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864Y1 - 수정란용 디쉬 - Google Patents

수정란용 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864Y1
KR200188864Y1 KR2020000002841U KR20000002841U KR200188864Y1 KR 200188864 Y1 KR200188864 Y1 KR 200188864Y1 KR 2020000002841 U KR2020000002841 U KR 2020000002841U KR 20000002841 U KR20000002841 U KR 20000002841U KR 200188864 Y1 KR200188864 Y1 KR 200188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fertilized egg
fertilized
egg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원
Original Assignee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원 filed Critical 강상원
Priority to KR2020000002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의 수정란 이식을 위하여 수정란을 채집, 관찰, 및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수정란용 디쉬에 관한 것이다.
수정란의 체외 노출시간은 수정란의 생존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수정란 이식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관건으로서, 수정란의 채집과정은 민첩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종래 사용하고 있는 디쉬는 바닥이 평면이므로, 현미경 하에서 미세크기의 수정란 작업시, 기구 측면 표면에는 이식액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약간 올라가게 되므로 빛의 굴절에 의해 가장자리에 있는 수정란을 찾기가 곤란하고, 작업대의 바닥이 수평하지 않으면 수정란이 중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수정란의 체외 노출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바닥면(10)과 주벽(20)으로 이루어지되, 처리물이 자중으로 바닥면(10) 중심으로 모아지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0)은 중심이 주벽(20)과 만나는 가장자리보다 깊도록, 원추형에 가깝게 경사형성되고, 주벽(20) 하방에 작업테이블에 수평으로 세워지기 위한 받침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이 깊게 형성된 바닥면(10)을 구비한 디쉬는, 바닥면 반경을 보다 작게 형성한 스몰디쉬(1a) 다수를 일체로 배열ㆍ형성하여 월-디쉬(Wall-dish)(1')로 형성되기도 하는 것임.

