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390Y1 - 사운드 전환기 - Google Patents

사운드 전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390Y1
KR200190390Y1 KR2020000004472U KR20000004472U KR200190390Y1 KR 200190390 Y1 KR200190390 Y1 KR 200190390Y1 KR 2020000004472 U KR2020000004472 U KR 2020000004472U KR 20000004472 U KR20000004472 U KR 20000004472U KR 200190390 Y1 KR200190390 Y1 KR 200190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icrophone
sound
speaker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00000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운드나 마이크로폰 입출력신호를 헤드셋 또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으로 전환해주는 사운드 전환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헤드셋을 이용할 때마다 사운드 카드에서 스피커 단자와 마이크로폰 단자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는,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단자 및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헤드셋 수용단자(21,25)와;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와; 스피커의 단자가 삽입되는 스피커 수용단자(27)와; 상기 헤드셋 수용단자(21,25)와,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 스피커 수용단자(27)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3)에 삽입되는 사운드 입력단자(33)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3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 수용단자(25) 또는 스피커 수용단자(27)로 전환하거나,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1)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로부터 입력된 마이크로폰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로 출력하는 전환스위치(2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운드 전환기{sound exchanger}
본 고안은 사운드나 마이크로폰 입출력신호를 헤드셋 또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으로 전환해주는 사운드 전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출력방향을 스피커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으로 전환해주고, 일반 마이크로폰과 헤드셋의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사운드 카드로 입력시키는 사운드 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카드가 보편화되면서 이제 사운드카드는 컴퓨터의 필수 주변기기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컴퓨터를 구매하면 사운드카드는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다. 사운드 카드는 명칭 그대로 컴퓨터로 게임을 하거나 음악파일을 플레이시켜 음악을 즐길 때 주로 사용한다.
사운드 카드는 컴퓨터 메인보드의 슬롯에 삽입되는 커넥터부분과 컴퓨터 본체의 외부로 개방되어 스피커나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도1은 이러한 일반적인 사운드 카드의 단자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1을 살펴보면, 가장 상측에 게임시 사용하는 조이스틱이 연결되는 조이스틱단자(1)와, 사운드가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단자(3), 마이크로폰의 단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와, 일반 음향기기의 라인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라인단자(7) 그리고,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저항(9)이 있다.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음악이나 소리를 청취할 때는 스피커를 상기 사운드 출력단자(3)에 연결하고 상기 볼륨저항(9)을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악이나 소리를 녹음할 시에는 마이크로폰을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에 연결하면 된다.
한편, 인터넷폰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이 일체로 형성된 헤드셋(headset)의 보급이 늘고 있다. 도2는 이러한 헤드셋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살펴보면, 이어폰(11)이 있고, 이 이어폰(11)의 타측에는 소형의 마이크로폰(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2가닥의 전선이 인출되어 있으며 이 인출된 전선의 말단에는 2개의 단자(15,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단자 중 제1단자(15)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3)에 연결되는 이어폰 단자이고, 제2단자(17)는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단자이다.
이상의 헤드셋은 이어폰(11)과 마이크로폰(13)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인터넷폰을 통한 통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헤드셋은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3)와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헤드셋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연결된 사운드 카드에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의 단자를 제거하고, 헤드셋의 단자(15,17)를 삽입해야 한다. 또한, 헤드셋을 사용한 다음 스피커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고자 할 시에는 사운드 카드에서 헤드셋의 단자(15,17)를 제거하고 스피커나 마이크로폰의 단자를 삽입해야 한다. 이러한 단자를 교체하는 일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처럼 헤드셋의 이용이 빈번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교체에 따른 별 불편함을 못 느끼지만 PC방과 같은 헤드셋의 사용이 빈번한 곳에서는여간 불편하지 않다.
사운드 카드는 컴퓨터 본체에 삽입되고, 컴퓨터 본체는 보통 컴퓨터 책상의 아래 또는, 바닥 등에 놓이기 때문에 단자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몸을 굽혀 비좁은 책상 틈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컴퓨터 본체의 후면 즉, 사운드 카드의 단자가 있는 후면이 책상과 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자를 교체하기 위해서 컴퓨터 본체를 전방으로 조금 꺼낸 후 단자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스피커나 마이크로폰 단자와 헤드셋 단자를 자주 교체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자를 교체하여 삽입하는 불편함이 없이 간단하게 헤드셋과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으로 전환이 가능한 사운드 전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사운드 카드의 입출력단자.
