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032Y1 - Electric portable crane - Google Patents

Electric portable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32Y1
KR200191032Y1 KR2020000002363U KR20000002363U KR200191032Y1 KR 200191032 Y1 KR200191032 Y1 KR 200191032Y1 KR 2020000002363 U KR2020000002363 U KR 2020000002363U KR 20000002363 U KR20000002363 U KR 20000002363U KR 200191032 Y1 KR200191032 Y1 KR 200191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ube
electric
crane device
mobil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석호
Original Assignee
오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호 filed Critical 오석호
Priority to KR2020000002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03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32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을 사용을 편리하게 한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직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관체를 신축가능하게 결합하여 휴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 크기의 후레임을 형성하고, 또한 후레임에는 그 후레임을 건물의 벽체에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한 한쌍의 고정구 설치와 아울러 상기 후레임에는 고정구를 부착할 건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임의로 간격 조절을 할 수 있게한 나사식 조절구를 설치하며, 상기 후레임 상에는 건물로부터 물품을 승강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로프와 전동윈치 등으로 된 승강구를 설치한 것에 의해, 크레인의 이동과 아울러 조작을 쉽게 한 특징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that makes the movement easy to use. This invention devises a frame of a size that enables portable movement by elastically combining two or more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and also a pair of fasteners that make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frame to the wall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crew control device tha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uilding wall to be attached to the fixture, the rope and electric winch for use to lift the goods from the building on the frame By providing the hatch of the back, it has the characteristic which made operation easy with movement of a crane.

Description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Electric Portable Crane}Electric mobile crane device {Electric Portable Crane}

본 고안은 주로 저층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간판의 설치작업에 사용하는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의 후레임(Frame)을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휴대 이동과 아울러 조작 작업을 편리하게 한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for use in the installation of signboard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a low-rise building, and in particular, the electric frame that makes the mobile frame and the convenient operation easier by constructing a compact frame of the crane. It is related to the crane device.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간판 등을 부착함에는 작업의 편리함을 위해 자동차에 장착된 텔레스코프식 크레인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간판의 무게는 경량이긴 하지만 넓이 혹은 길이 등의 규모로 인하여 상기 크레인만으로 작업을 함에는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직접 로프를 이용하여 간판을 건물의 외벽으로 이동하면서 부착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ttaching a signboar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 telescope-type crane mounted on an automobile may be used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However, the signboard is generally light in weight, but due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signboard, the crane There are great difficulties in working with the bay, so people use ropes to attach signs to the outer walls of buildings.

그러나 이와 같은 간판의 설치 방법은 상대적으로 작업 인원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작업 시간 역시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고, 또한 작업시 추락 등의 안전 사고 위험의 우려성이 있다.Howev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such signboards take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workers, as well as a lot of work time,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during work.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을 콤팩트하게 소형화하여 휴대 이동성 및 조작성의 향상과 아울러 안가로서 공급할수 있는 경제성을 갖게 한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and to provide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having a compact size of a crane to improve portable portability and operability and to provide economics at a safe pr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직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관체를 결합하여 신축가능하게 구성한 후레임 ; 상기 후레임의 저부에 회동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그 후레임을 건물의 벽체에 탈부착하며,간격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관체와 같이 이동할 수 있게 한 한쌍의 고정구 ; 상기 고정구를 구비한 상기 후레임의 어느 하나의 관체내에 설치된 나사 안내공과, 그 나사 안내공을 통해 내부 관체에 헐겁게 결합된 손잡이를 갖는 나선축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안내공을 통한 나선축의 왕복이동시 상기 관체들과 함께 고정구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 ; 상기 후레임상의 조절구와의 인접위치에 설치된 정역(正逆)구동의 전동윈치와, 그 전동윈치로부터 상기 지지틀체의 어느 일단에 구비된 안내용 로울러를 통해 연결용 고리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전동윈치의 구동시 감기거나 혹은 풀리면서 물품을 현가하는 데에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와 후크로 이루어진 승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Motorized mobile cra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configured to stretch and combine two or more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claim 1; A pair of fasten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move together with the tube to control the interval; It consists of a screw guide hole installed in any one tube of the frame provided with the fastener, and a handle coupled loosely to the inner tube through the screw guide ho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piral shaft through the guide hol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xture together with the tubes; The electric winch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provided in the adjacent position with the frame-shaped control opening, and the guide winch provided on ei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from the electric winch, and is installed over the connecting ring, And a hatch comprising a wire rope and a hook used to suspend the article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during operation.

