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874Y1 - Double cup - Google Patents

Double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874Y1
KR200190874Y1 KR2020000002903U KR20000002903U KR200190874Y1 KR 200190874 Y1 KR200190874 Y1 KR 200190874Y1 KR 2020000002903 U KR2020000002903 U KR 2020000002903U KR 20000002903 U KR20000002903 U KR 20000002903U KR 200190874 Y1 KR200190874 Y1 KR 200190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lid
content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9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곤
Original Assignee
이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곤 filed Critical 이제곤
Priority to KR2020000002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8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87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배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보온이나 열차단이 가능한 동시에 장식용이나 광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이중컵은, 컵을 구성함에 있어,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내컵(10)과, 상기 내컵(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내컵(10)을 둘러싸고, 상기 내컵(10)의 개방된 입구(10a)부분에 결합되는 외컵(20) 및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에 안착되고, 상면에 공기유입구(30a)와 내용물배출구(30b)가 형성되며, 하면에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내컵(10)의 내경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판(32)이 형성되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보온성이 우수하고, 열전달을 완전히 차단하며, 매우 가벼워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도 사용 및 취급을 편리하게 하고,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뚜껑과 내컵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으며, 상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다양한 문양 및 도안이 인쇄된 장식물이나 광고물을 삽입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cup having a lid formed with a content outlet,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that can be used for decoration or advertisement at the same time as to keep warm or cut off the heat. A cylindrical inner cup 10 having an open shape upward, an outer cup surrounding the inner cup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upled to an open inlet portion 10a of the inner cup 10 ( 20) and the inlet 10a of the inner cup 10, the air inlet 30a and the contents outlet 3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ner diameter surface shape of the inner cup 10 to prevent leakage on the low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d 30 is formed with a blocking plate 32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completely block the heat transfer, very light, even in a state of receiving hot or cold contents Convenient to use and handle, the contents can be eaten without leaking the contents between the lid and the inner cup even when the lid is combined, and a decorative or advertisement 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product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Description

이중컵{double cup}Double cup {double cup}

본 고안은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배출구가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보온이나 열차단이 가능한 동시에 장식용이나 광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cup having a lid having a content outlet is convenient to use, can be used for decoration or advertising at the same time can be kept warm or cut off.

일반적으로, 컵이란 사용자가 취식하기 적당한 분량의 음료수나 액상의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입으로 운반하기 위한 용기의 일종으로서,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일체형 구조물로 제작된다.In general, a cup is a kind of container for storing a user's drinking water or liquid food, or conveying it in the mouth, which is suitable for eating by a user. The cup is generally made of a cylindrical unitary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n open upper side.

이러한 컵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고, 컵의 외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도안을 새겨서 장식용이나 광고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The cup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widely used for decoration or advertisement by engraving various patterns or patter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한편, 이러한 컵에는 뜨거운 커피나 차, 우유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기도 하고, 차가운 청량음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such cups may contain contents such as hot coffee, tea, milk, and the like, and contents such as cold soft drinks.

따라서, 종래의 컵은 내용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막고, 내용물의 열기가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벽면이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Thus, conventional cups have a thick wall surfac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from changing rapidly and to block heat transfer so that the heat of the contents is not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제작비가 많이 들고, 사기나 유리 등의 두꺼운 벽면도 열전달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뜨거워진 컵을 놓치거나 손에 화상을 입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ups are very inconvenient to use as they increase in weight as they increase in thickness,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thick walls such as porcelain or glass can not completely block heat transfer, so they miss a hot cup or get in the hand.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burns.

또한, 종래의 컵은 뚜껑이 설치되는 것도 있으나 이러한 뚜껑은 상기 컵의 입구에 안착되는 단순한 구조로서, 뚜껑을 닫아도 컵을 기울이면 내용물이 상기 컵과 뚜껑사이에서 누출되고, 상기 뚜껑에는 아무런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수 없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up is also provided with a lid, but the lid is a simple structure that is seated at the inlet of the cup, the contents are leaked between the cup and the lid when the cup is tilted even when the lid is closed, there is no hole in the lid Because it was not formed, the user could not eat the contents while the lid was covered.