Description

수정란용 디쉬{A Petri-dish For Embryo}
본 고안은 관찰 또는 배양 등을 위하여 실험,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페트리 디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축의 수정란 이식을 위하여 수정란을 채집, 관찰, 및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수정란용 디쉬에 관한 것이다.
가축 특히 소(牛)의 개량을 위해서는 먼저 암컷보다는 숫컷이 생리적 번식능력에 의해 보다 많은 자손을 볼 수 있다.
자연상태에서 암컷은 일생동안 6∼10 두의 자손을 볼 수 밖에 없지만, 숫컷의 경우, 상대 암컷의 수에 따라 수백의 자손을 볼 수 있다.
숫소의 자연종부(교미)시 1회분의 정액을채집, 희석처리하면 인공수정시의 정액 1회분을 저장한 스트로우 100∼300개를 만들 수 있고, 이 스트로우를 동결처리하여 저장시켰다가 필요시 인공수정을 하게 된다.
자연상태에서의 암컷 번식능력은 상기와 같으나, 여기에 인위적인 기술이 접목된다면, 암컷의 번식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가축의 개량 및 다산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수정란 이식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연구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즉, 소의 경우, 자연상태에서는 비 임신을 기준으로 21일에 1개의 난자가 배란하게 되지만.
젖소의 경우, 우유의 분비량이 특별히 많거나, 한우의 경우, 육질이나 육량 등이 우수한 암컷을 선발, 한 번에 다수의 난자가 배란되게 하는 호르몬 주사를 실 시하여 과배란을 유도하고, 필요한 시기에 인공수정 혹은 자연종부를 통해 암컷의 생식기 내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진 수정란이 되게 하고, 소정 기간(6∼9일) 이후 착상 등 임신을 위해 생식기관인 난관에서 자궁으로 내려오는 수정란들을 기구 등을 이용, 채집하여 현미경 하에서 상태를 검사한 후 다른 암소의 자궁에 옮겨 이식할 수 있으며, 여분의 수정란은 동결처리 보관하여 필요시에 이식하게 된다.
이러한 수정란 이식행위를 '수정란 이식'이라 하며, 본 고안은 이러한 수정란 이식과정에서 수정이 이루어진 수정란을 채집, 관찰, 처리하기 위한 디쉬에 관한 것이다.
수정란의 채집은 착상을 위해 자궁 내에 위치된 수정란을 체외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치 관장을 하는 것처럼, 자궁 내로 세척액을 카테터를 통하여 관류입시킨 후, 배출시켜 필터기구를 이용 채집하게 된다.
배출세척액에는 다수의 수정란과, 자궁내에 있었던 분비물 등의 점액질이 섞여 나오므로, 이 배출액에서 수정란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점액질과 세척액을 분리시키는 필터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수정란 채집을 상세히 살펴보면, 자궁에 삽입된 카테터에 수정란 채집필터기구를 연결시켜, 배출액 중에서 수정란만 남도록 필터링이 완료되면, 통상 샤아레라고도 하는 디쉬에 잔류액을 부어 현미경 하에서 수정란을 채집하도록 한다.
이렇게 채집된 수정란은 다시 다수의 스몰디쉬를 일체로 형성한 월-디쉬(Wall-dish)에서 순차적으로 옮겨가며 진행되는 후속처리과정이 이어지게 된다.
수정란의 체외 노출시간은 수정란의 생존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수정란 이식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관건으로서, 수정란의 채집과정은 민첩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는 수정란을 채집, 처리하기 위한 전용 디쉬가 없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실험용 및 연구 배양 등을 위한 바닥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디쉬(100)를 사용하고 있는 형편이어서 어려움이 많았다.
즉, 종래 사용하고 있는 디쉬는 바닥(110)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현미경 하에서 160∼200 마이크로 미터 정도의 미세한 수정란을 취급시, 기구 측표면(120)에는 표면장력에 의하여 약간 올라가게 되므로 빛의 굴절에 의해 가장자리에 있는 수정란을 찾기가 곤란하고, 작업대의 바닥이 수평하지 않으면 수정란이 중력에 의해 이동됨으로 또한 작업에 어려움을 주어, 수정란 이식의 성패를 좌우하는 수정란의 체외 노출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정란을 채집, 관찰, 처리함에 있어서, 수정란이 디쉬의 중심으로 모아지도록 형성하여 수정란을 찾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정란의 채집 및 관찰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용이하게 하여, 수정란의 생존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수정란 이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정란용 디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a도는 평면도,
b도는 단면도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a도는 평면도,
b도는 단면도,
c도는 다른 예의 단면도임.
도 3은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쉬 1': 월-디쉬
1a: 스몰디쉬 10: 바닥면
20: 주벽 30: 받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정란용 디쉬는 바닥면과 주벽으로 이루어지되, 처리물이 자중으로 바닥면 중심으로 모아지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은 중심이 주벽과 만나는 가장자리보다 깊도록, 원추형에 가깝게 경사형성되고, 주벽 하방에 작업테이블에 수평으로 세워지기 위한 받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이 깊게 형성된 바닥면을 구비한 디쉬는, 바닥면 반경을 보다 작게 형성한 스몰디쉬 다수를 일체로 배열ㆍ형성하여 월-디쉬(Wall-dish)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수정란용 디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용 디쉬(1)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a도) 및 단면도(b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용 디쉬(1)는, 바닥면(10)과 주벽(20)으로 이루어지되, 처리물이 자중으로 바닥면(10) 중심으로 모아지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0)은 중심이 주벽(20)과 만나는 가장자리보다 깊도록, 원추형에 가깝게 경사형성되고, 주벽(20) 하방에 작업테이블에 수평으로 세워지기 위한 받침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30)는 바닥면(10)에 접하여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a도) 및 단면도(b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이 깊게 형성된 바닥면(10)을 구비한 디쉬를 반경이 작은 스몰디쉬(1a)로 형성, 다수를 일체로 배열ㆍ형성하여 하나의 월-디쉬(Wall-dish)(1')로 형성한다.
도 2의 c는 상기 월-디쉬(1')의 다른 예의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월-디쉬(1')는 그 처리과정에 적합하도록, 상대적으로 크고 깊은 메인디쉬(1a')를 중심에 배열하고, 이에 비하여 반경이 적고, 깊이가 얕은 다수의 스몰디쉬(1a')를 방사형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 월-디쉬(1')는 이 외에도 스몰디쉬(1a)의 숫자, 반경 및 깊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본다.
디쉬(1)의 바닥면(10)을 완만한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정란이 바닥 전체 넓이로 흩어지지 않고 자중으로 경사형성된 바닥면(10) 중심으로 모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미세한 수정란을 현미경 하에서 찾기가 용이하여 수정란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주고, 아울러 수정란이 중심에 모여있음으로 흡인기인 수정란홀더로 하나씩 흡인취출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월-디쉬(1')는 수정란 처리 과정에서 스몰디쉬(1a)에 농도가 각기 다른 처리용액을 차례로 넣고 수정란을 순차적으로 옮겨가며, 수정란의 수분을 제거한 후, 동해방지 처리하여 동결하거나, 또는 역순으로 동결처리된 수정란을 회복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정란은 다수회에 걸친 처리용액이 다른 디쉬로의 이동을 해야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바닥면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경사형성된 스몰디쉬(1a)는 수정란이 항상 디쉬 중심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찾기도 용이하고, 흡인취출작업도 용이하여 처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게 된다.
하방에 형성된 받침부(30)는 디쉬(1)(1')가 작업테이블에서 안전하게 수평으로 설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수정란 이식 중의 중요한 과정에 사용되는 디쉬를 수정란을 찾기 용이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수정란의 체외노출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수정란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비록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가축 등의 수정란 채집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수정란용 디쉬는 이 이외에 다른 종류 물질의 실험관찰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란용 디쉬는, 수정란이 바닥면 가운데로 모이도록 하여 수정란을 찾는 시간과 회수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줌으로써, 수정란의 채집 및 처리를 민첩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정란의 체외 노출시간 단축이 생존율을 높이는 관건인 수정란 이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수정란 이식 성공률을 현저히 향상 시키도록 하는 대단히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2)

