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191Y1 -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 Google Patents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191Y1
KR200191191Y1 KR2019980013588U KR19980013588U KR200191191Y1 KR 200191191 Y1 KR200191191 Y1 KR 200191191Y1 KR 2019980013588 U KR2019980013588 U KR 2019980013588U KR 19980013588 U KR19980013588 U KR 19980013588U KR 200191191 Y1 KR200191191 Y1 KR 20019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del structure
printed
unit assembl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5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3427U (en
Inventor
이면우
김지현
이상수
박건수
Original Assignee
이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면우 filed Critical 이면우
Priority to KR2019980013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191Y1/en
Publication of KR20000003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2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191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외곽선을 따라 대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분만이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장축 측벽을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10)와, 단축 측벽을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20)에는, 벽체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a) 내측에, 구조물의 높이방향으로 결합홈(11,21)이 형성되어 있되, 서로 인접결합되는 벽체끼리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즉 상기 장축 측벽용 단위 조립체(10)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지붕방향으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축 측벽용 단위 조립체(20)에는 이와는 반대로 상단면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지붕 조립체에는 네 귀퉁이에 꺽쇠형의 절개홈이 각각 형성되어, 원판 용지로부터 각 단위 조립체들을 분리하기가 용이한 것은 물론, 분리 후에도 풀 등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간단하게 구조물을 조립완성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on which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and a par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 paper while most of it is cut along its outline, and includes a unit assembly (10) forming a long axis side wall and a short side wall. In the unit assembly 20 to be formed, the coupling grooves 11 and 21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a from both ends of the wall, and the mutually coupled walls fac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coupling groove 11 is formed in the unit assembly 10 for the long side wall side to the roof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upling groove 11 in the ground direction from the top surface on the contrary 21) and the roof assembly is formed with four angled cutout grooves at the four corners, so that it is easy to separate the unit assemblies from the original paper. Of cours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o be able to simply assemble th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ans such as glue after separation.

Description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Paper with Prefab Model Structure Printed

본 고안은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조립체의 내측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단위 조립체끼리 상기 절개홈을 이용하여 끼움결합함으로써, 풀 등 별도의 접합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최종 모형 구조물을 조립완성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on which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n incision groove in the inside of the unit assembly, each unit assembly is fitted by using the incision groove, separate bonding means such as a po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on which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so that the final model structure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the need.

최근 들어 널리 알려진 건축물이나, 배, 자동차 등 형상을 거의 그대로 재현한 조립식 모형 구조물을 조립하는 것을 개인적인 취미생활로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유명 관광지 등을 방문한 다음 조립식 모형 구조물을 선물용으로 사가는 경우도 많이 있다.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enjoy assembling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s that resemble well-known buildings, ships, and automobiles as they are, as a personal hobby, and sometimes buy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gifts after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There is a lot.

이러한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재질로서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제작한 경우에는 그 비용이 비싸서, 일부 극소수 매니아들을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은 종이로 만든 구조물을 제작·판매하고 있다.As a material of such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it precisely using plastics, etc., except for some very small enthusiasts, usually a structure made of paper is produced and sold.

그런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모형 구조물의 조립에 필요한 단위 조립체들을 한 장의 원판 용지에 다수개씩 여러 장의 종이에 나누어서 인쇄하여 세트로 판매하면, 사용자가 이를 구입한 후 각 단위 조립체들을 가위 등을 이용하여 하나씩 오려내어 설명서 등 조립 안내를 위한 매뉴얼에 따라, 각각의 조립체들을 풀 등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하나씩 하나씩 붙여가면서 전체 구조물을 완성해나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plurality of unit assemblies required for assembly of a model structure are printed on a single sheet of paper divided into several sheets of paper and sold as a set, and after the user purchases the unit assemblies, one by one using scissors, etc. According to the manual for cutting and assembly instructions, each assembly was attached one by one using adhesive means such as glue to complete the entire struc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이를 이용한 조립식 모형 구조물에서, 종래에는 종이에 단위 조립체들의 모양을 인쇄만 한 상태로 판매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단위 조립체들의 전체 외곽 형상을 전부 직접 오려내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오려내는 도중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등으로 인하여 단위 조립체들이 훼손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using paper as described above, since conventionally sold only the shape of the unit assemblies printed on paper, the user has to directly cut out the entire outer shape of each unit assembly, which is cumbersome.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unit assemblies are damaged due to carelessness or mistake of the user during clipping.

