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064Y1 -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064Y1
KR200190064Y1 KR2020000005083U KR20000005083U KR200190064Y1 KR 200190064 Y1 KR200190064 Y1 KR 200190064Y1 KR 2020000005083 U KR2020000005083 U KR 2020000005083U KR 20000005083 U KR20000005083 U KR 20000005083U KR 200190064 Y1 KR200190064 Y1 KR 200190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elephone
engaging
detachable
telepho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0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크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크로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크로텔레콤
Priority to KR2020000005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06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06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초소형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에서는 일반 무선전화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lephone, so that the speaker can be detachably configured to be used as an ultra-compact wireless telephone, but to be able to use as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in the room.

본 고안의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는, 전화기 본체(10)의 상단면은 결합면(11)으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면 상에는 스피커 커넥터(12)가 있으며, 전화기 본체의 결합면에 대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착탈 가능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스피커(13)는 하단면이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면서 전화기 본체의 상단 결합면과 대응되는 결합면(15)으로 구성되며, 전화기 본체에서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기 본체와 스피커를 착탈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공용의 소형 무선전화기로 사용이 가능하고 이어-마이크 전용의 초소형 전화기로 시용이 가능하다.In the speaker detachable cordless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surface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 mating surface 11, and a speaker connector 12 is provided on the mating surface, and a separate speaker is provided for the mat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In order to be detachably mounted, the speaker 13 is composed of a mating surface 15 corresponding to the top mat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while having a speaker connector 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the telephone body and the telephone body to detachable from the telephon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is configured in a removable structure. 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common small wireless telephone and can be used as a small telephone dedicated to ear-microphone.

Description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초소형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에서는 일반 무선전화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speaker to be detachable to enable the use as an ultra-compact wireless telephone, but to be able to use as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in the room.

일반적인 무선전화기는 도 1과 같이 다이얼 버튼이 배열된 키버튼과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구성되어 있는 기기 본체(1)와, 기기 본체(1)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기(2)와, 기기 본체(1)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에 통화음을 보내는 송화기(3)로 구분된다.A typical radiotelephone includes an apparatus main body 1 including a key button arranged with a dial button, a display panel,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 and a handset 2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and outputting an opposite voice signal. And a talker 3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 and sending a call sound to the other side.

무선전화기는 주로 실내에서 근거리 통화용으로 사용되며 원거리에서는 통화품질이 떨어져 사용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무선전화기는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주로 수신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근거리 송수신 전용 통신기기는 아날로그나 디지털 방식의 이동통신 기기의 수요증가에 따라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Wireless telephones are mainly used for short-distance calls indoors and are difficult to use due to poor call quality at long distances. Although wireless telephones can transmit and receive, they are mainly used for receiving. Such short-range transmission / receiver communication devices are being used less and less as the demand for analog or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creases.

그러나 이동통신 기기에 비해 낮은 통화료와 경제성 때문에 그 수요가 일명 '사오정 전화기'의 형태로 변화되었다.However, due to lower call charges and economy compared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he demand has changed in the form of a so-called Saojung phone.

즉 기존의 무선전화기와는 달리 무선전화기의 기능이나 형태가 휴대가 가능한 초소형 전화기로 변화 하면서 이어-마이크(ear-mic) 전용의 전화기로 발전되었으나 이어-마이크가 없이는 통화가 불가능한 제약이 뒤따랐다.In other words, unlike the existing cordless phone, the function and form of the cordless phone has been changed into a compact handheld phone,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n ear-mic-only phone. However, a limitation was not possible without the ear-mic.

