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366Y1 -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366Y1
KR200190366Y1 KR2020000003857U KR20000003857U KR200190366Y1 KR 200190366 Y1 KR200190366 Y1 KR 200190366Y1 KR 2020000003857 U KR2020000003857 U KR 2020000003857U KR 20000003857 U KR20000003857 U KR 20000003857U KR 200190366 Y1 KR200190366 Y1 KR 200190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indow
insole
height
window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20000003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높이 신발에 관한 것으로,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보조창(1)을 깔창 뒷부분에 부착함으로써 키가 작은 사람이 키가 커 보이게하고, 또한 상기 보조창(1) 대신에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에 상부보조창(11a)을 결합분리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착탈식보조창(11)을 이용하여 키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보조창(1) 또는 착탈식보조창(11)을 이용하여 신발의 뒷부분이 높아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뒤꿈치 부분과 신발 갑피 내부부분과의 잦은 이탈현상을 방지하고 전면부로 편향된 발목부분을 보호하기위해 갑피(5)의 발목부분을 일정한 높이만큼 높이고 그 내부부분에 라운드형의 보조지지부재(3)를 설치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키높이 신발을 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shoes for raising one's stature}
본 고안은 키높이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의 깔판아래 있는 깔창 뒷쪽부분에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보조창을 부착함으로써 키가 작은 사람이 키가 커 보이도록 하고, 신발의 구조상, 신발 내부의 뒷쪽부분이 높아짐으로써 야기되는 발과 신발과의 잦은 이탈현상을 방지하도록 발목부분의 갑피를 높이고 그 내부에 보조지지부재를 부착하는 키높이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기능상 발 보호를 제1의 목적으로 하고 부수적으로 미적 감각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다. 미적 감각 및 기능성 위주의 신발들은 겉창의 굽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람들은 굽이 높은 신발을 구입하여 신게된다. 특히 단신인 여성들은 하이힐을 신음으로써 키가 작은 열등감을 해소하려고 한다. 그런데 굽이 높은 신발은 보행시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발목을 삐거나 발목에 상처를 입는 경우도 있고, 잘못하면 신발굽이 빠지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또 남자인 경우에도, 굽이 너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았다.
신발 뒷굽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신발내부에 까는 깔창에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보조창을 덧붙여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 종래의 시도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이 보통의 뒷굽을 가지고, 소정 높이의 보조창이 덧붙여진 신발 깔창을 내장하여 단신인 사람들이 일반 신발을 신고 있으면서도 키가 커보이고, 장애자인 경우에도 보조창을 부착한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보행을 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보조창이 부착된 깔창을 이용하여 신발 내부부분만을 높이는 방법을 취함으로 인해 신발을 착용했을때 발앞꿈치 부분은 신발내부의 앞부분과 밀착될 수 있으나 일정높이를 가지는 보조창이 내장된 발뒤꿈치 부분은 자연스럽게 위쪽으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보행을 하거나 뛰는 경우 발전체가 앞쪽으로 편향되어 발뒤꿈치 부분이 신발 뒤쪽의 갑피 부분과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고 뒷부분에 소정높이를 가지는 보조창을 부착하여 단신인 사람들이 키가 커보이게 하는 키높이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첫번째 목적이다. 두번째 목적은 갑피 발목부분의 높이를 일정부분 높이고, 갑피부분 내부에 발목부분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쿳션이있는 라운드형의 보조지지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보조창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발뒤꿈치 부분과 신발과의 잦은 이탈현상을 방지하고 전면부로 편향된 발목부분을 보호하고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높이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는 하부보조창과, 결합분리가 가능한 상부보조창을 포함하는 착탈식보조창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보행시에는 상부보조창을 하부보조창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키높이 신발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등산이나 기타 활동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상부보조창을 하부보조창에서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활동성 및 유동성을 확보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목적이다.
제1도 -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2도 - 보조창 또는 착탈식보조창을 포함한 깔창의 단면도.
제3도 - 제2도의 점선(선A-A)을 따라 연결된 착탈식보조창의 결합 단면도.
제4도 - 보조지지부재가 부착된 신발의 사시도.
제5도 - 보조지지부재의 사시도.