또한, 각 단위 조립체들을 오려낸 후 이들을 하나씩 조립해 나갈 경우에도 상호 인접하는 구성요소들끼리 풀 등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전체 모형 구조물을 조립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이 걸리게 되어, 일반인들로서는 구입한 모형 구조물을 최종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cutting out each unit assembly and assembling them one by one, the method of joining adjacent components to each other using a bonding means such as a pool is adopted. It takes a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eneral public often gives up in the middle of the model structure purchased without final comple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원판 용지로부터 각 단위 조립체들을 분리하기가 용이한 것은 물론, 분리 후 별도 접착수단 없이 간단하게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separate the unit assemblies from the original paper, as well as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that can simply complete the structure without separate means after sepa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printed pa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측벽 단위 조립체가 인쇄된 원판 용지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c paper printed side wall unit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벽 단위 조립체를 뜯어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ide wall unit assembly of FIG. 1 is removed;

도 3은 도 1의 각 측벽 단위 조립체를 상호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이고,3 is a plan view of each side wall unit assembly of Figure 1 bonded to each other,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지붕 조립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4 conceptually illustrates a roof assembly of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지붕 조립체를 실제 제작한 경 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actual fabrication of the roof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20: 측벽 단위 조립체 11, 21, 31: 절개홈10, 20: side wall unit assembly 11, 21, 31: incision groove

13, 23: 삽입부 15, 25: 걸림턱13, 23: insertion portion 15, 25: locking jaw

30: 지붕 조립체 33: 지지면30: roof assembly 33: support surface

35: 미절단면35: uncut s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는, 임의의 모양을 갖는 인쇄물의 외곽선을 따라 절단되어 있고, 일부분만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된 것과, 각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십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Paper printed with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ut along the outline of the printed matter having an arbitrary shape, and only a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c pap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in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groov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cross-shaped cut grooves are formed in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corn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다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에서는, 상기 단위 조립체를 상기 원판 용지로부터 뜯어낸다. 이때, 상기 단위 조립체는 그 외곽선을 전부 절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분만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뜯어낼 수 있다,In the paper on which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nit assembly is removed from the original paper. At this time, the unit assembly can be easily torn off because only a part of the unit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original paper in the state that the entire outline is cut.

이어서, 인접하는 측면 단위 조립체끼리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수직방향 절개홈을 이용하여 상호 끼움결합하여 측벽을 조립하고, 이렇게 끼움결합시 형성되는 외곽 모서리 부위의 십자형 돌출부를 지붕이나 바닥면 등 상하부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십자형 절개홈에 다시 끼움결합함으로써, 풀 등 별도의 접합수단 없이도 간단하고 견고하게 필요한 구조물을 조립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adjacent side unit assemblies are fitted to each other using the vertical incision groov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ssemble sidewalls, and the cross-shaped protrusions of the outer corner portions formed during the fitting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assemblies such as a roof or a bottom surface. By refitting the formed cross-shaped incision groov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required structure simply and firmly without a separate bonding means such as pool.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조립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rinted sheet of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측벽 단위 조립체가 인쇄되어 있는 원판 용지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축 측벽을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10) 2개와, 단축 측벽을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20) 2개가 각각 인쇄되어 있되, 상기 단위 조립체들(10, 20)은 그 외곽선을 따라 대부분 정확하게 절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분만 예를 들어 외곽 모퉁이 등만이 상기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c paper on which a side wall unit assembly of a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inted. The unit assembly 10 forming a long sidewall and a unit assembly 20 forming a short sidewall Two are printed, respectively, and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are mostly cut along the outline, and only a part of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are connected to the original sheet, for example.