무선 사오정 전화기는 도 2와 같이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기 본체(4)를 두고 이 전화기 본체(4)에는 별도의 송수신 전용의 이어-마이크(5)를 잭(6)으로 연결하여 실내 전용 통화용으로 발전 되었으며, 손으로 직접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여 일명 핸즈-프리(hand free)로도 불리워 지고 있다. 그러나 이어-마이크형 무선전화기는 송수화기를 직접 손으로 들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한 대신에 전화기 본체(4)와 아주 가까운 근거리 위치에서만 통화가 가능하고 이어-마이크(5)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통화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이어-마이크 전화기는 무선전화기가 가지는 장점중 하나인 전화기 본체(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가정과 같이 무선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때는 사용자 교대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머리에 이어-마이크(5)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이 있는 것이다.The wireless Saojung phone has a telephone main body 4 for dialing as shown in FIG. 2, and the telephone main body 4 has a separate transmission / reception ear-mic 5 connected to a jack 6 to be developed for indoor calls. It can be called without hand picking up the handset, which is also called hand free. However, instead of having to pick up the handset directly, the ear-microphone cordless telephone can be called only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telephone body (4) and the ear-mic (5) must be worn on the head. There is a disadvantage. In other words, the ear-microphon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alk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4, which is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wireless telephone, but when the wireless telephone is used in common, such as a home, the user shift cannot be made easily and quickly. As it is necessary to wear the head after the microphone (5) is inconvenient in u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전화기가 가지는 통신 편의상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이어-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call without using an ear-mic while having an advantage of communication convenience of a wireless telepho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dapt to the case of using a radiotelephone in common and the case of using an ear-mic.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기 본체와 스피커를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하는데 적절한 결합 구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suitable for constructing a detachable detachable telephone body and a speak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이얼버튼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있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전화기 본체의 하부측은 송화기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은 수화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telephone body having a dial button and a display panel, and a cordless telephone having a lower side of the telephone body and a telephone receiver.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단면은 결합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면상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스피커 커넥터가 있으며, 상기 전화기 본체의 결합면에 대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착탈 가능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는 하단면이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단 결합면과 대응되는 결합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화기 본체에서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기 본체와 스피커에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hone is made of a coupling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has a speaker connector protruding outwar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peaker is mounted to detachably attach a separate speaker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upl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elephone body and the speaker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ans for detachable speaker.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외관도1 is an external view of a typical wireless telephone

도 2는 무선전화기의 이어-마이크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n ear-mic in a wireless telephone;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스피커 착탈형 무선전화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3 to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various speaker detachable cord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전화기본체 11:결합면10: telephone base body 11: coupling surface

12:커넥터 13:스피커12: Connector 13: Speaker

14:커넥터 15:결합면14 connector 15 mating surface

16:걸림턱 17:결합턱16: Jam Jaw 17: Combination Jaw

18:걸림홈 19:탄성훅크18: locking groove 19: elastic hook

20:슬라이드버튼 21:슬라이드홈20: Slide button 21: Slide groove

22:슬라이드레일 23:체결홈22: Sliding rail 23: fastening home

24:결합턱24: coupling chin

이렇게 전화기 본체에 별도의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이어-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송.수화가 가능한 공용의 소형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고 이어-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피커를 간단히 탈거 시켜 개인용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f you configure a detachable speaker on the main body of the phone, you can use it as a common wireless cordless phon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when you do not use the ear-mic, and when you use the ear-mic, simply remove the speaker It can be used as.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스피커 착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to 6 is a view showing a variety of speaker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이얼버튼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있는 전화기 본체(10)와, 전화기 본체(10)의 하부측은 송화기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은 수화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상단면은 결합면(11)으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면(11) 상에는 스피커 커넥터(12)가 있으며,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에 대하여 별도의 스피커(13)를 착탈 가능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스피커(13)는 스피커 커넥터(14)를 구비하면서 전화기 본체(10)의 상단 결합면(11)과 대응되는 결합면(15)으로 구성되며, 전화기 본체(10)에서 스피커(13)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기 본체(10)와 스피커(13)에 착탈수단을 구비한다.In the telephone main body 10 having a dial button and a display panel, and a lower side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made of a handset and an upper side made of a hands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3 to 6. The top surface of the) is composed of a coupling surface 11, the speaker connector 12 on the coupling surface 11, the separate speaker 13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body (10) detachable. In order to enable the mounting, the speaker 13 has a speaker connector 14 and is composed of a mating surface 15 corresponding to the top mat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The detachable means is provided in the telephone main body 10 and the speaker 13 so that the 13 is detachable.