상기 후레임의 어느 하나의 관체의 양측에는 그 내부에 결합된 관체를 단계적으로 멈추기 볼트식 스톱퍼와 이탈을 방지용 계지핀이 더 설치됨이 바람 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one of the frames of the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bolt and stopper pi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pipe coupled to the inside step by step.

상기 후레임에는 휴대용 벨트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ram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ortable belt and a ring for fixing the same.

상기 전동윈치에는 제어기가 더 구비된다.The electric win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l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의 외관 사시도 이고,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mitted and shown along the line II in FIG. 1;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절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를 도 1의 B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측면도 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B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크레인 장치 110 : 후레임(Frame)100: crane device 110: frame

120a,120b : 고정구 130 : 나사식 조절구120a, 120b: Fixture 130: Screw-in Adjustment

132 : 나사공 134 : 나선축132: screw hole 134: spiral shaft

140 : 승강구 142 : 전동윈치140: hatch 142: electric winch

146 : 와이어 로프 145 : 후크146: wire rope 145: hook

145,170 : 연결고리 150 : 제어기145,170 connection ring 150 controller

160 : 벨트 180 : 스톱퍼160: belt 180: stopper

182 : 고정홈 190 : 계지핀182: fixing groove 190: locking pin

194 : 걸림턱194: jamming ja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100)은 직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관체들(112a,112b,112c)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신축가능하게 구성한 후레임 (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체들(112a,112b,112c)의 형상은 원형 관체 보다는 제작 특성상 사각 형상을 이루게 함이 바람 직하다. 상기 후레임(110)에 대한 상세 구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110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configured by sequentially combining two or more tubes 112a, 112b, and 112c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e shapes of the tubular bodies 112a, 112b, 112c are preferr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due to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ircular tubular body. A detailed structure of the fram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상기 후레임(110)저부에는 그 후레임(110)을 건물의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구들(120a,120b)가 대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들 (120a,120b)는 상기 후레임(110)의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설된 고정간들(122a ,122b)과, 그 고정간들(122a,122b)의 하단에 회동가능 하게 힌지된 고정판체 들(124a,12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체 들(124a,124b)의 전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설치할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체들(124a,124b)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이유는 경사 벽체에도 쉽게 순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e bottom of the frame 110, a pair of fasteners 120a and 120b for firmly attaching the frame 110 to a wall of a building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fasteners 120a and 120b may include fixing bars 122a and 12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110 and fixing plates rotatably hinged to lower ends of the fixing bars 122a and 122b. 124a, 124b).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124a, 124b)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projection. The reason why the fixing plates 124a and 124b are rotatably installed is to allow easy compliance with the inclined walls.

상기 제1고정구(120a)는 평상시 고정 상태로 있는 상기 제1관체(112a)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1고정구(120a)와 대향 설치된 상기 제2고정구(120b)는 상기 제1관체 (112a)의 내부로 접동자재(摺動自在)하게 삽입된 제2관체(112b)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구(120b)는 상기 제2관체(112b)의 이동시 그 제2관체(112b)의 이동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고정구 (120a)에 대하여 임의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구들(120a,120b)의 간격 조절을 실시 할수가 있다. 상기 고정구들(120a,120b)의 간격 조절은 상기 후레임(110)을 어느 두께의 벽체에도 쉽게 고정할수 있는 특징을 갖게 한다.The first fixture 120a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tube body 112a, which is normally fixed, while the second fixture 120b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fixture 120a.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2nd tubular body 112b inserted slidingly into the 1st body 112a. Accordingly, the second fixture 120b moves fre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ture 120a withi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second tube 112b when the second tube 112b moves. You can adjust the interval of.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fasteners (120a, 120b) has a feature that can be easily fixed to the frame 110 of any thickness.

