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03Y1 -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03Y1
KR200190403Y1 KR2020000004831U KR20000004831U KR200190403Y1 KR 200190403 Y1 KR200190403 Y1 KR 200190403Y1 KR 2020000004831 U KR2020000004831 U KR 2020000004831U KR 20000004831 U KR20000004831 U KR 20000004831U KR 200190403 Y1 KR200190403 Y1 KR 200190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ice
instant
dust collecting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부
Original Assignee
이중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부 filed Critical 이중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즉석 정미기는 단순히 현미장치와 도정장치에 싸이크론을 연결설치하여 사용하였기에 정미시 발생하는 분진, 먼지등이 효율적으로 집진되지 못하여 환경오염이 심하였고, 소음 또한 커서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심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현미장치와 도정장치를 구비한 통상의 정미기 일측에 집진실을 구비하되, 보다 완벽한 집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3단계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또 정미기 동체 외주면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사용중 소음발생이 극소화되게 함으로써, 도심에서 이웃에게 소음 및 먼지로 인한 피해를 전혀 유발시키지 않고도 즉석정미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A silencer and dust collection device of an instant rice cleaning machine}
본 고안은 즉석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심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현미장치와 도정장치를 구비한 통상의 정미기 일측에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또 정미기 동체 외주면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사용중 소음발생이 극소화되게 함으로써, 도심에서 사용하더라도 이웃에게 소음 및 먼지로 인한 피해를 전혀 유발시키기 않고도 즉석정미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즉석정미기란 도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그 자리에서 질좋은 벼를 찧어줄 수 있게 한 장치로서, 통상, 현미장치와 도정장치 그리고 집진장치가 일체로 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벼를 정미하는 과정에서 왕겨를 비롯하여 현미와 도정시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먼지와 이물질등이 발생되고, 더불어 현미장치와 도정장치가 벼를 까고, 찧고, 쓿는 과정에서 기계소음과 함께 마찰소음이 매우 심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집진시설과 소음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도심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즉시 벼를 정미하여 공급하는데는 매우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종래 즉석정미기를 살펴보면, 정미기 일측에 집진실을 형성하여 집진실 내부의 도정장치 및 현미장치와 연결된 싸이크론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싸이크론 하부에 자루를 설치하여 왕겨 및 집진먼지등을 수거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즉석정미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싸이크론에서 왕겨와 비교적 굵은 먼지등을 분리하여 자루로 수거하는 과정에서 싸이크론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자루외부로 먼지등이 통과하여 방출되고, 또 싸이크론의 상단 배출구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속에 함유된 미세먼지등의 처리가 완벽하지 못하여 집진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이때 발생된 먼지에 의해 주위에 큰 피해를 줄 수 밖에 없어 도심에서 사용하는데는 무리가 따랐던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진실을 더 크게 하고 집진실을 밀폐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즉석정미기의 특성상 정미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집진실의 크기를 크게 한다손 치더라도 집진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심에서 사용하는데도 문제가 따르수 밖에 없었으며, 더군다나 집진실을 밀폐시키게 되면, 집진실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집진효과는 더욱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특히, 정미기 일측에 집진실을 구성하되, 집진실 내부에는 현미장치 및 도정장치와 연결되는 싸이크론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중 현미장치와 연결되는 싸이크론은 외부에 휠터링공간을 가진 공기 여과박스와 하부에 왕겨 이송 스크류우 및 왕겨배출유도판을 가진 왕겨압축배출장치를 