착탈수단은, 도 3과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 전후면에 각각 걸림턱(16)을 형성하고, 스피커(13)에는 전화기 본체(10)의 걸림턱(16)에 결합되는 결합턱(17)을 형성한 형태이거나, 도 4와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상단부 결합면(11) 양방향에 걸림홈(18)을 각각 형성하고 스피커(13)의 결합면(15)에는 걸림홈(18)에 체결되는 탄성훅크(19)를 돌설하고, 이 탄성훅크(19)를 슬라이드 버튼(20)에 의해 움직여 주도록 한 구조와, 도 5와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 상단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홈(21)을 가공하고, 스피커(13)의 결합면(15)에는 슬라이드 홈(2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22)을 형성하여 전화기 본체(10)의 슬라이드 홈(21)에 스피커(13)의 슬라이드 레일(22)을 결합한 구조와, 도 6과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양 측면부에 체결홈(23)을 형성하고 스피커(13)에는 전화기 본체(10)의 체결홈(23)에 결합되는 결합턱(24)을 형성하여 전화기 본체(10)에서 스피커(13)를 착탈 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Detachable means, as shown in Figure 3, the engaging jaw 16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ngag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body 10, respectively, the speaker 13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16 of the telephone body 10 As shown in FIG. 4, or as shown in FIG. 4, the engaging grooves 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coupling surface 11 of the phone body 10, and the coupling surface 15 of the speaker 13 is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15.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hook 19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18 and the elastic hook 19 is moved by the slide button 20, and the engaging surface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11) The slide groove 21 is mach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and the slide rails 22 coupled to the slide grooves 21 are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15 of the speaker 13 to provide the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e rail 22 of the speaker 13 is coupled to the slide groove 21, and fastening grooves 23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telephone body 10 as shown in FIG. ) Forms a coupling jaw 24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23 of the phone main body 10 and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detaching the speaker 13 from the phone main body 1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은 전화기 본체(10)와 스피커(13) 부분으로 무선전화기를 분리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를 장착하여 사용 하거나 스피커(13)를 탈거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cordless phone into the phone main body 10 and the speaker 13, and to use the speaker 13 attached to the phone main body 10 or to remove the speaker 13 as needed. It is.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 부분을 장착 시키거나 탈거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어-마이크를 사용할 때는 스피커(13)를 탈거 시켜 소형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고, 이어-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피커(13)를 장착시켜 근거리 공용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By attaching or detaching the speaker 13 portion to the telephone main body 10, the speaker 13 can be removed and used as a small cordless telephone when using the ear microphone, and the speaker when the ear microphone is not used. It can be used as a short-range public radio telephone by attaching (13).

도 3 내지 도 6은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를 장착 하거나 탈거 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이다. 도 3은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에 있는 스피커 커넥터(12)와 스피커(13)에 있는 커넥터(14)를 일치시켜 전화기 본체(10)와 스피커(13)의 각 결합면(11)(15))을 맞대어 결합하면 전화기 본체(10)의 걸림턱(16)에 스피커(13)에 있는 결합턱(17)이 결합되어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가 장착되며 반대로 전화기 본체(10)에 장착된 스피커(13)를 밖으로 빼내면 걸림턱(16)에서 결합턱(17)이 빠지면서 스피커(13)가 간단히 분리된다.3 to 6 are various structures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speaker 13 to the telephone body 10. 3 shows the mating surfaces of the telephone body 10 and the speaker 13 by matching the speaker connector 12 on the mat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body 10 with the connector 14 on the speaker 13. 11) (15)) to face each other when the engaging jaw 17 of the speaker 13 is coupled to the engaging jaw 16 of the telephone body 10, the speaker 13 is mounted on the telephone body 10 and vice versa When the speaker 13 mounted on the telephone main body 10 is pulled out, the coupling jaw 17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jaw 16 and the speaker 13 is simply separated.