도 2는 상기 인쇄된 측벽 단위 조립체들(10, 20)들을 원판 용지에서 뜯어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단위 조립체들(10, 20)에는, 벽체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구조물의 높이방향으로 결합홈(11, 21)이 형성되어 있되, 서로 인접결합되는 벽체끼리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장축 측벽용 단위 조립체(10)에는 상기 결합홈(11)이 바닥면으로부터 지붕방향으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축 측벽용 단위 조립체(20)에는 이와는 반대로 상기 결합홈(21)이 상단면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측벽 단위 조립체들(10)의 중앙부 걸림턱(15,25)의 높이는 좌우 양측의 높이보다 소정 거리(d)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다.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rinted sidewall unit assemblies 10 and 20 are removed from a disc paper, and each of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has a structure in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wall. Coupling grooves (11, 21)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coupling groove 11 is formed in the unit assembly 10 for the long axis side wall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roof dir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11 is opposite to the unit assembly 20 for the short side wall. (21)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surface to the paper direction. Meanwhile, the heights of the central locking jaws 15 and 25 of the side wall unit assemblies 10 are formed to be low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han the height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의 지붕 조립체를 종이로부터 뜯어낸 후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외곽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위치한 네 귀퉁이에, 상호 90°로 교차하는 꺽쇠형상의 절개홈(31)이 각각 절개되어 있으며, 지붕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으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물론, 지붕위에 별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판 용지로부터 절단되지 않은 미절단면(35)에 의해 장축 지붕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지지면(33)이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지붕 조립체의 개념에 따라 실제로 정교한 무늬를 인쇄하여 제작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roof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paper, and four angles located insi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corner, and the angled cut grooves 90 ° to each other. Each of the sections 31 is incised and has a long axis by an uncut surface 35 which is not cut from the original paper,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without disturbing the roof shape and to form a separate layer on the roof. A support surface 33 formed to cross the roof is provide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actual printing of a fine patter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roof assembly of FIG. 4.

상기와 같이 구성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들을 뜯어내어 모형 구조물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model structure by tearing off the printed sheets of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일단, 건물의 측벽을 조립하기 위한 측벽 단위 조립체들(10, 20)을, 그것이 인쇄되어 있는 원판 용지(도 1 참조)로부터 각각 뜯어낸다. 이때, 상기 각 단위 조립체들(10, 20)은, 종이 위에 해당 모양이 인쇄만 되어 있던 종래와는 달리, 상기 결합홈(11,21)을 포함하는 전체 외곽선을 따라 대부분 오려져 있는 상태에서, 운반도중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극히 일부분만이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려내는 도중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모양을 훼손하는 경우가 잦았던 종래에 비해, 인쇄된 모양을 훼손시키지 않고도 쉽게 뜯어낼 수 있다.First, the side wall unit assemblies 10 and 20 for assembling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are respectively torn off from the original paper (see FIG. 1) on which it is printed. At this time, the unit assemblies (10, 20), unlike the prior art that only the shape is printed on the paper, in the state cut mostly along the entire outline including the coupling grooves (11, 21), Sinc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sheet does not fall off during transportation, it can be easily torn off without damaging the printed sha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shape was often damaged due to user's carelessness during cutting. have.

이렇게 뜯어내어진 각 단위 조립체들(10, 20)을 인접하는 조립체들간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결합홈(11,21)을 이용하여 상호 끼움결합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측벽 단위 조립체(10)의 일측단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과, 단축 측벽 단위 조립체(20)의 대응측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1)을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은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상호 끼움결합하면, 각각 상대측 절개홈(21, 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진행하다가, 상기 상대측 절개홈(21, 11)이 끝나는 곳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걸려서 최종적으로 두 단위 조립체들(10, 20)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21)의 길이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각 측벽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적절하게 형성한다.Each of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thus separated is fitted to each other by using coupling grooves 11 and 21 formed by themselves between adjacent assemblies.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groove 11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end of the long axis side wall unit assembly 10 and the coupling groove 2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short axis side wall unit assembly 20 are formed. When plac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s, when mutually f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uided along the relative incision grooves 21 and 11, respectively, and proceeds, where the relative incision grooves 21 and 11 end. When it reaches, it stops without going any further and finally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unit assemblies 10, 20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oupling grooves (11, 21) is appropriately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wall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the final fitted state.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네 개의 단위 조립체(10, 20)들을 하나씩 하나씩 결합하게 되면 한 층을 형성하는 네 측벽이 모두 조립완성되며, 도 3은 이렇게 완성된 측벽들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When the four unit assemblies 10 and 20 are combin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all four sidewalls forming one layer are assembled and FIG. 3 illustrates a plan view of the completed sidewalls.