도2는 헤드셋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헤드셋의 이어폰 13 :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21 :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수용단자 23 : 마이크로폰 수용단자
25 : 헤드셋의 스피커 수용단자 27 : 스피커 수용단자
29 : 전환스위치 31,39 : 양면테이프
33 : 스피커 입력단자 35 : 마이크로폰 출력단자
37 : 볼륨저항 41 : 스피커 파워 입력단자
43 : 스피커 파워 출력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는,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단자 및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헤드셋 수용단자와;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수용단자와; 스피커의 단자가 삽입되는 스피커 수용단자와; 상기 헤드셋 수용단자와, 마이크로폰 수용단자, 스피커 수용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에 삽입되는 사운드 입력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단자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출력단자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 수용단자 또는 스피커 수용단자로 전환하거나,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수용단자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단자로부터 입력된 마이크로폰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전환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피커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 및 마이크로폰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저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를 모니터 또는 컴퓨터 책상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피커용 전원을 입력받는 파워 수용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스피커의 전원단자에 삽입되는 파워 출력단자와; 상기 파워 수용단자를 통해 입력된 파워가 상기 파워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워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와 연동되어,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사운드의 전환과 함께 파워스위치가 조작되어 스피커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나타낸 사운드 전환기의 회로도이다.
도3을 살펴보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45)가 있고, 이 케이스(45)의 전면에는 5개의 수용단자(21,23,25,27,41)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45)의 저면에는 3가닥의 전선이 인출되어 있으며, 이 전선의 말단에는 단자(33,35,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45)의 측면에는 양면테이프(31)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45)의 상측은 조작판넬(47)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조작판넬(47)에는 스위치(29)와 볼륨저항(37)이 있다. 그리고 이 조작판넬(47)의 측면에는 양면테이프(3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5)의 전면에 형성된 5개의 단자(21~27) 중 상측의 2개의 단자(21,23)는 입력단자로서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단자가 삽입되는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21)와 일반 마이크로폰 단자가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이다. 그리고, 하측의 2개의 단자(25,27)는 출력단자로서 헤드셋의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25)와 스피커 단자가 삽입되는 스피커 수용단자(27)이다. 가장 아래의 1개의 단자(41)는 스피커용 파워의 파워 입력단자이다.
다음으로, 케이스(45)의 저면에서 인출된 전선의 말단에 형성된 단자는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3)에 삽입되는 사운드 입력단자(33)와,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와, 스피커의 파워 입력단자에 삽입되는 파워 출력단자(43)이다.
다음으로, 조작판넬(47)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29)는 전환스위치로서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33)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방향을 상기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25) 또는 스피커 수용단자(27)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29)는 상기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21) 또는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로 입력된 신호중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파워 입력단자(41)를 통해 입력된 파워가 상기 파워 출력단자(43)를 통해 스피커에 인가되는 것을 온/오프한다.
상기 스위치(29)는 다수개의 접점을 가지고 있어 상기와 같이 사운드와 파워를 동시에 온/오프한다. 이 스위치(29)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서는 도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케이스(45)의 측면과 조작판넬(47)의 측면에 형성된 양면테이프(31,39)는 케이스(45)와 조작판넬(47)을 모니터의 평면공간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케이스(45)나 조작판넬(47)을 고정시켜 두지 않으면 스피커, 마이크로폰, 헤드셋 등의 전선이 서로 엉킬 우려가 있고 단자를 삽입하거나 제거시 양손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선의 엉킴방지 및 단자의 삽입, 제거시 양손의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케이스(45)와 조작판넬(47)의 측면에 양면테이프(31,39)를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에 도3과 같은 사운드 전환기를 부착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컴퓨터 책상 등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판넬(47) 뿐만 아니라 수용단자(21~27,41)가 형성된 케이스(45)에도 양면테이프(31)를 구성하였으나 조작하는데 있어서는 조작판넬(47)만 사람의 손이 미치는 가까운 곳에 부착되면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케이스(45)를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31)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운드 전환기의 부착이 쉽도록 상기와 같은 양면테이프(31)를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나사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볼륨저항(37)은 사운드 입력단자(33)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가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25) 또는 스피커 수용단자(27)로 출력시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륨조절을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볼륨저항(37)을 사운드 전환기에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상기 볼륨저항(37)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은 사운드 전환기를 사용할 때는 케이스(45)의 수용단자에 해당되는 커넥터를 삽입한 채 컴퓨터 책상 등의 아래에 위치시키고 조작판넬(47)은 조작하기 쉽도록 모니터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운드 전환기를 수용단자(21~27,41)가 있는 케이스(45)와 스위치(29)와 볼륨(37)이 구비된 조작판넬(47)을 따로 구성하였다. 이는 일체로 구성할 경우 사운드 전환기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전선이 혼재하기 때문에 미관상 안 좋을 뿐만 아니라 조작시 전선으로 인해 조작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케이스(45)와 조작판넬(47)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4는 이상 설명한 사운드 전환기의 회로도이다.