또한, 종래의 컵은 외표면에 장식용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도안을 새기기 위해 전용 금형을 만들어 몰딩 성형하거나 광고용 문구를 새기기 위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등 한 번 제작되면 다른 문양이나 도안을 다시 세길 수 없고, 성형을 위한 가공비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ups can be counted once, such as molding and molding to cut a variety of patterns or patterns for decoration on the outer surface, or cutting to engrave advertisement text, once the other patterns or patterns cannot be counted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cost for the expensi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컵과 외컵을 갖고, 그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보온성이 우수하고, 열전달을 완전히 차단하며,매우 가벼워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도 사용 및 취급을 편리하게 하는 이중컵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ving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xcellent heat insulation, completely block the heat transfer, very light to use even in the hot or cold contents And a double cup for convenient handling.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에 공기유입구와 내용물배출구가 형성되어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고, 뚜껑과 내컵이 밀착되도록 차단판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컵을 기울여도 상기 뚜껑과 내컵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게 하는 이중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and the contents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lid, the user can eat the contents even when the lid is coupled,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so that the lid and the inner cu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to tilt the inner cup A double cup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between the lid and the inner cup.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컵을 투명하게 제작하고, 상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다양한 문양 및 도안이 인쇄된 장식물(장식지)이나 광고물(광고지)을 삽입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장식물/광고물(예를 들면, 달력이나 사진 등)의 교체도 가능하게 하는 이중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outer cup transparent, and insert a decoration (decoration paper) or advertising material (billing paper) 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t is to provide a double cup tha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roduct, and also to replace the decoration / advertisement (for example, calendar or photograph).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cu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2의 내용물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contents discharge port of FIG. 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중컵은, 컵을 구성함에 있어,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내컵과, 상기 내컵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내컵을 둘러싸고, 상기 내컵의 개방된 입구부분에 결합되는 외컵 및 상기 내컵의 입구부분에 안착되고, 상면에 공기유입구와 내용물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내컵의 내경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판이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ubl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the inner cup of the upper shape of the open shape, surrounding the inner cu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oupled to the open inlet portion of the inner cup Is formed in the outer cup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inner cup, the air inlet and the contents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comprises a lid formed to form a bloc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ner cup to prevent leakage on the lower surface It features.

또한, 상기 내컵은 열 축적량이 많은 금속이나 검은색의 내열성 합성수지류나 도기류나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외컵은 투명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컵과외컵 사이에 광고물이나 장식물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ner cup is made of a metal or black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pottery or transparent material with a large amount of heat storage, the outer cu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sert advertisements or decorations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

또한, 상기 뚜껑은 사용자가 내용물의 취식시 손가락으로 뚜껑을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상단부 및 직경이 큰 원통형의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이단 구조이고, 상기 상단부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단부의 상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상방 돌출된 상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하방 돌출된 하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d is a two-stage structure consisting of a cylindrical upper end and a large cylindrical lower end of the diameter so that the user is easy to grip the lid with a finger when the contents of the intak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step protruding upwardly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tep protruding downwardly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is formed.

또한, 상기 뚜껑이 상기 내컵에 억지물림되지 않도록 상기 내컵의 입구부분에는 상기 뚜껑의 하방단턱이 걸리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may be forme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inner cup so as to prevent the lid from being bitten by the inner cup.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컵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ouble cu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컵은, 내용물(1)이 수용되는 내컵(10)과 상기 내컵(10)을 둘러싸는 외컵(20) 및 상기 내컵(10)에 안착되는 뚜껑(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First, as shown in FIG. 1, a double cu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up 10 in which contents 1 are accommodated, an outer cup 20 surrounding the inner cup 10, and the inner cup 10. It is the structure comprised by the lid 30 seated in the 10.