제6도 - 제5도를 펼쳤을때의 상세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조창 2 : 깔판
3 : 보조지지부재 3a : 본체부분
3b : 스폰지부분 3c : 내피부분
3d :발뒤꿈치 연결부 3e : 신발 복부분의 전면 연결부
4 : 겉창 5 : 갑피
6 : 깔창 7 ; 안창
8 : 벨크로(velcro)부재 9 : 결합돌기
10 : 결합홈 11 : 착탈식보조창
11a : 상부보조창 11b : 하부보조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신발은, 겉창; 안창;안창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보조창 또는 착탈식보조창을 포함하는 깔창; 안창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창에 의해 높아지고 전면부로 편향된 발목부분을 지지하도록 발목부분을 높인 갑피; 및 갑피의 발목부분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목 뒤꿈치가 상기 갑피 내부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목부분을 감싸듯이 원형으로 부착되어서 발목 인대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발목부분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쿳션이 있는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안창의 상부면에 부착된 보조창 또는 착탈식보조창은 4~8c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특히 착탈식보조창은 안창 상부면에 부착되는 하부보조창과 하부보조창 상부에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보조창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탈식보조창의 상부보조창과 하부보조창을 결합하면 키가 작은 사람이 키가 커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안창(7)의 상부면에 깔창(6)이 설치되었고, 깔창의 후면부위에 보조창(1)이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되었으며, 깔창(6)의 상부면을 깔판(2)이 자연스럽게 덮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깔창과 일체로 구성되고일정높이를 가지는 깔창의 후면부위를 이하 보조창(1)이라 명칭한다. 보조창(1)을 포함한 깔창(6)의 앞부분은 신발의 전면부로 향하고 깔창(6)의 후면부로 가면서 조금씩 높아지며 보조창(1)부분의 경사는 전면부보다 후면부가 1~2cm정도 높게 자연스럽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창(1)부분의 전체높이가 4~8cm정도 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도에서 (Ⅰ)은 깔판과 일체로 구성된 보조창부분을 나타내었다. 도(Ⅱ)는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이 후면부에 존재하는 착탈식보조창(11)으로 키가 작은 사람이 일반적인 보행시에는,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되고 안창의 상부에 직접 결합하는 하부보조창(11b)과 착탈가능한 상부보조창(11a)을 결합한 형태를 유지한채 신발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운동성을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착탈식보조창(11)의 상부보조창(11a)을 하부보조창(11b)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운동시 요구되는 발의 유동성 및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점선(선A-A)부분을 따라서 착탈식보조창(11)의 상부보조창(11a)과 하부보조창(11b)을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하부보조창(11b)은 대략 2~5cm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보조창(11a)은 2~3cm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착탈식보조창(11)을 결합했을때의 착탈식보조창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차는 상기한 보조창의 높이차와같이 후면부가 1~2cm 높게 자연스런 경사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신발 뒤쪽 착탈식보조창(11) 부분에는 많은 양의 하중이 걸리고 발의 회전 및 뒤틀림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착탈식보조창(11)의 결합은 강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한다.
제3도에 착탈식보조창(11)의 상부보조창(11a)과 하부보조창(11b)이 결합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결합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형태의 결합구조를 채택 하는게 바람직하다. 첫번째 결합형태는 (Ⅰ)에 나타내었으며 상부보조창(11a)의 저면에는 하부보조창(11b)의 상부면과 결합시킬수 있도록 벨크로(velcro, 8)부재를 상부보조창(11a)의 저면 전체에 부착하였고, 하부보조창(11b)의 상부면에는 상부보조창(11a)의 저면과 결합시키기 위해 벨크로(velcro, 8)부재가 부착된 상부보조창(11a)의 저면 부분의 넓이만큼의 부분에 결합부재로써 또한 벨크로(velcro, 8)를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두번째 결합형태는, (Ⅱ)에 나타내었으며 상부보조창(11a)의 저면에 밖으로 돌출된 결합돌기(9)를 부착하였고, 하부보조창(11b)에는 안으로 만곡된 결합홈(10)을 착탈식보조창(11)의 하부보조창(11b)부분에 만들어서, 상부보조창(11a)과 하부보조창(11b)을 결합시킬때, 결합돌기(9)가 결합홈(10) 안으로 삽입되어 안정된 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착탈식보조창에서, 상부보조창(11a)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깔창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으로 부터 상부보조창(11a)을 제거하고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특히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형태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Ⅲ)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결합방법으로 상기한 벨크로(velcro, 8)부재와 결합돌기(9), 결합홈(10)을 동시에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높이 신발의 경우, 신발을 착용했을때 발뒤꿈치 부분이 상기한 보조창에 의해 높아지고 발전체가 전면부로 편향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신발 뒷쪽 갑피 내부부분과 발뒤꿈치부분이 쉽게 이탈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발 갑피의 발목부분을 일정한 높이만큼 높여야하고 뒷쪽 갑피 내부부분에 보조지지부재가 필요하다.