이때,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결합홈(11,21)은 각 단위 조립체들(10,20)들의 양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a)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과정에 따라 각각의 측벽을 전부 조립하게 되면, 상기 단위 조립체들(10, 20)의 상기 소정 거리(a) 해당 부위들이 인접 단위 조립체들(10, 20)의 몸체(벽면)를 지나 해당 거리(a)만큼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면 네 모서리 부위가 모두 십자형(도 3의 A 참조)- 돌출된 부위만을 보면 꺽쇠형 -으로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grooves 11 and 21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from both ends of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When all the side walls of the assembly are assembl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a) of the unit assemblies (10, 20) corresponding parts are outside the body (wall surface) of the adjacent unit assemblies (10, 20) by the corresponding distance (a) As shown in FIG. 3, the four corner portions are cross-shaped (see A of FIG. 3)-when viewed only in plan view, they are cramped.

각각의 측벽들(10,20)이 이와 같은 구조로 상호 맞물려 끼움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상호 지지하게 되어 그 형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respective side walls 10 and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such a structure, the side walls 10 and 20 are mutually supported to support the loads 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hape thereof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상기와 같이 측벽이 완성된 다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갖는 건물의 지붕 조립체(30)를 역시 같은 방법으로 원판 용지로부터 뜯어낸 후, 지붕 모양을 형성하도록 적절히 접은 다음 상기 완성된 측벽의 모서리에 형성된 십자형 형태(도 3의 A 참조)가, 상기 꺽쇠형 절개홈(31)에 맞추어지도록 하여 끼워넣는다.After the side wall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roof assembly 30 of the building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4 is also torn off from the original paper in the same manner, and then folded properly to form a roof shape. The cross shape (refer to A of FIG. 3) formed in the edge of is fitted so that it may be matched with the said clamp-type notch 31, and is inserted.

즉, 각 측벽들(10,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한 외부 돌출형 결합구조가, 상기 꺽쇠형 절개홈(31)에 삽입되면 상기 지붕 결합체(30)와 상기 조립된 측벽구조물을 상호 보다 견고히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벽체 결합후의 모서리 부(도 3의 A) 및 상기 절개홈(31)이 90°로 교차되도록 형성하였으나, 측벽 본체만 90°로 유지하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outer protruding coupling structure selected to maintain the respective side walls 10 and 20 more stably is inserted into the cramped cutting groove 31, the roof assembly 30 and the assembled side wall structure are replaced.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of more firmly bonding with each other is performed. Of cours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dge portion (A of FIG. 3) and the cutting groove 31 after the side wall body are joined to each other by 90 °, but are formed to have various angles within the limit of maintaining only the side wall body at 90 °. It is also possible.

이 과정에서, 각 단위 조립체들(10, 20)의 상부 삽입부(13, 23)는 상기 지붕 조립체(30)의 오려내어진 부위에 삽입되어 끼워 넣어지다가, 상기 걸림턱(15, 25)이 상기 지지면(33)에 걸리게 되면 최종적으로 멈추어져서 결합이 완료된다. 즉, 상기 중앙부 걸림턱(15,25)과 좌우측과의 높이차(d)에 의해 최종 결합되는 건물 구조물의 측벽 높이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upper inserts 13 and 23 of the unit assemblies 10 and 20 are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cut out portions of the roof assembly 30, and the catching jaws 15 and 25 are When caught by the support surface 33 is finally stopped to complete the coupling. That is,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be finally combined is determined by the height difference (d) between the center engaging jaw (15, 25)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또한, 상기 중앙부 걸림턱(15,25) 보다 소정 높이(d) 높게 형성된 좌우측은 상기 지붕 조립체(90)가 상기 걸림턱(15,25)에 삽입된 후, 상기 미절단면(35)에 의해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이 보다 커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d) higher than the central locking jaws 15 and 25 are left and right by the uncut surface 35 after the roof assembly 9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s 15 and 25. The bearing force becomes larger by being supported against movement in the direction.

