립구멍(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앵커부재(20)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은 몸체(10)의 가이드부(12)를 감싸지게 형성되나 길이방향으로 슬릿(21)이 수개 절결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10)가 이동될 때 그 후단측에 형성된 원추부(13)의 형상에 의해 후단부에서 앵커부재(20)가 벌어져 조립구멍(1)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그 결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충격등에 의해서도 미끄러지지 않토록 하기 위해 후단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22)를 다수 돌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이 앵커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방법으로 몸체(10)가 내부에 인써트된 상태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앵커부재(20)를 작동시키는 조임체(3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몸체(10)와 축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조임체(30)의 상부면에는 드라이버 공구등이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예로서 '+'형상의 공구홈(31)이 파여져 외부로부터 드라이버공구가 결합된 상태로 조임체(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몸체(10)의 중앙에는 헤드부(11)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트여진 수용부(32)가 파여지고, 이 수용부(32)의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이 형성되는데, 조임구멍(2)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 조임체(30)의 외부 원주면과 이 가이드레일(33)은 도 5에서 보는 바와같이 서로 편심위치를 갖도록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10)의 헤드부(11)가 수용부(32)가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3)이 헤드부(11)의 내측단부를 걸려지게 조립한 후 조임체(30)를 회전시킬 때 이 조임체(30)의 외측 원주면과 편심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의 편심 위치만큼 상기 앵커부재(20)가 몸체(10)로부터 후퇴-또는 몸체(10)가 앵커부재(20)로부터 전진-되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몸체(10)와 앵커부재(20)가 서로 위치 이동되는 결과로 몸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된 원추부(13)의 형상에 의해 앵커부재(20)의 후단부가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어 조립구멍(1)의 내경과 완전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문짝등의 가구에 가로목(A)과 세로목(B)을 연결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연결부 위치에 각각 조립구멍(1)과 조임구멍(2)을 각각 뚫어지게 한다.
이때 조립구멍(1)과 조임구멍(2)은 직각되는 상태로 서로 연통되게 뚫게 되며 안정되고 균형있는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로목(A)과 세로목(B)에 각각 조임체(30)와 앵커부재(20)가 어긋나게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조임구멍(2)에는 조임체(30)를 끼우고 조립구멍(1)에는 몸체(10)에 결합된 앵커부재(20)가 끼워지도록 한 후 몸체(10)의 헤드부(11)가 조임체(30)의 트여진 수용부(32)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로목(A)과 세로목(B)이 서로 밀착되도록 근접하는 것에 의해 몸체(10)의 헤드부(11)가 조임체(30)의 트여진 수용부(32)로 끼워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앵커부재(20)와 축 직각방향에 위치되는 조임체(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드라이버공구(C)를 끼워 공구홈(31)과 결합된 상태에서 조임체(30)를 회전토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임체(30)의 원주면 테두리와 편심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이 몸체(10)의 헤드부(11)를 당겨지게 하는 결과로 가이드부(12)의 후측에 위치된 원추부(13)가 이동되며 앵커부재(20)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앵커부재(20)가 벌어지는 것에 의해 조립구멍(1) 내경에 앵커부재(20)가 완전하게 밀착 고정되는 것이며 미끄럼방지돌기(22)가 그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조임구멍(2)의 위치로 드라이버 공구(C)를 끼워 조임체(30)를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조임체(30)의 가이드레일(33)에 걸려진 상태로 이동되는 몸체(10)와, 그 외측에 끼워지는 앵커부재(20)가 조립구멍(1)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가로목(A)과 세로목(B)이 이탈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각 모서리마다 동일 방법을 수행하는 것에 완전한 문짝등의 가구 틀을 완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조임체(30)의 회전각도는 약 90-120도 정도만 회전시켜도 충분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그 체결과정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 조립은 물론 필요시 분해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체결구는 도면에서 예로서 문짝에 한정하여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짝 이외에 문틀이나 장롱과 같이 특히 목재가 짜여져 완성되는 어떠한 가구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임체(30)가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에서 앵커부재(20)를 확관시키기 위한 조임작업시 약 1/4 회전만 수행하여도 가로목(A)과 세로목(B)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 조임체(30)의 설치위치가 몸체(10)의 축직각방향에 위치되므로써 세로목(B)의 측면부에 조립흔적이 노출되지 않고 바닥이나 가장 상부 평면에 노출되어 제품의 외관이 간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 이다.

Claims (3)

  1. 직경이 일정한 가이드부(12)의 선단에는 헤드부(11)가 후단에는 원추부(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이 몸체(10)의 가이드부(12) 외측에 선단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슬릿(21)이 수개 절결되어 몸체(10)의 원추부(13)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한 앵커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축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공구홈(31)이 파여져 외부의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될 때 몸체(10)의 헤드부(11)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트여진 수용부(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33)이 앵커부재(20)의 선단부에 접하는 테두리면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조임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체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20)는 그 후단부에 미끄럼방지돌기(22)들이 다수 돌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체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체(30)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홈(31)은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20000006629U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19147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784A KR20010087918A (ko)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84A Division KR20010087918A (ko)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77Y1 true KR200191477Y1 (ko) 2000-08-16

Family

ID=196536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629U KR200191477Y1 (ko)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KR1020000011784A KR20010087918A (ko)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84A KR20010087918A (ko) 2000-03-09 2000-03-09 가구조립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14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740A (ko) 2018-09-14 2020-03-25 박홍열 다용도 연결 지지구
KR20230154771A (ko) 2022-05-02 2023-11-09 (주) 투템디자인 가구조립용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70B1 (ko) * 2010-04-29 2011-09-14 장근대 앵커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2289Y1 (ko) 2015-09-02 2017-01-18 김윤식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740A (ko) 2018-09-14 2020-03-25 박홍열 다용도 연결 지지구
KR20230154771A (ko) 2022-05-02 2023-11-09 (주) 투템디자인 가구조립용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918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419B2 (en) Fastener
US20160138629A1 (en) Push-in fastener
US4375342A (en) Two-piece plastic fastener
US7780387B2 (en) Fixture set
US4668145A (en) Fastener for coupling together two panels in face-to-face relation
US7736107B2 (en) Clipping device
CN203453230U (zh) 一件式推进式紧固件
US20010027588A1 (en) Water-proof grommet
CN101233330A (zh) 用于连接组件和包含组件的装配件的紧固件
JPS6116848B2 (ko)
EP3810939A1 (en) Fastening clip assemblies
US20200116184A1 (en) Rivet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191477Y1 (ko) 가구조립용 체결구
CA2355455A1 (en) Bolt
KR200446700Y1 (ko) 조립용 앵커
KR100557482B1 (ko) 프레임 연결부재
KR200358881Y1 (ko) 프레임 연결부재
GB2411431A (en) Lever-operated expansion fastenings for hinge parts
KR200149515Y1 (ko) 상품 진열용 행거 부착물
KR200278307Y1 (ko) 절첩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연결구
KR100320443B1 (ko) 체결장치
CN214404239U (zh) 橱柜隐藏式连接件
CN2259522Y (zh) 新型膨胀螺钉
KR200378871Y1 (ko) 가구의 록킹장치 장착구조
KR20080103646A (ko) 자동차용 패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