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674Y1 -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 Google Patents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674Y1
KR200189674Y1 KR2020000003966U KR20000003966U KR200189674Y1 KR 200189674 Y1 KR200189674 Y1 KR 200189674Y1 KR 2020000003966 U KR2020000003966 U KR 2020000003966U KR 20000003966 U KR20000003966 U KR 20000003966U KR 200189674 Y1 KR200189674 Y1 KR 200189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onstruction
frame
door fr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라미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420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8967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라미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라미우드
Priority to KR2020000003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선행 고안으로써 바탕틀과 마감틀의 2중 구조로하여 벽체 시공시 1차 바탕틀만을 설치하였다가 내부 시공이 완료된 후 내측에 별도의 마감틀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 일반화 되었으나 이는 문틀이 2중 구조로 됨으로써 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벽체 시공과 함께 설치되는 바탕틀 만으로 시공 가능토록 구성하되 내부 시공이 완료된 후 바탕틀의 외면 양측 모서리부를 무늬목 또는 원목무늬 필름을 래핑시킨 'ㄱ'자형 커버 몰딩으로써 커버시키게 됨으로써 양측면의 측면 커버 몰딩 및 스토퍼와 함께 바탕틀 외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으며, 양 측면을 커버시키게되는 측면 커버 몰딩의 내측면을 수평면 상태에서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탕틀의 양측면에는 'ㄱ'자형 커버 몰딩의 측면이 끼움될 수 있는 폭의 홈을 형성하여 끼워맞추게 됨으로서 벽체와 더블어 측면 전체가 수평상태가 되게하여 기존 내면이 수평면으로 된 측면 커버 몰딩을 그대로 적용하여 부착 시공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Assembly style door frame being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본 고안은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아파트나 일반 주택 등의 출입문 외곽 문틀을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하여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택 시공에 있어 문틀은 벽체를 시공하면서 함께 설치하게 되는 바, 문틀을 설치한 상태에서 미장처리를 하게되고 기타 내부 공사를 실시하여 입주 까지는 2년여에 가까운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어 공사중 부주의로 인하여 손상을 입게 마련 이었던 것이다.
특히, 재래적인 일체형으로 가공 설치되었던 문틀에 있어서는 공사중 손상을 많이 입게될 뿐 아니라 입주 후 수년이 지나 손상에 따른 교체 또는 인테리어 공사시 문틀을 교체할 때 문틀 뿐 아니라 문틀 주변의 벽체를 헐어내어 교체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므로 많은 비용 지출과 시공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최근에 개발되어 시공되는 방법으로서 도 3의 (가)와 (나)의 구조를 갖는 문틀이 보편화 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가)의 문틀(21)에 있어서는 벽체 시공시 바탕틀(22)을 벽체와의 사이 내측에 보강목(23)을 대고 외측에서 앵커 볼트(24)로써 체결한 후 벽체 외면과 함께 틈새를 콘크리트를 채워 미장 처리하여 굳힌 다음 바탕틀(22)의 외측에 다시 보강목(25)을 끼우고 2중으로 마감틀(26)을 체결하고, 그 외측 중앙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홈(27)에 맞추어 스토퍼(28)를 끼워 맞춰 문짝이 여닫힐때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양 외측면의 틈새 마감처리를 위하여 양 측면에는 안쪽면이 수평면으로 되고 외면이 라운드 형으로 형성된 측면 커버 몰딩(29)을 부착시켜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도 선행고안의 경우에 있어서는 바탕틀(22)을 미리 설치 하였다가 후에 마감틀(26)을 설치하기 때문에 외관적으로 손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하고 차후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감틀(26)만 떼어내면 되기 때문에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된 잇점은 있으나 바탕틀(22)과 마감틀(26)의 2중 자재가 소요되는 등 제조원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점과 2중의 틀체를 겹으로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 및 교체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양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 커버 몰딩(29)은 내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틈새를 마감하는 콘크리트 면이 수평으로 제대로 마감처리 되지 않은 경우 들떠서 부착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나)도의 선행고안 문틀(31)에 있어서는 바탕틀 없이 한개의 마감틀(32)만으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벽체와의 사이 내측에 보강목(33)을 대고 외측에서 앵커 볼트(34)로써 체결한 후 벽체 외면과 함께 틈새를 콘크리트를 채워 미장 처리하여 굳힌 다음 마감틀(32)의 외측 중앙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홈(35)에 맞추어 스토퍼(36)를 끼워 맞춰 문짝이 여닫힐때 걸림턱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양 외측면의 틈새 마감처리를 위하여 양 측면에는 안쪽면이 수평면으로 되고 외면이 라운드 형 또는 여러가지 의장 형으로 형성된 측면 커버 몰딩(37)을 부착시켜 마감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도 선행고안의 경우에 있어서는 재래적인 일체형 문틀의 문제점을 그대로 갖게되는 것으로 벽체 시공시 함께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부 시공 과정에서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으며, (가)도 선행고안에서와 같이 측면 커버 몰딩(37)의 안쪽면이 수평면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틈새를 마감하는 콘크리트 면이 수평으로 제대로 마감처리 되지 않은 경우 들떠서 부착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체 시공과 함께 설치되는 바탕틀 만으로 시공 가능토록 구성하되 내부 시공이 완료된 후 바탕틀의 외면 양측 즉, 중앙의 스토퍼와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 