즉, 상기 내컵(10)은,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이고, 그 내경면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이며, 상방에 내용물(1)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10a)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열성 합성수지류나, 열 축적량이 많은 금속이나 유리, 도기류, 투명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inner cup 10 is a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opening, the inner diameter surface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hape, the inlet 10a through which the contents 1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a metal, glass, pottery, a transparent material or the like with a large amount of heat accumulation.

특히, 상기 내컵(10)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열 흡수력이 우수한 검은색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inner cup 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colors, but preferably,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lack-based color having excellent heat absorption.

또한, 상기 내컵(10)은 상기 입구(10a)부분이 역으로 구부러져서 아래로 처지는 형태의 연장부(10b)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0b)는 사용자의 입술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장부(10b)의 외경면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뚜껑(30)이 상기 연장부(10b)에 결합될 때, 상기 뚜껑(30)에 상기 연장부(10b)가 억지물림되어 분리가 어려워지지 않도록 상기 연장부(10b)에는 상기 뚜껑(30)의 결합 깊이를 결정하는 스토퍼(4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cup 10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10b having a shape of sagging down because the inlet portion 10a is bent in reverse. The extension part 10b is a part where the user's lip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0b gradually expands downward, and the lid 30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10b. In this case, the stopper 40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0b to determine the coupling depth of the lid 30 so that the extension part 10b is forbidden to the lid 30 so that the separation is difficult.

또한, 상기 외컵(20)은 상기 내컵(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내컵(10)을 둘러싸고, 상기 내컵(10)의 개방된 입구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컵(10)과 외컵(20)의 결합부분은 초음파 용접되어 영구 결합되도록 가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및 억지 물림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er cup 20 surrounds the inner cup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upled to an open inlet portion of the inner cup 10, and the inner cup 10 and the outer cup 20. The coupling part of the) may be processed to be ultrasonically welded and permanently coupled, or may be formed to be screwed and forcibly engag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이러한 외컵(20)은 상기 내컵(10)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되어 상기 내컵(1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외컵(20)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고온이나 저온의 내용물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The outer cup 20 has a hollow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cup 10 and prevents the heat emitted from the inner cup 10 from being conducted to the outer cup 20, resulting in a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t can be prevented from changing.

또한, 상기 외컵(20)은,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중공부에 즉, 상기 내컵(10)과 외컵(20) 사이에 광고물(2)(광고지)이나 장식물(장식지)이 삽입되면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cup 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when the advertisement 2 (billing paper) or decoration (decorative paper)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cup 10 and the outer cup 20, the naked eye You can check with.

이러한 상기 외컵(20)은 내경면에 상기 광고물(2)이나 장식물이 먼저 삽입된 다음, 상기 내컵(1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고물(2)이나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단순하게 컵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장식물로서, 상기 내컵과 외컵 사이에 물과 물고기를 투입하여 어항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The outer cup 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advertisement (2) or decoration first, and then combined with the inner cup (10), simp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dvertisement (2) or decoration of the cup Of course, the appearance can be changed, as the decoration, water and fish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to effect the fish tank.

이때, 상기 내컵(10)도 투명재질로 제작되면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장식의 효과 및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inner cup 10 is also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n obtain a visually beautiful decoration effect and the effect of advertising.

이외에도, 각종 장난감이나 캐릭터 등 다양한 종류 장식물과 광고물(2)이 활용될 수 있고, 달력이나 가족/애인 사진 등을 삽입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various kinds of decorations and advertisements (2) such as various toys and characters may be utilized, and a calendar or a family / lover photo may be insert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은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에 안착되고, 상면에 공기유입구(30a)와 내용물배출구(30b)가 형성되며, 하면에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컵(10)의 내경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판(3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lid 30 is seated in the inlet portion 10a of the inner cup 10, the air inlet 30a and the contents outlet 3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The blocking plate 3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ner cup 10 is formed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즉, 상기 차단판(32)은 상기 내컵(1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구조로서, 그 첨단부가 날카로운 칼날형상이다.That is, the blocking plate 32 is a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inner cup 10, the tip portion is a sharp blade shape.