설치하여, 왕겨를 안정적으로 수집배출시킬 수 있게하고, 또 각각의 싸이크론으로 부터 인출되는 배기관은 2차 집진용 여과장치로 연결구성하며, 2차 집진용 여과장치를 통과한 공기가 집진실 내부로 배출되면 집진실내부의 공기 및 먼지와 함께 3차 집진여과장치를 통해 정미실로 재공급되게 함으로써, 정미시 발생되는 왕겨를 비롯하여 각종 먼지 및 분진을 외부로 전혀유출시키지 않고 자체적으로 완벽하게 집진시켜줄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정미기 및 집진실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집진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예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집진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단면예시도로서 현미장치와 연결되는 1차 집진부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미장치(1)와 집진장치(2)를 일체로구성하되, 정미장치(1)내부에는 벼공급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벼를 까주는 현미장치(12)와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장치(13)를 설치하여 정미장치로서의 제기능을 수행하게끔 구성하고,
집진장치(2) 내부에는 현미장치(12)와 자바라식 파이프(14)로 연결되게한 1차 집진여과부(21)와, 도정장치(13)와 자바라식파이프(14`)로 연결되게한 1차 싸이크론(22)을 설치하고, 상기 1차 집진여과부(21)와 싸이크론(2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관(23)(23`)을 2차 집진장치(24)로 연결하며 집진장치(2) 상부천정(또는 측벽 상측에 정미장치(1) 내부 하측과 통하도록 망체(25″)와 여과지(25`)를 설치하여서 된 3차 집진장치(25)를 설치하여 집진장치(2) 내부의 각종 먼지등이 여과된 공기가 정미장치(1)로 재공급되게끔 한다.
한편, 상기 1차집진여과부(21)는 통상의 싸이크론(211) 외부에 여과지(212)와 망체(213)로써 휠터링공간(214)을 가진 공기여과박스(215)를 형성하되, 일측에 도어(2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여과박스(215) 하부에 이송스크류우(216)와 압축스프링(217)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판(218)으로 구성된 왕겨압축배출장치(219)와 자루연결부(220)를 구성하여 현미장치(12)로부터 배출된 왕겨등이 매우 효과적으로 압축 배출되어 자루(221)에 수거될 수 있게하고, 미세한 분진등은 2차집진장치(24)로 공급되게 하되 상기 2차 집진장치(24)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칸막이벽(241)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벽은 여러개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음)
배출부쪽에는 여과지(242)와 망체(243)를 설치하며, 하부에 서랍(244)을 설치하여, 서랍(244)에 가라앉은 먼지나 이물질등을 손쉽게 털어내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현미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왕겨나 이물질등이 1차집진여과부(21)를 거치는 과정에서 미세한 먼지등은 공기여과박스(215)를 통해 집진장치(2) 내부로 나가게 되는데, 이 경우 공기여과박스(215)에 설치된 여과지(212)를 통해 미세한 먼지등이 걸러지게 된다.
또 도정장치(13)와 연결된 싸이크론(22)에서도 도정시 발생된 껍질이나 이물질등을 분리시켜 자루연결부(220`)에 설치된 자루로 공급하고, 미세한 먼지등은 배출관(23`)을 통하여 2차집진장치(24)로 유입되며, 따라서 2차집진장치(24)에서도 각종먼지나 이물질이 걸러진 비교적 맑은 공기가 집진장치(2) 내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집진장치(2) 내부의 공기는 다시 3차 집진장치(25)를 통하여 여과된 후 정미장치(1) 내부로 재공급되므로서 정미시 발생되는 왕겨나 먼지, 이물질을 비롯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여과 순환됨으로써, 도심에서도 안심하고 즉석 정미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미장치(1)와 집진장치(2) 외부에는 흡음재(3)를 설치하여 정미 및 집진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정숙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써 도심에서도 이웃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심에서도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는 즉석정미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도정 및 현미시 발생하는 왕겨 및 분진, 이물질 등의 집진을 3차에 걸쳐 완벽하게 할 수 있고, 정미장치(1)와 집진장치(2) 외부에 설치한 흡음재에 의해 완벽한 소음흡수를 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 및 소음공해의 염려없이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미장치(1)와 집진장치(2)를 일체로 형성하되 집진장치(2) 내부에는 3차에 걸쳐 집진 및 여과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 동체외주면에는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이 외부로 새나가는 것을 예방하며, 이에 따라 도심에서 안정적으로 즉석정미를 해 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정미장치(1)와 집진장치(2)를 일체로 구성한 즉석정미기에 있어서,
    정미장치(1) 내부에는 벼공급장치(11)로 부터 공급되는 벼를 까주는 현미장치(12)와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장치(14)를 설치하고,