마찬가지로 도 4는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 양측에 있는 걸림홈(18)에 스피커(13)의 결합면(15)에 있는 탄성훅크(19)를 넣어 밀면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를 결합시킬 수 있고, 반대로 슬라이드 버튼(20)을 밀어내면 탄성훅크(19)가 움직여서 걸림홈(18)으로부터 이탈되어 스피커(13)를 전화기 본체(10)에서 분해할 수 있다.Similarly,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8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the elastic hook 19 on the engaging surface 15 of the speaker 13 is pushed to the telephone main body 10 The speaker 1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contrary, when the slide button 20 is pushed out, the elastic hook 19 moves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8 so that the speaker 13 may be disassembled from the phone body 10.

또한 도 5와 같이 전화기 본체(10)의 결합면(11)에 있는 슬라이드 홈(21)에 스피커(13)의 결합면(15)에 있는 슬라이드 레일(22)을 맞추어 옆으로 끼우면 간단히 스피커(13)를 전화기 본체(10)에 장착할 수 있고, 반대로 스피커(13)를 옆으로 당겨내면 스피커(13)의 슬라이드 레일(22)이 전화기 본체(10)의 슬라이드 홈(21)으로부터 빠져나와 간단히 탈거된다.Also, as shown in FIG. 5, the slide rails 22 of the coupling surface 15 of the speaker 13 are aligned with the slide grooves 21 of the coupling surface 11 of the telephone body 10, and then the speaker 13 is simply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 Can be mounted on the telephone main body 10,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speaker 13 is pulled out to the side, the slide rail 22 of the speaker 13 comes out of the slide groove 21 of the telephone main body 10 and is simply removed. do.

도 6은 도 3과 유사한 형태로서 전화기 본체(10)의 양측면부에 있는 체결홈(23)에 스피커(13)의 결합턱(24)을 맞추어 끼우면 전화기 본체(10)에 스피커(13)가 장착되고 스피커(13)를 밖으로 당기면 전화기 본체(10)로부터 스피커(13)가 탈거된다.FIG. 6 is similar to FIG. 3, and the speaker 13 is mounted on the telephone body 10 when the coupling jaw 24 of the speaker 13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23 at both sides of the telephone body 10. When the speaker 13 is pulled out, the speaker 13 is removed from the telephone body 10.

이와 같이 전화기 본체(10)와 스피커(13)를 착탈식으로 구성하기 위한 구조나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화기 본체(10)만 사용할 경우 이어-마이크의 잭을 전화기 본체(10)에 있는 잭홀더에 결합하여 보통의 전화기로 사용하고, 이어-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피커(13)를 전화기 본체(10)에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공용의 무선전화기로 사용한다.As such, the structure or method for detachably configuring the phone body 10 and the speaker 13 may be variously applied. If only the telephone body 10 is used, the jack of the ear-microphone is combined with the jack holder on the telephone body 10 to be used as a normal telephone, and when the ear-mic is not used, the speaker 13 is used as the telephone body 10 It is used as a common wireless telephone which can be mounted and mov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전화기와는 달리 무선전화기의 기능이나 통신상의 이점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스피커 착탈에 따라 휴대가 가능한 초소형 공용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어-마이크 전용의 초소형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conventional cordless telephones, it can be used as a small public cordless telephone that can be carried according to speaker detachment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s and communication advantages of the cordless telephone. It can be used as an effect.