도4를 살펴보면, 사운드 입력단자(P1,33)가 있고, 이 사운드 입력단자(P1)의 제2접점(2)에는 제1가변저항(VR1)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1가변저항(VR1)의타측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P1)의 그라운드 단자(GND)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변저항(VR1)의 가변단자는 제1스위치(SW1)의 제2고정접점(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고정접점(2)은 제1스위치(SW1)의 제3가동접점(5)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SW1)의 제3가동접점(5)은 스피커 수용단자(J1,27)의 제2접점(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스위치(SW1)의 제4가동접점(6)은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J2,25)의 제2접점(2)과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P1)의 제1접점(1)에는 제2가변저항(VR2)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2가변저항(VR2)의 타측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P1)의 그라운드 단자(GND)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변저항(VR2)의 가변단자는 제1스위치(SW1)의 제1고정접점(1)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고정접점(1)은 제1스위치(SW1)의 제1가동접점(3)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SW1)의 제1가동접점(3)은 스피커 수용단자(J1)의 제1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스위치(SW1)의 제2가동접점(4)은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J2)의 제1접점(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 수용단자(J1)와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J2)의 그라운드 단자(GND)는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P1)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치(SW1)는 2개의 고정접점(1,2)과 4개의 가동접점(3~6)으로 구성되어 있어, 스위치(SW1)의 전환에 따라 스피커 입력단자(P1)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스피커 수용단자(J1) 또는 헤드셋-이어폰 수용단자(J2)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스위치(SW1)는 후술하게 될 제2스위치(SW2), 제3스위치(SW3)와 연동되며 도3의 전환스위치(29)이다.
이상 설명한 회로구성에 의해 스피커와 헤드셋-이어폰 단자를 동시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환스위치(SW1,29)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운드의 출력방향을 스피커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헤드셋의 이용에 따라 사운드 카드에 삽입되어 있는 스피커 단자를 제거하고 헤드셋의 이어폰 단자를 삽입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1가변저항(VR1)과 제2가변저항(VR2)은 연동되는 것으로 후술하게 될 제3가변저항(VR3), 제4가변저항(VR4)과 연동된다. 이 가변저항은 도3의 볼륨저항(37)이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가 있고, 이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의 제2접점(2)에는 제3가변저항(VR3)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3가변저항(VR3)의 타측은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의 그라운드 단자(GND)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가변저항(VR3)의 가변단자는 제2스위치(SW2)의 제2고정접점(2)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고정접점(2)은 제2스위치(SW2)의 제3가동접점(5)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SW2)의 제3가동접점(5)은 마이크로폰 수용단자(J3,23)의 제2접점(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스위치(SW2)의 제4가동접점(6)은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J4,21)의 제2접점(2)과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의 제1접점(1)에는 제4가변저항(VR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4가변저항(VR4)의 타측은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의 그라운드 단자(GND)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가변저항(VR4)의 가변단자는 제2스위치(SW2)의 제1고정접점(1)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고정접점(1)은 제2스위치(SW2)의 제1가동접점(3)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SW2)의 제1가동접점(3)은 마이크로폰 수용단자(J3)의 제1접점(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스위치(SW2)의 제2가동접점(4)은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J4)의 제1접점(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단자(J3)와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J4)의 그라운드 단자(GND)는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스위치(SW2)는 2개의 고정접점(1,2)과 4개의 가동접점(3~6)으로 구성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제1스위치(SW1)와 연동하며, 스위치(SW2)의 전환에 따라 마이크로폰 수용단자(J3) 또는 헤드셋-마이크로폰 수용단자(J4)를 통해 입력된 신호중 어느 한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3가변저항(VR3)과 제4가변저항(VR4)은 앞서 설명한 제1가변저항(VR1)과 제2가변저항(VR2)과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P2)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상 설명한 회로구성에 의해 마이크로폰과 헤드셋-마이크로폰 단자를 동시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환스위치(SW2)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신호의 입력방향을 마이크로폰 또는 헤드셋의 마이크로폰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헤드셋의 이용에 따라 사운드 카드에 삽입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단자를 제거하고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단자를 삽입하는 불편함이없어진다.
