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327Y1 - 공구 걸이 진열대 - Google Patents

공구 걸이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327Y1
KR200191327Y1 KR2019980002234U KR19980002234U KR200191327Y1 KR 200191327 Y1 KR200191327 Y1 KR 200191327Y1 KR 2019980002234 U KR2019980002234 U KR 2019980002234U KR 19980002234 U KR19980002234 U KR 19980002234U KR 200191327 Y1 KR200191327 Y1 KR 200191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ol
support
pillar
display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76U (ko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2019980002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3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327Y1/ko

Link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걸이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판(10)에 다수의 걸이공(80)이 형성되며, 판(10)의 일면에는 계합돌부(20)를, 판(10)의 타면에는 계합공(30)을 형성시켜, 인접 판(10)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또한, 판(10)의 계합돌부(20)를 이용하여 기둥(50)의 장구(60)를 따라 결합시킨다. 판(10)의 관통구멍(80)에 걸림부재(90)의 걸림구(93)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공구 걸이 진열대는 조립이 용이한 단위판(10)을 이용하여 장구(60)가 형성된 기둥(50)에 착탈가능 하고, 용도에 적합하게 다양한 형태로 조립 할 수 있으며, 단위판(10)내에 다수의 걸이공(80)을 형성시켜 각기 크기가 다른 공구를 판(10)위에 자유로이 전시할 수 있고, 사각 기둥체의 각면에 공구를 걸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 설치하여도 많은 공구를 안정되게 걸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구 걸이 진열대
본 고안은 공구 걸이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구를 판매하기 위해 걸어 두는 공구 걸이 진열대의 조립이 용이하며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안정되게 많은 공구를 걸 수 있는 공구 걸이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 판매소나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는 철제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위판을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단위판의 양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공구 걸이 진열대의 판에 선반을 설치하거나, 걸이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일부 파손시에는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이구를 거는 지점이 한번 정해져 걸이구를 설치하면 차후 필요에 의해 다른 크기의 공구를 걸거나 또는 보관할 수 없다는 제약성이 있었다. 그리고, 공구 걸이 진열대의 전면에 공구를 걸어 전시하는 경우 걸이판이 평판이기 때문에 공구의 무게에 의해 공구 걸이 진열대가 전방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었고, 공구 걸이 진열대의 일측면에만 공구를 걸게 됨으로 공간활용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용이한 단위판을 이용하여 장구가 형성된 기둥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용도에 적합하게 다양한 형태로 조립 할 수 있으며, 단위판 내에 다수의 걸이공을 형성시켜 각기 크기가 다른 공구를 판위에 자유로이 전시 할 수 있고, 사각 기둥체의 공구 걸이 진열대를 조립하여 여러면에 공구를 걸수 있어 좁은 공간에도 많은 공구를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걸 수 있도록 한 공구 걸이 진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공구 걸이 진열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둥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판에 걸림부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두 개의 단위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 의 판을 이용하여 결합한 공구 걸이 진열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공구 걸이 진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공구 걸이 진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9a는 사용 상태도이고, 9b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 11 : 장판
11a : 프레임 20 : 계합돌부
21 : 지지부 25,91 : 지지편
30 : 계합공 50 : 기둥
60 : 장구 70 : 내장부재
80 : 걸이공 81 : 확개부