이러한 상기 뚜껑(30)은, 사용자가 내용물(1)의 취식시 손가락으로 상기 뚜껑(30)을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상단부(301) 및 직경이 큰 원통형의 하단부(302)로 이루어지는 이단 구조이다.The lid 3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upper end 301 of a small diameter and a cylindrical lower end 302 of a large diameter so that a user can easily press the lid 30 with a finger when the contents 1 are eaten. It is a two-stage structure.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이중컵을 엄지 및 중지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지를 상기 뚜껑(30)의 상단부(301)와 하단부(302) 사이에 위치시켜서 상기 뚜껑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내컵(10) 및 외컵(20)을 기울여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places the index finger between the upper end 301 and the lower end 302 of the lid 30 while holding the doubl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 the inner cup in a state where the lid is not separated. (10) and the outer cup 20 can be tilted to eat the contents.

또한, 상기 상단부(301)의 상면에는 상기 내용물배출구(30b) 주위로 배출된 내용물(1)이 임시로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배출구(30b)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30c)이 형성되며, 상단부(301)의 상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상방돌출된 상방단턱(30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302)의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하방 돌출된 하방단턱(30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30c inclined toward the contents discharge port 3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301 so that the contents 1 discharged around the contents discharge port 30b can be temporarily collected. An upper step 301a protruded up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301, and a lower step 302a protruding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302. do.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의 하방 외측에는 직경이 큰 상기 하방단턱(302a)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하방 내측에는 직경이 작은 차단판(32)이 서로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은 상기 뚜껑(30)의 하방단턱(302a)과 상기 차단판(32)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본 고안의 이중컵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뚜껑(30)과 상기 내컵(10) 사이로 내용물(1)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lower stepped portion 302a having a larger diameter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lid 30, and the blocking plate 32 having a smaller diameter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id 30. Form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the inlet (10a) portion of the inner cup 10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end 302a and the blocking plate 32 of the lid 30 is inclined doubl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1) between the lid 30 and the inner cup (10).

이때, 상기 내용물배출구(30b)로 배출되는 내용물(1)의 부피로 인해 상기 내컵(10)의 내부 압력이 감압되는 데, 이러한 감압으로 인해 내용물(1)의 배출이 억제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유입구(30a)에서 감압된 만큼의 부피에 해당하는 공기가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cup 10 is reduced due to the volume of the contents 1 discharged to the contents discharge port 30b,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1 is not suppressed due to the reduced pressure. In 30a), ai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reduced in pressure is introduced.

한편, 상기 뚜껑(30)의 하방단턱(302a)의 안착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하방단턱(302a)의 하면이 걸리도록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에서 소정 길이 아래로 다수개가 상기 연장부(10b)의 원주면에 수평 돌출되는 형상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40 for determin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lower step 302a of the lid 30 is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inlet 10a portion of the inner cup 10 so as to catc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tep 302a. A plurality of them are shaped to protrude horizontally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0b.

그러므로, 본 고안의 이중컵은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며, 뚜껑이 상기 내컵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뚜껑을 검지로 파지한 상태로 기울여서 내용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고, 보온 및 열차단 효과가 크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문양이나 도안의 컵을 매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중공부에 설치된 장식물이나 광고물을 임의로 바꿀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oubl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and convenient to use, and even when the lid is coupled to the inner cup, the cap can be inclined to hold the lid with the index finger to eat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contents outlet, and keep warm and cut off. The effect is gre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up of various patterns or patterns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at a very low cost, as well as the advantage that can be arbitrarily changed the decorations or advertisement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컵에 의하면, 보온성이 우수하고, 열전달을 완전히 차단하며, 매우 가벼워서 뜨겁거나 차가운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도 사용 및 취급을 편리하게 하고,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뚜껑과 내컵 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으며, 상기 외컵과 내컵 사이에 다양한 문양 및 도안이 인쇄된 장식물이나 광고물을 삽입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ubl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cellent in heat retention, completely prevents heat transfer, and is very light,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handle even when the hot or cold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the lid and the inner cup are combined with the lid. The contents can be eaten without leaking the contents between them, and the decoration or advertisement 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to produce various types of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o have.