제4도는 발목의 갑피 부분을 일정부분만큼 높여 발목부분의 갑피(5) 전체 높이가 대략 11~16cm정도 되도록 구성하였고, 점선부분을 따라 보조지지부재(3)를 부착한 신발구조를 보여준다. 점선부분을 따라서 보조지지부재(3)가 신발 목부분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발뒤꿈치 부분을 감싸듯이 부착되어 신발에 내장된 보조창 또는 착탈식보조창에 의해 신발 뒷부분이 높아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발뒤꿈치부분과 신발과의 잦은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발뒤꿈치 부분을 편안하게 하기위해 쿳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발뒤꿈치 연결부(3d)를 보조지지부재(3)의 후면부에 오목하게 형성하여 발뒤꿈치 인대부분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제5도의 보조지지부재(3)는 신발 목부분의 전면 연결부(3e)는 얇은 두께로 라운드 처리하였고, 후면부로 가면서 조금씩 두꺼워 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신발 목부분의 갑피내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목 뒤꿈치부분의 이탈을 방지하고 발목부분에 편안함을 주면서 쉽게 밀착시키기 위해 윗부분은 두껍고 아래로 가면서 조금씩 얇아지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또한 보조지지부재(3)의 후면부 발뒤꿈치 연결부(3d)는 안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처리하여, 발뒤꿈치 인대부분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6도에서, 보조지지부재(3)는 본체부분(3a), 스폰지부분(3b), 내피부분(3c)으로 구성되었다. 본체부분(3a)은 신발의 갑피 내부 발목부분과 직접 결합하며 발목부분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라운드형으로 발목을 감싸듯이 부착되었고, 스폰지부분(3b)은 본체부분(3a)과 내피부분(3c) 사이에 있으며 쿳션이 있는 스폰지를 재질로 사용하여 발목 뒷쪽부위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내피부분(3c)은 발목부분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부드럽고 촉감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신발은 첫째, 일반적인 신발안에 보조창 또는 상부보조창을 결합한 착탈식보조창을 내장하여 외부에서 볼때는 보통신발을 신은 것과 같은 안정감과 미적감각을 주면서 내부적으로는 키가작은 사람이 키가 커 보이게 하는 효과를 줌으로써 정신적인 열등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다. 둘째, 특히 착탈식보조창인 경우 상부보조창과 하부보조창을 결합하여 사용할때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착탈식보조창의 상부보조창을 하부보조창으로 부터 분리할시에는 일반적인 신발과 같은 활동성과 유동성, 즉 운동, 등산 등의 활동성이 요구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신발의 발목 갑피부분의 높이를 높이고, 그 내부에 보조지지부재를 부착하여 신발 내부부분의 높이가 높아짐에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발과 발뒤꿈치 부분의 잦은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뒤꿈치 연결부를 안으로 오목하게 처리함으로써 발목 뒷쪽 인대부분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쿳션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발목 뒷부분을 감싸게 함으로써 발을 편안하게 하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겉창(4);
    안창(7);
    상기 안창(7)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뒷부분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보조창(1)을 포함하는 깔창(6);
    상기 안창(7)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창(1)에 의해 높아지고 전면부로 편향된 발목부분을 지지하도록 발목부분을 높인 갑피(5); 및
    상기 갑피(5)의 발목부분에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라운드형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목 뒤꿈치가 상기 갑피(5) 내부부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목인대 부분을 보호하기위해 오목한 발뒤꿈치 연결부(3d)가 설치된 보조지지부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1)은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되며 보조창(1) 부분이 4~8c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높이 신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되며 안창(7) 상부면에 직접부착되고 2~5c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하부보조창(11b)과, 상기 하부보조창(11b) 상부에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2~3c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상부보조창(11a)으로 구성되어 상부보조창(11a)을 분리함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착탈식보조창(11)은 상부보조창(11a)을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에 결합하는 형태로써 벨크로(velcro)부재(8)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신발.
  5. 제 3항에 있어서, 착탈식보조창(11)은 상부부조창(11a)을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에 결합하는 형태로써 상부보조창(11a)의 결합돌기(9)를 하부보조창(11b)의 결합홈(10)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신발.
  6. 제 3항에 있어서, 착탈식보조창(11)은 상부보조창(11a)을 깔창(6)과 일체로 구성된 하부보조창(11b)에 결합하는 형태로써 벨크로(velcro)부재(8)를 사용하는 결합방법과 상부보조창(11a)의 결합돌기(9)를 하부보조창(11b)의 결합홈(1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신발.
KR2020000003857U 2000-02-14 2000-02-14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KR200190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857U KR200190366Y1 (ko) 2000-02-14 2000-02-14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857U KR200190366Y1 (ko) 2000-02-14 2000-02-14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366Y1 true KR200190366Y1 (ko) 2000-08-01

Family

ID=1964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857U KR200190366Y1 (ko) 2000-02-14 2000-02-14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91B1 (ko) 2012-04-09 2013-07-10 (주)한신코리아 키 높이 인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91B1 (ko) 2012-04-09 2013-07-10 (주)한신코리아 키 높이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582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clip
KR101229050B1 (ko) 신발을 위한 안창 지지시스템
EP0298721A1 (en) Article of footwear
CA2575245A1 (en)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US20230389654A1 (en) Orthopedic insoles for use in open footwear
US5896677A (en) Interchangeable inner sole system
AU2003205324B2 (en) Sock with an ankle-located support
KR20200029371A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US5012596A (en) Shoe
KR200190366Y1 (ko) 신발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
JPH11226042A (ja) アーチパッドを有する靴中敷き
KR100300342B1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CN219741975U (zh) 一种稳定支撑的鞋底及鞋子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970005823Y1 (ko) 신발깔창의 키높이 조절구조
CN218245908U (zh) 一种稳定重心防内外八字的鞋后身
KR102337374B1 (ko) 자세 교정용 인솔
CN210642717U (zh) 一种防脚鸡眼的鞋
KR101509233B1 (ko) 안전화
KR200304934Y1 (ko) 지압 신발 깔창
KR20110107247A (ko) 기능성 슬리퍼
KR200352368Y1 (ko) 실내용 슬리퍼 밑창의 구조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KR20110003819A (ko)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
KR200313770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