    집진장치(2) 내부에는 현미장치(12)와 자바라식파이프(14)로 연결되게끔 1차 집진여과부(21)와, 도정장치(13)와 자라바식파이프(14)로 연결되게끔 1차 싸이크론(22)을 설치하고, 상기 1차집진여과부(21)와 싸이크론(22)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관(23)(23`)을 2차집진장치(24)로 연결하며
    집진장치(2) 상부 천정 또는 측벽에 정미장치(1) 하측과 통하도록 망체(25″)와 여과지(25`)를 설치하여서 된 3차 집진장치(25)를 설치하여, 이곳을 통하여 집진장치(2) 내부의 각종 먼지, 분진등이 여과된 공기가 집진장치(25)로 재공급되게 하며, 즉석정미기동체 외주면에 흡음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2. 1항에 있어서,
    1차 집진여과부(21)는 통상의 싸이크론(211) 외부에 여과지(212)와 망체(213)로써 휠터링공간(214)을 가진 공기여과박스(215)를 형성하되, 상기 공기여과박스(215)의 일측에 도어(215`)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여과박스(215) 하부에 이송스크류우(216)와 압축스프링(217)에 의해 작용하는 밀착판(218)으로 구성된 왕겨등이 매우 효과적으로 압축 배출되어 자루(221)에 수거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3. 1항에 있어서,
    2차집진장치(24)는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칸막이벽(24)을 설치하고 배출부쪽에는 여과지(242)와 망체(243)를 설치하며, 하부에 서랍(244)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KR2020000004831U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KR2001904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505A KR100375593B1 (ko)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505A Division KR100375593B1 (ko)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403Y1 true KR200190403Y1 (ko) 2000-08-01

Family

ID=196487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831U KR200190403Y1 (ko)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KR10-2000-0008505A KR100375593B1 (ko)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505A KR100375593B1 (ko) 2000-02-22 2000-02-22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0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018A (ko) * 2002-10-04 2003-02-06 가다기연 주식회사 가정용 정미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601B1 (ko) * 1980-09-29 1981-10-27 손경식 스텐레스스틸재 솔저면을 알미늄으로 형성하는 방법
KR19990008021U (ko) * 1998-11-14 1999-02-25 김경순 정미기용 분진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018A (ko) * 2002-10-04 2003-02-06 가다기연 주식회사 가정용 정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929A (ko) 2001-08-31
KR100375593B1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1137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 пылесос с циклонным пылеуловителем
US7419521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CA2618070C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CN100381094C (zh) 真空吸尘器的过滤装置
US20070151071A1 (en) Vacuum cleaner
KR101578463B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JP4809200B2 (ja) 真空掃除機
CN112043204B (zh) 空气处理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RU2262287C1 (ru) Фильтровый узел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и пылесборник с фильтровым узлом
KR200190403Y1 (ko) 즉석 정미기의 방음 및 집진장치
EP1776911A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CN115999676B (zh) 一种自动化大米加工进料过滤装置
CN110302957A (zh) 一种茶叶与茶叶末的分离装置
KR100545269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소음감쇠구조
KR10148030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EP1852048B1 (en) Vacuum cleaner having decreased noise and vibration
KR200192517Y1 (ko) 즉석 정미기의 집진장치
CN209997322U (zh) 一种板框式空气过滤器用消声粗滤网
JP2001346733A (ja) 電機掃除機
JP2010063661A (ja) 電機掃除機
KR100496163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청소기
CN208115405U (zh) 一种多级过滤除尘设备
RU2150226C1 (ru) Пылесос
CN207640324U (zh) 一种集尘盒
CN215650893U (zh) 清洁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