Claims (4)

컵을 구성함에 있어,In constructing the cup,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내컵(10);A cylindrical inner cup 10 having an open top shape; 상기 내컵(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내컵(10)을 둘러싸고, 상기 내컵(10)의 개방된 입구(10a)부분에 결합되는 외컵(20); 및An outer cup 20 surrounding the inner cup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up 10 and coupled to an open inlet portion 10a of the inner cup 10; And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에 안착되고, 상면에 공기유입구(30a)와 내용물배출구(30b)가 형성되며, 하면에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내컵(10)의 내경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판(32)이 형성되는 뚜껑(30);The inlet 10a of the inner cup 10 is seated, and an air inlet 30a and a content outlet 30b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cup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cup 10 to prevent leakage. Lid 30 is formed a blocking plate 32 of the shap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Double cup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10)은 열 축적량이 많은 금속이나 검은색의 내열성 합성수지류나 도기류나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외컵(20)은 투명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내컵(10)과 외컵(20) 사이에 광고물(2)이나 장식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up 10 is made of a metal or black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pottery or a transparent material with a large amount of heat storage, the outer cup 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inner cup 10 and The double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ement (2) or decoration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up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상단부(301) 및 직경이 큰 원통형의 하단부(302)로 이루어지는 이단 구조이고, 상기 상단부(301)의 상면에는 경사면(30c)이 형성되며, 상단부(301)의 상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상방 돌출된 상방단턱(30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302)의 하면에 원주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하방 돌출된 하방단턱(30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d 30 is a two-stage structure consisting of a cylindrical upper end portion 301 and a large cylindrical lower end portion 302, the inclined surface (30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301 The upper step 30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301 and protrudes upwar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tep ledge protrudes downwar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nd 302 ( 302a) is 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10)의 입구(10a)부분에는 상기 뚜껑(30)의 하방단턱(302a)이 걸리는 스토퍼(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4. The double cup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stopper (40) is formed at an inlet (10a) portion of the inner cup (10) to catch the lower step (302a) of the lid (30).
KR2020000002903U 2000-02-02 2000-02-02 Double cup KR2001908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03U KR200190874Y1 (en) 2000-02-02 2000-02-02 Double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03U KR200190874Y1 (en) 2000-02-02 2000-02-02 Double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874Y1 true KR200190874Y1 (en) 2000-08-01

Family

ID=1964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903U KR200190874Y1 (en) 2000-02-02 2000-02-02 Double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87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54A (en)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A cup c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54A (en)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A cup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230A (en) Laminated container
US6921179B2 (en) Insulated and luminescent drinking vessel
US5729922A (en) Mug having interchangeable indicia tiles
US5005717A (en) Insulated beverage cup
CA2363903C (en) Infant drinking cup
WO2002096758A2 (en) A combined saucer and cover for beverage cup
AU2010244987A1 (en) Cap for a drinking straw
US11737606B2 (en) Cup
US20030012256A1 (en) Thermal coffee/tea carafe
US9314708B2 (en) Spill-proof coloring container
KR200190874Y1 (en) Double cup
US20040079720A1 (en) Mini-stein bottle cover
KR200314787Y1 (en) duplex receptacle made of transparent plastics
KR20110004017U (en) Portable thermos cup
KR200193549Y1 (en) Drink vessel adhesive type straw
KR200206244Y1 (en) A drink cup
KR20200019480A (en) Paper cup with straw
KR200421585Y1 (en) The functional cover for the cups
KR200173734Y1 (en) Improved cup
KR200340429Y1 (en) Duplex receptacle which heatin freezing is possible
KR200196128Y1 (en) A pair of cup and cup support having the handles of band type for the prevention of heat delivery and handles of animal head type
JP2935692B1 (en) Drinking cup
KR200261104Y1 (en) Tea bag holder
KR19990006217U (en) Cup lid
JP3140629U (en) Sake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