상기 후레임(110)의 어느 일단부 즉, 도1에서 보아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1관체(112a)에는 상기 고정구들(120a,120b)의 거리의 이동을 세밀하고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나사식 조절구(130)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One end of the frame 110, that is, the first tube (1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1 is a screw adjustment mechanism for finely and freely adjusting the movement of the distance of the fasteners (120a, 120b) ( 130) is install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조절구(130)을 구비한 상기 후레임(110)상에는 피 이동용 물품 즉, 간판 등을 승강 이동함에 사용하기 위한 승강구(14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 (140)은 상기 조절구(130)이 설치된 상기 후레임(110)의 제1관체(112a)상에 일체로 설치된 정역(正逆)구동의 전동윈치(1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동윈치(142)에는 와이어 로프(146)이 풀림 가능하게 감겨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146)의 일단은 상기 전동윈치(142)의 내부 구동축(미도시) 에 권취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와이어 로프(146)의 타단은 상기 후레임(110)의 선단부 즉, 제3관체(112c)의 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안내 로울러(148)을 통하여 상기 제3관체(112c)의 저부에 일체로 장착된 연결고리(147)에 결속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146)에는 간판과 같은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후크(145)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 로프(146)의 전체 길이는 대략 30m 이나, 상기 와이어 로프(146)이 연결고리(147)에 지지된 상태로서 상기 전동윈치(142)로부터 풀린 전체 길이는 그 절반인 대략 15m이다. 또한 상기 정역구동 방식의 전동 윈치(142)에는 그 윈치(142)를 온 오프 혹은 정역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15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정역 구동방식의 전동윈치(142)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150)에 대한 기술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구조를 채용한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frame 110 provided with the adjusting device 130, a hatch 140 for use in lifting and moving the object to be moved, that is, a signboard or the like is mounted. The hatch 14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winch 142 of forward and reverse driving integrally installed on the first tube 112a of the frame 110 in which the adjusting mechanism 130 is installed. The wire rope 146 is wound around the electric winch 142 so as to be loosened. One end of the wire rope 146 is fixed to the inner drive shaft (not shown) of the electric winch 142, while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146 is the front end of the frame 110, that is, first Through the guide roller 148 integral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three tube (112c), it is bound to the connecting ring 147 integrally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third tube (112c). The wire rope 146 is provided with a fixing hook 145 for fixing an article such as a sign. For reference, the total length of the wire rope 146 is approximately 30m, but the wire rope 146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ing 147, and the total length released from the electric winch 142 is about 15m, which is half thereof. . In addi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type winch 142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50 for adjusting the winch 142 on or off or forward and reverse,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type winch 142 and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Sinc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150 employs a general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후레임(110)에는 상기 크레인 장치(100)을 쉽게 휴대함에 사용하도록 한 휴대용 벨트(160)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17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벨트(160)의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147)에 연결된다.Th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portable belt 160 and a fixing ring 170 for fixing the crane belt 100 to easily carry the crane device 100, the other end of the belt 160 is the connection ring 147 is connected.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절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1 omitted and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and FIG. 4 is a sectio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It is a cross section.

본 실시 예는 후레임(110)과, 그 후레임(110)에 설치된 상기 고정구들(120a ,120b)의 거리의 이동을 세밀하고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나사식 조절구(1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후레임(110)의 상기 제2관체(112b)는 상기 나사식 조절구(130)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관체(112b)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접동자재 하게 결합된 상기 제3관체(112c)는 상기 제2관체 (112b)로부터 사람들이 직접 손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This embodiment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rame 110 and the screw adjustment mechanism 130 for finely and free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istance of the fixtures 120a and 120b installed in the frame 110, The second tube (112b) of the frame 11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y the screw adjustment mechanism 130, the slidingly coupled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second tube (112b) In the third tube 112c, people move directly from the second tube 112b by hand.