85 : 협소부 90 : 걸림부재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판(10)에 다수의 걸이공(80)을 형성하고, 판(10)의 테두리의 일면에는 일직선상으로 배열한 계합돌부(20)와 판(10)의 테두리의 타면에는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계합공(30)을 구비한 판(10)과,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가 착탈가능하도록 기둥(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구(60)를 구비한 기둥(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10)의 걸이공(80)은 확개부(81)에 큰직경이 형성되고 상기 직경보다 적은 폭으로 상기 확개부(8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협소부(8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계합돌부(20)는 상기 판(10)의 테두리에서 수직돌출되는 원통형상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지지편(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합공(30)은 인접한 하나의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의 직경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50)의 장구(60)는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의 직경부에 감삽되는 좁은 폭과,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편(25)의 좁은 폭을 수용하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10)의 걸이공(80)과 결합되는 걸림부재(90)는 지지판(97)과, 상기 지지판(97)의 일단에서 돌출연장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판(97)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판(10)의 걸이공(80)의 확개부(81)를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80)의 협소부(85)에 섭접하는 걸림구(93)와, 상기 걸림부재(90)가 상기 판(10)의 걸이공(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지지편(91)으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 공구 걸이 진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 걸이 진열대는 판(10)과 이 판(10)의 테두리에 배열되는 기둥(50)으로 이루어진다. 이 판(10)은 다수개의 걸이공(80)을 구비하며, 걸이공(80)의 중심에는 추후 설명될 걸림부재(90)의 지지편(91)이 충분히 통과되도록 직경을 크게 형성시킨 확개부(81)와 이 확개부(81)의 외주연에서 상하좌우로 각각 연장시킨 협소부(85)로 이루어진다. 이 협소부(85)는 추후 설명될 걸림부재(90)의 걸림구(93)가 계합되도록 상기 확개부(81)의 직경보다 각 협소부(85)의 폭을 작게 형성시킨다. 상기 판(10)의 일단 테두리에는 다수의 계합돌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판(10)의 타단 테두리에는 다수의 계합공(30)이 형성된다. 상기 타단 테두리는 상기 일단 테두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으며, 또 타단 테두리와 일단 테두리를 서로 마주보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일단과 타단 테두리 이외의 테두리에도 적절하게 계합돌부(20)와 계합공(30)을 각각 형성한다.
계합돌부(20)는 판(10)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수직돌출되는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의 상측단에 형성되는 지지편(25)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1)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지지편(25)은 타원으로 형성시키며, 지지편(25)의 장축 Y-Y 을 따라 일렬로 정렬한다. 또한, 계합공(30)은 개공시켜, 그의 개구부(31)를 통과하여 상기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가 계합공(30)의 감합부(35)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한다. 그러므로, 판(10)을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판(10)의 계합돌부(20)와 다른 하나의 판(10)의 계합공(30)을 서로 끼워서 여러개를 서로 계합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50)은 도 3 에서와 같이 기둥(50)의 횡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시킨다. 기둥(50)의 종방향 L-L (도 2)으로 장구(60)를 형성시켜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가 결합되게한다. 이 장구(60)는 문자 T와 같이 형성시키며, 장구(60)의 입구(61)는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와 섭접하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장구(60)의 내측(65)에는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편(2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큰 폭으로 형성한다. 도 2에는 기둥(50)의 각 변에 하나의 판(10)을 끼울 수 있게 장구(60)를 하나씩 형성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두개의 판(10)을 결합하도록 장구(60)를 기둥(50)의 각변에 도 7와 같이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부재(9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종 공구를 걸 수 있도록 지지판(97)에서 돌출되는 걸림구(93)와, 지지판(97)의 후면에서 상기 걸림구(93)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95)와, 이 지지부(95)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편(9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구(93)는 타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공(80)의 협소부(85)에 섭접하도록 걸림구(93)의 장축 Z-Z 을 따라 양단을 평평하게 형성시킨다. 또한, 지지편(91)은 원판으로 형성시키며 지지편(91)의 직경은 상기 걸이공(80)의 확개부(81)를 충분히 통과하도록 작게 형성하면서, 지지편(91)이 상기 협소부(85)를 통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편(91)의 직경을 협소부(85)의 폭보다는 크게한다.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판(10)과 기둥(50)을 아래와 같이 조립하는 것이다. 먼저, 기둥(50)에 상단이나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장구(60)의 내측(65)에 판(10)의 일단에 형성된 계합돌부(20)를 끼워넣고, 판(10)을 장구(60)를 따라 밀어 넣는다. 