Claims (5)

다이얼버튼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있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전화기 본체의 하부측은 송화기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은 수화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A telephone body having a dial button and a display panel, and a cordless telephone having a lower side of the telephone main body and a handset of the upper side,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단면은 결합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면 상에는 스피커 커넥터가 있으며,The top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is made of a mating surface, on the mating surface is a speaker connector, 상기 전화기 본체의 결합면에 대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착탈 가능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스피커는 하단면이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면서 전화기 본체의 상단 결합면과 대응되는 결합면으로 구성되며,In order to detachably mount a separate speaker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the speaker is composed of a coupl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upl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while the lower surface has a speaker connector, 전화기 본체에서 스피커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화기 본체와 스피커에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And a detachable means for detaching the speaker from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수단은, 전화기 본체의 결합면 전후면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하고, 스피커에는 전화기 본체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결합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The detachable means, the engaging jaw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ngag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respectively, the speaker detachable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ngaging jaw of the telephone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수단은, 전화기 본체의 상단부 결합면 양방향에 걸림홈을 각각 형성하고 스피커의 결합면에는 걸림홈에 체결되는 탄성후크를 돌설하고, 상기 탄성후크를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움직여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The detachable means is formed by engag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engaging surface of the telephone body, and protruding an elastic hook fastened to the engaging groove on the engaging surface of the speaker, and moving the elastic hook by a slide button. Speaker detachable cordless 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수단은, 전화기 본체의 결합면 상단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홈을 가공하고, 스피커의 결합면에는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전화기 본체의 슬라이드 홈에 스피커의 슬라이드 레일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The detachable means is to process the sl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surface of the phone body, and to form a slide rail coupled to the slide groove on the engaging surface of the speaker to combine the slide rail of the speaker with the slide groove of the telephone body Speaker detachable cordless phone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수단은, 전화기 본체의 양 측면부에 체결홈을 형성하고 스피커에는 스피커 본체의 체결홈에 결합되는 결합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착탈식 무선전화기.The detachable means is a speaker detachable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telephone body, and the speaker has a coupling jaw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peaker body.
KR2020000005083U 2000-02-24 2000-02-24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KR2001900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083U KR200190064Y1 (en) 2000-02-24 2000-02-24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083U KR200190064Y1 (en) 2000-02-24 2000-02-24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064Y1 true KR200190064Y1 (en) 2000-07-15

Family

ID=1964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083U KR200190064Y1 (en) 2000-02-24 2000-02-24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06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02B1 (en) * 2002-01-08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pad separ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WO2008112689A1 (en) * 2007-03-14 2008-09-18 Singh Sanjeev K A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tainer port for removably coupling an attachable wireless audiophone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02B1 (en) * 2002-01-08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pad separ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WO2008112689A1 (en) * 2007-03-14 2008-09-18 Singh Sanjeev K A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tainer port for removably coupling an attachable wireless audiophone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19669A3 (en) Hands-free kit for mobile radio-telephone handset
DE4310873A1 (en) Cordless, detachable speech unit
KR200190064Y1 (en) Speaker stick type wireless telephone
JP2000106594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H01213056A (en) Telephone set
EP1223682A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a mobile radio station
JPH09252335A (en) Telephone set
KR100903738B1 (en) A 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bluetooth-typed headset
JPH04180329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20000018393U (en) Portable phone having necklace string with built-in antenna
KR100367283B1 (en) Telephone that is dialed with electronic dialing tone-sound of a cellular phone
CA2265145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KR100260756B1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in common with a walkietalkie function
KR200295033Y1 (en) Transmitter and receiving a telephone exchange device of telephone
KR200266277Y1 (en) Handfree necklace for cellular phone have radio
KR200223514Y1 (en) Glasses frame with attached wire/wireless hands-free for mobile phone
KR200241236Y1 (en) hand set wireless phone
KR200295605Y1 (en) Ear-mike with Telephone Conversation Method
KR200258133Y1 (en) Wireless earphone
KR200258134Y1 (en) Wireless earphone use of resonance
KR200287418Y1 (en) Removable hands fee using a mounting member
KR200372538Y1 (en) Telephone Having PTT
KR200222396Y1 (en) Handsfree of vehicles to portable combining
KR19990064710A (en) Wireless telephone
JPH034948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