먼저 상기 조절구(130)은 상기 제1관체(112a)의 단부 내에 일체로 형성한 나사 안내공(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 안내공(132)를 통해서는 소정길이를 갖는 나선축(134)가 축선 이동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제1관체 (112a)내로 연장되어 위치한 상기 나선축(134)의 일단부는 상기 제1관체(112a)의 내부로 결합된 제2관체(112b)의 단부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는 반면, 그 대향 단부에는 상기 나선축(134)를 회동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1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36)의 조작에 의한 상기 나선축(134)의 회동시 상기 안내공(132)를 통한 나선축(134)의 축방향 왕복 이동으로 상기 제2,제3관체들(112b,112c)역시 상기 제1관체(112a)의 내부로 동일 방향으로 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관체(112b)의 이동시 그 저부에 부착된 고정구(120b)역시 대향 위치한 고정구(120a)에 대해 이동되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adjusting device 130 is provided with a screw guide hole 132 integrally formed in the end of the first tube (112a). Through the screw guide hole 132, a spiral shaft 13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screwed so as to be axially movable, and one end of the spiral shaft 134, which extends into the first pipe 112a, is While loose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e body 112b coupled into the first tube body 112a, a handle 136 for rotating the spiral shaft 134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portion thereof. When the spiral shaft 134 is rotat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136, the second and third tubular bodies 112b and 112c are formed by the axial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piral shaft 134 through the guide hole 132. Also sliding in the same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first tube (112a). In addition, when the second pipe 112b is moved, the fixture 120b attached to the bottom thereof is also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20a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to adjust the gap.

한편 상기 제2관체(112b)는 상기 조절구(130)의 조절에 의해서 제1관체 (112a)에 대해 접동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제3관체(112c)는 상기 제2관체 (112b)로 부터 사용자들이 직접 이동되게 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관체 (112c)는 상기 제2관체(112b)에의 어느 일측에 설치된 볼트식 스톱퍼(180)에 의해서 상기 제2관체(1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3관체 (112c)를 상기 제2관체(112b)로 부터 이동 시키고자 함에는 상기 볼트식 스톱퍼 (180)을 해제상태로 위치 시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3관체(112c)에는 상기 관체(112c)를 단계적으로 고정함에 사용하는 고정홈(182)를 설치할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ube 112b can be made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e 112a by the adjustment of the control mechanism 130, the third tube 112c from the second tube (112b) Combined to allow users to move directly. The third tubular body 112c can be firmly fixed to the second tubular body 112 by a bolt stopper 18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ubular body 112b, and conversely, the third tubular body 112c is provided. ) Is to be moved from the second tube 112b by positioning the bolt stopper 180 in a released state.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third conduit 112c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82 used to fix the conduit 112c in stages.

또 상기 제2관체(112b)의 상기 볼트식 스톱퍼(180)과의 반대 측에는 상기 제3관체(112c)를 상기 제2관체(112b)로부터 연장되게 이동시 완전히 이탈됨을 방지 하기 위한 계지핀(190)이 상기 제2관체(112b)를 관통하여 상기 제3관체(112c)에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계지핀(190)은 상기 제3관체(112c)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홈(192)에 의해서 형성되는 걸림턱(19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관체(112c)는 상기 제2관체(112b)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일은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in 19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lt-type stopper 180 of the second tube 112b to prevent the third tube 112c from being completely removed when extending from the second tube 112b. 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third tube (112c) through the second tube (112b), the locking pin 190 is in the guide groove 19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tube (112c). It is to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194 formed by. Therefore, the third tube 112c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econd tube 112b.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를 도 1의 B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측면도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 및 작동 일예를 설명한다.5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B of FIG. 1, with reference to this figure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크레인 장치(100)은 사용하기에 앞서 간판(미도시)을 부착할 건물 벽체(200)에 고정되는데, 상기 크레인 장치(100)을 건물 벽체(200)에 고정 하고자 함에는 상기 고정구들(120a,120b)를 상기 벽체(200)에 맞도록 고정 하면 되는데, 이 때에는 조절구(130)을 조작하면 된다. 상기 조절구(130)은 손잡이(136)을 잡고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나선축(134)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2관체(112b)의 이동으로 상기 고정구(120b)가 고정구(120a)에 대하여 이동되므로(도 2참조),상기 크레인 장치(100)을 건물벽체(200)에 고정 하거나 혹은 해제할 수가 있다.First, the crane device 100 is fixed to a building wall 200 to which a signboard (not shown) is attached prior to use, and to fix the crane device 100 to the building wall 200, the fasteners 120a. , 120b may be fixed to fit the wall 200. In this case, the adjusting mechanism 130 may be manipulated. When the adjusting device 130 is rotated in any direction by holding the handle 136, the fastener (120b) to the fastener (120a)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tube (112b) by the movement of the spiral shaft 134 2, the crane device 100 may be fixed to or released from the building wall 200.