이때,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의 직경이 장구(60)의 입구(61)의 폭보다약간 작게하여 판(10)이 장구(60)를 따라 섭접하는데 지장이 없게한다. 또한, 다수의 계합돌부(20)가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어 판(10)이 장구(60)를 따라 부드럽게 진행할 수있다. 한편, 판(10)의 타단에도 상기 방법과 같이 기둥(50)을 설치한다. 이상은 하나의 판(10)을 조립하는 것을 보였으나, 여러개의 판(10)을 조립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판(10)의 각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를 다른 판(10)의 각 계합공(30)의 개구부(31)를 통해 계합공(30)의 감합부(35)에 끼워넣는다. 이 지지부(21)의 직경이 감합부(35)의 폭과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판(1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계합돌부(20)의 장축 Y-Y을 직교하는 지지편(25)의 폭이 계합공(30)의 감합부(3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합돌부(20)가 계합공(3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방식으로 계속 판(10)을 연결하여 원하는 면적의 판(10)을 도 5와 같이 만드는 것이다. 판(10)의 양단을 따라 기둥(50)을 설치하고, 이 기둥에 설치된 판(10)에 직각되게 또 다른 판(10)을 기둥(50)에 설치하여 도 1 와 같이 사각기둥체의 공구 걸이 진열대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판(10)위에 걸림부재(90)를 끼우게된다. 걸림부재(90)의 지지편(91)을 판(10)의 걸이공(80)의 확개부(81)를 통과시키고, 걸림부재(90)의 걸림구(93)를 원하는 위치의 걸이공(80)의 협소부(85)측으로 밀어 끼우게된다. 본 고안에서는 공구를 걸 수 있도록 걸림부재(90)에 지지부(95)를 형성시켰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걸림부재(90)를 이용하면서 지지부(95)를 변형시켜 선반형태로 하여 공구를 선반위에 얹여놓을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사각기둥체의 일면에 문(100)의 일단을 힌지(110)로 고정시킨 문(100)을 형성시켜, 사각기둥체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게 형성한다. 즉, 사각기둥체 내부에 도 8과 같이 선반(130)을 여러개 설치하고, 이 선반(130)에 각 판(10)의 걸림부재(90)에 전시한 여분의 공구를 보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 과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판(10)을 사용하여 각 판(10)의 후면을 서로 마주 보게 한 후 판(1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재(41)(43)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각 판(10) 사이에는 내장부재(70)를 개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두 개의 판(10)을 결합하면서, 양 판(10)사이에 내장부재(70)를 개재시킴 으로서 공구 걸이 진열대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a 및 b는 본 고안 공구 걸이 진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측단이 절곡되어 프레임(11a)을 형성한 일체형의 장판(11)을 사각 기둥체 형상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11a)을 맞대어 볼트(12)로 결합 시킨 것이다. 그리고, 사각 기둥체의 일면에는 힌지(1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문(100)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 기둥체의 내부에는 전시한 여분의 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130)이 설치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판(10)에 다수의 걸이공(80)을 형성시키고, 착탈이 용이한 걸림부재(90)를 소정 위치의 걸이공(80)에 결합시킬 수 있어, 공구 판매소에서 전시 하고자 하는 공구의 크기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공구를 배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10)의 테두리를 따라 계합돌부(20) 및 계합공(30)을 형성시켜, 단위판(10)을 원하는 크기로 만들기위해 다수개의 단위판(10)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판(10)의 테두리에 형성된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계합돌부(20)를 이용하여 단위판(10)과 단위판(10)을 용이하게 조립/분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판(10)과 기둥(50)을 쉽게 조립/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10)에 형성된 계합돌부(20)를 기둥(50)에 형성된 장구(60)를 따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를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각 기둥체의 공구 걸이 진열대를 조립하여 공구 판매소의 실내·외에 공구를 전시할때에, 좁은 공간에도 많은 공구를 공구 걸이 진열대에 걸 수 있고, 공구 걸이 진열대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전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판(10)에 다수의 걸이공(80)을 형성하고, 판(10)의 테두리의 일면에는 일직선상으로 배열한 계합돌부(20)와 판(10)의 테두리의 타면에는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계합공(30)을 구비한 판(10)과,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가 착탈가능하도록 기둥(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구(60)를 구비한 기둥(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10)의 걸이공(80)은 확개부(81)에 큰직경이 형성되고 상기 직경보다 적은 폭으로 상기 확개부(8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협소부(8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계합돌부(20)는 상기 판(10)의 테두리에서 수직돌출되는 원통형상 지지부(21)와, 이 지지부(2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지지편(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합공(30)은 인접한 하나의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의 직경부와 결합되며,