다음으로, 스피커 파워 출력단자(P3)가 있고, 이 파워 출력단자(P3)의 제1접점(1)에는 제3스위치(SW3)의 고정접점(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제3스위치(SW3)의 고정접점(1)은 제1가동접점(2)과 연결되어 있고, 이 제1가동접점(2)은 파워 입력단자(J5)의 제1접점(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출력단자(P3)의 그라운드(GND)에는 제3스위치(SW3)의 제2가동접점(3)과 파워 입력단자(J5)의 그라운드(GND)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파워 출력단자(P3)는 스피커의 파워 입력단자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파워 입력단자(J5)는 스피커 전원용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파워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3스위치는(SW3) 상기 파워 입력단자(J5)를 통해 입력된 파워가 스피커 파워 출력단자(P3)를 통해 스피커로 인가되는 것을 온/오프하여 스피커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3스위치(SW3)는 앞서의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와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운드가 스피커로 인가될 때에는 스피커에 파워가 인가되고, 사운드가 헤드셋의 이어폰으로 인가될 때에는 스피커에 파워가 인가되지 않아 스피커가 오프된다. 이와같이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피커가 오프되므로써 절전효과가 있고,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스피커에 인가되는 파워에 의해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스위치(SW3)는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연동하므로 간단한 사운드 전환만으로 스피커를 동시에 온/오프할 수 있어 간편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그리고 헤드셋의 단자를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전환스위치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신호의 입출력방향이 전환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헤드셋을 이용할 때마다 사운드 카드에서 스피커 단자와 마이크로폰 단자를 제거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사운드의 전환과 동시에 스피커를 온/오프할 수 있어 절전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사운드 전환기는 헤드셋의 사용이 빈번한 PC방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단자 및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헤드셋 수용단자(21,25)와;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와;
    스피커의 단자가 삽입되는 스피커 수용단자(27)와;
    상기 헤드셋 수용단자(21,25)와,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 스피커 수용단자(27)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사운드 출력단자(3)에 삽입되는 사운드 입력단자(33)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운드 카드의 마이크로폰 입력단자(5)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3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헤드셋의 이어폰 수용단자(25) 또는 스피커 수용단자(27)로 전환하거나,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1)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수용단자(23)로부터 입력된 마이크로폰 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출력단자(35)로 출력하는 전환스위치(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운드 전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피커 입력단자(33)로부터 입력된 신호 및 마이크로폰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저항(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운드 전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모니터 또는 컴퓨터 책상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운드 전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피커용 전원을 입력받는 파워 수용단자(41)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스피커의 전원단자에 삽입되는 파워 출력단자(43)와;
    상기 파워 수용단자(41)를 통해 입력된 파워가 상기 파워 출력단자(43)로 출력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운드 전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29)와 연동되어,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사운드의 전환과 함께 파워스위치가 조작되어 스피커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전환기.
KR2020000004472U 2000-02-18 2000-02-18 사운드 전환기 KR200190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72U KR200190390Y1 (ko) 2000-02-18 2000-02-18 사운드 전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72U KR200190390Y1 (ko) 2000-02-18 2000-02-18 사운드 전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390Y1 true KR200190390Y1 (ko) 2000-08-01

Family

ID=1964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72U KR200190390Y1 (ko) 2000-02-18 2000-02-18 사운드 전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915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72162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audio control on a personal computer
US9106995B2 (en) Repositionab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260380B2 (en) Headset with remote control
CA2213321C (en) Interface assembly for peripheral accessories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US20060210105A1 (en) Combined computer mouse and speaker device
US20080031484A1 (en) Ear Headphone Unit And A Computer System
JP4055816B1 (ja) 信号アダプタ
KR200190390Y1 (ko) 사운드 전환기
WO1994027208A1 (en) A mouse having sound input and output means
KR200284742Y1 (ko) 헤드셋/스피커 겸용 사운드신호 절환시스템
CN218241297U (zh) 便携式演唱设备
KR200189835Y1 (ko) 다용도 음성신호 입출력 보조장치
KR200196274Y1 (ko)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장치
KR0127158Y1 (ko) 모니터 스탠드
KR200181937Y1 (ko) 헤드폰에 컴퓨터 스피커 연결 단자를 내장한 헤드폰
KR200197843Y1 (ko) 전면부에 마이크 헤드폰 잭이 마련된 컴퓨터
KR200196275Y1 (ko) 듀얼 출력포트를 가지는 사운드카드 장치
KR200279081Y1 (ko) 스피이커와 헤드셋 절환 스위치가 부착된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09082Y1 (ko) 인터넷폰의 입출력 스위칭장치
KR20010025789A (ko) 스피커 내장형 마우스
KR200183246Y1 (ko) 이여폰에 컴퓨터 스피커 연결 단자를 내장한 이여폰
KR200189848Y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KR20020042980A (ko) 컴퓨터용 멀티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