또한 상기 제2관체(112b)에 결합 된 제3관체(112c)는 간판 등을 현가하는 후크(145)와 건물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2관체(112b)로부터 신장되게 하거나 혹은 수축되게 할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2관체(112b)에 설치된 볼트식 스톱퍼(180)을 해지하거나 혹은 체결함에 의해서 달성된다(도3참조).In addition, the third tube 112c coupled to the second tube 112b may be extended or contracted from the second tube 112b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145 suspending a signboard and the building. In this case, it is achieved by releasing or fastening the bolt stopper 180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112b (see FIG. 3).

상기 후크(145)에는 건물의 벽체에 설치할 간판을 걸게되는데, 상기 후크(145)에 견고하게 결속한 간판(300)은 승강구(140)의 전동윈치(142)의 구동으로 상하로 이동 시킬수 가 있다. 즉, 상기 전동윈치(142)에 설치된 제어기(150)에 구비된 버튼(도면번호 미부여)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게 되면,상기 전동 윈치(142)는 그 내부에 구비된 전동 모우터의 정 혹은 역 방향의 구동에 따라 정 혹은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는데, 이에 의거 상기 로프(146)역시 상기 전동 윈치 (142)의 구동방향에 따라서 당겨지거나 혹은 풀림에 의해 상기 후크(145)에 고정 시킨 간판(200)을 소망하는 위치로 승하강 시키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간판의 설치 작업 완료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함에는 도 5에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도 1표시의 벨트를 이용하면 쉽게 이동할수가 있다.The hook 145 hangs a signboard to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signboard 300 firmly bound to the hook 145 can be moved up and down by driving the electric winch 142 of the hatch 140. . That is, when a user arbitrarily manipulates a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ler 150 installed in the electric winch 142, the electric winch 142 may be provided with the positive motor or the electric motor provided therein. According to the dri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o driv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rope 146 is also pull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winch 142 or the signboard (200) fixed to the hook 145 by loosening You can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while moving up and down to the desired pos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5 to move the cran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ignboar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asily moved using the belt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크레인의 프레임을 포함한 구동 장치를 간결한 구조를 이루게 콤팩트하게 구성 한 것에 의해, 작업자들로 하여금 혼자서도 휴대 이동을 간편하게 한 효과와 아울러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여 안가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mpactly configuring the drive device including the frame of the crane to form a concise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operated as well 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mobile movement by the worker alone.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at ease.

Claims (4)