    상기 기둥(50)의 장구(60)는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부(21)의 직경부에 감삽되는 좁은 폭과, 상기 판(10)의 계합돌부(20)의 지지편(25)의 좁은 폭을 수용하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10)의 걸이공(80)과 결합되는 걸림부재(90)는 지지판(97)과, 상기 지지판(97)의 일단에서 돌출연장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판(97)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판(10)의 걸이공(80)의 확개부(81)를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80)의 협소부(85)에 섭접하는 걸림구(93)와, 상기 걸림부재(90)가 상기 판(10)의 걸이공(8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지지편(9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10)의 2개를 대향되게 결합시키고, 이 대향 판(10)사이에 내장부재(70)를 개재시켜 결합시키며, 상기 각판(10)의 계합돌부(20)를 수용하는 장구(60)를 상기 기둥(50)에 대응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10)이 상기 기둥(50)에 의해 연결되어 일면이 개구된 사각 기둥체 형상을 하고, 내부공간에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선반(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10)은 일체형의 장판(11)으로 측단이 절곡된 프레임(11a)을 갖고, 상기 장판(11)의 프레임(11a)이 서로 맞대어진 후 볼트(12)결합으로 연결되어 일면이 개구된 사각 기둥체 형상을 하며, 내부공간에는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선반(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
  5. 제 3항 및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걸이 진열대의 개구된 면에 문(100)이 힌지(1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진열대.
KR2019980002234U 1998-02-20 1998-02-20 공구 걸이 진열대 KR200191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34U KR200191327Y1 (ko) 1998-02-20 1998-02-20 공구 걸이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34U KR200191327Y1 (ko) 1998-02-20 1998-02-20 공구 걸이 진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76U KR19990036376U (ko) 1999-09-27
KR200191327Y1 true KR200191327Y1 (ko) 2001-11-22

Family

ID=6971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34U KR200191327Y1 (ko) 1998-02-20 1998-02-20 공구 걸이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99A (ko) * 2016-12-12 2018-06-20 안소운 물품 진열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74Y1 (ko) * 2019-02-22 2021-06-18 김태훈 조립식 거치대 및 칸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99A (ko) * 2016-12-12 2018-06-20 안소운 물품 진열구대
KR101957293B1 (ko) * 2016-12-12 2019-06-19 안소운 물품 진열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76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1364B1 (en) Collapsing clothing display fixture
US5692605A (en) Jewelry box with a linking assembly which permits hanging of jewelry thereon
CA2311840C (en) Shelving accessory mounting system for a cabinet assembly
US5096272A (en) Adjustable width display shelf
US5427230A (en) Jewelry holder and organizer
US5269112A (en) Portable display assembly
CA2341746A1 (en) Security support system to display items
US5927840A (en) Caddy system used with a louvered vent locker door
KR200191327Y1 (ko) 공구 걸이 진열대
IE922736A1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US20050001520A1 (en) Security shelf display case
US3208598A (en) Display rack
KR100827416B1 (ko) 책상 조립체
KR101022241B1 (ko) 조립식 진열장
US5038927A (en) Display case for card-mounted merchandise
JP2008149012A (ja) ショーケース及びショーケース用キット
US20040108796A1 (en) Modular organizing system
JP4084590B2 (ja) 棚および棚受用ブラケット
KR200141788Y1 (ko) 선반용 앵글의 브래키트 체결 구조
DE29622953U1 (de) Modulares Präsentationssystem (Display-System)
JP3577975B2 (ja) 収納棚の物品落下防止装置
JP2004084762A (ja) ラック用連結部材
JP4148596B2 (ja) テーブルや棚板等の連結具
KR200273682Y1 (ko) 조립식 진열장
JP3433130B2 (ja) 取っ手等の収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