결국, 상기 각각의 측벽은 풀 등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이 단순히 끼움결합만에 의해서도, 상기 꺽쇠형 절개홈(31) 및 상기 지지면(33)에 의해 상기 지붕 조립체(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each of the side walls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roof assembly 30 by the cramped cut groove 31 and the support surface 33 by simply fitting without a separate bonding means such as a pool. It will be possible.

한편,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지붕 조립체(30)의 상부에 새로은 측벽을 끼움결합하여 다층 건축물을 조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sing the same method as above it may be assembled to the multi-layered building by fitting a new side wall on the top of the roof assembly (30).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는, 원판 용지로부터 각 단위 조립체들을 분리하기가 용이한 것은 물론, 분리 후에도 풀 등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도 간단하게 구조물을 조립완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 paper printed with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separate the unit assemblies from the original paper, and even after separation, the assembly is simply complet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ans such as glu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o do.

Claims (8)

임의의 모양이 인쇄되고, 상기 모양의 외곽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상호 교차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Arbitrary shape is printed, and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on which the cut-out grooves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의 모양은 지붕모양으로서 그 외곽선을 따라 절단되어 있되, 일부분만 원판 용지에 연결되어 있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The arbitrary shape is a roof shape, the paper cut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cut along its outline, only par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riginal pap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차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And said crossing angle is 90 [de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개홈은 상기 임의 모양의 각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The cut groove is printed paper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ur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corner of the arbitrary shap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외측 경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측면 단위 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It further comprises a side unit assembly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boundary surface, 인접결합되는 측면 단위 조립체끼리 상기 결합홈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Prefabricated model structure-printe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unit assemblies are adjacently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결합홈에 의한 측면 단위 조립체간의 상호 결합시 각 측면 단위 조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상기 지붕 단위 조립체의 상기 절개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And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each side unit assembly is fitted into the cutout groove of the roof unit assembly upon mutual coupling between the side unit assemblies by the coupling groov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측면 단위 조립체의 중앙부의 높이는 좌우 양측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is printed pa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unit assembly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지붕 단위 조립체와의 끼움결합시 상기 지붕 단위 조립체의 미절단 부위가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구조물이 인쇄된 용지.The center portion is printed on the prefabricated mode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cut portion of the roof unit assembly is covered when fitting with the roof unit assembly.
KR2019980013588U 1998-07-23 1998-07-23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KR2001911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588U KR200191191Y1 (en) 1998-07-23 1998-07-23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588U KR200191191Y1 (en) 1998-07-23 1998-07-23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27U KR20000003427U (en) 2000-02-15
KR200191191Y1 true KR200191191Y1 (en) 2000-09-01

Family

ID=1953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588U KR200191191Y1 (en) 1998-07-23 1998-07-23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19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27U (en)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219A (en) Collapsible pallet mounted container
JP4034828B2 (en) Carrying tool
US5562048A (en) Structurally strong pallet facilitating easy manufacture fabricated from a stiff foldable material
US7473215B2 (en)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20380083A1 (en) Box with foldable handle
EP1184289B1 (en) Stackable trays for transporting fruit and horticultural products
EP1084957A1 (en) Stackable cardboard box and blank
CA2128318A1 (en) Pallet fabricated of a stiff foldable sheet material
US4222598A (en) Container
US5365857A (en) Pallet stringer
US20190344191A1 (en) Structural element
KR100355844B1 (en) Pallet with Stringer
US3462065A (en) Foldable carton and blank with triangle shaped corner
KR200191191Y1 (en) A printed paper for sectional planar structure
FI61994B (en) HALVFABRIKAT FOER LIKKISTA SAMT DAERAV GJORD KISTA
JP4808582B2 (en) Corrugated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7168208B2 (en) folding cardboard coffin
US4227641A (en) Partition structure
KR200194508Y1 (en) Model aeroplane made of paper
JP5068993B2 (en) Corrugated board top plate structure
JP2006016030A (en) Paper-made pallet and girder member therefor
JPH0749998Y2 (en) Paper assembly toys
KR200490327Y1 (en) Block for toy
JP2000238744A (en) Assembly box
JPH0627626U (en) Corrugated board corne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