직경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관체를 결합하여 신축가능하게 구성한 후레임 ;Frame consisting of two or more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in a stretchable configuration; 상기 후레임의 저부에 회동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그 후레임을 건물의 벽체에 탈부착하며,간격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관체와 같이 이동할 수 있게 한 한쌍의 고정구 ;A pair of fasten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move together with the tube to control the interval; 상기 고정구를 구비한 상기 후레임의 어느 하나의 관체내에 설치된 나사 안내공과, 그 나사 안내공을 통해 내부 관체에 헐겁게 결합된 손잡이를 갖는 나선축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안내공을 통한 나선축의 왕복이동시 상기 관체들과 함께 고정구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 ; 및It consists of a screw guide hole installed in any one tube of the frame provided with the fastener, and a handle coupled loosely to the inner tube through the screw guide ho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piral shaft through the guide hol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xture together with the tubes; And 상기 후레임상의 조절구와의 인접위치에 설치된 정역(正逆)구동의 전동윈치와, 그 전동윈치로부터 상기 지지틀체의 어느 일단에 구비된 안내용 로울러를 통해 연결용 고리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전동윈치의 구동시 감기거나 혹은 풀리면서 물품을 현가하는 데에 사용하는 와이어 로프와 후크로 이루어진 승강구를 포함하는 전동식 이동 크레인장치.The electric winch of the forward and reverse drive provided in the adjacent position with the frame-shaped control opening, and the guide winch provided on ei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from the electric winch, and is installed over the connecting ring, An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comprising a hatch consisting of a wire rope and a hook used to suspend an article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dur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의 어느 하나의 관체의 양측에는 그 내부에 결합된 관체를 단계적으로 멈추기 볼트식 스톱퍼와 이탈을 방지용 계지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The motorized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sides of one of the frames are further provided with bolt stoppers for stopping the pipes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and a stopper pin for preventing sepa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에는 휴대용 벨트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2. The motorized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portable belt and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윈치에는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The electric mobile c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winch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KR2020000002363U 2000-01-28 2000-01-28 Electric portable crane KR2001910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63U KR200191032Y1 (en) 2000-01-28 2000-01-28 Electric portabl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63U KR200191032Y1 (en) 2000-01-28 2000-01-28 Electric portable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32Y1 true KR200191032Y1 (en) 2000-08-16

Family

ID=1963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63U KR200191032Y1 (en) 2000-01-28 2000-01-28 Electric portable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032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80B1 (en) * 2014-02-20 2014-12-15 한국기계연구원 Weight clamping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KR101478610B1 (en) * 2014-02-20 2015-01-02 한국기계연구원 Clamping screw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KR101510045B1 (en) * 2014-03-11 2015-04-07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Angle adjustable wire hanger for gondola device
KR20200078087A (en) 2018-12-21 2020-07-01 진연수 Portable electric cra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80B1 (en) * 2014-02-20 2014-12-15 한국기계연구원 Weight clamping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KR101478610B1 (en) * 2014-02-20 2015-01-02 한국기계연구원 Clamping screw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KR101510045B1 (en) * 2014-03-11 2015-04-07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Angle adjustable wire hanger for gondola device
KR20200078087A (en) 2018-12-21 2020-07-01 진연수 Portable electric cr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3405T3 (en) MODULAR ELEVATOR ASSEMBLY.
US3088545A (en) Tower hoist
US7434787B2 (en) Winch for raising and lowering persons
JP2019190263A (en) Work method for building outer surface
KR200191032Y1 (en) Electric portable crane
JP3584317B2 (en) Elevating and moving device for working at height
CN115064996A (en) Cable erection equipment for building electromechanical installation and use method thereof
KR101566326B1 (en) Multistage lifting apparatus for large lighting
JP2000017848A (en) Chief rope tension device for safety rope used on construction or demolition of temporary scaffold for building
US20060196091A1 (en) Retractable self-leveling ceiling sign hanger
KR20020075357A (en) A lighting apparatus
KR200317693Y1 (en) A lifter
KR200191014Y1 (en) A small size crane
JP5491153B2 (en) Safety fence device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JPH10139385A (en) Hoisting swiveling device
KR200418719Y1 (en) Signboard installing device for ladder
US12073745B2 (en) Cross street banner suspension system
JPH07237855A (en) Elevating device
JPH09247594A (en)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for video projector
CN217065925U (en) Folding support convenient to operate
CN215248855U (en) Portable cable reel device of carrying crawler
JP2012026162A (en) Safety apparatus for roof work
KR102070874B1 (en) Truss structure with openable awning
JPS58475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lifting exterior plates of high-rise buildings
EP1536869B1 (en) Hoisting device and hoist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