몰딩과의 사이를 'ㄱ'자형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된 목재 또는 발포재 및 합성수지 압출재 등으로 형성하여 외면을 무늬목 또는 원목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나타내는 특수 필름을 코팅시킨 'ㄱ'자형 커버 몰딩으로써 커버시키게 됨으로써 양측면의 측면 커버 몰딩 및 스토퍼와 함께 바탕틀 외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내부 시공 중 바탕틀이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라도 외관을 깨끗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으며, 양 측면을 커버시키게되는 측면 커버 몰딩의 내측면은 수평면 상태 이므로 그대로 부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바탕틀의 양 측면에는 'ㄱ'자형 커버 몰딩의 측면이 끼움될 수 있는 폭의 홈을 형성하여 끼워맞춰 부착 시킴으로써 벽체와 더불어 문틀 측면 전체가 수평상태가 되게 하여 기존의 측면 커버 몰딩을 그대로 적용하여 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부분발췌 계단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평 단면도
도 3의 (가)(나)는 종래 고안 조립식 문틀의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2 - 바탕틀
3 - 보강목 5a,5b - 'ㄱ'자형 커버 몰딩
6 - 스토퍼 8 - 가스켓
9 - 측면 커버 몰딩 10 - 내면
11 - 몰딩 끼움 홈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문틀(1)은 벽체 시공과 함께 설치되는 바탕틀(2) 만으로 시공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벽체 시공시 통상의 방법으로 바탕틀(2)을 벽체와의 사이에 보강목(3)을 끼우고 앵커 볼트(4)를 체결하여 맞춰 세워 설치 한 다음 틈새를 콘크리트 미장처리하여 굳히고 내부 시공이 끝날 때까지 그대로 둔 상태에서 내부 시공이 완료되고 난 후에 바탕틀(2)의 외측면 양 모서리부에 먼저 'ㄱ'자형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된 목재 또는 발포재 및 합성수지 압출재 등으로 형성하여 외면을 무늬 또는 원목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나타내는 특수 필름을 코팅시킨 한 쌍의'ㄱ'자형 커버 몰딩(5a)(5b)을 1차, 접착제로써 부착시킨 후 목공용 실타카를 쏘아 확실하게 재차 부착 고정 시킨다.
이와 같이 바탕틀(2)의 외면 양측에 'ㄱ'자형 커버 몰딩(5a)(5b)을 부착 시키게 되면 통상 바탕틀(2)의 외면 중앙에 홈을 파서 스토퍼 체결홈을 형성하던 별도의 공정이 삭제되고, 자연히 몰딩 두께와 간격에 의하여 스토퍼(6)를 체결 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 맞추어 스토퍼(6)역시 접착제를 바르고 실타카로써 간단히 체결하게 되는데, 이에앞서 스토퍼(6)의 도어(D)가 여닫히는 쪽의 측면에 미리 형성한 가스켓 체결홈(7)에 맞추어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된 가스켓(8)을 끼운 다음 체결 설치함으로써 도어가 여닫힐 때 완충 작용될 수 있도록하였다.
한편, 문틀(1)의 양측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부착 설치되는 측면 커버 몰딩(9)은 내면(10)이 수평면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부착면 또한 수평면으로 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바탕틀(2)의 양 측면에는 몰딩 끼움 홈(11)을 형성하여 상기 'ㄱ'자형 커버 몰딩(5a)(5b)의 부착 체결시 측면이 끼워맞춤 체결되게 함으로써 벽체와 더불어 문틀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수평 상태가 되게하여 기존 내면이 수평면으로 된 측면 커버 몰딩(9)을 그대로 적용하여 이 역시 접착제를 바르고 실타카로 체결하여 부착 고정시켜 문틀(1)이 완성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ㄱ'자형 커버 몰딩(5a)(5b)으로써 양측면의 측면 커버 몰딩(9) 및 스토퍼(6)와 함께 바탕틀(2) 외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게 됨으로써 벽체 시공시 바탕틀(2)이 미리 설치되어 내부 시공 중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라도 외관을 깨끗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으며, 양 측면을 커버시키게되는 측면 커버 몰딩(9)을 기존의 모델로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가공비의 절감과, 외관이 미려하게 되기 때문에 마감틀 없이 바탕틀(1)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바탕틀과 마감틀의 2중 구조로 문틀을 형성하는 폐단없이 고급목재가 아닌 일반목재를 이용(자재비 1차 절감)하여 형성한 바탕틀 만을 벽체 시공시 통상 방식에 따라 설치하여 두었다가 내부 시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스토퍼, 측면 커버 몰딩과 함께 한쌍의 'ㄱ'자형 커버 몰딩으로 커버시켜 접착제를 바르고 실타카로 쏘아 간단히 체결하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하는 한편 기존의 측면 커버 몰딩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과 더불어 외관적으로 깨끗하고 미려한 문틀 시공을 마무리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토퍼의 도어 측 측면에는 가스켓을 설치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의 소음 방지 와 방음, 단열의 효과가 있으며 실수로 문에 손이 끼이게 되는 경우에도 큰 부상을 방지 할 수 있게되어 안정성 면에서도 크게 향상된 기능을 갖게되는 것이다.
또한, 입주 후 수년이 지나 손상에 따른 교체 또는 인테리어 시공에 따른 문틀 교체시 손쉽고 저렴하게 교체, 시공 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으며, 문틀의 규격이 커지더라도 가격이 저렴한 일반 목재의 바탕틀을 그대로 사용한 후 'ㄱ'자형 커버 몰딩으로 1차 마감 후 스토퍼의 크기만을 조정하여 충분히 마감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벽체 시공시 통상의 방법으로 바탕틀(2)을 벽체와의 사이에 보강목(3)을 끼우고 앵커 볼트(4)를 체결하여 맞춰 세워 설치 한 다음 틈새를 콘크리트 미장처리하여 설치하게되는 문틀에 있어서, 바탕틀(2)의 외측면 양 모서리부에 한 쌍의'ㄱ'자형 커버 몰딩(5a)(5b)을 부착 고정하되, 측면에 몰딩 끼움 홈(11)을 형성하여 측면이 평면 상태가 되도록하여 부착 고정 시킨 후 이들 사이에는 일측면에 가스켓(8)이 설치된 스토퍼(6)를 끼워 체결하고, 양 측면에는 내면(10)이 수평면으로 된 측면 커버 몰딩(9)을 부착 설치하여 일체로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20000003966U 2000-02-15 2000-02-15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0189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66U KR200189674Y1 (ko) 2000-02-15 2000-02-15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66U KR200189674Y1 (ko) 2000-02-15 2000-02-15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674Y1 true KR200189674Y1 (ko) 2000-07-15