  1. 바닥면(10)과 주벽(20)으로 이루어지되,
    처리물이 자중으로 바닥면(10) 중심으로 모아지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0)은 중심이 주벽(20)과 만나는 가장자리보다 깊도록, 원추형에 가깝게 경사형성되고,
    주벽(20) 하방에 작업테이블에 수평으로 세워지기 위한 받침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용 디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이 깊게 형성된 바닥면(10)을 구비한 디쉬는, 바닥면 반경을 보다 작게 형성한 스몰디쉬(1a) 다수를 일체로 배열ㆍ형성하여 월-디쉬(Wall-dish)(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용 디쉬.
KR2020000002841U 2000-02-02 2000-02-02 수정란용 디쉬 KR200188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41U KR200188864Y1 (ko) 2000-02-02 2000-02-02 수정란용 디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41U KR200188864Y1 (ko) 2000-02-02 2000-02-02 수정란용 디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864Y1 true KR200188864Y1 (ko) 2000-07-15

Family

ID=1964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841U KR200188864Y1 (ko) 2000-02-02 2000-02-02 수정란용 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8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63A1 (ko) * 2019-04-02 2020-10-08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각각의 수정란을 공동배양 할 수 있는 배양 접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63A1 (ko) * 2019-04-02 2020-10-08 주식회사 엠케이바이오텍 각각의 수정란을 공동배양 할 수 있는 배양 접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re et al. A 100-Year Review: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dairy science
Mohr et al. Deep-freezing and transfer of human embryos
US3906929A (en) Processes for reproduction of cellular bodies
Holtz Recent developments in assisted reproduction in goats
Morrell Artificial insemination: current and future trends
Pacey et al. Andrology: the interaction in vitro of human spermatozoa with epithelial cells from the human uterine (Fallopian) tube
Hartshorne et al. The influence of in-vitro development upon post-thaw survival and implantation of cryopreserved human blastocysts
Englert et al. Clinical study on embryo transfer after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Johnston et al. In vitro fertilization: the challenge of the eighties
US3854470A (en) Reproduction processes for cellular bodies
Catt et al. Comparison of pregnancy in cattle when non-vitrified and vitrified in vitro-derived embryos are transferred into recipients
JP2004510423A5 (ko)
Iritani et al. Fertilization in vitro of cattle follicular oocytes with ejaculated spermatozoa capacitated in a chemically defined medium
Wani In vitro embryo production (IVEP) in camelids: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Müller et al. New observations about the fertilisation capacity and latency time of sperm inseminated into the ovary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an oviparous modelfish
Trasorras et al. Production, preservation, and transfer of South American camelid embryos
Nagashima et al. The domestic dog embryo: in vitro fertilization, culture, and transfer
Diedrich et al. Successful in vitro fertilization of frozen-thawed rabbit and human oocytes
US3866598A (en) Processes for reproduction of cellular bodies
CN107980765B (zh) 一种提高驴精液低温保存品质的精液稀释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188864Y1 (ko) 수정란용 디쉬
CN100523174C (zh) 来自猿猴的胚胎干细胞的生产方法
US20170275692A1 (en) Methods of Genomic Evaluation in Livestock
Bland et al. Experimental ectopic implantation of eggs and early embryos in guinea-pigs
Morrell et al. Semen handling in South American camelids: state of the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