Family

ID=1964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966U KR200189674Y1 (ko) 2000-02-15 2000-02-15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6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58B1 (ko) * 2001-01-17 2004-08-11 대한주택공사 문틀 고정방법
KR20190002639U (ko) * 2018-04-12 2019-10-23 송교덕 현관 방화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58B1 (ko) * 2001-01-17 2004-08-11 대한주택공사 문틀 고정방법
KR20190002639U (ko) * 2018-04-12 2019-10-23 송교덕 현관 방화문 장치
KR200491717Y1 (ko) * 2018-04-12 2020-06-05 송교덕 현관 방화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846A (en) Molded window assembly
KR200189674Y1 (ko)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0256745Y1 (ko) 스토퍼 일체형의 조립식 문틀 덮개
KR10075573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 제조방법
KR10081264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200488691Y1 (ko) 리모델링용 조립식 문틀커버
KR200168114Y1 (ko)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문틀
CA3017715A1 (en) Vinyl jamb system
GB2475366A (en) Overcill
FR2539801A1 (fr) Procede de finition en particulier au niveau des ouvertures formees dans le gros oeuvre de batiments et elements prefabriques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20210118802A (ko) 조립식 문틀
KR200310919Y1 (ko) 벽지 마감처리 홈을 갖는 조립식 문틀
KR200246670Y1 (ko) 문틀
KR200211399Y1 (ko) 문틀
KR200251250Y1 (ko) 문틀
KR10052806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224361Y1 (ko) 조립식 문틀
KR200322798Y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254676Y1 (ko) 커버재를 갖는 문틀
KR100870240B1 (ko) 덧판을 가진 문틀 및 창틀 구조
KR200400485Y1 (ko) 조립식화장실용 문짝지지틀
KR200344376Y1 (ko) 문짝 및 벽체의 외면마감프레임
AU709589B2 (en) Window or door assembly with minimised width timber reveal
KR200302216Y1 (ko) 도어 완충, 밀폐 구조를 갖는 조립식 문틀
KR100388547B1 (ko) 가변형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617

Effective date: 200605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704

Effective date: 2007022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06

Effective date: 200905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107

Effective date: 200905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091127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091127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1230

Effective date: 201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